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51B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3551B1 KR101143551B1 KR1020090077222A KR20090077222A KR101143551B1 KR 101143551 B1 KR101143551 B1 KR 101143551B1 KR 1020090077222 A KR1020090077222 A KR 1020090077222A KR 20090077222 A KR20090077222 A KR 20090077222A KR 101143551 B1 KR101143551 B1 KR 101143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roasting plate
- roasting
- opening
- gri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가 형성된 상판을 갖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개구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구이판설치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설치개구의 둘레 영역에 함몰된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과; 상기 구이판설치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판상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이 편리하고, 추가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없이 구이판의 세척이 용이하며, 구이판의 파손 염려가 없는 구이기가 제공된다.
구이기, 구이판, 식탁, 배수로, 가열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세척이 용이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고기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이판 중 석재 구이판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가열 상태가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세척시 조리 후 구이판 면에 붙은 찌꺼기들이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구이판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재 구이판은 단품으로 가스버너 등의 가열수단에 올려 사용하는 일반 가정용 구이판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한편, 구이판을 식탁에 가열수단과 함께 설치하여 사용하는 업소용 구이기가 있는데, 이 구이기는 구이판의 세척을 위해서는 구이판을 일일이 식탁에서 분리 및 교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체용 구이판을 구이기마다 여유있게 추가로 구비해야하므로 비용이 추가되고, 구이판의 분리 및 설치작업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식탁에서 분리하여 이동 및 세척하는 과정에서 다루기가 매우 어렵고, 파지한 구이판을 떨어트려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추가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없이 구이판의 세척이 용이하며, 구이판의 파손 염려가 없는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이기에 있어서, 개구가 형성된 상판을 갖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개구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구이판설치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설치개구의 둘레 영역에 함몰된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과; 상기 구이판설치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판상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식탁은 상판 하부에 이격 배치된 지지부재를 가지며, 배수통은 상기 상판의 개구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구이판설치개구와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로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걸름망을 구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식탁 하부 영역에는 상기 배수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하부부재의 하부와 지지부재 간을 연결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부재에 형성된 구이판설치개구의 개구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구이판고정플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이판은 상기 하부부재와 가열수단 사이영역에서 그 둘레영역이 상기 구이판고정플렌지에 하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가열수단은 구이판의 하부에서 가열공간을 형성하며, 상당부가 상기 구이판의 하부 둘레영역을 지지하는 화로부재와, 상기 화로부재의 가열공간 내에서 연료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점화노즐과, 상기 점화노즐의 점화 및 화력을 조절하는 점화조절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로부재의 하부와 지지부재에는 스프링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화로부재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의해, 사용이 편리하고, 추가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없이 구이판의 세척이 용이하며, 구이판의 파손 염려가 없는 구이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절취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구이기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1)는 음식물과 식기 등을 올려놓는 식탁(10)과, 식탁(10)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배수통(20)과, 배수통(20) 내에 마련되어 음식물을 굽는 구이판(30)과, 구이판(3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40)을 포함한다.
식탁(10)은 중앙에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11)과, 상판(11)을 지지하는 복수의 식탁다리(12)와, 상판(11) 하부에 소정 이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배수통(20)과 구이판(30) 및 가열수단(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를 갖는다.
상판(11)에 형성된 개구(15)와 개구(15) 영역의 상판(11)과 지지부재(13) 사이는 배수통(20)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개구(15) 둘레영역의 상판(11) 상면은 음식물과 식기 등을 올려놓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개구(15)의 형상은 도 와 같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개구이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판(11) 역시, 도 와 같은 사각판재 등의 다각형 판재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원형판재나 타원형판재로 상판(11)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식탁(10)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는 세척수공급관(14)과 호스 연결부(16)를 갖는 밸브(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척수를 나르는 번거로움 없이 호스를 밸브(15)의 호스연결부(16)에 연결하여 구이판(30)과 배수통(20)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배수통(20)은 상판(11)의 개구(15)에 설치되는 상부부재(21)와, 상부부 재(21)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 영역에 구이판(30)으로 차단되는 구이판설치개구(22a)가 형성되어 있고 구이판설치개구(22a)의 둘레 영역에 함몰된 구조의 배수로(27)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부재(2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수통(20)의 상부부재(21)는 상단부에 외향 연장된 플렌지(21a)를 형성하여 상판(11)의 개구(15) 단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렌지(21a)의 두께에 의해 플렌지(21a)와 식탁(10) 상판(11)의 판면 간에 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플렌지(21a)는 상판(11) 측으로 경사지도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축소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플렌지(21a)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식탁(10) 상판(11)의 개구(15) 단부 상면에 플렌지(21a)결합홈을 형성하여 플렌지(21a) 상면과 상판(11) 상면이 동일 판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부재(21)는 플렌지(21a) 부분이나 이에 인접한 부분이 피스 등의 결합부품을 이용하여 상판(11)의 개구(15) 단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수통(20)의 하부부재(22)에 형성된 배수로(27)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배수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구(28)로 세척수 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로(27)의 저부면은 배수구(28)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구(28)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29)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 배수구(28)는 적절한 거리를 두고 배수로(27)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 측의 배수구(28)가 막힐 경우, 다른 측의 배수구(28)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들 배수구(28)는 식탁(10) 하부의 배수관(26)과 연결된다.
또한, 하부부재(22)의 구이판설치개구(22a)의 개구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구이판(30)의 상향이탈을 방지하는 구이판고정플렌지(22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수통(20)의 하부부재(22)는 지지부재(13)에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하향 연장된 볼트 형상의 결합봉(23)을 가지고 있다. 이 결합봉(23)은 지지부재(13)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나비 너트 등의 너트(24)로 지지부재(13)에 결합된다. 이때, 배수통(20)의 하부부재(22)와 지지부재(13) 사이에는 결합봉(23)을 둘러싸도록 고정스프링(25)이 설치된다. 이 고정스프링(25)은 배수통(20) 하부부재(22)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결합봉(23)과 너트(24)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배수통(20)의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는 내부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판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이판(30)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가열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석재 구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이판(30)은 배수통(20) 하부부재(22)와 후술할 가열수단(40)의 화로부재(41) 사이 영역에서 그 둘레영역이 배수통(20)의 하부부재(22)에 형성된 구이판설치개구(22a)의 구이판고정플렌지(22b)에 하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구이판(30)의 둘레영역에는 구이판고정플렌지(22b)의 두께에 대응하 는 걸침홈을 형성하여 구이판고정플렌지(22b)와 구이판(30)의 상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기름이나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수통(20) 하부부재(22)의 배수로(27)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이판(30)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둘레영역으로 소폭 경사지도록 하거나, 일측에서 타측으로 소폭 경사지도록 하여 기름이나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수통(20) 하부부재(22)의 배수로(27)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구이판(30)은 석재 구이판 중에서도 자연석 구이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 구이판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열수단(40)은 구이판(30)의 하부에서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화로부재(41)와, 화로부재(41) 내에 설치되어 구이판(30)을 가열하는 점화노즐(43)과, 점화노즐(43)의 점화 및 화력을 조절하는 점화조절기(45)를 갖는다.
화로부재(41)는 상향 개구된 화로 형상의 구조이며, 그 상단이 구이판(30)의 하측 둘레영역을 지지하고 있다. 이 화로부재(41)는 그 하부와 지지부재(13) 에 스프링지지부재(41a,41b)를 마련하고 이들 스프링지지부재(41a,41b) 사이에 가압스프링(42)을 개재한 구조로 지지부재(13) 상에 설치된다.
가압스프링(42)은 화로부재(41)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함으로써, 화로부재(41)와 배수통(20) 하부부재(22)의 구이판고정플렌지(22b) 사이에 구이판(30)이 견고하게 개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점화노즐(43)은 가스버너 방식의 점화노즐(43)로 마련되어 화로부재(41) 내측에 설치된다. 이 점화노즐(43)은 도시않은 가스공급관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으며, 점화조절기(45)에 의해 점화 및 화력 조절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화노즐(43)은 가열수단(40)이 가스버너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할 때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가열수단(40)이 전기버너일 경우일 때 점화노즐(43) 대신 전기점화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열수단(40)이 숫불 방식일 경우 점화노즐(43)을 생략하고 화로부재(41)에 숫불을 출입시킬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화조절기(45)는 식탁(10) 상판(11)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데, 점화노즐(43)의 가스점화를 ON/OFF시키는 점화노브(45a)와, 점화노즐(43)에서 점화된 불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노브(45b)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1)는 구이판(30)을 세척하고자 할 때는 구이판(30)을 분리하지 않고 설치된 그 상태로 세척수와 세척도구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이때, 세척수는 식탁(10) 하부에 마련된 세척수공급관(14)의 호스 연결부(16)에 호스를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세척수를 따로 준비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세척수를 이용하여 구이판(30)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구이판(30)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과 세척수는 배수통(20) 하부부재(22)의 배수로(27)를 통해 배수구(28)로 이동하고, 그러면, 배수구(28)의 걸름망(29)에 이물질이 걸러지고 세척수는 배수구(28)와 배수관(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수구(28) 걸름망(29)에 걸러진 이물질은 작업자가 간단하게 꺼내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과정에서 구이판(30)을 세척하는 것 외에도 배수통(20) 내부의 세척 및 식탁(10) 상판(11)의 세척을 병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구이판을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구이판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교체용 구이판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구이판의 분리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지 않고, 식탁에서 설치된 상태로 구이판을 세척하기 때문에, 구이판이 파손될 염려 없이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절취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구이기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탁 11 : 상판
13 : 지지부재 20 : 배수통
21 : 상부부재 22 : 하부부재
27 : 배수로 25 : 고정스프링
26 : 배수관 30 : 구이판
40 : 가열수단 41 : 화로부재
43 : 점화노즐 45 : 점화조절기
Claims (7)
- 개구가 형성된 상판을 갖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개구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구이판설치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설치개구의 둘레 영역에 함몰된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과; 상기 구이판설치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판상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구성하되,식탁은 상판 하부에 이격 배치된 지지부재를 가지며,배수통은 상기 상판의 개구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상하 관통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구이판설치개구와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부재를 갖는 구이기에 있어서,하부부재의 하부와 지지부재 간을 연결하는 결합봉과,상기 결합봉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구이판설치개구의 개구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구이판고정플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구이판은 상기 하부부재와 가열수단 사이영역에서 그 둘레영역이 상기 구이판고정플렌지에 하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가열수단은,구이판의 하부에서 가열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가 상기 구이판의 하부 둘레영역을 지지하는 화로부재와,상기 화로부재의 가열공간 내에서 연료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점화노즐과,상기 점화노즐의 점화 및 화력을 조절하는 점화조절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화로부재는 하부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지지부재가 마련되며,상기 스프링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화로부재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222A KR101143551B1 (ko) | 2009-08-20 | 2009-08-20 | 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222A KR101143551B1 (ko) | 2009-08-20 | 2009-08-20 | 구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9610A KR20110019610A (ko) | 2011-02-28 |
KR101143551B1 true KR101143551B1 (ko) | 2012-05-10 |
Family
ID=437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7222A KR101143551B1 (ko) | 2009-08-20 | 2009-08-20 | 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355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8325U (ja) * | 1991-05-08 | 1993-03-09 | 株式会社ペルソナ | せいろ用テーブル |
JPH11169300A (ja) | 1997-11-24 | 1999-06-29 | Moiku Ri | 無煙調理器 |
JP2003180532A (ja) | 2001-12-21 | 2003-07-02 | Masayoshi Izumi | 石材製焼調理用テーブル |
KR20100119832A (ko) * | 2009-04-28 | 2010-11-11 | 이귀희 | 구이기구의 자동 세척방법 |
-
2009
- 2009-08-20 KR KR1020090077222A patent/KR1011435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8325U (ja) * | 1991-05-08 | 1993-03-09 | 株式会社ペルソナ | せいろ用テーブル |
JPH11169300A (ja) | 1997-11-24 | 1999-06-29 | Moiku Ri | 無煙調理器 |
JP2003180532A (ja) | 2001-12-21 | 2003-07-02 | Masayoshi Izumi | 石材製焼調理用テーブル |
KR20100119832A (ko) * | 2009-04-28 | 2010-11-11 | 이귀희 | 구이기구의 자동 세척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9610A (ko) | 2011-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63148B1 (en) | Self-cleaning flooring system | |
KR100866157B1 (ko) | 직화식 구이판 | |
WO2015006891A1 (zh) | 充分均匀加热食品的空气炸锅 | |
AU2016206409B2 (en) | Electric grill appliance | |
KR102214329B1 (ko) | 직화 구이용 조리기 | |
US20170035245A1 (en) | Grill having multi-piece drip pan | |
JP2004530490A (ja) | 電気焼き器 | |
KR200315613Y1 (ko) | 가스구이장치 | |
WO2011104332A1 (en) | A griddle pan | |
KR101143551B1 (ko) | 구이기 | |
CN204133276U (zh) | 烤盘及其煎烤装置 | |
KR200471373Y1 (ko) | 고기 구이용 불판 | |
CN204133277U (zh) | 煎烤装置 | |
KR200408276Y1 (ko) | 조리용 부침기 | |
KR20120041387A (ko) | 고기구이판 | |
CN208551111U (zh) | 一种可脱卸电热锅 | |
KR100906342B1 (ko) | 테이블형 구이장치 | |
KR200428813Y1 (ko) | 고기 구이기 | |
KR102425199B1 (ko) | 쇠구슬 불판 | |
KR200481407Y1 (ko) | 석재 구이판 | |
CN204133275U (zh) | 煎烤装置 | |
KR20120005756U (ko) | 배수관이 형성된 구이판 | |
KR102178221B1 (ko) | 로스터 일회용 석쇠 고정장치 | |
KR200463758Y1 (ko) | 불판 | |
KR102432107B1 (ko) | 구이용 불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