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41Y1 -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Google Patents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341Y1 KR200492341Y1 KR2020190000824U KR20190000824U KR200492341Y1 KR 200492341 Y1 KR200492341 Y1 KR 200492341Y1 KR 2020190000824 U KR2020190000824 U KR 2020190000824U KR 20190000824 U KR20190000824 U KR 20190000824U KR 200492341 Y1 KR200492341 Y1 KR 2004923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pus
- button
- knot
- hanb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는 한복의 안쪽여밈단부와 겉쪽여밈단부가 겹쳐진 여밈부 상에 구성되는 여밈부의 여밈상태를 고정하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로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안쪽여밈단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름부; 고리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쪽여밈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름부가 끼워져 통과되어 옷고름 매듭형상이 표현되도록 하며, 전면에 단추구멍이 형성된 끼움고리부; 상기 고름부 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름부가 상기 끼움고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단추구멍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삼색태극문양이 형상화된 매듭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저고리나 두루마기, 마고자, 한복바지, 한복 치마 등의 한복의 여밈부에 설치되어, 옷고름 형태를 가지면서도 한복의 여밈부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고리나 두루마기, 마고자 등의 한복에는 여밈부의 양측에 각각 소정 폭을 갖는 헝겊끈으로 된 긴고름과 짧은고름이 고정되어 있어, 이 두 고름으로 고를 내어 매듭을 지어 여밈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를 예를 들면, 저고리의 겉섶이나 겉깃에 긴고름이 구성되고, 그 맞은 편의 앞안길 쪽에 짧은 고름이 구성되어, 긴 고름과 짧은 고름으로 왼쪽으로 고를 내어 매듭을 지어 여밈을 고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긴고름과 짧은 고름이 갖추어져 있는 저고리에 대해 등록특허 10-1023831호, 등록특허 10-139078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한복에 있어서의 두 고름을 이용한 여밈의 고정은 두 고름으로 미려하게 고를 내어 매듭지어주는 것이 상당히 힘들고, 그 매듭방법 조차 알지 못하는 초보자인 경우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할 경우가 많아 한복 착용에 매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두 고름을 매듭지어 여밈을 고정하는 기존 한복의 형태를 개선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00803호, 등록특허 10-1602204호, 등록실용신안 20-0290190호에는 미려하게 미리 매듭지어져 있는 옷고름을 한복에 탈부착시킴으로써, 기존과 같이 번거롭게 두 고름을 매듭지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한복에 부착하는 옷고름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옷고름은 편리한 측면에서는 매우 우수하나 매듭지어져 있는 옷고름이 자기도 모르게 한복에서 쉽게 한복에서 떨어져 버리는 일이 생기며, 아울러, 한복의 여밈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별도로 구성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최근 개량한복 등에서는 완전히 고름 매듭 형태가 적용되지 않고 여밈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들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 20-2008-0001907호에는 앞길의 양측 섭에 지지고리와 걸고리가 구비되어, 지지고리에 걸고리를 걸어 저고리의 여밈을 고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20-0323438호에는 한복의 가슴판 양측에 단추매듭과 고리매듭으로 구성된 매듭단추를 구성하여 고리매듭을 단추매듭에 연결하여 여밈을 고정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량된 여밈 고정수단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고름 매듭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전통적인 느낌이 나지 않으며 단순히 한국인 전통멋스러움을 연출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한국의 전통적인 옷고름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여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여밈부의 겹쳐지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는 한복의 안쪽여밈단부와 겉쪽여밈단부가 겹쳐진 여밈부 상에 구성되는 여밈부의 여밈상태를 고정하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로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안쪽여밈단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름부; 고리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쪽여밈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름부가 끼워져 통과되어 옷고름 매듭형상이 표현되도록 하며, 전면에 단추구멍이 형성된 끼움고리부; 상기 고름부 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름부가 상기 끼움고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단추구멍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삼색태극문양이 형상화된 매듭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듭단추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상기 여밈부의 여밈겹침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여밈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매듭단추는 3가지 색상의 실(로프)을 구체(球體)형태가 되도록 매듭을 지어서 만든 것이며 삼색 태극문향이 형상화되도록 구성된 매듭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듭단추는 한개로 구성되어, 상기 고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정하여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듭단추는 상기 고름부에 도트단추 결합방식으로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한복의 여밈부 상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전통 옷고름 매듭을 형상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이하게 여밈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급스러운 연출이 하면서도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며, 특히, 삼색태극문양이 표현된 매듭단추가 고정수단으로서 사용되어 한국 전통의 멋스러움이 부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삼색태극문양의 매듭단추가 고름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여밈부의 여밈겹침정도를 조절하여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에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삼색태극문양의 매듭단추가 한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매듭단추를 고름부를 따라 위치조정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밈부의 여밈겹침정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다른 색상의 매듭단추로 교체하는 등 새로운 매듭단추에 대한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고름부가 두겹 옷감으로 구성되고, 암도트단추가 고름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도록 설치되며, 매듭단추에는 수도트단추가 고정설치되어, 수도트단추를 복수의 암도트단추 중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매듭단추의 설치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고름부 외부로는 암도트단추나 수도트단추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매우깔금하고 심플한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고름부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매듭단추를 고름부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고름부에 형성된 절개선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고름부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매듭단추를 고름부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고름부에 형성된 절개선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한복 저고리(10)에 적용된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한복용 고정유니트(100)는 저고리(10)의 안길부분의 내측단부분 즉 안쪽여밈단부(11)와 저고리(10)의 겉길부분의 내측단부분 즉 겉쪽여밈단부(12)가 겹쳐진 여밈부(14) 상에 설치되어, 옷고름 매듭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여밈부(14)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0)는 고름부(110), 끼움고리부(120), 매듭단추(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름부(110)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진 한복고름용 띠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이 안쪽여밈단부(11)의 일측에 재봉처리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고름부(110)는 한장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장이 겹쳐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통적인 옷고름의 형태를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끼움고리부(120)는 고리형태를 갖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재봉질에 의해 겉쪽여밈단부(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끼움고리부(12)의 외측에는 소정폭으로 절개된 단추구멍(12)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매듭단추(130)는 소정굵기로 이루어진 3가지 색상의 실(로프)(131,133,135)을 구체(球體)형태가 되도록 매듭을 지어서 만든 매듭단추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색 태극문양이 형상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매듭단추(130)는 고름부(110)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꿰메어져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고름부(110)를 끼움고리(120)에 통과되도록 끼워준 다음, 매듭단추(130)를 끼움고리부(120)에 형성된 단추구멍(122)에 끼워 결합고정시킴으로써, 도 2와 같이, 한국 전통의 옷고름 매듭형상이 표현될 뿐 아니라, 삼색 태극문양이 형상된 매듭단추(130)가 단추구멍(122)에 결합되어 여밈부(14)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삼색태극문양의 매듭단추(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한국 전통의 멋스러움이 더욱더 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통적인 옷고름 매듭형상을 연출하면서도 견고한 여밈부(14)의 고정을 실현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이 향상되고, 한국의 전통적인 멋스러움도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고름부(110)를 끼움고리부(120)의 끼워 통과시킨 다음, 착용자의 신체사이즈 즉, 가슴둘레 사이즈(옷품)에 맞게 복수의 매듭단추(130) 중 하나를 단추구멍(122)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신체사이즈에 대한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기존과 같이 매듭지어진 옷고름을 한복에 탈부착 시키는 방식에 비해, 본 고안은 양측 여밈단의 일측에만 고름부(110)를 구성하고, 타측에는 끼움고리부(120)를 구성하여, 고름부(110)를 끼움고리부(120)에 끼워주고, 매듭단추(130)를 끼움고리부(120)의 단추구멍(122)에 결합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옷고름을 형상화하도록 연결되어진 고름부(110)와 끼움고리부(120)가 예기치 않게 한복(10)에서 분리되지 않아 기존의 옷고름부가 한복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전통한복에서 양측의 옷고름을 직접 매듭짓어 사용하는 형태에 비해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는 매듭단추(130)가 제 1 실시 예에 비해, 2장의 고름부(110) 중 반대편의 고름부(110)에 설치되어, 도 4와 같이, 고름부(110)를 길이방향에 대해 접은 상태에서 접힘부(114)를 끼움고리부(120)에 끼워주어 왼쪽으로 고를 내는 형태로 옷고름 매듭이 표현되도록 고름부(110)와 끼움고리부(120)를 연결시킨 후, 매듭단부(130)를 끼움고리부(120)의 단추구멍(122)에 끼워 결합해 여밈부(14)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고리, 마고자, 두루마기 등 한복 상의의 여밈부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한복바지의 허리부, 바지밑단부, 한복치마의 허리부 등 한복 하의의 여밈부 등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는 고름부(110)를 따라 복수의 매듭단추(130)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안쪽여밈단부(11)와 겉쪽여밈단부(12)의 겹쳐지는 정도 즉 여밈부(14)의 여밈겹침정도를 조절하여 복수의 매듭단추(130) 중 하나를 단추구멍(122)에 결합시켜 여밈부(14)의 여밈겹침정도를 조절하여 고정하였으나, 본 고안은 매듭단추(130)를 하나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매듭단추(130)를 고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정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10)는 각각의 고름부(110)가 두겹 옷감(111,112)으로 구성되고, 일측 옷감(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절개라인(116)이 형성되며, 타측 옷감(112)의 내측면에는 절개라인(116)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암도트단추(141)들이 접착제나 재봉을 통해 설치되며, 하나의 매듭단추(130)에는 연결실(137)이 연결되고, 연결실(137)의 말단에는 수도트단추(144)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도트단추(144)는 고름부(110)의 내부 즉 두겹 옷감(111,112) 사이의 공간에 내장되고, 연결실(137)은 절개라인(116)을 통과하며, 매듭단추(130)는 고름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는 수도트단추(144)를 암도트단추(14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매듭단추(130)를 절개라인(116)을 따라 소정위치로 위치시키고,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수도트단추(144)를 마주하는 암도트단추(141)에 압입하여 체결시켜 줌으로써, 매듭단추(130)를 고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때, 고름부(110)를 이루는 두겹 옷감(111,112) 사이에 내장되어 있어, 복수의 암도트단추(141)와 수도트단추(144)들은 고름부(1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구성이 지저분해보이지 않고 심플한 구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는, 하나의 매듭단추(130)를 고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실시 예와 같이 복수의 매듭단추(130)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사용자가 고름부(110)에 대한 매듭단추(130)의 설치위치를 용이하여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매듭단추(130)의 구성수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고름부
116...절개라인
120...끼움고리부
122...단추구멍
130...매듭단추
137...연결실
141...암도트단추
144...수도트단추
116...절개라인
120...끼움고리부
122...단추구멍
130...매듭단추
137...연결실
141...암도트단추
144...수도트단추
Claims (5)
- 한복의 안쪽여밈단부(11)와 겉쪽여밈단부(12)가 겹쳐진 여밈부(14) 상에 구성되는 여밈부(14)의 여밈상태를 고정하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로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안쪽여밈단부(11)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름부(110);
고리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쪽여밈단부(12)에 고정되며 상기 고름부(110)가 끼워져 통과되어 옷고름 매듭형상이 표현되도록 하며, 전면에 단추구멍(122)이 형성된 끼움고리부(120);
상기 고름부(110) 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름부(110)가 상기 끼움고리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단추구멍(122)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삼색태극문양이 형상화된 하나의 매듭단추(130);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매듭단추(130)는 3가지 색상의 실(로프)(131,133,135)을 구체(球體)형태가 되도록 매듭을 지어서 만든 것이며 삼색 태극문향이 형상화되도록 구성된 매듭단추인 것이며,
상기 고름부(110)는 두겹옷감(111,112)으로 구성되고, 일측 옷감(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절개라인(116)이 형성되고, 타측 옷감(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절개라인(116)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암도트단추(141)들이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매듭단추(130)에는 연결실(137)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실(137)의 말단에는 수도트단추(144)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도트단추(144)를 상기 복수의 암도트단추(14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매듭단추(130)를 상기 절개라인(116)을 따라 소정위치로 위치시키고,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수도트단추(144)를 마주하는 암도트단추(141)에 압입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하나의 매듭단추(130)가 상기 고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하여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824U KR200492341Y1 (ko) | 2019-02-27 | 2019-02-27 |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824U KR200492341Y1 (ko) | 2019-02-27 | 2019-02-27 |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955U KR20200001955U (ko) | 2020-09-04 |
KR200492341Y1 true KR200492341Y1 (ko) | 2020-09-21 |
Family
ID=7247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824U KR200492341Y1 (ko) | 2019-02-27 | 2019-02-27 |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34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4125A (ko) | 2022-04-30 | 2023-11-07 | 이남희 |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1919B1 (ko) * | 2014-12-02 | 2015-04-13 | 박춘화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0190Y1 (ko) | 2002-03-05 | 2002-09-26 | 송시헌 | 착탈식 옷고름 |
KR200323438Y1 (ko) | 2003-05-29 | 2003-08-19 | 안진수 | 개량한복 |
KR200400803Y1 (ko) | 2005-08-16 | 2005-11-09 | 이태옥 | 양면 착용이 가능한 전통한복 저고리 |
KR20080001907U (ko) | 2006-12-14 | 2008-06-19 | 박미연 | 한복 저고리 |
KR20100005575U (ko) * | 2008-11-24 | 2010-06-03 | 이숙경 | 고름의 변화와 합단추를 이용한 한복 고름의 고정법 |
KR101023831B1 (ko) | 2009-03-18 | 2011-03-22 | 엄숙희 |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 한복 저고리 |
KR101390782B1 (ko) | 2012-10-23 | 2014-04-30 | 김순복 | 한복 저고리 |
KR101602204B1 (ko) | 2014-07-16 | 2016-03-10 | 이병화 |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
-
2019
- 2019-02-27 KR KR2020190000824U patent/KR20049234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1919B1 (ko) * | 2014-12-02 | 2015-04-13 | 박춘화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955U (ko) | 2020-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157064A1 (en) | Kimono | |
US6065156A (en) | Scarf with a knot pleat | |
KR200492341Y1 (ko) |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 |
JP3146747U (ja) | 下衣のウエスト部紐通し機構 | |
KR101511919B1 (ko)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
JP2002339106A (ja) | 伸縮性インナーウエストベルト | |
JPH09324307A (ja) | パジャマ | |
JP3138384U (ja) | 簡単かつ綺麗に着付けのできる着物 | |
US2091084A (en) | Dress | |
JP3206851U (ja) | 仕立衿および該仕立衿付きの対丈着物 | |
JP3168790U (ja) | 着物風エプロン | |
JP3196698U (ja) | 着物用のインナーセット | |
JP3576785B2 (ja) | 着物 | |
JPH08325803A (ja) | 女性用長じゅばん、女性用長着及び女性長着用帯 | |
US10813399B2 (en) | Necktie retainer | |
JP6796296B1 (ja) | 和服 | |
JP3204305U (ja) | 男性用着物の襦袢衿 | |
JPH0457907A (ja) | きものの縫製方法 | |
JPH072411U (ja) | 簡単に着用できる着物 | |
JPS6011044Y2 (ja) | 上着 | |
JP3030405U (ja) | 着 物 | |
JP3126493U (ja) | 半衿を着脱自在としたセパレート着物 | |
JP3125870U (ja) | ズボンの裾構造 | |
JP3034226U (ja) | 着物仕立用男女兼用型紙 | |
JP5380577B2 (ja) | 着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