KR200494409Y1 - 소파용 쿠션 - Google Patents

소파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09Y1
KR200494409Y1 KR2020200001071U KR20200001071U KR200494409Y1 KR 200494409 Y1 KR200494409 Y1 KR 200494409Y1 KR 2020200001071 U KR2020200001071 U KR 2020200001071U KR 20200001071 U KR20200001071 U KR 20200001071U KR 200494409 Y1 KR200494409 Y1 KR 20049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ofa
frame
base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220U (ko
Inventor
정대식
Original Assignee
정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식 filed Critical 정대식
Priority to KR2020200001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0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7Spring inlays of plane meande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4Clamps for attaching flat elastic strips or flat meandering springs to fram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파의 등받이에 기대어져 소품으로서 사용하도록 커버부재내에 쿠션재가 충진된 쿠션부(2)를 구비하는 소파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쿠션부(2)는 그 배면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1)는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상부(11)와 하부(12)가 서로에 대하여 힌지축(13)을 중심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프레임(10)이 제공되어 쿠션부(2)가 상부와 하부로 접혀지되 이용자에 의한 하중에 대한 지지강성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베이스부에 강성의 프레임이 내장되어 허리에 대한 지지력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가 각도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용자 자세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어 척추 건강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베이스부의 배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이 제공되어 소파 등받이에 대하여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파용 쿠션{A CUSHION FOR A SOFA}
본 고안은 소파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파 등의 의자의 등받이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락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의 각도조절가능한 보조등받이로서 사용하도록 된 소파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은 커버 속에 스펀지나 합성섬유재의 솜이 충진된 것으로, 소파에 허리를 보다 편안하게 하도록 등받이에 배치하여 사용하거나 방석, 또는 베게로 사용하는 소품이다.
이러한 쿠션의 예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496호(2002년11월09일 공고)에 공기주입식 심재로 된 쿠션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975호(2004년02월14일 공고)에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의자에 사용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개량쿠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쿠션은 강성이 없어서 소파 등받이게 배치한 상태에서 허리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척추가 구부러져 척추 건강이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496호(2002년11월09일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975호(2004년02월14일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쿠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이 내장되어 강성을 갖는 베이스부에 접힘가능한 접힘부가 형성된 탄성재가 내장된 본체가 결합되어 소파 등받이에 배치하여 사용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소파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은, 소파의 등받이에 기대어져 소품으로서 사용하도록 커버부재내에 쿠션재가 충진된 쿠션부를 구비하는 소파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그 배면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상부와 하부가 서로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프레임이 제공되어 쿠션부가 상부와 하부로 접혀지되 지지강성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는 프레임커버로 씌워진 상태로 쿠션부의 외측커버 내에 배치되고 프레임커버과 외측 커버 사이의 공간에 쿠션재가 충진되며,
상기 쿠션부의 외측커버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커버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쿠션부에는 그 상부가 하부에 대하여 쉽게 접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감소된 접힘부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의 상부가 하부에 대하여 쉽게 접히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형성된 접힘부는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구의 힌지축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소파와의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 도트 형상의 고무재와 시트 형상의 고무재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은 베이스부에 강성의 프레임이 내장되어 허리에 대한 지지력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가 각도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용자 자세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어 척추 건강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베이스부의 배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이 제공되어 소파 등받이에 대하여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쿠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쿠션의 베이스부에 제공된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쿠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 쿠션의 베이스부 배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이 제공된 것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6과 7은 각각 소파의 등받이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은 소파의 등받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와, 상기 베이스부의 커버부재에 배면측이 결합되고 커버부재내에 쿠션재가 충진된 쿠션부(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에는 지지강성을 제공하도록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상부(11)와 하부(12)가 서로에 대하여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그리고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된 프레임(10)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11)와 하부(12)는 함께 직물로 감겨지거나 프레임커버(14)로 씌워진 상태로 외측커버(15) 내에 배치되고 외측커버(15) 내에 배치되고 프레임커버(14)와 외측 커버(15) 사이의 공간에 쿠션재(16)가 충진되어 구성된다.
상기 쿠션재는 우레탄폼이나 장섬유와 단섬유가 유착된 형태의 웹(web) 적층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쿠션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프레임커버(14) 속에 넣어진 상태에서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상부(11)와 하부(12)가 서로에 대하여 제한된 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구조는 프레임(10) 상부(11)의 양 측부(17)와 하부(12)의 양측부(18)가 각도조절가능한 회동연결구(19)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각도조절가능한 회동연결구(19)는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0441호(공개일자 2017년06월01일)의 등받이부의 허리 서포터에 개시되고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각도조절가능한 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을 수용한 프레임커버(14)는 다시 베이스부(1)의 외측 커버(15)에 넣어진 상태에서 외측 커버(15) 속에는 쿠션재가 충진된다.
상기 쿠션부(2)는 상기 베이스부(1)의 외측커버(14)의 전면에 쿠션부의 커버(21)가 고정되며, 상기 쿠션부(2)에는 그 상부(22)가 하부(23)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감소된 접힘부(24)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24)는 프레임(10)의 상부(11)와 하부(1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3)과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이로써, 쿠션부(2)의 상부(22)는 하부(23)에 대하여 접힐 때 프레임(10)의 상부(11)가 하부(12)에 대하여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쿠션부의 상부가 하부에 대하여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되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의 배면에는, 예를들어 하측에 미끄럼방지수단(3)이 제공되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3)은 소파의 등받이와 시트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할 때, 접촉되는 소파 등받이 또는 시트에 대하여 베이스부가 이동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예를들어 실리콘고무와 같은 고무재를 도트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현하거나 시트 형상으로 부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미끄럼방지수단(3)이 베이스부 배면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소파용 쿠션의 사용을 도 6과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소파용 쿠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가 직선형태로 된 상태로 소파의 등받이(100)에 베이스부를 기대어 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부(1)의 프레임(10) 상부(11)를 앞쪽으로 도 7과 같이 젖혀서 하부(12)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쿠션부(2)의 상부(22)가 접힘부(24)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하부(23)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로써, 쿠션부(2)의 하부(22)가 도 6에 도시된 사용예에서 보다 시트에 대하여 경사도가 낮게 되므로 이용자가 보다 낮은 자세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며, 이용자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에도 프레임(10)의 상부(11)와 하부(12)를 연결하는 회동연결구(19)는 상부와 하부의 경사진 상태에서 유지되게 한다.
이때, 베이스부(1)의 배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3)이 소파의 시트 또는 등받이에 접촉되어 쿠션이 미끌어짐 없이 이용자가 의도한 절첩 각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소파에서 보조 등받이 또는 베게로서 사용하는 소품인 쿠션을 이용자 자세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할 수 있다.
1 : 베이스부 2 : 쿠션부
3 : 미끄럼방지수단 10 : 프레임
11 : 상부 12 : 하부
13 : 힌지축 14 : 프레임커버
15 : 외측커버 16 : 쿠션재
18 ; 측부 19 : 회동연결구

Claims (4)

  1. 소파의 등받이에 기대어져 소품으로서 사용하도록 커버부재내에 쿠션재가 충진된 쿠션부(2)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부(2)는 그 배면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1)는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상부(11)와 하부(12)가 서로에 대하여 힌지축(13)을 중심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프레임(10)이 제공되어 쿠션부(2)가 상부와 하부로 접혀지되 이용자에 의한 하중에 대한 지지강성을 제공하도록 된 소파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11)와 하부(12)는 프레임커버(14)로 씌워진 상태로 쿠션부(2)의 외측커버(15) 내에 배치되고 프레임커버(14)과 외측 커버(15) 사이의 공간에 쿠션재(16)가 충진되며,
    상기 쿠션부(2)의 외측커버(15)는 상기 베이스부(1)의 외측커버(14)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쿠션부(2)에는 그 상부(22)가 하부(23)에 대하여 쉽게 접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감소된 접힘부(24)가 회동연결구(19)의 힌지축(13)과 같은 높이의 재봉선으로 형성되며,
    소파와의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1)의 배면에 도트 형상의 고무재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3)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용 쿠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1071U 2020-03-27 2020-03-27 소파용 쿠션 KR20049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71U KR200494409Y1 (ko) 2020-03-27 2020-03-27 소파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71U KR200494409Y1 (ko) 2020-03-27 2020-03-27 소파용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20U KR20210002220U (ko) 2021-10-07
KR200494409Y1 true KR200494409Y1 (ko) 2021-10-08

Family

ID=7807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071U KR200494409Y1 (ko) 2020-03-27 2020-03-27 소파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92Y1 (ko) * 2022-02-15 2022-10-07 주식회사 페르모사 다각도 조절 헤드 레스트를 구비하며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 기능성 소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207B1 (ko) * 2009-03-18 2010-01-06 홍성권 통풍베개
CN201691462U (zh) * 2010-05-11 2011-01-05 东莞市梦特卡罗家具有限公司 新型沙发
KR101458135B1 (ko) * 2014-06-05 2014-11-05 강하성 분리 가능한 미끄럼 없는 소파 등받이
JP2017047115A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馬場家具 ソフ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207B1 (ko) * 2009-03-18 2010-01-06 홍성권 통풍베개
CN201691462U (zh) * 2010-05-11 2011-01-05 东莞市梦特卡罗家具有限公司 新型沙发
KR101458135B1 (ko) * 2014-06-05 2014-11-05 강하성 분리 가능한 미끄럼 없는 소파 등받이
JP2017047115A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馬場家具 ソフ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92Y1 (ko) * 2022-02-15 2022-10-07 주식회사 페르모사 다각도 조절 헤드 레스트를 구비하며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 기능성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10085575B2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JP5536096B2 (ja) 分離連動型腰椎及び胸椎支持部を持つ椅子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5466039A (en) Foldable lounge with combination headrest and backrest
KR200494409Y1 (ko) 소파용 쿠션
US11051622B2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KR20210002220U (ko) 소파용 쿠션
JP4661700B2 (ja) クッション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KR101022764B1 (ko) 의자
KR20200001349U (ko)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JP2003000383A (ja) シートカバー
JP4532208B2 (ja) 椅子用腕まくら
KR200331369Y1 (ko) 배받이 의자
JP3123499U (ja) 椅子用姿勢矯正補助マット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JP3210804U (ja) 腰部包囲座布団
CN210870602U (zh) 一种复合式枕垫结构及坐垫结构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20140001628U (ko) 요추지지 더블접착방식 쿠션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KR101011430B1 (ko) 의자
CN210783667U (zh) 轮椅用软垫
JPH0646556U (ja) 胸あて付椅子
JP6823775B2 (ja) クッション配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