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78Y1 -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78Y1
KR200479478Y1 KR2020140002726U KR20140002726U KR200479478Y1 KR 200479478 Y1 KR200479478 Y1 KR 200479478Y1 KR 2020140002726 U KR2020140002726 U KR 2020140002726U KR 20140002726 U KR20140002726 U KR 20140002726U KR 200479478 Y1 KR200479478 Y1 KR 200479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clamping
clamping portion
moving
cl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247U (ko
Inventor
최성목
Original Assignee
민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선희 filed Critical 민선희
Priority to KR2020140002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7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화된 작업을 통해 빠르면서도 정확한 형상으로의 축관 부위에 대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성형하고자 하는 지주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파지된 지주의 후면을 받쳐주면서 상기 지주가 성형 도중 후방으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블럭;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지주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와의 대향면에는 내외측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단차 구조의 성형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조금형부; 상기 단조금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핑부와는 반대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단조금형부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금형 동작부; 상기 클램핑부의 어느 한 측부에 위치되며, 성형이 완료된 지주를 반출하는 반출부;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지주를 상기 반출부로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device for reducing a pillar diameter of communication cable}
본 고안은 통신케이블 지주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케이블 지주의 축관 부위에 대한 성형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 지주는 전신주와는 달리 통신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체로 형성한 지주이다.
상기한 통신케이블 지주는 길이가 긴 특성으로 인해 통상 하부지주와 상부지주 등 둘 혹은, 셋 이상으로 분할 형성한 뒤 설치 장소로 운반하여, 상기 설치 장소에서 서로 간을 결합한 후 설치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부지주의 상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직경이 협소한 축관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지주의 하단 내부로 압입 고정하고, 상기 두 지주들의 연결 부위는 관통볼트로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지주들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113747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360호 등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
한편, 전술된 통신케이블 지주의 하부지주를 축관 구조로 성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51호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성형 공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국내등록특허공보 10-068130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인발다이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7601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으로써 프레스 단조하여 성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전술된 성형 공구를 이용하여 성형하거나 인발다이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의 경우는 전체적인 작업 공수가 많을 뿐 아니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작업성이 극히 낮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레스 단조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의 경우는 작업 시간은 빠르나 단조품에 대한 프레스 단조가 완료된 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상기 단조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짧은 길이의 단조품에만 해당 기술이 적용 가능할 뿐 통신케이블 지주와 같이 길이가 긴 제품에는 해당 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통신케이블 지주와 같이 긴 길이를 갖는 지주에 대한 축관 작업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화된 작업을 통해 빠르면서도 정확한 형상으로의 축관 부위에 대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에 따르면 성형하고자 하는 지주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파지된 지주의 후면을 받쳐주면서 상기 지주가 성형 도중 후방으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블럭;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지주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와의 대향면에는 내외측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단차 구조의 성형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조금형부; 상기 단조금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핑부와는 반대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단조금형부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금형 동작부; 상기 클램핑부의 어느 한 측부에 위치되며, 성형이 완료된 지주를 반출하는 반출부;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지주를 상기 반출부로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는 지주의 일측편에 고정 설치된 고정클램퍼와, 상기 지주의 타측편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지주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클램퍼와, 상기 이동클램퍼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클램퍼와 상기 이동클램퍼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지주의 둘레면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 동작부는 상기 단조금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단조금형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출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반출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노출된 지주가 얹히도록 배치되며, 상기 타단의 끝부분은 상기 지주의 둘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한 쌍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조금형부의 성형홈 내에는 단조 성형을 위해 단조금형부가 클램핑부를 향해 이동할 때 성형홈 내로 수용되는 지주의 전방측 끝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축력을 발생하고, 단조 성형이 완료되어 단조금형부가 클램핑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에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성형홈 내에 위치된 지주의 전방측 끝단을 밀어내는 지주 분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자동화된 작업을 통해 빠르면서도 정확한 형상으로의 축관 부위에 대한 성형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지주 분리부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단조금형부의 후퇴 이동시 지주가 단조금형부의 성형홈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주가 단조금형부와 함께 이동되는 동작 불량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중 클램핑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3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중 단조금형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중 취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5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를 이용하여 지주를 축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동작도
이하, 본 고안의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하기의 설명에서 기재되는 각 방향은 도면상 좌측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함과 더불어 도면상 우측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이때 단조금형부의 경우는 성형 작업을 위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상 좌측 방향을 후퇴 방향이라 지칭함과 더불어 도면상 우측 방향을 전진 방향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의 각 세부 구성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도이다.
이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이하, “축관장치”라 함)는 크게 클램핑부(100)와, 스토퍼블럭(200)과, 단조금형부(300)와, 금형 동작부(400)와, 반출부(500) 그리고, 취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클램핑부(100)는 성형하고자 하는 지주(1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클램핑부(100)에 의해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부위에 대한 축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지주(10)가 직경 방향으로 확관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클램핑부(100)는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램퍼(110)는 지주(10)가 투입되는 영역의 일측편(도면상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클램퍼(120)는 상기 지주가 투입되는 영역의 타측편(도면상 하측)에서 상기 지주(10)를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간의 대향면에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둘레면이 수용되도록 수용홈(111,121)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수용홈(111,121)은 상기 두 클램퍼(110,120) 간이 서로 맞닿을 경우 상기 지주(10)의 둘레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클램퍼(110) 및 이동클램퍼(120)는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축관 성형을 위한 부위)을 제외한 전 부위를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부위에 대한 축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지주(10)가 직경 방향으로 확관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이동클램퍼(120)를 상기 고정클램퍼(110)와의 대향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동부(130)가 실린더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하며, 그의 개수에 대하여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도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혹은, 셋 이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블럭(200)은 상기 클램핑부(100)에 의해 파지된 지주(10)의 후면을 받쳐주면서 상기 지주(10)가 성형 도중 후방으로 이동됨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스토퍼블럭(200)에 의해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부위에 대한 축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지주(10)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스토퍼블럭(200)은 고정된 상태의 블럭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클램핑부(100)의 후방(더욱 정확하게는 지주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조금형부(300)는 상기 클램핑부(100)에 의해 파지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부위를 축관하도록 단조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조금형부(300)는 상기 클램핑부(10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클램핑부(100)에 고정된 지주(10)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각 면 중 지주(10)와 대향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지주(10)가 수용되면서 성형되는 성형홈(310)이 요입 형성되며, 이때 상기 성형홈(310)은 내측 부위의 직경이 외측 부위의 직경에 비해 작은 단차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조금형부(300)에 형성된 성형홈(310) 내에 지주 분리부(3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 지주 분리부(320)는 단조 성형이 완료되어 단조금형부(300)가 클램핑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 상기 성형홈(310) 내에 위치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을 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지주(10)가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성형홈(310) 내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 분리부(320)가 상기 수용홈(310) 내의 전방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는 압축실(321)과, 상기 압축실(321)과 수용홈(3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개재되면서 상기 수용홈(310) 혹은, 압축실(321) 내로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3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가스 스프링의 구조로 이루어진 지주 분리부(320)는 단조 성형을 위해 단조금형부(300)가 클램핑부(100)를 향해 이동할 때 성형홈(310) 내로 수용되는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이동블럭(322)이 압축실(321) 내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압축실(321) 내에서는 압축력을 발생하고, 단조 성형이 완료되어 단조금형부(300)가 클램핑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에는 상기 압축실(321) 내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322)이 상기 성형홈(310) 내로 이동되면서 상기 성형홈(310) 내에 위치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을 후방측으로 밀어내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 동작부(400)는 상기 단조금형부(300)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한 금형 동작부(400)는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10)과,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전방(도면상 좌측)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41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블럭(420)과, 상기 가이드블럭(420)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단조금형부(300)에 상기 가이드레일(41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럭(420)을 생략할 수도 있으나, 상기 단조금형부(300)는 실질적인 지주(10)의 성형 작업이 진행되는 부위임을 고려할 때 상기 가이드블럭(420)을 별도로 제공하여 구성함이 제조 단가 및 성형 신뢰성에 있어서 더욱 유리하다.
이때, 상기 메인실린더(430)는 상기 가이드블럭(420)을 지주(10)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양측에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블럭(420)의 저면 양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가이드레일(410)이 수용되는 수용홈(도시는 생략됨)이 요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럭(420)이 상기 각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출부(500)는 축관 성형이 완료된 지주(10)를 외부로 반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반출부(500)는 상기 클램핑부(100)의 양 측부 중 상기 클램핑부(100)의 고정클램퍼(110)의 외측에 위치되며,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 혹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취출부(600)는 성형이 완료된 지주(10)를 상기 클램핑부(100)로부터 상기 반출부(500)로 취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취출부(600)는 상기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고정클램퍼(110)와 상기 반출부(500) 사이에 위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10)과, 상기 회전축(61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20)와, 상기 회전축(6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에 위치된 지주(10)를 취출하는 회전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630)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610)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의 지주(10) 저면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기울이고, 이를 통해 상기 지주(10)가 상기 회전부재(630)를 따라 구르면서 반출부(500)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30)의 타단 끝부분은 지주(10)의 둘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630)에 의해 지주(10)가 들어올려지는 도중 상기 지주(10)가 원치않는 방향으로 굴러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부재(630)가 한 쌍으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이 상기 회전축(610)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지주(10)의 전방측 부위 및 후방측 부위가 각각 얹히도록 배치됨을 그 예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관장치를 이용한 지주의 축관 성형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관장치의 최초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축관장치는 단조금형부(300)가 클램핑부(100)로부터 후퇴 이동(좌측 방향으로의 이동)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이동클램퍼(120) 역시 후퇴 이동된 상태로 고정클램퍼(110)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취출부(600)를 이루는 두 회전부재(630)의 타단 끝부분은 상기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의 전방측 저부 및 후방측 저부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최초의 상태에서 축관장치로의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 제어가 이루어진다면 축관 성형을 위한 지주(10)가 상기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로 반입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지주(10)의 반입이 완료되면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구동부(1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클램퍼(120)를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에 위치된 지주(10)는 점차 상기 고정클램퍼(110) 및 이동클램퍼(120)의 대향면에 형성된 수용홈(111,121) 내로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클램퍼(110) 및 이동클램퍼(120)에 의해 파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은 상기 두 클램퍼(110,120)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노출된 상태임과 더불어 이렇게 노출된 부위의 저부에는 취출부(600)를 이루는 두 회전부재(630)의 타단 끝부분이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100)의 동작에 의한 지주(10)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금형 동작부(400)를 이루는 메인실린더(430)가 구동되면서 가이드블럭(420) 및 단조금형부(300)를 상기 지주(10)를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성형홈(310) 내로 점차적인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성형홈(310)에 의한 점진적인 축관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이러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에 대한 축관 성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지주(10)의 후면은 클램핑부(100)의 후방측에 위치된 스토퍼블럭(200)에 맞닿으면서 후방으로 이동됨이 방지되고, 지주(10)의 둘레면은 전술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두 클램퍼(110,120)에 의해 파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치않게 확관됨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성형홈(310) 내에 구비된 지주 분리부(320)의 이동블럭(322)은 첨부된 도 9와 같이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주(10)의 전방측 끝단면에 맞닿은 상태로 후퇴 이동되면서 압축실(321) 내의 가스를 압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압축실(321) 내의 가스 압축이 압축 한계에 도달되면 더 이상 이동블럭(322)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에 대한 축관 성형만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과정에 의해 지주(10)의 전방측 끝단 부위에 대한 축관 성형이 완료되면 메인실린더부(430)가 역으로 구동되면서 단조금형부(300)를 후퇴 이동(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지주(10)는 비록 클램핑부(100)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라고는 하나,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성형홈(310) 내에서 축관 성형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이 구속(혹은, 일부 고착)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후퇴 이동시 상기 지주(10)가 상기 단조금형부(300)와 함께 이동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단조금형부(300)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지주 분리부(320)를 이루는 이동블럭(322)이 압축실(321) 내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홈(310) 내로 이동되면서 상기 성형홈(310) 내에 위치된 지주(10)의 전방측 끝단을 후방측(단조금형부의 후퇴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동작되며, 이로써 상기 지주(10)는 상기 성형홈(310) 내에서의 구속(혹은, 일부 고착)이 해제되어 상기 단조금형부(300)만이 원활히 후퇴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후퇴 이동이 완료되면 클램핑부(100)를 이루는 구동부(13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클램퍼(120)를 최초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주(10)는 클램핑부(100)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면 취출부(600)를 이루는 회전모터(620)가 구동되면서 회전축(61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러한 회전축(610)의 회전에 의해 각 회전부재(630) 역시 상기 회전축(61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각 회전부재(630)의 타단 끝부분은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사이의 지주(10) 저면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기울이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지주(10)는 상기 각 회전부재(630)를 따라 구르면서 반출부(500)로 취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반출부(500)의 반출 동작에 의해 상기 지주(10)의 반출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지주(10)에 대한 축관 작업이 완료된다.
결국,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자동화된 작업을 통해 빠르면서도 정확한 형상으로의 축관 부위에 대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단조금형부(300)의 후퇴 이동시 상기 단조금형부(300)의 성형홈(310) 내에 구비된 지주 분리부(320)는 지주(10)가 상기 성형홈(310)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주가 단조금형부(300)와 함께 이동되는 동작 불량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토퍼블럭(200)을 좌우 이동식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지주(10)의 반입이 상기 클램핑부(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클램핑부(100)는 고정클램퍼(110)와 이동클램퍼(120) 모두를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지주 분리부(320)의 경우 가스의 압축에 따른 복원력만으로 이동블럭(322)을 복귀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압축실(321) 내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력부재(도시는 생략됨)를 추가로 개재함으로써 더욱 원활한 복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지주(10)의 축관만을 위한 장치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단조금형부(300)의 개조를 통해 지주(10)의 확관을 위한 장치로도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의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는 다양한 구조로의 변형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다.
100. 클램핑부 110. 고정클램퍼
120. 이동클램퍼 111,121. 수용홈
130. 구동부 200. 스토퍼블럭
300. 단조금형부 310. 성형홈
320. 지주 분리부 321. 압축실
322. 이동블럭 400. 금형 동작부
410. 가이드레일 420. 가이드블럭
430. 메인실린더 500. 반출부
600. 취출부 610. 회전축
620. 회전모터 630. 회전부재

Claims (4)

  1. 성형하고자 하는 지주의 전방측 끝단과 후방측 끝단 사이의 외주면 전체를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파지된 지주의 후면을 받쳐주면서 상기 지주가 성형 도중 후방으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블럭;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지주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와의 대향면에는 내외측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단차 구조의 성형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조금형부;
    상기 단조금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핑부와는 반대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단조금형부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금형 동작부;
    상기 클램핑부의 어느 한 측부에 위치되며, 성형이 완료된 지주를 반출하는 반출부;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반출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지주가 얹힘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지주를 상기 반출부로 취출하도록 회전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취출부;
    상기 단조금형부의 성형홈 내에 구비되며, 단조 성형을 위해 단조금형부가 클램핑부를 향해 이동할 때 성형홈 내로 수용되는 지주의 전방측 끝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축력을 발생함과 더불어 단조 성형이 완료되어 단조금형부가 클램핑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에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성형홈 내에 위치된 지주의 전방측 끝단을 밀어내는 지주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취출부를 이루는 회전부재는 두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클램핑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노출된 지주의 양단이 각각 얹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회전부재의 타단측 끝부분은 상기 지주의 둘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주 분리부는 상기 성형홈 내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과 성형홈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개재되면서 성형홈 혹은, 압축실 내로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지주의 일측편에 고정 설치된 고정클램퍼와,
    상기 지주의 타측편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지주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클램퍼와,
    상기 이동클램퍼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클램퍼와 상기 이동클램퍼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지주의 둘레면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동작부는
    상기 단조금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단조금형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4. 삭제
KR2020140002726U 2014-04-03 2014-04-03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KR200479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6U KR200479478Y1 (ko) 2014-04-03 2014-04-03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6U KR200479478Y1 (ko) 2014-04-03 2014-04-03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246 Division 2013-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47U KR20150000247U (ko) 2015-01-19
KR200479478Y1 true KR200479478Y1 (ko) 2016-02-02

Family

ID=5257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26U KR200479478Y1 (ko) 2014-04-03 2014-04-03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63B1 (ko) 2018-05-18 2018-09-12 최성목 통신케이블용 지주의 타공장치
KR102276756B1 (ko) 2020-02-28 2021-07-14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케이블 접속용 연관 축관기
KR102402172B1 (ko) * 2021-05-25 2022-05-30 대성코리아(주)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10B1 (ko) * 2021-08-19 2022-04-15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배전용 케이블 낙뢰방지 안정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59B1 (ko) * 2007-05-21 2008-07-31 배현웅 파이프 축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59B1 (ko) * 2007-05-21 2008-07-31 배현웅 파이프 축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63B1 (ko) 2018-05-18 2018-09-12 최성목 통신케이블용 지주의 타공장치
KR102276756B1 (ko) 2020-02-28 2021-07-14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케이블 접속용 연관 축관기
KR102402172B1 (ko) * 2021-05-25 2022-05-30 대성코리아(주)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47U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478Y1 (ko)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JP5835130B2 (ja) パイプの曲げ装置およびパイプ曲げ方法
JP5270587B2 (ja) 予め穿孔された中空ブロックから管状の長い工作物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4184470A (ja) バーリング加工後に両端部を潰したパイプの端部折曲装置
EP3015187B1 (en) Heat transfer pipe expanding device and heat transfer pipe expanding method
KR101546492B1 (ko) 인발기용 파이프 내면 클램핑 장치
WO2015083310A1 (ja) 加工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KR101677885B1 (ko) 요크제조방법
US9616476B2 (en) Device and method for rolling of pipe blanks
JP5894137B2 (ja) 加工装置
JP5175652B2 (ja) 曲げ加工用押圧装置
KR20090003230U (ko)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KR101547620B1 (ko) 파이프 전장 내경 확관장치
KR102059600B1 (ko) 비드 코어에 대한 필러의 장착 방법 및 장착 장치
CN201684789U (zh) 一种铜管拉伸机的夹持装置
CN117047450B (zh) 一种轴承装配装置及方法
JP2006326601A (ja) パイプベンダー、およびパイプ曲げ加工方法
JP2006159282A (ja) 曲げ加工装置
CN215089962U (zh) 一种钢管用的多次折弯处理装置
CN215432321U (zh) 一种导轮支座定位座拼焊工装
JP2759031B2 (ja) 間接押出プレスのダイス搬送装置
CN106238480A (zh) 油压式钢管拉拔机
JP5114245B2 (ja) ステータ製造方法
JP3781761B2 (ja) テーパ鋼管の製造方法
KR100959818B1 (ko) 툴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