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07Y1 - 석재 구이판 - Google Patents

석재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07Y1
KR200481407Y1 KR2020150006083U KR20150006083U KR200481407Y1 KR 200481407 Y1 KR200481407 Y1 KR 200481407Y1 KR 2020150006083 U KR2020150006083 U KR 2020150006083U KR 20150006083 U KR20150006083 U KR 20150006083U KR 200481407 Y1 KR200481407 Y1 KR 200481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wall
sidewall
fram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2020150006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갖춰진 구이부와, 측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삽입홈을 구비한 석재판과; 이 석재판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 구이판 {Stone roasting plate}
본 고안은 석재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구이판은 각종 육류를 구울 때 사용되는 요리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석재 구이판은 화염원의 열로 석재판(돌판)을 가열하여 육류 고기를 익히게 되는데, 가열과정에서 석판의 수축과 팽창으로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석판의 테두리 부위를 금속재로 된 보강부재로 보강하고 고기 기름이 가스레인지 등의 화염원으로 떨어지지 않는 돌 구이판을 제안하고 있다. 금속재 보강부재는 특허문헌 1의 도 2에 도시되었듯이 석판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데, 금속재 보강부재와 석판의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해 금속재 보강부재의 내측에 석판의 테두리를 배치하게 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돌 구이판은 석판과 금속재 보강부재의 가열시 상이한 열팽창으로 석판과 금속재 보강부재의 경계면에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경계면 틈새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경계면 사이에 고착된 기름은 석판의 가열시 용융되어 석판 상으로 흘러 나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고 비위생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경계면으로 유입된 기름은 석판의 테두리 하면을 타고 화염원에 떨어져 화재 위험성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65호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석재판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어 석재판을 보강하는 프레임과 석재판의 경계면에 기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석재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은,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갖춰진 구이부와, 측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삽입홈을 구비한 석재판과; 이 석재판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석재판의 측벽은 상부 측벽과; 이 상부 측벽과 단차져 있는 하부 측벽; 및 상부 측벽과 상기 하부 측벽 사이에 개재되고,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프레임은 상판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 및 상단부를 상판의 고정단에 결합하고 하단부를 하판의 고정단을 결합하는 지지판;으로 ㄷ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의 지지판을 석재판의 측벽, 구체적으로 상부 측벽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시켜, 석재판의 측벽 상에서 지지판을 돌출시키지 않아 경계면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 측벽과 지지판의 외주면을 동일 평면 상에 배치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지지판 두께를 상부 측벽과 상기 하부 측벽의 단차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프렝임이 석재판의 측벽, 구체적으로 하부 측벽 상에 끼워 넣어질 수 있게 상판과 하판 사이의 이격 간격을 하부 측벽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은 화염원의 가열을 통한 석재판의 수축과 팽창 작용으로 균열이 발생하여도 석재판 구이부의 단차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구이부의 청소시 스크래퍼 등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석재판과 보강용 프레임 사이의 경계면이 측벽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므로, 구이시 튀는 기름과 청소시의 기름 또는 세척수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석재 구이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으로 절취된 석재 구이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석재 구이판(1), 특히 가장자리 하측부 둘레에 보강용 프레임(200)을 구비한 석재 구이판(1)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판(100)과, 이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 둘레를 따라 배치된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 프레임(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가장자리를 프레임(200)으로 덮어 씌어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구이부(110)를 형성한 석재판(100)과,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200)을 구비한다.
석재판(100)은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구이부(110)를 형성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오목한 구이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은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구이부를 채용할 수도 있다.
구이부(110)는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배출공(111)을 형성하며, 구이부(110)는 기름 혹은 세척수 등의 흐름을 배출공(111)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배출공(111)은 오리고기, 삽겹살 또는 등심 등의 고기를 가열할 때 나오는 기름을 제거하거나, 조리 혹은 볶음을 한 이후에 찌꺼기를 물로 세척하여 배수할 수 있다.
배출공(111)은 이의 하부에 별도의 파이프를 추가로 연결하여, 고기를 구울 때 흘러나오는 기름 혹은 세척수를 화염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소정의 저장 장소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석재판(100)은 덮개(미도시)를 사용하여 배출공(111)을 개폐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판(100)은 이의 가장자리 둘레에 측벽(120)을 형성하고, 측벽(120)을 통해 구이부(110)를 둘러쌀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측벽(120)의 내주면은 구이부(110)를 한정할 수도 있다. 측벽(120)의 외주면에는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삽입홈(120b)을 형성하는바, 삽입홈(120b)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측벽(120)은 상부 측벽(120a)와 삽입홈(120b) 및 하부 측벽(120c)을 구비하는데, 삽입홈(120b)이 상부 측벽(120b)과 하부 측벽(120c)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고안은 삽입홈(120b)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측벽(120a)와 하부 측벽(120c)로 구분된다. 하부 측벽(120c)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으로 둘러싸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반면에 상부 측벽(120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부 측벽(120c)의 너비 크기는 상부 측벽(120a)의 너비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 측벽(120c) 외주면과 상부 측벽(120a) 외주면은 단차져 있다. 상부 측벽(120a)과 하부 측벽(120c) 사이의 단차는 프레임(200)을 석재판(100)의 측벽(12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돕는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하부 측벽(120c) 외주면과 상부 측벽(120a) 외주면은 단차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200)은 전반적으로 ㄷ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판(210)과, 이 상판(210)과 소정의 이격 간격(L)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230), 및 상판(210)과 하판(230)을 연결하는 지지판(220)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프레임(200)이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 둘레를 따라 위치고정되는데, 상판(210)의 고정단은 지지판(220)의 상단부에서 직교되게 결합고정되는 한편 상판(210)의 자유단은 석재판(100)의 측벽(120)에 형성된 삽입홈(120b) 내부로 끼워 넣어져 배치된다. 하판(230)의 고정단은 지지판(220)의 하단부에서 직교되게 결합고정되는 한편 하판(230)의 자유단은 석재판(100)의 하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면접상태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프레임(200)의 하판(230)은 전술되었듯이 석재판(100)의 하부면 가장자리 둘레에만 배치되는데, 이는 화염원으로부터의 열을 석재판에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제조시 석재판(100)의 하부 측벽(120c) 상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석재판(100)의 하부 측벽(120c)과 밀착상태로 면접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에 프레임(200)을 유격(裕隔) 현상 없이 확실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프레임(200)의 상판(210)과 하판(230) 간의 이격 간격(L)은 석재판(100)의 하부 측벽(120c)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00)의 상판(210)은 하부 측벽(120c)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동시에 프레임(200)의 하판(230)은 하부 측벽(120c)의 바닥면, 즉 석재판(100)의 하부면 가장자리와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ㄷ자형상의 프레임(200)은 하부 측벽(120c)의 윤곽선 상에 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이 하부 측벽(120c) 둘레에 확실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 둘레를 일정한 폭 두께로 프레임(200)으로 둘러싸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를 감싸고 있어 가장자리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장자리를 미려하고 깨끗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석재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0b)에 프레임(200)의 상판(210)이 끼워지며, 석재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레임(200)이 석재판(100)을 'ㄷ'자 형태로 잡아주는 구조를 가지는 바, 이러한 특징에 따라 석재판(100)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균열 부위에서의 단차 생성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고열 노출과 냉각을 반복하는 석재판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균열 발생은 피할 수 없는 바, 이러한 균열에 수반되어 단차가 생기면 석재판의 구이부에 대한 청소를 매우 어렵게 한다. 석재판의 구이부는 통상 고기 등이 탄 찌꺼기가 눌러붙어 있어서 칼날면을 가진 스크래퍼(scraper) 등으로 긁어 내어야 하는 데, 단차가 생기면 이러한 스크래퍼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석재판의 균열 발생이 있어도 단차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저감함으로써, 구이판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석재판(100)과 프레임(200)의 경계면(B)이 구이부(110)와 상호 연통되지 않게 하고 구이부(100)와 이격된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프레임(200)과 석재판(100)의 결합 부위를 석재판(100)의 측벽(120) 외주면에 배치시킨다. 이는 고기를 구울 때 튀는 기름이 경계면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구이판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의 이물질이 경계면(B)으로 들어가는 것을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한 2가지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점에 특징이 있다.
덧붙여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측벽(120), 구체적으로 상부 측벽(120a)와 프레임(200)의 지지판(220) 외주면을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지지판(220)이 상부 측벽(120a)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판(220)의 두께(D)는 상부 측벽(120a)과 하부 측벽(120c)의 단차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었듯이, 본 고안이 상부 측벽(120a)과 지지판(220)을 동일 평면으로 배치함으로써, 만약 기름, 세척수 등의 이물질이 석재 구이판(1)의 측벽을 따라 흐르더라도,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이동하여 경계면(B) 내부로의 유입/접근을 어렵게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200)을 석재판(100) 상에 장착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재단 및 절곡하여, 석재판(100)의 각 변의 갯수와 상응하게 프레임(200)를 준비한다. 그런 다음에, 프레임(200)을 석재판(100)의 가장자리 하측부에 끼움고정하고서 접합부위를 용접방식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ㄷ자형상의 프레임(200)이 하부 측벽(120c) 상에 끼워 넣어져 있어, 프레임이 위치고정되어 용접시 프레임의 분리 및/또는 해체되지 않아 조립상의 편이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금형방식 등으로 프레임을 석재판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1)은 프레임(200) 간의 접합부위, 구체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하판(230)과 하판(230)의 교차 지점에 보강판(300)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보강판(300)은 전술되었듯이 용접방식으로 하판(230) 사이에 고정되어,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결합상태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의 석재판(100)을 지지보유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200)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철재보다 열팽창률이 작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석재 구이판, 100 ----- 석재판,
120a ----- 상부 측벽 120b ----- 삽입홈,
120c ----- 하부 측벽, 200 ----- 프레임,
210 ----- 상판, 220 ----- 지지판,
230 ----- 하판, 300 ----- 보강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갖춰진 구이부와, 측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삽입홈을 구비한 석재판과;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둘레에 끼워 넣어지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 및
    상단부를 상기 상판의 고정단에 결합하고 하단부를 상기 하판의 고정단에 결합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지지판은 상기 석재판의 상기 측벽에서의 상부 측벽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석재 구이판.
  5.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갖춰진 구이부와, 측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삽입홈을 구비한 석재판과;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둘레에 끼워 넣어지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석재판의 측벽은,
    상부 측벽과;
    상기 상부 측벽과 단차져 있는 하부 측벽; 및
    상기 상부 측벽과 상기 하부 측벽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지지판 두께는 상기 상부 측벽과 상기 하부 측벽 사이의 단차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석재 구이판.
  6. 상부면의 중앙영역에 갖춰진 구이부와, 측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삽입홈을 구비한 석재판과;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 측벽 하부와 하부면 둘레에 끼워 넣어지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판; 및
    상단부를 상기 상판의 고정단에 결합하고 하단부를 상기 하판의 고정단에 결합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하부 측벽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석재 구이판.
KR2020150006083U 2015-09-11 2015-09-11 석재 구이판 KR200481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83U KR200481407Y1 (ko) 2015-09-11 2015-09-11 석재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83U KR200481407Y1 (ko) 2015-09-11 2015-09-11 석재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07Y1 true KR200481407Y1 (ko) 2016-09-27

Family

ID=5704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83U KR200481407Y1 (ko) 2015-09-11 2015-09-11 석재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05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빛담 석영 불판을 갖는 전기 프라이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738U (ko) * 1988-07-28 1990-02-15
KR200281731Y1 (ko) * 2002-04-18 2002-07-13 이봉수 석재용기의 금속보강테 체결장치
KR200371607Y1 (ko) * 2004-09-23 2005-01-03 주식회사 예인아이디 기능성 구이판
KR200389610Y1 (ko) * 2005-04-20 2005-07-18 김상원 균열방지 돌구이판
KR200397265Y1 (ko) 2005-07-07 2005-09-29 홍경순 돌 구이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738U (ko) * 1988-07-28 1990-02-15
KR200281731Y1 (ko) * 2002-04-18 2002-07-13 이봉수 석재용기의 금속보강테 체결장치
KR200371607Y1 (ko) * 2004-09-23 2005-01-03 주식회사 예인아이디 기능성 구이판
KR200389610Y1 (ko) * 2005-04-20 2005-07-18 김상원 균열방지 돌구이판
KR200397265Y1 (ko) 2005-07-07 2005-09-29 홍경순 돌 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05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빛담 석영 불판을 갖는 전기 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407Y1 (ko) 석재 구이판
KR101550016B1 (ko)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US10286423B1 (en) Grill grate cleaning tool and heat shield
KR200409853Y1 (ko) 구이판
KR20080075364A (ko) 생선구이용 내부 투시 프라이팬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JP5968377B2 (ja) キッチン用シンク
KR200471373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2156954B1 (ko) 세정이 용이한 조리기구
KR200466340Y1 (ko) 구이용 석쇠
JP3730093B2 (ja) 焼き網
JP2001275847A (ja) ホットプレート
CN210748848U (zh) 一种烤牛扒机
KR101143551B1 (ko) 구이기
KR200388446Y1 (ko) 프라이팬
JP3187387U (ja) 食材焼成装置
KR101415245B1 (ko) 구이용 테이블
KR20120005756U (ko) 배수관이 형성된 구이판
KR100817530B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JP2002282129A (ja) 焼成物載置板
KR200450287Y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KR200295834Y1 (ko) 기름 비산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CN209826390U (zh) 一种便于清洗的扒炉
JP5786112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