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72B1 -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72B1
KR102402172B1 KR1020210066695A KR20210066695A KR102402172B1 KR 102402172 B1 KR102402172 B1 KR 102402172B1 KR 1020210066695 A KR1020210066695 A KR 1020210066695A KR 20210066695 A KR20210066695 A KR 20210066695A KR 102402172 B1 KR102402172 B1 KR 10240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aft
block
power transmission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훈
Original Assignee
대성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코리아(주) filed Critical 대성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6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21D53/9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axle-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블록(2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며, 제1 고정블록(20)과 일렬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고정블록(30); 제1·2 고정블록(20, 30)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40); 가이드바(40)에 관통 설치되는 이동블록(50); 이동블록(50)에 설치되어, 이동블록(50)과 연동되는 튜브그리퍼(60); 이동블록(50)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전후진부재(70);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는 회전체(80); 회전체(8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90);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회전체(8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회전체(80)와 연동되어 튜브그리퍼(60)와 선택적으로 대응 위치하는 축관금형(100); 튜브그리퍼(60) 및 축관금형(100) 사이에 마련되는 튜브거치대(1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TUBE REDUCTION APPARATUS OF VEHICLE POWER TRANSMISSION SHAFT}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축을 축관할 수 있는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엔진 출력)이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되고, 트랜스미션에서는 동력전달축을 이용하여 전륜 또는 후륜 바퀴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축은 내강도성 및 경량성을 고려하여 튜브(파이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동력전달축의 축관작업은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속재료에 일정의 외력을 가하면서 여러 형태로 가공하는 소성가공도 그 중 하나이다.
종래의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베드의 일측으로 서보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진 및 회전하는 스핀들의 선단 중앙에 유입식 콜릿이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척이 설치된 소재장착부, 베드의 타측으로 서보모터에 의해 전후좌우로 작동하는 축관 성형툴이 설치되는 고정구로 형성된 가공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축관작업은 축관 성형툴을 서모모터에 의해 이동시켜 소재장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축관 성형툴을 소재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파이프 소재로 전후진 동작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37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구성을 가진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일정 규격의 축관 성형툴이 고정구에 하나만 장착됨으로 인해, 파이프 소재의 축관범위가 넓어 축관공정을 여러 번 실시하여야 할 경우에는 축관 성형툴을 일일이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튜브의 축관작업을 연속적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블록;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일렬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고정블록; 상기 제1·2 고정블록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 관통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과 연동되는 튜브그리퍼; 상기 이동블록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전후진부재; 상기 제2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상기 튜브그리퍼와 선택적으로 대응 위치하는 축관금형; 상기 튜브그리퍼 및 상기 축관금형 사이에 마련되는 튜브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그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튜브의 축관작업을 연속적으로 간편하게 실시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튜브의 축관작업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하여 그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로 인해,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회전체, 축관금형 및 구속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회전체, 축관금형 및 구속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구속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튜브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튜브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블록(2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2 고정블록(30); 제1·2 고정블록(20, 30)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40); 가이드바(40)에 관통 설치되는 이동블록(50); 이동블록(50)에 설치되는 튜브그리퍼(60); 이동블록(50)과 연결되는 전후진부재(70);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는 회전체(80); 회전체(80)와 연결되는 구동부재(90); 회전체(80)에 설치되는 축관금형(100); 튜브그리퍼(60) 및 축관금형(100) 사이에 마련되는 튜브거치대(110); 축관금형(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속부재(120); 회전체(80)와 연결되는 이격부재(13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푸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제1·2 고정블록(20, 30) 및 푸시부재(14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금속 재질의 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의 형상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2 고정블록(20, 30)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1·2 고정블록(20, 3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2 고정블록(20, 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일렬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2 고정블록(30)에는 회전체(80)의 회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회전체(80)의 둘레면과 구름 접촉되는 복수의 회전롤러(R)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다. 특히 복수의 회전롤러(R)는 회전체(80)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블록(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40)는 이동블록(50)의 전·후진 동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바(40)는 내구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2 고정블록(20, 30)의 모서리부에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이드바(40)의 설치개수나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동블록(50)은 가이드바(40)를 따라 전·후진 동작되며, 제1·2 고정블록(20, 30)과 같이 사각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동블록(50)의 모서리부에는 가이드바(40)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에는 이동블록(5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가이드바(40)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방지코팅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블록(50)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그리퍼(Tube gripper)(60)는 이동블록(50)과 연동되어 동력전달축의 원소재인 튜브(T)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잡기 위한 것으로, 그 일측에는 튜브(T)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튜브그리퍼(60)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후진부재(70)는 이동블록(50)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후진부재(70)로는 이동블록(50)을 안정적으로 전·후진 동작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른 종류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회전체(80)는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고정블록(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체(80)의 상부에는 축관금형(100)이 튜브그리퍼(6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도록 회전체(8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S)가 구비된다. 즉, 센서(S)는 회전체(80)가 회전할 때 축관금형(100)을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회전체(80)의 둘레면에도 축관금형(100)과 동일한 수의 센서(S)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80)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재(90)는 회전체(8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회전체(8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S)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회전체(80)의 회전/멈춤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구동부재(90)로는 모터 등 회전체(80)의 회전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축관금형(100)은 튜브(T)의 축관작업을 단계적으로 연속 진행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회전체(8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구동부재(9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80)와 연동되어 튜브그리퍼(60)와 선택적으로 대응 위치한다. 이에 따라, 튜브(T) 및 축관금형(100)의 내경이 일직선상으로 정확하게 배치된다.
즉, 축관금형(100)은 회전체(80)의 회전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되어 튜브(T)를 잡는 튜브그리퍼(60)와 대응 위치한다.
그리고 축관금형(100)은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회전체(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축관금형(100)의 설치개수 및 배치간격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튜브거치대(110)는 튜브(T)의 축관작업 시 튜브(T)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튜브거치대(110)는 지지플레이트부(112); 지지플레이트부(112) 상에 설치되며, 튜브(T)가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부(114); 지지플레이트(112) 상에 설치되며, 센서가 구비되는 한 쌍의 센싱부(116); 지지플레이트부(1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부(118)로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부(112)에는 튜브(T)의 길이에 따라 거치부(114)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간격조절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거치부(114)는 지지플레이트부(112)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조절홀(미도시)에 선택적으로 볼팅 결합된다.
센싱부(116)는 거치부(114)에의 튜브(T) 거치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전후진부재(70)를 작동시킨다.
액추에이터부(118)는 지지플레이트부(112)를 승강 동작시키며, 실린더형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구속부재(120)는 튜브(T)의 축관작업 시 축관금형(100)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구속부재(120)는 튜브(T)의 축관작업 시 오작동 등에 의해 회전체(80)가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축관금형(100)을 구속한다.
이러한 구속부재(120)는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어 회전체(8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122); 가이드부(12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관금형(100)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승강구속부(124); 승강구속부(124)를 승강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126)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1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승강구속부(12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22)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체(80)의 고정 시에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축관금형(100)을 구속함과 아울러 회전체(80)의 회전 시에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축관금형(100)의 구속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승강구속부(124)의 상단에는 축관금형(90)의 외주면 일부를 구속하는 반원형의 구속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부(126)로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부재(130)는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어, 회전체(80)를 제2 고정블록(3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이격 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격부재(130)를 통해 회전체(80)의 회전 시에는 제2 고정블록(30)으로부터 회전체(80)를 이격시키고, 아울러 회전체(80)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2 고정블록(30)에 회전체(80)를 다시 밀착시킨다.
위와 같은 이격부재(130)에 의해 회전체(80)의 회전동작 시 발생될 수 있는 제2 고정블록(30)과의 마찰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격부재(130)로는 제2 고정블록(30)에 관통 설치되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부재(140)는 축관된 튜브(T)가 축관금형(100)으로부터의 인출되는 것을 보조적으로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푸시부재(140)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141); 지지대(141) 및 제2 고정블록(3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바(142); 복수의 가이드바(142)에 관통 결합되는 푸시블록(143); 푸시블록(143)에 설치되며, 푸시블록(143)과 연동되어 축관금형(100) 내부의 축관된 튜브(T)를 푸시하는 푸시바(144); 푸시블록(143)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145)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튜브거치대(110)에 튜브(T)가 거치되면 전후진부재(70)의 작동에 의해 이동블록(50)과 연동되는 튜브그리퍼(60)가 전진 동작되어 튜브(T)의 일단을 견고하게 잡는다.
이때, 튜브그리퍼(60)가 튜브(T)를 잡음과 동시에 튜브거치대(110)는 하강된다.
이후 튜브그리퍼(60)는 축관금형(100)을 향해 다시 전진하여 튜브(T)를 축관금형(100)으로 인입시킨 후, 다시 후진하여 튜브(T)를 축관금형(100)으로부터 인출시켜 1차로 축관시킨다.
이때, 축관금형(100)은 구속부재(120)에 의해 그 외주면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푸시부재(140)는 축관금형(100)으로부터의 튜브(T) 인출 시 튜브(T)를 밀어준다.
그리고 튜브(T)의 1차 축관작업이 완료되면 구속부재(120)에 의한 축관금형(10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 후, 이격부재(130)에 의해 회전체(80)가 제2 고정블록(30)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체(80)가 구동부재(90)에 의해 회전되어 내경이 다른 축관금형(100)이 튜브(T)와 대응 위치한다. 이후 이격부재(130)에 의해 회전체(80)가 제2 고정블록(30)에 밀착됨과 아울러 축관금형(100)은 구속부재(120)에 의해 다시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1차 축관작업과 동일하게 2차 축관작업이 실시된다.
그리고 2차 축관작업이 완료되면 튜브거치대(110)가 상승되어 튜브(T)가 거치되고, 튜브그리퍼(60)는 튜브(T)를 놓고 후진 동작되어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튜브(T)의 축관범위에 따라 2차 축관작업과 동일하게 추가적인 축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20 : 제1 고정블록
30 : 제2 고정블록 40 : 가이드바
50 : 이동블록 60 : 튜브그리퍼
70 : 전후진부재 80 : 회전체
90 : 구동부재 100 : 축관금형
110 : 튜브거치대 120 : 구속부재
122 : 가이드부 123 : 구속홈
124 : 승강구속부 126 : 액추에이터부
130 : 이격부재

Claims (6)

  1.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블록(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블록(20)과 일렬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고정블록(30); 상기 제1·2 고정블록(20, 30)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40); 상기 가이드바(40)에 관통 설치되는 이동블록(50); 상기 이동블록(5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50)과 연동되는 튜브그리퍼(60); 상기 이동블록(50)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전후진부재(70); 상기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는 회전체(80); 상기 회전체(8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90);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8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80)와 연동되어 상기 튜브그리퍼(60)와 선택적으로 대응 위치하는 축관금형(100); 상기 튜브그리퍼(60) 및 상기 축관금형(100) 사이에 마련되는 튜브거치대(110); 상기 축관금형(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속부재(120); 상기 축관금형(100)으로부터 축관된 튜브(T)가 인출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푸시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거치대(110)는 지지플레이트부(112); 상기 지지플레이트부(112) 상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T)가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부(114); 상기 지지플레이트부(112) 상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114)에의 상기 튜브(T) 거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전후진부재(70)를 작동시키는 센싱부(116); 상기 지지플레이트부(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112)를 승강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118)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부재(1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141); 상기 지지대(141) 및 상기 제2 고정블록(3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바(142);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142)에 관통 결합되는 푸시블록(143); 상기 푸시블록(143)에 설치되며, 상기 푸시블록(143)과 연동되어 상기 축관금형(100) 내부의 축관된 상기 튜브(T)를 푸시하는 푸시바(144); 상기 푸시블록(143)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14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120)는,
    상기 제2 고정블록(30)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22);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22)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축관금형(100)의 외주면을 구속하는 구속홈(123)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구속부(124); 상기 승강구속부(124)를 승강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부(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블록(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80)를 상기 제2 고정블록(3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이격 배치시키는 이격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KR1020210066695A 2021-05-25 2021-05-25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KR10240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95A KR102402172B1 (ko) 2021-05-25 2021-05-25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95A KR102402172B1 (ko) 2021-05-25 2021-05-25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172B1 true KR102402172B1 (ko) 2022-05-30

Family

ID=8179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95A KR102402172B1 (ko) 2021-05-25 2021-05-25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1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031A (ja) * 2001-12-26 2003-07-08 Yamamoto Denki:Kk 短小管体端のプレス加工装置
KR100681304B1 (ko) * 2005-11-16 2007-02-15 서창환 축관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축관
KR101026393B1 (ko) * 2008-11-28 2011-04-07 (주)이랜드건설 금속배관용 축관기
KR101390660B1 (ko) * 2012-02-10 2014-04-30 알텍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및 축관장치
KR101521353B1 (ko) * 2013-12-03 2015-05-18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보일러 열교환기용 연관 제조 장치
KR200479478Y1 (ko) * 2014-04-03 2016-02-02 민선희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031A (ja) * 2001-12-26 2003-07-08 Yamamoto Denki:Kk 短小管体端のプレス加工装置
KR100681304B1 (ko) * 2005-11-16 2007-02-15 서창환 축관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축관
KR101026393B1 (ko) * 2008-11-28 2011-04-07 (주)이랜드건설 금속배관용 축관기
KR101390660B1 (ko) * 2012-02-10 2014-04-30 알텍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및 축관장치
KR101521353B1 (ko) * 2013-12-03 2015-05-18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보일러 열교환기용 연관 제조 장치
KR200479478Y1 (ko) * 2014-04-03 2016-02-02 민선희 통신케이블 지주용 축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1621B1 (en) Automatic wheel detecting device
CN105563246B (zh) 一种数控深孔磨床
ITMI20081251A1 (it)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fori a diametro variabile in lamiere
KR20190036111A (ko) 볼스크류의 피치 측정장치
JP2005219059A (ja) 鉄筋曲げ機の鉄筋送り込み装置
CN111015177A (zh) 曲轴齿轮与法兰全自动加热压装机
CN111571198A (zh) 一种汽车发动机缸盖加工用孔位校准装置及工作方法
KR102402172B1 (ko) 차량용 동력전달축 축관장치
CN108500874B (zh) 一种用于轮胎锥度点匹配的定心总成
EP044613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ims in a tire uniformity machine
KR102456741B1 (ko) 차량용 동력전달축 제조시스템
KR101638346B1 (ko) 차량용 범퍼 안착장치
JP4869818B2 (ja) 射出成形装置の型締装置
KR20000075064A (ko) 이형제 분무장치
CN219787048U (zh) 一种管材对中防甩装置
KR20100111111A (ko)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CN212734253U (zh) 管材打孔机
CN221909609U (zh) 一种方形钢筋笼箍筋的制作装置
JP2825218B2 (ja) タイヤ搬送ローダ
CN118455712B (zh) 一种激光增减材加工装置
JPH04135116A (ja) 管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0719779U (zh) 一种预应力张拉机
CN213614829U (zh) 一种管材激光切割机
CN216000644U (zh) 一种胶圈切割机
CN217044346U (zh) 一种水泥浇注模具加工排冲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