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125A -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125A
KR20230154125A KR1020220053891A KR20220053891A KR20230154125A KR 20230154125 A KR20230154125 A KR 20230154125A KR 1020220053891 A KR1020220053891 A KR 1020220053891A KR 20220053891 A KR20220053891 A KR 20220053891A KR 20230154125 A KR20230154125 A KR 2023015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hanbok
pus
jeogori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이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희 filed Critical 이남희
Priority to KR10202200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125A/ko
Publication of KR2023015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냅 단추나 별도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듭이 잘 풀리지 않고 심미감이 뛰어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은 고리부에 기러기 매듭을 형성하여 한복에 어울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한복에 어울리는 전통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고, 단추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리부의 구조를 타이트하게 형성하여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옷고름을 여밀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Description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Convinent breast-tye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냅 단추나 별도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듭이 잘 풀리지 않고 심미감이 뛰어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유구한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이어져 내려온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의상으로서, 현재에는 평상복으로 입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명절이나 상례, 제례, 결혼식 등 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에 많이 착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개선한 이른바 개량 한복이 보급되어 평상복으로 착용되기도 한다.
여성용 한복으로는 저고리, 치마,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등이 있고, 남성용 한복으로는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등이 있는데 한복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옷매무새가 아름답다.
상기 한복의 저고리, 두루마기, 배자 등(이하 '저고리'라 약칭함)은 옷을 입고 앞부분을 여미기 위해 옷고름을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복의 앞부분을 여미기 위한 종래의 한복 상의에 형성되어 있는 옷고름을 매기 위하여 앞길판의 좌앞길판에는 긴옷고름을 우앞길판에는 짧은옷고름을 각각 봉재된 옷고름을 교차시키고 긴쪽의 옷고름을 짧은옷고름 뒤쪽으로 돌린 후에 긴옷고름은 접고 짧은옷고름 둥글게 감싸 매듭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의 매는 것은 한복을 자주 입어본 사람이 아니면 쉽게 매듭지는 것이 어렵고 또한 전문가인 경우에도 매듭을 만든 후의 옷고름의 긴옷고름과 짧은옷고름의 길이가 적당하도록 매듭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저고리의 고름을 어렵게 고름 매듭을 잘 만들어 옷고름을 매었다 하더라도 한복 저고리의 앞길판에 봉제되어 있는 두 개의 옷고름를 하나는 접고 다른 하나는 접은 고름을 둥글게 감싸 매듭을 만든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중에 신체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또는 고름이나 매듭을 건드리는 과정에서 상기 매듭이 쉽게 풀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고름을 매는 전통한복 저고리(200)에 고름부(203)를 없애고 매듭단추(201, 202)를 이용하거나, 미리 고름부(203)로 부터 매듭부(204)를 형성하여, 상기 고름부(203)와 매듭부(204)를 저고리(200)로 부터 완전히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복 저고리(200))와, 짧은고름부(205)를 긴고름부(206)와 함께 바깥쪽섶(207)의 긴고름부(206) 부착위치에 함께 봉재하여 저고리(200)로 부터 고름부(203)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짧은고름부(205)와 긴고름부(206)를 이용하여 매듭의 뒷면에 합단추(208, 209)을 이용하여 저고리(200) 앞섭을 여미도록 하는 하는 한복저고리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와 같은 경우들은 전통한복 고유의 고름과 매듭부를 묶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매듭부(204) 이면에 합단추(일명 똑딱 단추)로서 저고리(200)의 앞섭을 여미는 방식으로서, 이는 착용과 활동함에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뿐 우리나라의 단아한 전통한복 고유의 옷매무새와 우아함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옷고름의 매듭부를 형성할 수 없다는 데 그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옷고름을 매는 대신에 매듭단추를 만들어 앞길판을 여미는 방식은 착용과 활동함에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뿐 우리나라의 단아한 전통 한복고유의 옷매무새와 우아함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옷고름의 매듭을 형성할 수 없다는 데 그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번호 제20-0373166호(2005년01월05일) 한국 등록번호 제10-1511919호(2015년04월07일) 한국 공개번호 제20-2020-0001955호(2020년09월04일) 한국 등록번호 제10-2200096호(2021년01월04일)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좀 더 간편한 방식의 옷고름 체결 구조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리부에 기러기 매듭을 형성하여 한복에 어울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고리부의 구조를 타이트하게 형성함으로써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옷고름을 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리부에 기러기 매듭을 형성하여 한복에 어울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단추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리부의 구조를 타이트하게 형성하여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옷고름을 여밀 수 있는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좌앞길판(40)과 우앞길판(50)으로 이루어지는 한복에 있어서,
상기 좌앞길판(40) 상에 재봉된 고리부(20);
상기 고리부(20) 상에 재봉된 기러기 매듭(10); 및
상기 우앞길판(50) 상에 좌우가 동일한 길이로 재봉된 고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20)의 형성된 공간(22)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름부(30)를 포갠 상태에서 타이트하게 접은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은 고리부에 기러기 매듭을 형성하여 한복에 어울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한복에 어울리는 전통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고, 단추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리부의 구조를 타이트하게 형성하여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옷고름을 여밀 수 있으며, 고리부의 매듭에 특별한 부착물이 없어서 한복 특유의 자연스러운 장식성과 디자인미를 나타낼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기러기 매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고리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측면 도면이다.
도 5는 고름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 도면이다.
도 4은 고름부를 고리부에 여미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체결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좌앞길판(40)과 우앞길판(50)으로 이루어지는 한복에 있어서,
상기 좌앞길판(40) 상에 재봉된 고리부(20);
상기 고리부(20) 상에 재봉된 기러기 매듭(10); 및
상기 우앞길판(50) 상에 좌우가 동일한 길이로 재봉된 고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20)의 형성된 공간(22)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름부(30)를 포갠 상태에서 타이트하게 접은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옷고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기러기 매듭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고리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측면 도면이고, 도 5는 고름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 도면이며, 도 4은 고름부를 고리부에 여미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고리 매듭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체결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복 옷고름은 전통적으로 좌앞길판(40)과 우앞길판(50)으로 이루어지는 한복에 부착되는 자연스러운 체결 구조이며, 상기 좌앞길판(40) 상에 재봉된 고리부(20); 상기 고리부(20) 상에 재봉된 기러기 매듭(10); 및 상기 우앞길판(50) 상에 좌우가 동일한 길이로 재봉된 고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옷고름 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고리부(20)의 형성된 공간(22)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름부(30)를 포갠 상태에서 타이트하게 접은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고리부(20)에 끼워지는 고(33)는 고름부(30)의 일부가 외력을 가하여 2겹 ~ 4겹으로 접혀진 상태로 고리부(20)의 내측 공간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쉽게 풀어지지 않는 구조로써, 이는 극히 간단하게 한복 저고리의 고름을 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단추 등이 없어서 자연스러운 전통미를 물씬 풍긴다.
상기 기러기 매듭(10)은 전통혼례의 전안례에서 사용되는 나무로 깍은 기러기를 싸는 보자기에 사용되는 매듭으로써, 상징적, 주술적 의미가 강한 기러기 매듭을 이용하여 창작 한복에 가미함으로써 예술성, 심미성 및 기교성이 매우 뛰어난 전통 혼례용 규방 공예로서 전통성은 유지되면서도 현대적 감각이 더해져서 실생활에도 바람직하게 접목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앞길판(40) 상에 접한 상태에서 양측면을 0.5cm의 여유 간격(d)을 두고 바닥부를 상침 기법 및 스티치 기법으로 재봉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리부(20)에 끼워지는 고(33)는 약 7cm 정도의 너비로 형성되는 것이 심미적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고, 고름부(30)의 일부가 2겹~4겹으로 접혀진 상태로 고리부(20)의 내측 공간을 통과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쉽게 풀어지지 않는 구조를 취하여야 하므로, 상기 고리부(20)의 형성된 내부 공간(22)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름부(30)를 포갠 상태에서 타이트하게 접은 공간에 대응하도록 재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겹 내지 4겹으로 타이트하게 접은 고름부(30)가 외력에 의해서는 통과하되 외력을 해제할 경우에는 고름부(30)의 접힘부가 팽창되어 일부러 고름부(30)를 풀기 전에는 잘 풀어지지 않는 고리부(20)의 내부 공간(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공간(22)의 전체 체적은 고름부(30)를 일반적인 사용자가 힘을 가하였을 때는 통과되고,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통과되지 않는 체적으로 설계를 하고, 이를 수치로 표현하자면, 힘을 가했을 때의 부피가 10㎤이고,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부피가 15㎤이라면, 상기 부피는 10.1~10.5㎤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을 가해서 고름부의 일부(고리를 통과하는 부분)를 접었을 때를 기준으로 체적비는 1:1.01~1.05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름부(30)는 우앞길판(50) 상에 좌우가 동일한 길이로 재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좌우를 동일한 길이로 설정한 이유는 고리부(20)에 끼웠을 때 접힙 단차에 의해 매듭을 여미였을 때 자연스러운 단부 단차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리부(20)와 좌앞길판(40)의 사이에 자석(60)이 매립 부착되고 상기 고름부(30)의 중심부(31)를 기준으로 우측의 일정 거리(d1, 13~17㎝ 전후)를 두고 자석(60)이 매립 부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0)의 저면에 자석을 배치하고, 대응 위치의 고름부(30)에 자석을 배치하여 결속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한 바의 한복 옷고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러기 매듭(10)을 제작하는 단계, 시침 고정 단계, 겉감을 바느질하는 단계, 기러기 매듭 부착 단계, 좌앞길판(40)에 고리부(20) 형성 단계, 우앞길판(50)에 고름부(30)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 기러기 매듭 제작 단계
기러기 매듭(10)을 제작하는 단계는 본 발명자의 한국 등록번호 제10-2234167호(2021년03월25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를 생략한다.
(b) 시침 고정 단계
겉감의 상면에 기러기 매듭(10)을 배치한 후 그 상부 가장자리를 시침으로 고정시킨다.
(c) 상침 바느질 단계 및 (d) 바느질 부착 단계
겉감을 군데 군데 상침 기법에 의해 바느질한 후 바느질된 기러기 매듭(10)을 고리부(20)의 상면에 바느질에 의해 부착시킨다.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공그르기 바느질에 의해 실밥이 안보이게 하여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게 한다.
공그르기는 원단 두 장을 겹치게 하거나 겉안감을 이을 때, 또는 시접을 접어서 실밥이 모이지 않게 꿰매거나 겉에서 바느질해도 바늘땀이 보이지 않게 바느질하는 기법으로 단처리에 많이 사용하며, 안에서도 실땀이 단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겉에서나 안쪽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공금질, 슬립 스티치라고도 한다.
(e) 고리부 형성 단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부(20)의 개구부(21)가 수평이 되도록 한복저고리의 좌앞길판(40) 상에 형성한다.
상기 고리부(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앞길판(40) 상에 접한 상태에서 양측면을 0.5cm의 여유 간격(d)을 두고 바닥부를 상침 기법 및 스티치 기법으로 재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리부(20)의 크기는 가로 4.5㎝, 세로 4.2㎝가 바람직하고, 고(33)의 너비는 7㎝ 전후가 자연스럽다.
별도로, 고리부(20)의 저면과 좌앞길판(40) 상에 자석(60)을 배열한 후에 상기 바느질 단계를 수행하여 기러기 매듭(10)을 부착할 수 있다. 자석의 크키는 통상의 크기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직경이 10㎜ 전후가 바람직할 수 있다.
(f) 고름부 형성 단계
한복저고리의 우앞길판(50) 상에 고름부(30)를 길이가 좌우 동일하게 되도록 중심부(31)를 바느질로 부착시킨다.
이때, 우앞길판(50)의 중심부(31)로 부터 일정 거리(d1, 13~17㎝) 이격된 지점에 자석(60)을 매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름부(30)의 중간을 수직으로 포갠 다음, 이를 다시 수평으로 재차 포개어 고리부(20)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통과시킨 후 매듭을 다듬어 주어 옷고름을 간편하게 여밀 수 있다.
이 경우 매듭된 고름부(30)와 고리부(20)의 경계에는 자연스럽게 함몰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옷고름의 매듭부를 용이하게 묶을 수 있도록 하여 전통 한복 특유의 옷매무새가 흐트러지지 않으면서도 한복을 즐겨 입을 수 있으며, 또한 기러기(10) 매듭을 정면에 배치하여 전통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고, 전통 한복 저고리 고유의 전통미를 더욱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좌앞길판(40)과 우앞길판(50)으로 이루어지는 한복에 있어서,
    상기 좌앞길판(40) 상에 재봉된 고리부(20);
    상기 고리부(20) 상에 재봉된 기러기 매듭(10); 및
    상기 우앞길판(50) 상에 좌우가 동일한 길이로 재봉된 고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20)의 형성된 공간(22)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름부(30)를 포갠 상태에서 타이트하게 접은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0)는 좌앞길판(40) 상에 접한 상태에서 양측면을 0.5cm의 여유 간격(d)을 두고 바닥부를 상침 기법 및 스티치 기법으로 재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0)와 좌앞길판(40)의 사이에 자석(60)이 매립 부착되고, 상기 고름부(30)의 중심부(31)를 기준으로 우측의 일정 거리를 두고 자석(60)이 매립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
  4. (a) 기러기 매듭(10)을 제작하는 단계;
    (b) 겉감의 상면에 기러기 매듭(10)을 배치한 후 그 상부를 시침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c) 겉감을 군데 군데 상침 기법에 의해 바느질하는 단계;
    (d) 바느질된 기러기 매듭(10)을 고리부(20)의 상면에 바느질로 부착시키는 단계;
    (e) 고리부(20)의 개구부(21)가 수평이 되도록 한복저고리의 좌앞길판(40) 상에 형성하는 단계;
    (f) 한복저고리의 우앞길판(50) 상에 고름부(30)를 길이가 좌우 동일하게 되도록 중심부(31)를 바느질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옷고름의 제조 방법.
KR1020220053891A 2022-04-30 2022-04-30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5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91A KR20230154125A (ko) 2022-04-30 2022-04-30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91A KR20230154125A (ko) 2022-04-30 2022-04-30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125A true KR20230154125A (ko) 2023-11-07

Family

ID=8874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91A KR20230154125A (ko) 2022-04-30 2022-04-30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12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66Y1 (ko) 2004-10-21 2005-01-15 최숙경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101511919B1 (ko) 2014-12-02 2015-04-13 박춘화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20200001955U (ko)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KR102200096B1 (ko) 2020-04-22 2021-01-07 최현기 한복 옷고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66Y1 (ko) 2004-10-21 2005-01-15 최숙경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101511919B1 (ko) 2014-12-02 2015-04-13 박춘화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20200001955U (ko)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KR102200096B1 (ko) 2020-04-22 2021-01-07 최현기 한복 옷고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9956B2 (ja) ズボン
JP5771003B2 (ja) 対丈着物
AU2004226949B2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KR10144333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20230154125A (ko) 간편한 한복 저고리 매듭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339106A (ja) 伸縮性インナーウエストベルト
JP4223198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KR20130001671U (ko) 잠옷
JP3218364U (ja) 二部式着物
CN210203422U (zh) 假两件拼接女上衣
KR200492341Y1 (ko) 한복용 여밈고정유니트
KR102234167B1 (ko) 기러기 매듭을 이용한 한복 앞치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83165B2 (ja) アクセサリーの着脱自在な被服
JP2005171477A (ja) 伸縮性インナーウエストベルト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JP3660671B1 (ja) 迅速造り帯
CN213154033U (zh) 一种现代汉服
KR200257730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치마
JP6601699B1 (ja) アップリケの製造方法及びアップリケ
CN211608245U (zh) 一种美观的立体无缝衣料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3124351U (ja) 装飾着物
JP3139368U (ja) きものドレス
JPS5837921Y2 (ja) 和洋折衷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