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49U -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 Google Patents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49U
KR20200001349U KR2020180005810U KR20180005810U KR20200001349U KR 20200001349 U KR20200001349 U KR 20200001349U KR 2020180005810 U KR2020180005810 U KR 2020180005810U KR 20180005810 U KR20180005810 U KR 20180005810U KR 20200001349 U KR20200001349 U KR 202000013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orage
backrest
sheet
relaxation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경
Original Assignee
(주)코린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린토 filed Critical (주)코린토
Priority to KR2020180005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49U/ko
Publication of KR20200001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렉스 체어를 접어서 보관, 이동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커버를 활용하여 등받이에 목받침을 위한 쿠션기능을 갖도록 한 캠핑용 릴렉스 체어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프레임에 시트가 장착되어 좌대와 등받이가 구비되고 커버에 의하여 보관되는 릴렉스 체어에 있어서, 시트에는 머리나 목이 받쳐질 수 있는 위치인 등받이의 상단에 커버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고, 수납부는 등받이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면시트와 후면시트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중첩되게 구성되도록 하고, 그 중첩된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납공간의 테두리 중 일부가 봉재 또는 초음파로 접착하여 마감부를 형성하고 마감부의 타측으로는 투입구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를 말아서 수납공간에 넣어서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을 위한 쿠션기능을 갖도록 함은 물론, 상기 투입구는 시트의 단부에 테두리띠를 봉재하여 투입구가 보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수납공간은 그 내부의 직경이 커버를 느슨하게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말린 상태의 커버를 가압하기 이전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커버가 말린 상태에서 압축되면서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커버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목받침을 위한 쿠션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Portable camp chair with a neck rest by cover storage}
본 고안은 캠핑장이나 낚시터 등에서 레저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절첩식의 릴렉스 체어에 관한 것으로, 릴렉스 체어를 접어서 보관, 이동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커버를 활용하여 등받이에 목받침을 위한 쿠션기능을 갖도록 한 캠핑용 릴렉스 체어에 관한 것이다.
릴렉스 체어는 지면에서 시트까지의 높이가 낮고 등받이에 앉았을 때 기댄 자세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테이블과 함께 주로 사용한다.
주로 캠핑이나 낚시 등 야외활동에서 사용되며 최근에는 레저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릴렉스 체어가 사용된다.
이렇게 야외에서 주로 사용하는 릴렉스 체어는 보관 및 이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대부분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네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모아 접는 방식으로 접혀지고, 별도의 커버 또는 가방이 마련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릴렉스 체어의 단점이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등받이 각도조절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릴렉스 체어의 장점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등받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조를 최대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고 있으나, 설계자체로는 미비한 점이 있기 때문에 목베게, 허리쿠션, 공기튜브 등의 쿠션재를 별도로 마련하여 등받이에 대고 사용하거나 또는 쿠션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 수건을 말아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로 마련되는 쿠션재는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임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특히 자세를 바꾸는 과정에서 쿠션재가 이탈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릴렉스 체어에 쿠션기능을 갖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릴렉스 체어를 접어서 보관을 할 경우 보관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에 실효성이 거의 없고, 따라서 릴렉스 체어에 장착가능한 전용 쿠션재도 제안되었으나, 따로 보관하거나 준비하기가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릴렉스 체어를 담기 위한 커버는 캠핑장에서 릴렉스 체어를 펼쳐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따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고, 이 과정에서 커버를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1486800호(2015.01.21.) 대한민국 특허 제1502955호(2015.03.10.) 대한민국 특허 제1506728호(2015.03.23.)
본 고안의 릴렉스 체어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렉스 체어를 보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커버를 릴렉스 체어를 펼친 상태에서 분실의 위험이 없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커버를 활용하여 등받이에 쿠션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접이식 프레임에 시트가 장착되어 좌대와 등받이가 구비되고 커버에 의하여 보관되는 릴렉스 체어에 있어서, 시트에는 머리나 목이 받쳐질 수 있는 위치인 등받이의 상단에 커버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고, 수납부는 등받이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면시트와 후면시트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중첩되게 구성되도록 하고, 그 중첩된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납공간의 테두리 중 일부가 봉재 또는 초음파로 접착하여 마감부를 형성하고 마감부의 타측으로는 투입구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를 말아서 수납공간에 넣어서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을 위한 쿠션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시트의 단부에 테두리띠를 봉재하여 투입구가 보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수납공간은 그 내부의 직경이 커버를 느슨하게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말린 상태의 커버를 가압하기 이전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커버가 말린 상태에서 압축되면서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커버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목받침을 위한 쿠션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등받이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상단변 측으로 투입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의 제조방법이나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투입구 위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부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여러 수납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커버를 끼워 쿠션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릴렉스 체어에 의하면, 기존에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상에서 별다른 공정의 추가없이도 봉재방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자재비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커버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과 동시에 쿠션수단을 마련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
그리고 커버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야외활동시 특히 여러 개의 릴렉스 체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커버가 방치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공간이 지저분하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단체 캠핑 등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릴렉스 체어의 커버가 서로 뒤바뀔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사용자가 쿠션위치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설정하여 본인의 체형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락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신의 체형보다 낮은 어깨나 허리위치에 커버를 수납하는 경우 척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됨은 물론, 어깨에 위치시키는 경우 앞가슴이 펴지거나 허리에 위치시키는 경우 요추를 보호하는 등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릴렉스 체어의 접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렐렉스 체어의 펼쳐짐 상탤ㄹ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가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버를 수납부에 수납하여 쿠션기능을 갖도록 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개봉요소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납부를 구성하는 전면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수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이나 낚시와 같은 야외활동 또는 레저 활동시에 휴대 및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한 이후에는 최소부피로 접어 보관하는 것으로, 체어의 구조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에 시트(20)가 덧대어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좌대와 등받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체어를 접은 상태에서는 체어를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커버(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체어를 펼쳐서 사용할 경우에는 체어를 펼친 상태에서 커버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시트(20)에는 커버(3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쿠션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머리나 목이 받쳐질 수 있는 위치인 등받이의 상단에 커버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다리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이 절첩연결부(12)로 연결되어 접이식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프레임(10)에 시트(20)가 덧씌워져 좌대와 등받이를 구성할 수 있다.
시트(20)는 프레임의 좌대 양측변 및 등받이의 양측변에 프레임(10)과 체결하기 위한 끼움부(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시트의 가장자리가 테두리재에 의하여 시트의 외면 둘레를 따라서 커버링되어 봉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시트(20)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수납부(100)는 등받이시트에 구비되어 커버를 수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목이나 머리를 받침하는 쿠션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등받이시트의 전부가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로 이중 구성되거나 또는 등받이시트 중에서 일부분만 전면시트와 후면시트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중첩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첩되게 구성된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수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수납공간의 테두리 중 일부가 봉재되거나 또는 초음파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져 마감부(140)를 형성하고, 그 마감부(140)의 타측으로는 투입구(150)가 마련되어 커버(3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수납부에 커버(30)를 말아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에 커버(30)를 측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마감부(140)가 'ㄷ'자 형상으로 봉재 또는 접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수납부(100)는 사용자가 투입구(150)의 위치 및 개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입구의 단부에 테두리띠(152)가 봉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투입구(150)를 벌려서 커버(30)를 수납할 때 테두리띠(152)에 의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므로 강도가 보강되어 연결부위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는 커버(30)를 보관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의 상단에 쿠션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납공간(130)의 크기가 커버(30)를 압축한 상태에서 부피와 거의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30)를 느슨하게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말린 상태의 커버를 가압하기 이전의 외경보다 수납공간(150)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커버(30)를 수납공간에 수납할 때 커버가 말린상태에서 압축되면서 수납되며, 커버(30)가 원통형으로 말린 상태에서 빡빡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수납공간(150) 내에서 커버가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쿠션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는 투입구(150)에 개봉요소(160)가 구비되어 투입구를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개봉요소(160)는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퍼(162) 또는 단추(16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봉요소를 지퍼나 단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제작할 경우 개봉요소가 노출되지 않고 목이나 머리부분을 기댈 때 배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시트(120)에 투입구(150)를 형성하여 등받이의 후방에서 커버를 끼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 9와 같이 수납부(100)는 목받침부의 쿠션력을 향상시키고 배김을 줄이기 위하여 전면시트(110)가 다층 원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시트(110)가 다층 원단으로 이루어질 때 그 사이에 완충재(112)가 삽입되어 쿠션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완충재는 솜이나 스펀지 합성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충재(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쿠션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전면시트(110)가 누빔으로 봉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충재(112)가 삽입되고 누빔으로 봉재되는 구조는 시트(20) 전체에 구성하기에는 제작이 번거롭고 제작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커버가 수용되는 부분, 즉 수납부(100)의 전단에만 완충재 삽입 및 누빔으로 봉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수납부(1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의 전면에 수납부(100)를 마련하거나, 도 11과 같이 후면시트(120)의 하단변만을 봉재하거나 접착함으로써 전면시트와 후면시트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그 상단에 개봉요소(160)를 말아서 커버를 수납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수납부(100)는 등받이의 상측 변에 연접하도록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가 이중으로 이루어져 중첩되게 구성되고,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가 중첩된 부분에서 수납공간의 좌,우측변 및 하측변에 마감부(140)가 형성되어 등받이의 상측 방향으로 투입구(150)가 형성되어 등받이의 최상단에 목받침부가 위치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00)는 도 13과 같이 커버(30)를 측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100)를 다층으로 구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마감부(140)가 등받이의 상단부로부터 하부측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수납공간(150)이 다단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개의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끼워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부위에 쿠션기능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자세 변형이 필요한 경우나 체형에 따른 쿠션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 그 필요에 따라서 쿠션기능이 국부적으로 부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체형에 맞는 쿠션기능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허리가 불편한 경우에는 요추받침 등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30)는 커버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커버를 개폐하거나 또는 커버를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묶음부(3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피는 일정한 탄성력이 있는 부직포, 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이상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커버를 단독으로 말아서 원통형의 쿠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쿠션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안락함을 더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있는 내피를 사용함으로써 수납부(100)에 커버(30)가 수납된 상태에서 쿠션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10: 프레임 12: 절첩연결부
20: 시트 22: 끼움부
30: 커버 32: 묶음부
100: 수납부
110: 전면시트
120: 후면시트
130: 수납공간
140: 마감부
150: 투입구 152: 테두리띠
160: 개봉요소

Claims (12)

  1. 접이식 프레임(10)에 시트(20)가 장착되어 좌대와 등받이가 구비되고, 커버(30)에 의하여 보관되는 릴렉스 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20)는 머리나 목이 받쳐질 수 있는 위치인 등받이의 상단에 커버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는 등받이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로 구성되고,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는 서로 중첩되게 구성되며, 그 서로 중첩되게 구성된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수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수납공간의 테두리 중 일부가 봉재 또는 초음파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져 마감부(140)를 형성하고 그 마감부(140)의 타측으로는 투입구(150)가 마련되어 커버(30)를 말아서 수납공간에 배치시켜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등받이의 상측 변에 연접하도록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가 이중으로 이루어져 중첩되게 구성되고, 전면시트(110)와 후면시트(120)가 중첩된 부분에서 수납공간의 좌,우측변 및 하측변에 마감부(140)가 형성되어 등받이의 상측 방향으로 투입구(150)가 형성되어 등받이의 최상단에 목받침부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커버(30)를 측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마감부(140)가 'ㄷ'자 형상으로 봉재 또는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사용자가 투입구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투입구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투입구(150)를 구성하는 시트의 단부에 테두리띠(152)가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투입구(150)에 개봉요소(160)가 구비되어 투입구를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개봉요소가 노출되지 않고 목부분의 배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시트(120)에 투입구(150)가 형성되어 등받이의 후방에서 커버를 끼울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6.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커버(30)를 느슨하게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말린 상태의 커버를 가압하기 이전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수납공간(130)의 직경이 구비되어 커버가 말린 상태에서 압축되어 수납되면서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커버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커버를 개폐하거나 또는 커버를 말아서 원통형 쿠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묶음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피는 일정한 탄성력이 있는 부직포, 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이상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구성되고, 커버를 단독으로 말아서 원통형의 쿠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목받침부의 쿠션력을 향상시키고 배김을 줄이기 위하여 전면시트(110)가 다층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시트(110)는 다층 원단의 사이에 완충재(112)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시트(110)에 삽입된 완충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쿠션력이 증가되도록 누빔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커버(30)를 측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감부(140)가 등받이의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다단으로 구비되어 국부 쿠션 조절 또는 체형에 따른 쿠션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KR2020180005810U 2018-12-13 2018-12-13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KR202000013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10U KR20200001349U (ko) 2018-12-13 2018-12-13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10U KR20200001349U (ko) 2018-12-13 2018-12-13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49U true KR20200001349U (ko) 2020-06-23

Family

ID=7112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10U KR20200001349U (ko) 2018-12-13 2018-12-13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4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097B2 (en) 2019-06-04 2022-02-08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KR20240000543U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카라신 캠핑체어용 멀티파우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00B1 (ko) 2013-08-05 2015-01-28 주식회사 부광정밀 낚시용 의자
KR101502955B1 (ko) 2014-08-19 2015-03-16 사승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레저의자용 베개
KR101506728B1 (ko) 2013-05-15 2015-03-30 정혁 캠핑용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8B1 (ko) 2013-05-15 2015-03-30 정혁 캠핑용 의자
KR101486800B1 (ko) 2013-08-05 2015-01-28 주식회사 부광정밀 낚시용 의자
KR101502955B1 (ko) 2014-08-19 2015-03-16 사승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레저의자용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097B2 (en) 2019-06-04 2022-02-08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KR20240000543U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카라신 캠핑체어용 멀티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168B1 (en) Air cell pillow
US10085575B2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US6347421B1 (en) Portable head pillow
US8316488B2 (en) Contoured body support pillow
US7779492B2 (en) Self-storing combination blanket and neck roll assembly
US3093407A (en) Body cushion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US8276227B2 (en) Multi-adjustable pillow
US20110061166A1 (en) Pillow cover with neck support
US6755462B2 (en) Cushioned seat and back support for collapsible chair
US7581788B1 (en) Cover for lounge chair
US20010035672A1 (en) Towel adapted to remain on a chair method and apparatus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9681764B1 (en) Foldable chair blanket
US20130187415A1 (en) Self-storable portable padding device
US6938287B1 (en) Lounge chair with body-accommodating openings
EP2493355A1 (en) Containing structure for small children fitted with a dynamic backrest
US9295337B1 (en) Portable travel mat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for use as cushion and/or pillow
US4864668A (en) Portable back support
KR20200001349U (ko) 커버 수납에 의하여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릴렉스 체어
KR200469750Y1 (ko) 접이식 쇼파
US20050125894A1 (en) Beach mat, chair and shelter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US20230284783A1 (en) Flexible internal frame back rest with lounge mat
JP4661700B2 (ja) クッション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