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28Y1 - 숯불구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숯불구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28Y1
KR200480728Y1 KR2020150002194U KR20150002194U KR200480728Y1 KR 200480728 Y1 KR200480728 Y1 KR 200480728Y1 KR 2020150002194 U KR2020150002194 U KR 2020150002194U KR 20150002194 U KR20150002194 U KR 20150002194U KR 200480728 Y1 KR200480728 Y1 KR 200480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rebox
oil pan
ho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상
Original Assignee
이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상 filed Critical 이만상
Priority to KR2020150002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이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화구, 상기 화구의 하부에 서랍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받이, 상기 재받이 또는 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조절장치 및 상기 화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숯불구이 조리 장치{Charcoal Grill Coo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숯불구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덕을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고, 재받이 및 기름받이가 서랍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탈이 용이하고, 연기에 포함된 기름이 음식물이나 테이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숯불 조리 장치는 하부에 송풍장치가 구비되고, 그 위에 숯통이 설치된다. 또한, 조리 테이블의 상측으로는 숯 및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는 후드와 덕트가 설치된다.
종래의 숯통은 숯의 재를 수집하는 재받이 및 기름받이가 숯통과 일체로 형성되어 숯 및 기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숯통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숯불 조리 장치의 후드는 연기를 배출하는 덕트가 후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를 포집하는 후드 내부에서 연기에 포함된 기름이 응축되어 테이블이나 음식물로 떨어져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화덕을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고, 재받이 및 기름받이가 서랍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탈이 용이하고, 연기에 포함된 기름이 음식물이나 테이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숯불구이 조리 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이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화구, 상기 화구의 하부에 서랍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받이, 상기 재받이 또는 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조절장치 및 상기 화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기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구는 복수의 화덕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화덕의 복수의 격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구의 일측에는 상기 화덕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기름받이 사이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대면하는 일측은 중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화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드 및 상기 후드의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받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름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다기능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구에 복수의 화덕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 및 이에 대응되는 화덕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화덕의 사용개수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덕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덕에서 발생하는 재 및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을 서랍형상의 재받이 및 기름받이를 이용하여 수집하기 때문에 재 및 기름의 수집이 용이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복수의 기름받이는 상호 대면하는 일면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기름받이 사이로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름이 기름받이를 통과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재받이의 일측에 미닫이 형식의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어 화덕의 화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후드의 배기구가 후드의 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연기에 포함된 기름이 응집되어 테이블 또는 음식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다기능실이 구비되어 조리 장치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받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조리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00), 화구(200), 재받이(300), 공기조절장치(400), 기름받이(500), 배기장치(700) 및 다기능실(600)로 구성된다.
지지부(100)는 화구(200), 재받이(300), 기름받이(500) 및 배기장치(70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술한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즉, 지지부(100)는 프레임 및 케이스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지지부(100)는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그 크기 및 높이 역시 사용양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지지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부(100)는 다기능실(600)이 구비되는 1층, 기름받이(500)가 구비되는 2층 및 화구(200)가 구비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00)가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부(100)의 하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단면 일측에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바퀴(110)의 일측에는 조리 시 숯불구이 조리 장치(10)가 임의로 위치가 변경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11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미도시)가 구비된 바퀴(11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구(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상면에 다양한 물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화덕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4개의 화덕이 구비될 수 있도록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공의 개수는 사용양태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관통공 1개 당 하나의 화덕이 삽입되는 구조가 아닌, 하나의 장공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장공 형상의 관통공에 복수의 화덕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화구(2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화구(200)의 상면의 관통공의 테두리 주변에는 화덕의 설치 높이 및 기울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덕이 화구(200)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장치 및 고정부의 구성은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구(200)의 하부에는 화구(200)에 구비되는 화덕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덕 삽입부(210)가 복수의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화덕 삽입부(210)는 상면이 개방되고, 전방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화구(200)에 형성된 관통공이 사각형상인 경우에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화구(200)에 형성된 관통공이 원형이 경우에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화덕 삽입부(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덕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의 화덕 삽입부(210)가 격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하나의 화덕 삽입부(210)가 화구(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받이의 사시도이다. 재받이(300)는 화구(20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화덕 삽입부(210)의 전면 개방부에 서랍형상으로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덕에서 떨어지는 재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재받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덕에서 떨어지는 재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완료된 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재받이(300)의 상부에는 화덕을 사용하지 않고, 화덕 삽입부(210) 내부에 직접 숯을 놓고 사용하거나, 화덕이 화구(200)의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화로석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화로석쇠의 구성을 필수 적인 것이 아니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받이의 하면에는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받이(5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기름이 유동할 수 있도록 재받이(300)의 바닥면 일측에 복수의 기름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절장치(400)는 화덕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화덕 삽입부(210) 또는 재받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절장치(400)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화덕 삽입부(210) 또는 재받이(300)의 전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재받이(3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개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공기조절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300)의 전면 일측에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공기조절장치(40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공기조절장치(400)를 용이하게 개폐하며 화덕 삽입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공기조절장치(400)는 전술한 형상 및 구성이 아니더라도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기름받이(500)는 재받이(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을 수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름받이(500)는 재받이(300)와 마찬가지로 서랍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100)에 삽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름받이(500)는 화구(20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개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하나의 기름받이(500)가 모든 관통공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름받이(500)가 화구(200)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름이 하방으로 수직하게만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름받이(500) 사이로 기름이 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름받이(500)가 상호 중첩되는 일면에는 절곡된 확장부(510)가 형성되어 확장부(510)를 통해 기름이 기름받이(500)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기름받이(500)에 각각 형성되는 확장부(510)는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하나의 기름받이(500)의 높이가 다른 기름받이(5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형성되어 확장부(510)가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기름받이(500)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확장부(510)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상태에서 절곡되도록 하여 상호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름받이(500)는 기름이 유입되는 상면을 제외하고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재받이(300) 및 기름받이(500)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둘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재와 기름을 동시에 수집할 수도 있다.
배기장치(700)는 화구(20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 등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기장치(700)는 연기를 포집하기 위한 후드(710) 및 후드(710)에 포집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720)로 구성된다.
후드(710)는 화구(2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연기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후드(710)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후드(710)는 지지부(100)를 화구(200)의 상부로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그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720)는 후드(7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후드(710) 내부에 포집된 연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하거나, 덕트와 후드(710)를 연결하는 연결부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배기구(720)는 후드(710)의 상부에 구비되지만, 이러한 경우 연기에 포함되어 있던 기름이 연기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화구(200)의 상면 또는 음식으로 떨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구(720)는 후드(710)의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드(710)의 후면 또는 측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배기장치(700)가 지지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 지지부(100)는 화구(200)가 구비되는 높이까지만 구비되고, 배기장치(700)는 별도의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화구(200)보다 소정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기능실(600)은 지지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리기구 등을 보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다기능실(600)은 지지부(100)의 여유공간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다기능실(600)은 서랍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개폐 도어를 설치하여 개폐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숯불구이 조리 장치
100 : 지지부
110 : 바퀴
200 : 화구
210 : 화덕 삽입부
300 : 재받이
400 : 공기조절장치
500 : 기름받이
510 : 확장부
600 : 다기능실
700 : 배기장치
710 : 후드
720 : 배기구

Claims (9)

  1.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덕이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화구;
    상기 화구의 하부에 서랍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받이;
    상기 재받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조절장치;
    상기 화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기장치;
    상기 재받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름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화구는 복수의 화덕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화덕의 복수의 격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름받이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기름받이 사이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대면하는 일측은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기름받이가 상호 중첩되는 일면에는 절곡된 확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를 통해 기름이 상기 기름받이 내부로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화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후드; 및
    상기 후드의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서랍형태의 다기능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의 일측에는 상기 화덕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는 숯불구이 조리 장치.
KR2020150002194U 2015-04-07 2015-04-07 숯불구이 조리 장치 KR200480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94U KR200480728Y1 (ko) 2015-04-07 2015-04-07 숯불구이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94U KR200480728Y1 (ko) 2015-04-07 2015-04-07 숯불구이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28Y1 true KR200480728Y1 (ko) 2016-06-29

Family

ID=5634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194U KR200480728Y1 (ko) 2015-04-07 2015-04-07 숯불구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98Y1 (ko)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2235630B1 (ko) 2020-04-06 2021-04-05 주식회사 이씨엠 공냉식 숯불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168A (ko) * 2000-07-25 2002-02-01 조한부 식탁용 숯불 바베큐기
KR200433080Y1 (ko) * 2006-09-27 2006-12-07 고현진 숯불 구이기
KR100777675B1 (ko) * 2007-07-11 2007-11-28 김광욱 절첩식 식탁을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100131779A (ko) * 2009-06-08 2010-12-16 김현호 숯불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168A (ko) * 2000-07-25 2002-02-01 조한부 식탁용 숯불 바베큐기
KR200433080Y1 (ko) * 2006-09-27 2006-12-07 고현진 숯불 구이기
KR100777675B1 (ko) * 2007-07-11 2007-11-28 김광욱 절첩식 식탁을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100131779A (ko) * 2009-06-08 2010-12-16 김현호 숯불 고기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98Y1 (ko)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2235630B1 (ko) 2020-04-06 2021-04-05 주식회사 이씨엠 공냉식 숯불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458B1 (en) Food grilling system for oven cavity with byproduct removal
KR101948345B1 (ko) 음식을 굽는 오븐
CN110753507A (zh) 直接和间接加热颗粒烧烤系统
US9839320B2 (en) Fire safe fire pit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TWM485690U (zh) 烤爐
CN101163406A (zh) 用于烹调比萨和烤肉的装置
WO2015006572A1 (en) Outdoor barbeque grill and oven
KR200480728Y1 (ko) 숯불구이 조리 장치
US2124837A (en) Broiler for use by campers
US3514577A (en) Combined expansible broiler oven and kitchen ventilating hood
KR100719887B1 (ko) 고기 구이기
CN114286639A (zh) 多用途烹饪装置
JP6896276B2 (ja) 加熱調理器
KR101629604B1 (ko) 화기 조절 및 제연 기능을 구비한 구이용 테이블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CN21098981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US5129385A (en) Barbecue oven
JP4678693B2 (ja) グリル
CN218738487U (zh) 一种减少食物翻面的户外烤炉
KR20200132269A (ko) 스마트 화덕
CN217659390U (zh) 一种碳烤炉
CN218606239U (zh) 一种多功能的户外烹饪器具
KR102179697B1 (ko) 숯불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