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39Y1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39Y1
KR200489039Y1 KR2020157000043U KR20157000043U KR200489039Y1 KR 200489039 Y1 KR200489039 Y1 KR 200489039Y1 KR 2020157000043 U KR2020157000043 U KR 2020157000043U KR 20157000043 U KR20157000043 U KR 20157000043U KR 200489039 Y1 KR200489039 Y1 KR 200489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elastic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side seal
se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700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755U (ko
Inventor
유마 나카오
야스유키 오쿠다
교코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0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48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radiating the edge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54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scanning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54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scanning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1661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scanning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scanning repeatedly, e.g. quasi-simultaneous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96Laser beams making use of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other than mechanical means
    • B29C65/747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other than mechanical means using radiation, e.g. laser, for simultaneously welding and se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29C66/72941Non woven mats, e.g. felt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3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with bands or belts
    • B29C66/8343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with bands or belts the contact angle between said rollers, cylinders or drums and said bands or belts being a non-zero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3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with bands or belts
    • B29C66/83435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with bands or belts said rollers, cylinders or drums being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7Beaded-edge joints or bead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사이드 시일부 (S) 가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 (40) 를 갖고 있다.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쌍방에,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 (80a, 80b) 가,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배치되어 있다.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일방에 있어서,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 중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가 사이드 시일부 (S) 의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에서는, 탄성 부재 (80a, 80b) 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세로 방향 (X) 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 (10b) 가 도포되어 있고, 접착제 (10b) 에 의해 탄성 부재 (80b) 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UNDERPANTS-TYPE DISPOSABLE NAPPY}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를 포함하는 가랑이부 (C') 와, 가랑이부 (C') 로부터 착용자의 복측 (腹側) 및 배측 (背側) 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를 구비하고, 또한 복측부 (A') 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웨이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범용되고 있다. 복측부 (A') 및 배측부 (B') 는, 그 몸통 둘레 영역에, 기저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탄성 부재 (180) 를 갖고 있다. 각 탄성 부재 (180) 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사이드 시일부 (S') 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일부 (S') 를 그 단부로부터 찢어서 벌리는 동작이 실시된다. 이 때에 탄성 부재 (180) 의 단부가 사이드 시일부 (S') 에 위치하고 있으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를 구성하는 부직포 등의 시트는 찢을 수 있지만, 탄성 부재 (180) 가 찢어지지 않고 복측부 (A') 의 탄성 부재 (180') 와 배측부 (B') 의 탄성 부재 (180') 가 연결된 상태에서 길게 늘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 (180') 의 연결은, 기저귀를 벗어 폐기할 때의 장해가 된다.
사이드 시일부를 찢는 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동 문헌에 있어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용 개구 주위의, 외장 시트의 복측 양측 가장자리부와 배측 양측 가장자리부의 고착부인 사이드 시일부 근방을, 탄성 부재의 비설치 영역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저귀를 착용자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고 동 문헌에는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일부에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 단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를 비신축성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저귀를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 원활히 찢을 수 있다고 동 문헌에는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68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11673호
그러나,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을 채용해도, 사이드 시일부를 순조롭게 벗겨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가랑이부와, 그 가랑이부의 전후로부터 연장되는 복측부 및 배측부와, 그 복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그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각각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다.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중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가,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고, 그로 인해 그 사이드 시일부와 그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에 의해 그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형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신장시킨 상태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로부터 사이드 시일부를 벗겨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사이드 시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의 (a) 내지 도 6 의 (c) 는, 각각, 도 5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기저귀 연속체를 분단함과 동시에 사이드 시일부를 형성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의 (c) 상당 도면) 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가로 방향에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외장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시일부를 벗겨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기저귀 (1) 는,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 (X) 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 (Y) 을 갖는다. 기저귀 (1) 는, 표면 시트 (2) 와, 이면 시트 (3) 와, 양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 (4) 를 갖는 흡수성 본체 (5), 및 흡수성 본체 (5) 의 이면 시트 (3) 측에 배치된 외장체 (6)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기저귀 (1) 는, 가랑이부 (C) 와, 그 가랑이부 (C) 의 전후로부터,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를 갖고 있다. 기저귀 (1)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중심선 (CL) 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1) 의 외장체 (6)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외방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외장체 (6) 는,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각 측 가장자리가, 세로 방향 (X) 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가로 방향 (Y) 의 내방을 향하여 잘록해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외장체 (6) 에 있어서의 복측부 (A) 의 양측 가장자리부 (6a, 6a) 의 내면과 배측부 (B) 의 양측 가장자리부 (6b, 6b) 의 내면 끼리를 합장상 (合掌狀) 으로 중첩시켜 접합함으로써 사이드 시일부 (S) 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형성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개구부 (WO)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 (LO, LO) 를 갖는 기저귀 (1) 가 형성된다. 사이드 시일부 (S) 는,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시일부 (S) 는, 외장체 (6) 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 (후술하는 도 6 의 (c) 에 있어서의 부호 40 으로 나타내어지는 부위) 를 포함하고, 그 접합부는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외장체 (6) 의 내면측에는 흡수성 본체 (5) 가 배치 고정된다. 흡수성 본체 (5)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X) 으로 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 (5) 가 구비하는 흡수체 (4) 도, 세로 방향 (X) 으로 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 (5) 는, 세로 방향 (X) 의 일방의 단부 (5a) 측의 영역이, 외장체 (6) 에 있어서의 복측부 (A) 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세로 방향 (X) 의 타방의 단부 (5b) 측의 영역이, 외장체 (6) 에 있어서의 배측부 (B) 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 (2), 이면 시트 (3), 흡수체 (4) 및 외장체 (6) 로는, 종래,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어 온 것과 동일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2) 로는,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나, 친수성을 갖는 천공된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3) 로는, 수지 필름이나 발수성을 갖는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 (4) 로는, 플러프 펄프의 적섬체 (積纖體) 나,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 적섬체나, 펄프 시트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흡수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장체 (6) 로는, 예를 들어 발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장체 (6) 는 복수 장의 부직포를 적층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로 방향 (X) 은, 기저귀 (1) 또는 그 구성 부재인 흡수성 본체 (5) 의 장변을 따른 방향, 즉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가로 방향 (Y) 은, 기저귀 (1) 또는 그 구성 부재인 흡수성 본체 (5) 의 폭 방향과 일치한다.
외장체 (6) 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 의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 (80a, 80b) 가,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외장체 (6)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 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 (61) 와, 외층 시트 (61) 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 (62) 와, 양 시트 (61, 62)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폭 방향 (Y) 을 따라 신장된 상태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 (80a, 80b) 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부재 (80a, 80b) 는, 기저귀 (1) 의 몸통 둘레 영역 및 웨이스트 영역에 배치된다.
추가로 외장체 (6) 에는,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측 가장자리 중, 세로 방향 (X) 의 중앙 영역의 만곡된 부위를 따라, 레그부 탄성 부재 (90) 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레그부 탄성 부재 (90) 도 외층 시트 (61) 와 내층 시트 (62)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 (1) 에 있어서의 외층 시트 (61) 는, 그 외층 시트 (61) 와 내층 시트 (62) 에 의해 복수 개의 사상 (絲狀) 의 탄성 부재 (80a, 80b) 를 협지 고정시키는 영역보다 더욱 세로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있고, 외층 시트 (61) 에 있어서의 내층 시트 (62) 보다 연장된 연장 영역 (61L) (도 2 참조) 은, 흡수성 본체 (5) 측으로 되접혀, 흡수성 본체 (5) 의 세로 방향 (X) 의 단부 (5a, 5b) 를 덮고 있다. 되접힌 연장 영역 (61L) 은, 예를 들어 접착제 (도시 생략) 에 의해 내층 시트 (62) 에 접착되어 있다.
도 3 에는, 착용 상태에서의 기저귀 (1) 의 측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에 있어서는, 기저귀 (1) 의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 (80a) 가,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측부 (B) 에도, 기저귀 (1) 의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복측 탄성 부재 (80a) 는,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측 탄성 부재 (80b) 에 관해서도, 세로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복측부 (A) 와 배측부 (B) 는, 탄성 부재 사이의 간격은 동일해도 되고, 혹은 상이해도 된다. 세로 방향 (X) 을 따라 탄성 부재 (80a, 80b) 의 배치 위치를 보았을 때, 복측 탄성 부재 (80a) 의 배치 위치와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배치 위치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대략 일치하고 있다란, 복측 탄성 부재 (80a) (또는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배치 위치와, 그것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배측 탄성 부재 (80b) (또는 복측 탄성 부재 (80a)) 의 배치 위치의 세로 방향 (X) 에 있어서의 거리가 2 ㎜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는, 기저귀 (1) 를 도 2 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외장체 (6) 가 흡수성 본체 (5) 와 겹치는 영역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는, 그것들 중 웨이스트 개구부 (WO) 근처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일방의 사이드 시일부 (S) 로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부 (S) 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데에 반해, 웨이스트 개구부 (WO)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사이드 시일부 (S) 로부터 흡수성 본체 (5) 의 측 가장자리부까지의 사이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는, 2 종류의 연장 영역을 갖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의 위치에 주목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탄성 부재 (80a) 의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의 단부의 위치와,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의 단부의 위치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복측 탄성 부재 (80a) 의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의 단부의 위치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사이드 시일부 (S)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사이드 시일부 (S) 보다 가로 방향 (Y) 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배측부 (B) 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일부 (S) 와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복측부 (A) 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배측부 (B) 에 있어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은,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기저귀 (1) 의 제조 조건의 편차 등에서 기인하여, 불가피적으로 1 개 내지 수 개의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단부가 사이드 시일부 (S) 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한 허용된다.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외층 시트 (61) 와 내층 시트 (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바, 이들 탄성 부재 (80a, 80b) 는, 그 길이 방향 중, 양 단부에 있어서만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의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어 있다. 복측 탄성 부재 (80a) 및 배측 탄성 부재 (80b) 는, 양 단부 사이의 부위에 있어서는,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의 어느 것과도 비고정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 (61, 62) 와의 고정에는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부 (S) 근방의 복측부 (A) 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탄성 부재 (80a) 가 배치된 위치에,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 (10a) 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 (10a) 에 의해 복측 탄성 부재 (80a) 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시일부 (S) 근방의 배측부 (B) 에서는, 앞서 서술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및 그것보다 가로 방향 (Y) 의 내방의 영역에 있어서,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 (10b) 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 (10b) 에 의해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 (1) 에 의하면, 사이드 시일부 (S) 를 개재하여 복측 탄성 부재 (80a) 와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연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부 (S) 를 세로 방향 (X) 을 따라 벗겨낼 때, 그 사이드 시일부 (S) 를 구성하는 내층 시트 (62) 끼리가 박리되거나, 또는 사이드 시일부 (S) 를 따라 시트가 재료 파괴되므로, 탄성 부재 (80a, 80b) 의 연결체가 사이드 시일부 (S) 에 잔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 강도보다 시트의 인장 강도 쪽이 높은 경우에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시일부 (S) 를 개재하여 복측 탄성 부재 (80a) 와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연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 부재 (80a, 80b) 의 연결체가 사이드 시일부 (S) 에 잔존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시트의 인장 강도보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 강도 쪽이 높은 경우에는, 사이드 시일부 (S) 에 인접한 위치에서 시트의 재료 파괴가 우선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바, 그 위치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양은 소량이므로, 사이드 시일부 (S) 를 따라 시트의 균일한 재료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짐과 함께, 탄성 부재 (80a, 80b) 의 연결체가 사이드 시일부 (S) 에 잔존하기 어려워진다.
이상의 유리한 효과를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의 폭은 0 ㎜ 초과이면 되고, 예를 들어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의 폭은 0 ㎜ 초과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이상 3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1 ㎜ 이상 2 ㎜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 폭은, 사이드 시일부 (S) 를 기저귀 (1) 로부터 잘라내고, 그 사이드 시일부 (S) 를 비신장 상태하에서 마이크로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여 측정된다.
기저귀 (1) 에 있어서는, 외장체 (6) 에 있어서의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각각 탄성 부재 (80a, 80b) 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저귀 (1) 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이들 탄성 부재 (80a, 80b) 의 수축에서 기인하여,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이, 기저귀의 가로 방향 (Y) 으로 다조 (多條) 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배측부 (B) 의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에는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아, 기저귀 (1) 의 외관의 인상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에 있어서는, 기저귀 (1) 의 착용 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부 (S) 와 배측 탄성 부재 (80b) 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로 방향 (Y) 에 있어서 이웃하는 2 조의 주름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작용함으로써,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이 주름 속에 숨겨져,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기저귀 (1) 의 외관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주름의 간격은, 예를 들어 탄성 부재 (80a, 80b) 를 신장 상태에서 외장체 (6) 에 고정시킬 때의 신장 배율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가로 방향 (Y) 에 있어서 이웃하는 2 조의 주름의 간격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기저귀 (1) 를 가로 방향 (Y) 으로 신장시킨 상태를 100 % 로 하고, 80 % 신장시에 있어서 주름과 주름의 정점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 거리를 주름의 간격으로 한다. 기저귀 (1) 를 가로 방향 (Y) 으로 100 % 신장시킨 상태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개 또한 신장 상태를 말하고, 전개 또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시일부 (S) 를 벗겨내어 기저귀 (1) 를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기저귀 (1) 를,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설계 치수 (탄성 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하다) 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주름의 간격은,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름의 간격은, 예를 들어 3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상 7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기저귀 (1) 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를 준비하고, 양 시트 사이에, 복수 개의 복측 탄성 부재 (80a) 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각 탄성 부재 (8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신장 상태에서 배치·고정시킨다. 또, 양 시트 (61, 62) 사이에, 복수 개의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각 탄성 부재 (80b)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신장 상태에서 배치·고정시킨다. 또한, 각 시트 (61, 62) 에 있어서의 만곡된 부위에, 복수 개의 레그부 탄성 부재 (90) 를 신장 상태에서 배치·고정시킨다. 이로써 외장체 (6) 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외장체 (6) 의 내면에 흡수성 본체 (5) 를 배치하고, 그 외장체 (6) 에 접합시킨다. 다음으로, 외장체 (6) 의 복측부 (A) 의 양측 가장자리부 (6a, 6a) 의 내면과 외장체 (6) 의 배측부 (B) 의 양측 가장자리부 (6b, 6b) 의 내면끼리를 합장상으로 중첩시키고, 충첩된 부위를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접합한다. 이 접합시에, 상기 서술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이드 시일부 (S) 는,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 강도나 찢기 용이함, 및 기저귀 (1) 의 외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사이드 시일부 (S) 는,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연속선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의 접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저귀 (1) 의 외관을 한층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사이드 시일부 (S) 에 있어서는, 접합부보다 가로 방향 (Y) 의 외방에 비접합부가 최대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접합부는 완전하게 비존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비접합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폭이, 가장 넓은 부위에 있어서도 3 ㎜ 이하, 특히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사이드 시일부 (S) 에 있어서의 접합부는 그 폭이 최대한 작은 것도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사이드 시일부 (S) 의 폭을 과도하게 작게 하면, 외장체 (6) 의 복측부 (A) 와 배측부 (B) 를 접합시키는 힘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기저귀 (1)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그 접합부가 파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 사항을 아울러 고려하면, 접합부는 그 폭이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합부의 폭은, 0.01 ㎜ 이상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 (1)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을 순조롭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레이저식 용단 장치 (120) 를 사용하여 사이드 시일부 (S)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 (120) 를 사용하는 것은, (i) 사이드 시일부 (S) 에,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연속선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ii) 사이드 시일부 (S) 에 있어서, 접합부보다 가로 방향 (Y) 의 외방에 비접합부가 최대한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 및 (iii) 사이드 시일부 (S) 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폭을 좁게 하는 것 등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레이저식 용단 장치 (120) 를 사용한 사이드 시일부 (S) 의 형성 방법은, 외장체 (6) 의 복측부 (A) 의 양측 가장자리부 (6a, 6a) 와 외장체 (6) 의 배측부 (B) 의 양측 가장자리부 (6b, 6b) 의 가장자리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융착된 접합부 (40) (도 6 의 (c) 참조) 를 갖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형성 방법으로서,
외장체 (6) 를 구성하는 시트 중 적어도 일부의 시트는 수지재를 함유하고,
외장체 (6) 의 복측부 (A) 의 양측 가장자리부 (6a, 6a) 와 외장체 (6) 의 배측부 (B) 의 양측 가장자리부 (6b, 6b) 가 겹쳐진 시트 적층체의 일방의 면을, 레이저 광이 통과 가능한 광 통과부를 갖는 지지 부재에 맞닿게 하여, 가압 상태가 된 그 시트 적층체에 대해, 그 지지 부재측으로부터 그 광 통과부를 개재하여, 그 시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시트에 흡수되어 그 시트를 발열시키는 파장의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그 시트 적층체를 분단함과 동시에, 그 분단에 의해 생긴 상기 가압 상태에 있는 외장체 (6) 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를 융착시켜 상기 접합부 (40) 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하, 이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레이저식 접합 장치 (12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원통상 (고리상) 의 지지 부재 (121) 를 구비한 중공의 원통 롤 (123) 과, 그 지지 부재 (121) 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레이저 광 (130) 을 조사하는 조사 헤드 (135) 와, 가압 수단으로서 무단상의 가압 벨트 (124) (누름 부재) 및 그 가압 벨트 (124) 가 가교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 (125a, 125b, 125c) 을 구비한 벨트식 가압 장치 (126) 를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식 접합 장치 (120) 는, 고리상의 지지 부재 (121) 의 외주면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 에 감는 가압 벨트 (124) 의 장력을 증감 조정할 수 있는 장력 조정 기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그 장력의 조정에 의해,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에 의해, 기저귀 연속체 (110) (시트 적층체) 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기저귀 연속체 (110) 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 (1) 를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로, 기저귀 (1) 가 가로 방향 (Y) 을 따라 복수 연속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절단 예정 부분 (110C) (도 6 참조) 및 그 근방의 영역만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의 탄성 부재 (80a, 80b) 가 외층 시트 (61) 및/또는 내층 시트 (62) 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지지 부재 (121) 는,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 (피가공물과의 맞닿음부) 를 형성하고 있고, 원통 롤 (123) 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1 쌍의 고리상의 프레임체 (122, 122)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 (121) 는, 예를 들어 고리상의 프레임체 (122) 의 둘레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단일 고리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구리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세라믹스 등의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 부재 (121) 는, 레이저 광이 통과 가능한 광 통과부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 (121) 는, 광 통과부로서, 그 지지 부재 (121)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상의 개구부 (127) 를 갖고 있다. 개구부 (127) 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 방향을 지지 부재 (121) 의 폭 방향 (원통 롤 (123) 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 과 일치시켜, 원통상의 지지 부재 (121) 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 (121) 는, 개구부 (127) 에서는 레이저 광을 통과시키는 한편, 개구부 (127) 이외의 부분에서는 레이저 광을 통과 (투과) 시키지 않는다. 지지 부재 (121) 에 개구부 (127) 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1) 지지 부재 (121) 의 소정 지점에 에칭, 펀칭,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개구부 (127) 를 천공 형성하는 방법 외에, 2) 지지 부재 (121) 로서, 단일 고리상 부재 대신에, 만곡된 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복수 사용하고, 그것들 복수의 부재를, 1 쌍의 프레임체 (122, 122) 사이에, 그 프레임체 (122) 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2) 의 방법에서는, 인접하는 2 개의 부재의 간격이 슬릿상의 개구부 (127) 가 된다.
또한, 레이저식 접합 장치 (120) 에 있어서는, 레이저 광이 통과 가능한 광 통과부가, 지지 부재 (121)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상의 개구부 (127)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개구부 (127) 와 겹치는 부분, 즉 분단 예정 부분은, 가압 벨트 (124) 가 맞닿는 것만으로,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면, 분단 예정 부분에는, 양 부재 (121, 124)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발생하는 가압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개구부 (127) 와 겹치는 분단 예정 부분은, 그 자체는 양 부재 (121, 124) 에 의해 협지되지 않아도, 그 근방, 즉,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개구부 (127) 근방과 겹치는 부분은 양 부재 (121, 124) 에 의해 협지되기 때문에, 레이저 광의 조사 전후에 움직이지 않고, 따라서,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분단에 의해 발생한 절단 가장자리부는 움직이지 않는다. 요컨대,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분단 예정 부분은, 양 부재 (121, 124) 에 의한 협지로 인한 가압력에 의해 구속된 부분이며, 그 가압력이 사실상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벨트식 가압 장치 (126) 는, 무단상의 가압 벨트 (124) 및 그 가압 벨트 (124) 가 가교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3 개의 롤 (125a, 125b, 125c) 을 구비하고 있다. 롤 (125a, 125b, 125c) 은 구동 롤이어도 되고, 원통 롤 (123) 에 동반 회전하는 종동 롤이어도 된다. 가압 벨트 (124) 는, 롤 (125a, 125b, 125c) 중 어느 1 개 이상을 회전 구동시켜, 원통 롤 (123) (지지 부재 (121)) 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지지 부재 (121) 및 가압 벨트 (124) 는, 공랭, 수랭 등에 의해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벨트 (124) 로는, 가공시에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벨트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가압 벨트 (124) 로는, 통상, 피가공물인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대해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투과성을 갖지 않는 것이 사용되지만, 그 투과성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롤 (123) (지지 부재 (121)) 의 중공부에는, 그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 (121) 를 향하여 레이저 광 (130) 을 조사하는 조사 헤드 (135) 가 형성되어 있다. 조사 헤드 (135) 는, 레이저 광 (130) 을 자유롭게 주사하는 갈바노 스캐너이며, 레이저 광 (130) 을 원통 롤 (123) 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기구, 레이저 광 (130) 이 지지 부재 (121) 상의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닿는 위치 (조사점) 를 원통 롤 (123)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 및 원통 롤 (123) 의 둘레면 상에서 레이저 광 (130) 의 스포트 직경을 일정하게 하는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 조사 기구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레이저 광 (130) 의 조사점을, 원통 롤 (123) 의 둘레 방향 및 그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원통 롤 (123) 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 의 양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연속체 (110) 는, 도시되지 않은 안내 롤 등에 의해, 소정의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 (121) 의 외면 상에 도입되고, 그 지지 부재 (121) 에 감겨지게 하여 그 원통 롤 (123) 의 회전에 의해 그 둘레 방향으로 소정 거리 반송된 후, 도시되지 않은 도출 롤 및 닙 롤 등에 의해 그 지지 부재 (121) 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같이, 기저귀 연속체 (110) 를,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 (121) 에 소정의 텐션으로 감으며, 또한 가압 벨트 (124) 에 의해 압접하도록 하여 반송함으로써,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사이에 끼워진 부분 및 그 근방은,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분단 전부터 그 두께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저귀 연속체 (110) 가 합성 수지제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경우 등에, 그 기저귀 연속체 (110) 를 보다 효율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압축 중의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대해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이것을 분단시켰을 때에, 그 분단된 부분을 구성하는 복수 장의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를 보다 확실하게 융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사이드 시일부 (S) 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융착 강도의 추가적인 향상이 도모된다.
기저귀 연속체 (110) 가, 지지 부재 (121) 상에 도입되고 나서 이것을 떠날 때까지의 그 지지 부재 (121) (원통 롤 (123)) 의 회전 각도는, 예를 들어, 90 도 이상 270 도 이하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도 이상 270 도 이하이다. 또, 가압 벨트 (124) 에 의해 기저귀 연속체 (110) 를 지지 부재 (121) 에 압접시키는 각도의 범위는, 원통상의 지지 부재 (121) (원통 롤 (123)) 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압접시키는 경우를 360 도로 한 경우에, 90 도 이상 27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도 이상 270 도 이하이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연속체 (110) 를 연속 반송하면서, 그 일방의 면 (110a) (도 6 의 (a) 참조) 을, 원통 롤 (123) 의 둘레면부를 형성하며, 또한 레이저 광 (130) 이 통과 가능한 슬릿상의 개구부 (127) 를 갖는, 지지 부재 (121) 의 외면에 맞닿게 하고, 가압 상태가 된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대해, 지지 부재 (121) 측으로부터 개구부 (127) 를 개재하여 레이저 광 (130) 을 조사함으로써, 기저귀 연속체 (110) 를 분단함과 동시에, 그 분단에 의해 발생한 상기 가압 상태에 있는 복수 장의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를 융착시켜, 사이드 시일부 (S) 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121) 에 맞닿아 있는 기저귀 연속체 (110) 의 타방의 면 (110b) (도 6 의 (a) 참조. 지지 부재 (121) 와의 맞닿음면인 일방의 면 (110a) 과는 반대측의 면) 에, 가압 벨트 (124) 를 가압하고, 그 상태의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대해, 지지 부재 (121) 측으로부터 슬릿상의 개구부 (127) 를 개재하여 레이저 광 (130) 을 조사함으로써,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를 갖는 기저귀 (1) 를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광 (130) 의 조사는,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가압 상태에 있는 기저귀 연속체 (110) 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그 조사에 의해 발생한 복수 장의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를 확실하게 융착시켜, 사이드 시일부 (S) 의 융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6 의 (a) 내지 도 6 의 (c) 는, 레이저식 접합 장치 (120) 를 사용하여 기저귀 연속체 (110) 를 분단함과 동시에 사이드 시일부 (S) 를 형성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6 의 (a) 에는,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레이저 광 (130) 에 의한 분단 예정 부분 (110C) 및 그 근방이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분단 예정 부분 (110C) 은, 기저귀 연속체 (110) 의 흡수성 본체 (5)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A 의 중앙이다. 이러한 분단 예정 부분 (110C) 은, 예를 들어 4 장의 시트가 겹쳐진 4 층 구조 부분으로 되어 있다. 4 층 구조 부분은,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에 있어서의 2 장의 시트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와,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2 장의 시트 (61, 62) 로 이루어지고, 이들 4 장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중첩되는 시트 (61, 62) 사이에는 탄성 부재 (80a, 80b) 가 개재 배치되어 있지만, 도 6 의 (a) 내지 도 6 의 (c)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관점에서, 그 탄성 부재 (80a, 80b)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 있어서, 기저귀 연속체 (110) 의 일방의 면 (110a) (지지 부재 (121) 와의 맞닿음면) 을 구성하는 외층 시트 (61) 및 일방의 면 (110a) 을 구성하는 시트 이외의 시트 (내층 시트 (62)) 는,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레이저 광 (130) 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시트이다. 또, 분단 예정 부분 (110C) 및 그 근방에 있어서의 서로 중첩되는 2 장의 시트 사이는, 레이저 광 (130) 의 조사 전에 있어서,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전혀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기저귀 연속체 (110) 는,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면 (110a) 이 지지 부재 (121) 에 맞닿으며, 또한 분단 예정 부분 (110C) 이 슬릿상의 개구부 (127) 상에 위치하도록,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 (121) 상에 도입됨과 함께, 타방의 면 (110b) 에 가압 벨트 (124) 가 가압됨으로써, 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이러한 반송 중에, 가압 상태의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 대해, 지지 부재 (121) 측으로부터 개구부 (127) 를 개재하여 레이저 광 (130) 이 조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 (130) 의 조사점은, 원통 롤 (123) 의 둘레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개구부 (127) 의 그 둘레 방향을 따른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개구부 (127) 상에 위치하는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는, 그 반송 중에 레이저 광 (130) 이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 레이저 광 (130) 이 조사되면, 그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 존재하는 시트 (61, 62) 의 형성 재료 (합성 섬유 등) 는, 레이저 광 (130) 의 직사에 의한 발열에 의해 기화되어 소실되고, 그 분단 예정 부분 (110C) 근방에 존재하는 그 형성 재료는, 레이저 광 (130) 에 의해 간접적으로 뜨거워져 용융된다. 그 결과, 도 6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단 예정 부분 (110C) 이 용단되어, 기저귀 연속체 (110) 로부터 1 개의 기저귀 (1) 가 분리되는 형태로, 그 기저귀 연속체 (110) 가 분단됨과 동시에, 그 분단에 의해 발생한 그 기저귀 (1) 에 있어서의 4 장의 시트 (61, 62) 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 및, 분리된 그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4 장의 시트 (61, 62) 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가 각각 융착된다. 이들 절단 가장자리부끼리는, 각각, 그 형성 전 (레이저 광 (130) 의 조사에 의한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분단 전) 부터,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가압 상태 (압축 상태) 로 되어 있었던 것이다.
또, 레이저 광 (130) 에 의한 분단 예정 부분 (110C) 의 용단에서 기인하여,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 탄성 부재 (80a, 80b) 를 고정시키고 있었던 접착제 (도시 생략) 가 연화된다. 이것에서 기인하여, 시트의 용단과 함께 생긴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는, 그 탄성 부재 (80a, 80b) 가 신장 상태에 있는 점에서, 가로 방향 (Y) 의 내방을 향하여 약간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는, 용단 및 융착에 의해 형성된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부 (40) 로부터 이간된다. 이 이간에 의해, 상기 서술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은, 분단에 의해 생긴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가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부 (40) 로부터 이간됨으로써 형성되므로, 그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은, 사이드 시일부 (S) 를 사이에 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어느 것에도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어느 쪽의 부위 (또는 쌍방의 부위) 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는지 여부는, 탄성 부재 (80a, 80b) 를 고정시키고 있었던 접착제의 종류나 도포량, 혹은 레이저 광 (130) 의 조사 조건에 의존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한 사이드 시일부 (S) 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1 회의 레이저 광의 조사로, 기저귀 연속체 (110) 의 분단과, 그 분단에 의해 생긴 2 개 지점의 가압 상태에 있는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의 융착을 동시에 실시하기 때문에, 2 개 지점의 융착 지점을 2 회의 레이저 광의 조사로 융착하는 방법에 비해, 대체로 절반의 레이저 출력으로 융착과 분단을 동일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어, 기저귀 (1) 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융착과 분단을 동일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끼리가 융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저귀 (1) 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시트 (61, 62) 의 절단 가장자리부는, 레이저 광 (130) 의 조사 중 및 조사 종료 직후에는 발열되어 용융 상태로 되어 있지만, 레이저 광 (130) 의 조사에 의해 기저귀 연속체 (110) 로부터 분리된 1 개의 매엽의 기저귀 및 기저귀 연속체 (110) 각각의,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에 의한 가압 상태가 된 채로, 조사 종료 후부터는 지지 부재 (121) 의 접촉에 의해 냉각되기 쉬워지고, 외기나 지지 부재 (121), 가압 벨트 (124) 로의 전열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되어 고화되어, 접착제를 포함하는 그 절단 가장자리부의 형성 재료가 용융 일체화된 접합부 (40) 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접합부 (40) 가 형성됨으로써, 1 개의 기저귀 (1) 에 있어서의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S) 중 일방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흡인 장치, 배기 장치 등의 공지된 냉각 수단을 사용하여 시트 (61, 62) 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접합부 (40) 의 형성을 촉진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1 개 지점의 분단 예정 부분 (110C) 이 분단되면, 레이저 광 (130) 은, 그 조사점이 반송 방향 A 와는 역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개구부 (127) 에 닿도록 이동되고, 그 다른 개구부 (127) 를 개재하여 그 위에 위치하는 다른 분단 예정 부분 (110C) 에 조사된다. 이로써, 다른 분단 예정 부분 (110C) 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분단·융착되어, 앞서 형성된 사이드 시일부 (S) 와 쌍을 이루는 타방의 사이드 시일부 (S) 가 형성된다. 이후, 동일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S) 를 갖는 기저귀 (1) 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기저귀 (1) 의 사이드 시일부 (S) 는,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융착법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융착법에 의해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레이저 광 (130) 이 조사되는 슬릿상의 개구부 (127) 의 폭 (W) (도 6 의 (b) 참조. 개구부 (127) 의, 원통 롤 (123) 의 둘레 방향을 따른 길이.) 에 비해,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130) 의 스포트 (레이저 광 (130) 이 조사되어 있는 부분) 의 직경 (φ) 이 작은 경우 (φ/W 가 1 미만인 경우) 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 (130) 의 조사에 의해 형성된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S) 는,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의 개구부 (127) 와 겹치는 부위 (평면에서 보아, 슬릿상의 개구부 (127) 의, 반송 방향 A 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1 쌍의 개구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워진 부위) 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저귀 연속체 (110) 에 있어서, 지지 부재 (121) 와 가압 벨트 (124) 사이에 끼워져 있지 않은 부위라 하더라도, 개구부 (127) 근방,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부재 (121, 124) 에 의한 협지로 인한 가압력이 사실상 영향을 미치는 부위이면, 접합부 (40) 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기저귀 (1) 에 있어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일부 (S) 의 두께 (T1) 가, 이것을 구성하는 외장체 (6) 의 복측부 (A) 및 배측부 (B) 각각의 그 사이드 시일부 (S) 에 인접하는 부분의 두께 (T2) 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두께 (T1) 는, 사이드 시일부 (S) 를 컷하고, 무하중 상태에서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하여 측정된다. 외장체 (6) 의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두께 (T2) 는, 사이드 시일부 (S) 에 인접하며, 또한 접착제 (10a, 10b) 가 도포된 주름이 생기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 그 외장체 (6) 의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하여 측정된다. 외장체 (6) 의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두께 (T2) 는, 그 외장체 (6) 를 평판 사이에 끼우고 0.5 cN/㎠ 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값을 두께로 한다. 마이크로스코프에 의한 사이드 시일부 등의 두께의 측정은, 1 개의 기저귀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3 개 지점의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 (KEYENCE 사 제조 VHX-1000) 등에 의해 50 ∼ 200 배의 배율로 관찰하고, 각 단면에 있어서 두께를 각각 구하고, 측정한 3 개 지점의 두께의 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두께 (T1) 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사이드 시일부 (S) 의 두께 (T1) 는, 예를 들어 0.2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사이드 시일부 (S) 를 형성할 때에, 그것과 거의 동시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었지만, 이 대신에, 기저귀 (1)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나 도포량, 혹은 레이저 광 (130) 의 조사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여, 사이드 시일부 (S) 를 형성할 때에는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기저귀 (1) 에 있어서는, 각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의 위치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이 상태의 기저귀 (1) 를 착용하면, 착용에 의해 각 탄성 부재 (80a, 80b) 가 신장됨으로써 각 탄성 부재 (80a, 80b) 에 응력이 가해진다. 이 때, 접착제의 종류나 도포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각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를, 가로 방향 (Y) 의 내방을 향하여 약간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 끌어당김에 의해 각 탄성 부재 (80a, 80b) 의 단부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접합부 (40) 로부터 이간된다. 이 이간에 의해, 상기 서술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과, 기저귀 (1) 의 사이드 시일부 (S) 를 찢어 기저귀 (1) 를 벗을 때에는, 복측 탄성 부재 (80a) 와 배측 탄성 부재 (80b) 가 사이드 시일부 (S) 를 개재하여 연속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경 기술의 항에서 서술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은, 기저귀 (1) 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 이미 형성되고 있어도 되고, 혹은 기저귀 (1) 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기저귀 (1)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도 된다. 요컨대, 사이드 시일부 (S) 를 찢어 기저귀 (1) 를 벗을 때까지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일부 (S) 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한 레이저 광에 의한 용단을 예로 들었지만, 사이드 시일부 (S) 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 예를 들어 히트 시일법, 초음파 시일법, 고주파 시일법, 접착제에 의한 접착법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외장체로서 도 9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외장체 (6) 는, 외층 시트 (61) 와 내층 시트 (62) 를 갖고, 양 시트 (61, 62) 사이에, 기저귀 (1) 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 (80) 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각 탄성 부재 (80) 는, 그 양 단부에 있어서만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의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함께 각 탄성 부재 (80) 는, 양 단부 사이의 부위에 있어서는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의 어느 것과도 비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층 시트 (61) 및 내층 시트 (62) 는,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이웃하는 2 개의 탄성 부재 (80) 사이에 있어서 접합 부위 (63) 에 의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 부위 (63)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 의 세로 방향 (X) 을 따라 직렬된 접합 부위열 (64) 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접합 부위열 (64) 이, 기저귀 (1) 의 가로 방향 (Y) 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외장체 (6) 를 채용함으로써, 외관이 한층 양호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기저귀는, 복측부 (A) 로부터 가랑이부 (C) 를 지나, 배측부 (B) 에 걸치는 외장체 (6) 와, 그 내면에 배치된 흡수성 본체를 갖는 것이었지만, 이 대신에, 몸통 둘레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복측 시트 부재와, 마찬가지로 몸통 둘레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복측 시트 부재 사이를, 흡수성 본체가 걸치는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 (1) 의 배측부 (B) 에만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 (9b) 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대신에 기저귀 (1) 의 복측부 (A) 에만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혹은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쌍방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한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한다.
<1>
가랑이부와, 그 가랑이부의 전후로부터 연장되는 복측부 및 배측부와, 그 복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그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각각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중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가,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고, 그로 인해 그 사이드 시일부와 그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에 의해 그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의 폭이 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1 ㎜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또,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1> 또는 <2>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시일부를 개재하여 상기 복측 탄성 부재와 상기 배측 탄성 부재가 연속해 있지 않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상기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합부보다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의 외방에 비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이 그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다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착용 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 조의 상기 주름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상기 주름의 간격은,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6>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가, 외층 시트와, 내층 시트와,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그 양 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의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 사이의 부위에 있어서는 그 외층 시트 및 그 내층 시트의 어느 것과도 비고정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상기 사이드 시일부의 두께가, 이것을 구성하는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 각각의 그 사이드 시일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두께에 비해 크게 되어 있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
상기 접합부는 그 폭이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1>
상기 사이드 시일부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2>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3>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4>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간격과,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간격이 동일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5>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측 탄성 부재 및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를 보았을 때, 그 복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와 그 배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가 대략 일치하고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6>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와,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가 상이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7>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는 그 사이드 시일부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고,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는,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는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8>
상기 배측부에만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복측부에만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9>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신장되어, 그 탄성 부재의 단부가 가로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끌어당겨짐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는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기저귀의 사이드 시일부의 박리성이 양호해져, 기저귀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0)

  1. 가랑이부와, 그 가랑이부의 전후로부터 연장되는 복측부 및 배측부와, 그 복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그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각각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중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가,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고, 그로 인해 그 사이드 시일부와 그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에 의해 그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시일부의 두께가, 이것을 구성하는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 각각의 그 사이드 시일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두께에 비해 크게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의 폭이 0 ㎜ 초과 3 ㎜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시일부를 개재하여 상기 복측 탄성 부재와 상기 배측 탄성 부재가 연속해 있지 않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합부보다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의 외방에 비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이 그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다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착용 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 조의 상기 주름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간격은 3 ㎜ 이상 10 ㎜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가, 외층 시트와, 내층 시트와,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그 양 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의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 사이의 부위에 있어서는 그 외층 시트 및 그 내층 시트의 어느 것과도 비고정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그 폭이 0.01 ㎜ 이상 3 ㎜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의 두께는 0.2 ㎜ 이상 2 ㎜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간격과,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간격이 동일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측 탄성 부재 및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를 보았을 때, 그 복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와 그 배측 탄성 부재의 배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와,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가 상이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측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의 단부의 위치는 그 사이드 시일부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고,
    상기 배측 탄성 부재의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는,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만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복측부에만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 가랑이부와, 그 가랑이부의 전후로부터 연장되는 복측부 및 배측부와, 그 복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그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각각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쌍방에, 상기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그 기저귀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하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측부 및 상기 배측부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 중 상기 사이드 시일부 근처에 위치하는 단부가, 그 사이드 시일부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사이드 시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방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되어 있고, 그로 인해 그 사이드 시일부와 그 탄성 부재의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상의 위치에, 상기 기저귀의 세로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에 의해 그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기 전 상태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신장되어, 그 탄성 부재의 단부가 가로 방향의 내방을 향하여 끌어당겨짐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 비배치 영역이 형성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20157000043U 2013-06-28 2014-06-26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04890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7405A JP6207897B2 (ja) 2013-06-28 2013-06-28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3-137405 2013-06-28
PCT/JP2014/066920 WO2014208635A1 (ja) 2013-06-28 2014-06-26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55U KR20160000755U (ko) 2016-03-07
KR200489039Y1 true KR200489039Y1 (ko) 2019-04-19

Family

ID=521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7000043U KR200489039Y1 (ko) 2013-06-28 2014-06-26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207897B2 (ko)
KR (1) KR200489039Y1 (ko)
CN (1) CN205094804U (ko)
BR (1) BR212015026837Y1 (ko)
RU (1) RU169501U1 (ko)
TW (1) TWM501840U (ko)
WO (1) WO2014208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0587A (ja) * 2015-10-08 2017-04-13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7160701A1 (en) 2016-03-15 2017-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parating and positioning discrete articles
JP6307544B2 (ja) * 2016-03-23 2018-04-0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製品
JP6429961B2 (ja) * 2017-08-31 2018-11-2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製品
JP6505897B2 (ja) * 2018-03-12 2019-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製品
JP7139276B2 (ja) * 2019-03-28 2022-09-2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903116B2 (ja) * 2019-12-09 2021-07-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RU200756U1 (ru) * 2020-05-20 2020-11-11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Петряков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EP3960141B1 (de) * 2020-08-31 2024-02-14 W. Pelz GmbH & Co. KG Hygieneartikel in höschen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591A1 (ja) * 2011-12-20 2013-06-2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01B2 (ja) * 1996-01-31 2001-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2000316899A (ja) 1999-05-12 2000-11-21 Crecia Corp 後処理性の良好な完全パンツ型紙おむつ
JP3699331B2 (ja) * 2000-05-26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047631A (ja) * 2002-07-01 2003-02-18 Daio Paper Corp パンツ型おむつ
US7291138B2 (en) * 2002-12-13 2007-11-06 Hakujuji Kabushiki Kaish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4653519B2 (ja) 2005-03-04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20120021186A1 (en) * 2010-06-07 2012-01-26 Uwe Schneider Seam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a se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591A1 (ja) * 2011-12-20 2013-06-2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212015026837U2 (pt) 2019-09-17
JP2015008952A (ja) 2015-01-19
KR20160000755U (ko) 2016-03-07
JP6207897B2 (ja) 2017-10-04
WO2014208635A1 (ja) 2014-12-31
RU169501U1 (ru) 2017-03-21
TWM501840U (zh) 2015-06-01
BR212015026837Y1 (pt) 2021-01-12
CN205094804U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039Y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98555B1 (ko) 시트 융착체의 제조 방법
JP5368653B1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
TWI624251B (zh) Pants typ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617298B (zh) 褲型穿著物品及其製造方法
JP6271170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64606A1 (ja) 使い捨ておむつ
TWI641362B (zh) Pants-type disposable diaper
WO2015064303A1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18002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71171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195302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159596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JP2015112399A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08618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9110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CN106999318B (zh) 短裤型一次性尿布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JP618911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189109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JP7379598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0015228A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