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17Y1 -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17Y1
KR200484417Y1 KR2020160001671U KR20160001671U KR200484417Y1 KR 200484417 Y1 KR200484417 Y1 KR 200484417Y1 KR 2020160001671 U KR2020160001671 U KR 2020160001671U KR 20160001671 U KR20160001671 U KR 20160001671U KR 200484417 Y1 KR200484417 Y1 KR 200484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rgo
sub
whe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림
Original Assignee
최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림 filed Critical 최경림
Priority to KR2020160001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60B2200/434Wheel bar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짐받이부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화물받침;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로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주 샤프트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휠바디; 상기 휠바디의 다수의 홈에 각기 결합되며 휠바디의 회전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서브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화물을 싣고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며, 특히 전후방 구동은 물론 제자리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미세 방향 조정이 가능해지며 좁은 공간에서 방향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Small cargo carrying cart}
개시되는 내용은 화물운반용 전(全)방향 회전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 운반이나 산업현장에서 작은 화물을 직접 인력으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자립형이 될 수 있고, 보도블럭과 같은 장애물을 타고 넘기 용이하며, 회전 반경을 최소로하여 작업 성능이 우수한 화물운반용 전(全)방향 회전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각종 화물을 손으로 들고 운반하는 것보다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근거리 운반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손수레는 그 사용장소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지만, 손잡이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적재대로 L자형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와 화물적재대의 연결부위 쪽에 좌우 한쌍의 바퀴를 장착한 손수레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손수레이며. 이런 구조의 손수레는 화물적재대에 화물을 올리고 지지대를 대략 45도 정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두 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게 된다.
국내 특허 공고번호 특1995-0007776호에는 손수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출원 20-1999-0017496호에는 휴대용 손수레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 손수레는 대체로 프레임과 그의 하단측에 적재판을 수평상태로 형성한 다음 양 프레임에 부착된 샤프트 양단에 바퀴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 대부분인 바, 이러한 종래 손수레의 경우는 샤프트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바퀴자체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므로서 평지에서 전후진되는 종방향 구동은 용이하지만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불가하였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어 활용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전방향(360도)으로 회전하는 바퀴를 사용하여, 4개의 고정 축(전 2개,후 2개)을 기반으로 하여, 사람이 별도로 화물을 지탱하지 않고서도 방향 전환이 자유롭고, 턱이 있는 곳도 화믈을 오르내림없이,타고 올라갈수 있도록 하고, 화물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자립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물운반용 전(全)방향 회전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짐받이부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화물받침;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로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주 샤프트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휠바디; 상기 휠바디의 다수의 홈에 각기 결합되며 휠바디의 회전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서브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짐받이부의 하단이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짐받이부를 눕혀서 지지부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짐받이부는 지지부와 연결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1) 자립식으로 하중이 작업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아 물리적 부담을 회기적으로 경감된다.
2) 고정축 회전 바뀌 채택으로 360도 원하는 방향을 별도의 방향전환을 위한 공간과 행동없이 자유자재로 전환가능하여 편리성을 극대화 시킨다.
3) 화물의 적재상태에서 화물적재 상태 그대로 장애물 넘어가도록 하여 장애물 극복 가능해진다.
4) 적재된 화물의 무게중심의 변화를 감안하여 자립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하였다.
5) 이동과 기동성을 위해 접이가 가능하도록 접이식을 별도의 옵션으로 채택하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의 구동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의 구동부를 확대한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의 구동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의 구동부를 확대한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중심축이 고정된 회전 바퀴를 채택한 자립식 회전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후 각 2륜 구조로 전체 4륜 구조로 되어있으며, 4륜 전체가 고정축 회전바퀴를 채택하거나 전.후 중 어느 한 곳에 2개만 고정축 회전바퀴를 채택할수도 있다.
적재 화물의 특성에 따라 자립의 각도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자립식이라 함은 대차에 올려진 화물의 무게를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대차가 자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구조이다.
고정축 회전 바퀴(5)라 함은 무게 중심축이 고정되어 있으면서 전후 좌우 360도 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서브롤러(Sub-Roller)(56)로 구성된 바퀴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에 연장되며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짐받이부(24)가 형성된 프레임(2); 상기 지지부(22)에 장착되는 화물받침(4); 상기 지지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5)로 구성된 구동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은 파이프를 절곡시켜 지지부(22)와 짐받이부(24)를 형성하고, 짐받이부(24)는 상단에 굴곡지게 구부려서 이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양측에 각기 프레임(2)이 동일한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후 중간에 가로바(26)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화물받침은 프레임(2)의 지지부(22)의 하단에 용접되어 형성되며 대략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체이다.
보다 화물의 적재와 운반시 힘을 덜 들게 하기 위해 프레임은 지면에 대해 약 50°~60°의 경사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6)는 양측 프레임(2)의 지지부(22)에 각기 장착되어 구름 작동되는 것으로, 양측 구동부(6)의 바디(62)를 가로질러 주 샤프트(64)가 복수개 연결된다.
각각의 주 샤프트(64)에는 각기 바퀴(5)가 결합된다. 각 바퀴(5)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되며, 1개쌍 또는 복수개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주 샤프트(64)의 양측에 각기 바퀴(5)가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성된다.
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주 샤프트(64)의 양측에 각기 바퀴(5)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쌍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쌍으로 형성되는 바퀴는 전륜과 후륜으로 구분된다.
상기 바퀴(5)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주 샤프트(64)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54)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휠바디(52); 상기 휠바디(52)의 다수의 홈(54)에 각기 결합되며 휠바디(52)의 회전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서브롤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휠바디(52)는 금속재질이며 원판형상이되 외주면에 홈(54)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며, 2중 중첩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휠바디(62)는 동일한 직경으로 된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가 중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부재(521) 및 제2부재(522) 각각은 외주연에 다수의 제1홈(523) 및 제2홈(525)이 형성되고, 이들 제1홈(523) 및 제2홈(525)에 각기 서브롤러(56)가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브롤러(56)는 원통체이며, 중간부위가 외향되게 볼록한 럭비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서브롤러(56)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서브롤러(56)는 1열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거나 또는 다수의 서브롤러(56)는 2열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열로 형성된 다수의 서브롤러(56)는 각 열의 서브롤러(56)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2열로 된 서브롤러(56)가 중첩되지 않게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는, 도 5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에 결합된 각 서브롤러(56)가 엇갈려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에 결합된 각 서브롤러(56)가 상이한 위치인 경우 제1부재(521) 및 제2부재(522)의 서브롤러(56) 중 어느 하나는 항상 지면에 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측방향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2열로 된 서브롤러(56)가 중첩되게 형성되는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가 중첩 배치되고, 각기 서브롤러(5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에 결합된 서브롤러(56)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에 결합된 각 서브롤러(56)가 동일한 위치인 경우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하중 분산이 용이해지므로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받침(4)에 적정량의 화물을 적재한 후 프레임(2)을 잡고 작업자가 이동하게 된다.
이동은 주로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수행된다.
한편 협소한 공간, 예를들어 엘리베이터와 같은 장소에서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 전후진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 고안의 손수레를 측방향으로 밀면 서브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측방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자리에서 별도의 조향조작없이 측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되므로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최소의 공간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으로 수평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동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해 접이를 하여 변환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은 상기 지지부(22)의 일단에 짐받이부(24)의 하단이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짐받이부(24)를 눕혀서 구동부(6)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짐받이부(24)는 지지부(22)와 연결되는 하부바디(242)와, 상기 하부바디(242)의 상부에 접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44)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44)는 일단부가 하부바디(242)의 일단에 핀(245)으로 힌지 결합되고, 선회되어 하부바디(242)의 상부에 중첩되게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44)를 하부바디(242)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접어서 길이가 축소된 짐받이부(24)를 구동부(6)의 바디(62)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짐을 실을 수 있는 평평한 적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를 나타낸 것으로, 적재 화물의 특성에 따라 자립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전후 각 2륜 구조로 전체 4륜 구조로 되어 있으며 4륜 전체가 고정축 회전바퀴를 채택하거나 전,후 중 어느 한 곳에 2개만 고정축 회전바퀴를 채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에 연장되며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짐받이부(24)로 형성된 프레임(2); 상기 지지부(22)에 장착되는 화물받침(4); 상기 지지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5)로 구성된 구동부(6);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2)을 회전시켜 적정한 경사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것이다.
지지부(22)의 일측이 구동부(6)의 바디(62)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2)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2)의 측면에는 다수의 제2각도조절공(22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구동부(6)의 바디(62)의 측면에 다수의 제1각도조절공(6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22)를 적절한 각도로 조정한 후 제1,2각도조절공(621,223)을 관통하여 핀(625)을 꽂아 각도 조정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은 약 18도 정도 회전시켜 기울어지도록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프레임 4 : 화물받침
5 : 바퀴 6 : 구동부
22 : 지지부 24 : 짐받이부
52 : 휠바디 54 : 홈
56 : 서브롤러

Claims (10)

  1.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며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짐받이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화물받침;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로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주 샤프트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휠바디;
    상기 휠바디의 다수의 홈에 각기 결합되며 휠바디의 회전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서브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짐받이부의 하단이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짐받이부를 눕혀서 지지부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짐받이부는 지지부와 연결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구동부의 바디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는 일단부가 하부바디의 일단에 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선회되어 하부바디의 상부에 중첩되게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손잡이를 하부바디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접어서 길이가 축소된 짐받이부를 구동부의 바디 내측으로 삽입하여 짐을 실을 수 있는 적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다수의 제2각도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각도조절공에 대응되도록 구동부의 바디의 측면에 다수의 제1각도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각도조절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바디는 동일한 직경으로 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은 외주연에 다수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각기 서브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서브롤러는 1열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서브롤러는 2열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열로 형성된 다수의 서브롤러는 각 열의 서브롤러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바디는 동일한 직경으로 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각각은 외주연에 다수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동일한 위치이거나 또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60001671U 2016-03-29 2016-03-29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KR200484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71U KR200484417Y1 (ko) 2016-03-29 2016-03-29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71U KR200484417Y1 (ko) 2016-03-29 2016-03-29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17Y1 true KR200484417Y1 (ko) 2017-09-05

Family

ID=6057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71U KR200484417Y1 (ko) 2016-03-29 2016-03-29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781U (ko) * 1995-03-23 1996-10-22 옥성윤 화물 운반용 밀차
JP3036357U (ja) * 1996-10-01 1997-04-15 昌一 藤田 手引き車
KR20110067272A (ko) * 2009-12-14 2011-06-22 김명국 바퀴 구조체
JP3202455U (ja) * 2015-11-25 2016-02-04 株式会社ウノフク 折り畳み式キャリーカ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781U (ko) * 1995-03-23 1996-10-22 옥성윤 화물 운반용 밀차
JP3036357U (ja) * 1996-10-01 1997-04-15 昌一 藤田 手引き車
KR20110067272A (ko) * 2009-12-14 2011-06-22 김명국 바퀴 구조체
JP3202455U (ja) * 2015-11-25 2016-02-04 株式会社ウノフク 折り畳み式キャリーカ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1465A1 (en) Mecanum-wheeled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8556279B2 (en) Handtruck
JP2014046890A (ja) パワーアシスト機能を有する全方向移動台車
WO2016136608A1 (ja) 自在キャスター
JP5364283B2 (ja) 運搬台車
US10532787B2 (en) Compact mobile device having adjustable drive mode
KR200484417Y1 (ko)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TWI753242B (zh) 萬向輪、行走機構和自主移動搬運機器人
JP2013151287A (ja) 自在キャスター
KR101377046B1 (ko) 전동 수레
GB2493992A (en) Wheeled load-carrying apparatus
JP2002059844A (ja) 走行装置
JP5917442B2 (ja) 無人搬送車
KR200460971Y1 (ko) 손수레
WO2011025009A1 (ja) 手押し型運搬車
KR200377229Y1 (ko) 운반 대차의 바퀴 설치구조
JP7213446B2 (ja) 搬送車両
JP2015113049A (ja) 無人搬送車
WO2022190440A1 (ja) 走行装置及び該走行装置を備えた無人搬送車
JP4427956B2 (ja) 移動装置
JP2008081233A (ja) フォークリフト
JPH11324331A (ja) 搬送用台車
JP2003175826A (ja) 運搬車両
KR200388065Y1 (ko) 짐받이가 수평으로 조절되는 손수레
EP2711263A1 (en) Balanced luggage v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