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18Y1 -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 Google Patents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18Y1
KR200487318Y1 KR2020170005394U KR20170005394U KR200487318Y1 KR 200487318 Y1 KR200487318 Y1 KR 200487318Y1 KR 2020170005394 U KR2020170005394 U KR 2020170005394U KR 20170005394 U KR20170005394 U KR 20170005394U KR 200487318 Y1 KR200487318 Y1 KR 200487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base
cover
extending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치 다이 케이스
Original Assignee
타이완 혼 촨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혼 촨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타이완 혼 촨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70005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병마개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커버가 후방으로 개방될 때 위치한다.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편들이 연결된다. 사용자는 연결편들을 확인함으로써 커버가 열렸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BOTTLE CAP WITH POSITIONING DEVICE AFTER BEING OPENED}
본 고안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을 위해 연결편(connection pieces)을 구비하고, 개봉 후에 위치시킬 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개는 일반적으로 병의 개구에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연결된 가요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커버는 가요성 플레이트를 중심점(pivotal points)으로 사용하여 베이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개방된다. 종래의 마개들의 내재된 단점(shortcoming)은, 커버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커버가 특정 위치에 위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종래의 마개들은 커버가 열렸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안전하고 구별 가능한 장치가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커버를 포함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는 병 개방 상부(bottle open top)에 연결된다. 커버는 상기 커버가 후방으로 개방될 때, 병 개방 상부에 정의된 오목 영역(recessed area)과 맞물림으로써 위치한다. 복수의 연결편들은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연결된다. 사용자들은 커버가 열렸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결편들이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고안은 단지 도시의 목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볼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병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병마개의 또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버가 본 고안의 병마개의 베이스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커버가 본 고안의 병마개의 베이스에 대해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병마개(1)는 베이스(10)와 커버(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전방부(front portion)와 후방부(rear portion)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1)는 베이스(1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플랜지(12)는 베이스(10)의 전방부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플랜지(11)는 그 상부에 정의된 수평면(111)과, 그 하부에 정의된 경사면(112)을 포함한다. 제1 플랜지(11)의 위쪽(above)에 위치한 베이스(10)의 두께(113)는 제1 플랜지(11)의 아래에 위치한 베이스(10)의 두께보다 두껍다. 복수의 보강 탭(115)들은 베이스(1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플랜지(11) 아래에 위치한다. 전방 홈(13)은 베이스(10)의 전방부에 정의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후방 홈(14)은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정의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커버(20)는 상부 부분(21)과 상기 커버(20)의 상부 부분(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주변벽(22)을 포함한다. 주변벽(22)은 복수의 제1 연결편(23)에 의해 베이스(10)에 연결된다. 연장부(24)는 커버(20)의 주변벽(22)의 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전방 홈(13)에 삽입된다. 복수의 제2 연결편(25)은 연장부(24)와 전방 홈(13) 사이에 연결된다. 커버(20)의 연장부(24)는 그의 내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립부(first lip; 241)를 구비한다. 리브(rib; 26)는 주변벽(22)의 전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개구부(27)는 주변벽(22)의 후방부에 정의되고, 후방 홈(14)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2개의 가요성 플레이트(30)는 후방 홈(14)의 내부 바닥과 커버(20)의 상부 부분(21) 사이에 연결된다. 상부 부분(301)의 두께와 하부 부분(302)의 두께는 각각의 가요성 플레이트(30)의 중간부(303)의 두께보다 각각 더 두껍다. 각 가요성 플레이트(30)의 상부 부분(301)은 커버(2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다. 제한 플레이트(restriction plate; 31)는 후방 홈(14)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연장되고 2개의 가요성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한다. 제한 플레이트(31)는 개구부(27)를 향해 연장되고 제한 플레이트(31)의 말단부는 커버(20)의 상부 부분(21) 아래에 위치한다. 제한 플레이트(31)의 두께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된다. 제한 플레이트(31)는 커버(2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연장한다. 설부(tongue; 311)는 제한 플레이트(3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정지 플레이트(32)는 커버(20)의 상부 부분(2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제한 플레이트(31)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부 부분(21)은 정지 플레이트(32)의 죄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노치(notches; 212)를 갖는다.
병마개(1)는 환형 병벽(annular bottle wall; 41)을 포함하는 병 개방 상부(40)에 연결되고, 제2 립부(42)는 환형 병벽(4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오목 영역(43)은 병 개방 상부(40)와 환형 병벽(41) 사이에 정의된다. 제1 융기부(first ridge; 44), 제2 융기부(second ridge; 45) 및 제3 융기부(third ridge; 46)는 각각 환형 병벽(41)의 외측로부터 연장되고 제2 립부(42) 아래에 위치한다. 제2 융기부(45)는 제1 융기부(44)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융기부(45)의 외경은 제1 융기부(44)의 외경보다 크다. 제3 융기부(46)는 제2 융기부(45)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3 융기부(46)의 외경은 제2 융기부(45)의 외경보다 작다. 제1 융기부(44)는 그 상부에 지지면(441)을 포함하고 수평 정지면(442)은 제1 융기부(44)의 하면에 형성된다. 경사 램프(443)는 지지면(441)에 연결된다. 외부면(444)은 정지면(442)과 경사 램프(443)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융기부(44)의 최대 외경은 제2 립부(42)의 최대 외경보다 크다.
베이스(10)는 제2 융기부(45)에 의해 멈춰진다(stopped). 제2 립부(42)의 외측은 주변벽(22)의 내측과 접촉한다. 외측면(444)의 외측은 주변벽(22)의 내측과 접촉한다. 제1 플랜지(11)는 제1 융기부(44)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2 플랜지(12)는 제3 융기부(46)의 상단과 접촉한다. 제한 플레이트(31)의 말단부는 제2 립부(42)를 향해 연장된다. 설부(311)는 제1 융기부(44)의 지지면(441)과 접촉한다.
베이스(10)와 커버(20)를 병 개방 상부(40)에 장착하는 과정 동안, 베이스(10)가 병 개방 상부(40)의 제2 립부(42)와 제1 융기부(44)를 가로질러 통과한 후 병 개방 상부(40)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10)는 병 개방 상부(40)의 제2 립부(42)와 제1 융기부(44)를 가로질러 통과할 때 외측으로 약간 팽창(expended)된다. 보강 탭(115)은 베이스(10)의 더 얇은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제1 플랜지(11)의 경사면(112)은 제1 플랜지(11)를 제1 융기부(44)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1 융기부(44)의 경사진 램프(inclined ramp; 443)를 지나(over) 미끄러진다. 제2 플랜지(12)는 제3 융기부(46)와 접촉하도록 약간 변형되어 제1 융기부(44)를 가로질러 통과한다.
리브(26)를 들어올림으로써 커버(20)가 베이스(10)에 대하여 최초 개방될 때, 연장부(24)는 외부로 약간 팽창되고, 제1 립부(241)는 제1 융기부(44)로부터 분리된다. 힘(force)은 리브(26)에 계속 가해지고, 제2 연결편(25)은 파손되며, 커버(20)는 개방된다. 커버(20)는 후방으로 회동되고, 제한 플레이트(31)의 말단부는 정지 플레이트(32)에 의해 오목 영역(43)에 삽입되도록 눌려진다. 설부(311)는 제1 융기부(44)의 지지면(441)과 접촉한다. 제한 플레이트(31)는 커버(20)를 위치시키도록 정지 플레이트(32)에 반력을 발생시킨다. 상부 부분(21)의 노치(212)들은 제한 플레이트(31)를 오목 영역(43) 안으로 누르도록 정지 플레이트(32)를 상부 부분(21)에 대해 휘어지게 한다.
커버(20)가 병 개방 상부(40)에 다시 덮어질 때, 사용자는 커버(2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정지 플레이트(32)는 커버(20)의 각도의 변화와 함께 내측으로 제한 플레이트(31)를 누른다. 제한 플레이트(31)는 내측으로 눌리고 커버(20)는 병 개방 상부(40)에 다시 덮어진다. 사용자는 커버(20)를 눌러서 커버(20)를 병 개방 상부(40)에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전방부와 후방부, 그 내주연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플랜지(11), 상기 전방부의 상기 내주연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플랜지(12), 상기 전방부에 정의되어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전방 홈(13), 상기 후방부에 정의되어 상방향으로 개방하는 후방 홈(14)을 구비한 베이스(10); 및
    상부 부분(21)과 상기 상부 부분(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주변벽(22), -상기 주변벽(22)은 복수의 제1 연결편(23)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됨- 상기 주변벽(22)의 전방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방 홈(13)에 삽입되는 연장부(24), 상기 연장부(24)와 상기 전방 홈(13)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편(25), 상기 주변벽(22)의 전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리브(26), 상기 주변벽(22)의 후방부에 정의되고 상기 후방 홈(14)에 대응하여 위치된 개구부(27), 상기 후방 홈(14)의 내부 바닥과 상기 상부 부분(21) 사이에 연결된 2개의 가요성 플레이트(30), 상기 후방 홈(14)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가요성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된 제한 플레이트(31), -상기 제한 플레이트(31)는 상기 개구부(27)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한 플레이트(31)의 말단부는 상기 상부 부분(21)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한 플레이트(31)는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설부(311)를 구비함- 상기 상부 부분(2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한 플레이트(31)에 대응하여 위치한 정지 플레이트(32)를 구비한 커버(20)를 포함하는 병마개(1).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 탭(115)은 상기 베이스(10)의 상기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랜지(11)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20)의 상기 연장부(24)는 그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립부(241)를 구비하는 병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환형 병벽(41)을 포함하는 병 개방 상부(40)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병벽(41)으로부터 외측으로 제2 립부(42)가 연장되며, 상기 병 개방 상부(40)와 상기 환형 병벽(41) 사이에 오목 영역(43)이 정의되고, 제1 융기부(44), 제2 융기부(45), 및 제3 융기부(46)는 상기 환형 병벽(41)의 외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2 립부(42) 아래에 위치한 병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제2 융기부(45)에 의해 멈춰지고, 상기 제2 립부(42)와 상기 제1 융기부(44)는 주변벽(22) 내측과 접촉되고, 상기 제1 플랜지(11)는 상기 제1 융기부(44)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12)는 상기 제3 융기부(46)의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제한 플레이트(31)는 상기 제2 립부(42)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설부(311)는 상기 제1 융기부(44)와 접촉하는 병마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편(23,25)이 파손될 때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열리고, 상기 제한 플레이트(31)의 말단부는 상기 정지 플레이트(32)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43)으로 삽입되도록 눌려지는 병마개.
KR2020170005394U 2017-10-18 2017-10-18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KR200487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94U KR200487318Y1 (ko) 2017-10-18 2017-10-18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94U KR200487318Y1 (ko) 2017-10-18 2017-10-18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318Y1 true KR200487318Y1 (ko) 2018-09-04

Family

ID=6358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94U KR200487318Y1 (ko) 2017-10-18 2017-10-18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1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41B2 (ja) * 1978-09-11 1985-07-3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パレ−タ回路
JP2005514286A (ja) * 2002-01-18 2005-05-19 ミューレ、スヴァイン 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の提供方法、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および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を有する容器
WO2007038991A1 (de) * 2005-10-06 2007-04-12 Capartis Ag Behälterverschluss
US20080011704A1 (en) * 2004-09-07 2008-01-17 Marcel Van Ryn Tamper Indicative Closure
JP4771034B2 (ja) * 2001-08-09 2011-09-14 東洋製罐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2011219110A (ja) * 2010-04-06 2011-11-04 Daiwa Can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JP6032941B2 (ja) 2012-05-21 2016-11-30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のタンパーエビデンス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41B2 (ja) * 1978-09-11 1985-07-3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パレ−タ回路
JP4771034B2 (ja) * 2001-08-09 2011-09-14 東洋製罐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2005514286A (ja) * 2002-01-18 2005-05-19 ミューレ、スヴァイン 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の提供方法、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および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を有する容器
US20080011704A1 (en) * 2004-09-07 2008-01-17 Marcel Van Ryn Tamper Indicative Closure
WO2007038991A1 (de) * 2005-10-06 2007-04-12 Capartis Ag Behälterverschluss
JP2011219110A (ja) * 2010-04-06 2011-11-04 Daiwa Can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JP6032941B2 (ja) 2012-05-21 2016-11-30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のタンパーエビデンス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353B2 (ja) ホールプラグ
CA2686128A1 (en) Cassette for dispensing flexible tubing therefrom
US8919606B2 (en) Hole plug
JP2013516260A (ja) 垂直に押下可能な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ガスケットを備えた圧力調理器
JP2013040404A5 (ko)
KR200487318Y1 (ko) 개봉 후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병마개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JP2009293661A (ja) プラグ
JP2007244667A (ja) 飾りボタン
JP5085271B2 (ja) 液体噴出器のストッパ及び当該ストッパ付き液体噴出器ユニット
JP4748580B2 (ja) 蓋体付き容器
CN108209545B (zh) 电压力锅密封结构和电压力锅
JP6170572B2 (ja) ボタン止具
JP6131254B2 (ja) ボタン取付方法及びボタン
JP3213920U (ja) 安全識別と捲り開け定位が可能な捲り開け蓋
JP681208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8093185A (ja) 便蓋および便蓋用脚ゴム
WO2017084359A1 (zh) 数码卡卡托的卡合结构以及手机
US10470615B2 (en) Support device for stopper of bathroom sink or tub
JP2007050924A5 (ko)
JP3881814B2 (ja) グロメット
WO2023221208A1 (zh) 一种上下组装式垃圾桶
JP5111199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エアゾール容器
JP2013189212A (ja) 包装用容器
JP2013217448A (ja) ホール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