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74Y1 -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74Y1
KR200479074Y1 KR2020140000787U KR20140000787U KR200479074Y1 KR 200479074 Y1 KR200479074 Y1 KR 200479074Y1 KR 2020140000787 U KR2020140000787 U KR 2020140000787U KR 20140000787 U KR20140000787 U KR 20140000787U KR 200479074 Y1 KR200479074 Y1 KR 200479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hydraulic pressure
load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059U (ko
Inventor
진영민
정승주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진영민
정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민, 정승주 filed Critical 진영민
Priority to KR202014000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7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고정된 작업대를 승 하강시켜 고소작업의 진행이 가능한 리프트에서 작업대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조업리프트의 하중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LOAD SENSING APPARATUS FOR LIFT}
본 고안은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고정된 작업대를 승 하강시켜 고소작업의 진행이 가능한 리프트에서 작업대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리프트의 하중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용 리프트는 리프트의 안전운전을 도모해줄 목적으로 운반대상물의 중량이 적재정량을 초과할 경우 리프트가 운전될수 없도록 해주는 일종의 안전장치인 과부하방지장치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리프트의 과부하방지장치는 종래의 특허등록 제0208861(1999.04.19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로드셀을 통하여 하중을 감지하였다.
또한 종래의 특허등록 제652917호(2006.11.24 등록)에서 제안된 리프트는 리프트의 승하강시에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하중을 로드셀로 감지하여 승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프트는 승하강시에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와 물품의 전체 하중에 따라서 속도와 안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의 리프트는 작업대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로드셀을 설치함에 따라서 제조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가의 비용으로 리프트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초과하중의 감지시에 작업자에게 경고가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음성으로서 초과하중을 경고할 수 있는 리프트 하중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압에 의하여 작업대를 승 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를 구비하는 리프팅부;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분기하여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분기관; 상기 작업대의 하중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센서;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으로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 감지신호의 레벨에 비례되는 하중과 설정된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의 과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의 과적 및 기울어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음향메세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리프트의 전후좌우측 방향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방향을 표시하는 경고등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리프팅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작업판넬에서 하나 이상이 직립되도록 고정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 상기 작업대의 입구 양측에 직립된 수직바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1안전봉; 상기 제1안전봉의 하단에서 상기 양측의 수직바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안전봉; 상기 양측의 수직바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2안전봉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된 중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 및 상기 제2안전봉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삽입단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연통삽입하여 상기 제2안전봉을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중 어느 하나는 상기 경고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봉은 내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슬라이딩블럭; 및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일측과 타측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에 각각 체결되는 일측봉과 타측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바는 일측의 수직바에 고정되어 끝단에서 상기 삽입단이 돌출되는 제1고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바는 타측의 수직바에서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끝단에서 상기 삽입단이 돌출되는 제2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유압의 분기제어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리프트에서 승하강에 관계된 리프트 실린더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유압을 측정하여 작업대의 하중을 감지함에 따라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성으로서 초과하중 및 감지하중을 출력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하중관련 정보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작업대의 안전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안전봉의 A-A'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안전봉의 B-B'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안전봉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는 작업대(90)와, 유압에 의해 상기 작업대(90)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팅부(10)와, 상기 작업대(90)에서 리프팅부(10)의 승하강 명령을 출력하는 조작패널(20)과, 리프트의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30)와, 상기 작업대(90)의 하중 및 기울임을 감지하는 센서부(40)와, 상기 리프트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이동부(50)와, 상기 작업대(90)의 초과하중을 경보하는 경보부(60)와, 상기 작업대(90)의 하중을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70)와, 상기 조작패널(20)의 조작신호에 따라서 리프팅부(10)와 이동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4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부(60) 및 디스플레이(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부(10)는 상기 이동부(50)의 상단에서 형성된 받침대(12)의 상측에 고정 및 연결되는 다 수개의 지지바(11)가 가위형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90)를 승하강 시킨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부(10)는 유압방식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9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리프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임센서(42)와, 작업대(90)의 하중을 감지하는 유압센서(41)를 포함한다.
상기 기울임센서(42)는 상기 리프트가 이동중에 기울어지거나 충돌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상기 기울임센서(42)는 상기 리프팅부(10)의 받침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부(50)의 전후 좌우측에서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기울림센서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유압센서(41)는 상기 리프팅부(10)가 작업대(90)를 승하강시킬 때 출력되는 유압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작업대(90)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즉, 상기 유압센서(41)는 상기 작업대(90)의 하중에 따라서 변화되는 유압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유압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프트는 유압펌프(14)에서 발생된 유압을 분기제어함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분기관(16)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압펌프(14)에서 출력되는 전체 유압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리프트의 승하강에 관계된 리프트 실린더(17)에 연결되는 분기관(16)의 유압을 측정하여 작업대의 하중을 감지함에 따라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50)는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과 회전 가능한 바퀴(51)와,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축(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바퀴(51)를 구동시키는 동력기관을 수용하는 트레이(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기관은 전기모터 또는 가솔린에 의한 동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바퀴(51)의 회전방향 또는 조향축(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리프트의 이동방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조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부(6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하여 기울어짐과 충돌 및 작업대(90)의 과적하중을 경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보부(60)는 음성메세지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61)와, 발광하는 경고등(62)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61)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하여 과적하중과 기울어짐 및/또는 충돌여부를 음성메세지(예를 들면, 과적하중입니다. 좌측으로 기울어졌습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음향으로서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음성메세지 및 음향은 상기 제어부(80) 또는 별도의 저장장치에서 음성파일로서 저장된다.
상기 경고등(62)은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조명등으로서 과적하중과 기울림 및 충돌시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경고등(62)은 상기 리프트의 전진과 후진 및 좌우 회전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여 주변의 사람들에게 이동방향을 경고한다.
상기 조작패넬(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9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이동부(50)의 이동 및 리프팅부(10)의 승하강 명령어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70)는 상기 조작패널(20)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하여 작업대(90)의 하중을 수치로서 출력하거나 과적 및 충돌 그리고 리프트의 이동방향을 표시하여 출력한다. 이는 상기 작업대(90)에 승차한 작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70)만을 확인하여 리프트의 이동과 회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하중과 기울어짐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작패널(20)에서 인가되는 조작명령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13) 사이의 전원라인을 스위칭하여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센서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경보부(60)를 제어하여 과적하중과 기울어짐 및 충돌여부를 경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작패널(20)에서 인가되는 이동부(50)의 제어신호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시에 각각의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상기 경고등(62)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디스플레이(70)를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40)의 감지신호에 따른 기울어짐, 충돌여부, 과적하중을 출력하고, 상기 이동부(50)의 이동방향과 회전방향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이동부(50)의 바퀴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유압센서(41)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의 레벨에 비례된 하중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유압센서(41)의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유압센서(41)의 감지레벨에 비례되는 하중을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0)와 스피커(61)를 제어하여 하중을 표시하거나 과적하중을 경보한다.
상기 작업대(90)는 상기 지지바(11)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작업판넬(91)과, 상기 작업판넬(91)의 테두리에서 다 수개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바(92)와, 상기 수직바(92)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바(9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90)는 일측에서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통한 작업자의 안전를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수직바(92)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안전봉(94)과, 상기 제1안전봉(94)의 하단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된 제2안전봉(95)과, 상기 제2안전봉(95)이 체결되는 고정바와, 상기 제2안전봉(95)과 고정바를 고정시키는 고정핀(97)과, 상기 수직바(92) 또는 수평바(93)에 고정된 공구함(99)을 더 포함한다. 도 3의 작업대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조작패널을 생략한 도면이다.
상기 제1안전봉(94)은 입구 양측의 수직바(92)에 수평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안전봉(94)은 동업종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제1안전봉(94)은 외면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경고등(6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안전봉(95)은 작업대(90)에서 상기 제1안전봉(94)의 높이보다 적은 높이를 갖는 공구나 박스 및 자재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90)에 고정되는 공구함(99) 외에 작업대(90)에 고정되지 않은 독립된 구성의 공구박스를 소지하여 탑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기 공구박스는 상기 제1안전봉(94)에 비하여 낮은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중에 작업대에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2안전봉(95)을 양측의 수직바(92)에 고정핀(97)으로 고정시켜 공구박스가 고소작업중에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안전봉(95)과 고정바(96, 98) 및 고정핀(97)은 하기의 도 4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작업대(90)의 안전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A-A'단면도, 도 5b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에서 안전봉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97)은 입구 양측에 직립된 수직바(92, 92')에 각각 철사나 체인 또는 줄(971)에 의하여 연결 및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96, 98)에 체결된 제2안전봉(95)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바(96, 98)는 일측의 수직바(92)에 고정되어 상기 제2안전봉(95)의 한쪽 끝단에 상기 고정핀(97)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바(96)와, 상기 입구의 타측 수직바(92')에 고정되는 제2고정바(98)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바(96)는 상기 입구 일측의 수직바(92)에서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블럭(962)과, 상기 제1고정블럭(962)에서 상기 제2안전봉(95)의 내측 중공(951a)으로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1삽입단(961)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바(98)는 상기 입구 타측의 수직바(92')에서 수평으로 고정되되, 상하로 회전되는 힌지(981)와, 힌지(981)에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블럭(982)과, 상기 제2고정블럭(982)의 선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안전봉(9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삽입단(98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단(961)과 제2삽입단(983)은 후술되는 제2안전봉(95)의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에 각각 관통형성된 제1관통공(954)에 일치되는 제2관통공(961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바(96)의 제1삽입단(961)은 상기 제2안전봉(95)의 일측봉(952)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952a)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단(983)은 상기 제2안전봉(95)의 타측봉(951)에 형성되는 중공(951a)에 삽입된다.
상기 제2안전봉(95)은 일측 끝단에서 상기 제1삽입단(961)이 삽입되도록 중공(952a)이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봉(952)과, 상기 제2삽입단(983)이 삽입되도록 중공(951a)이 형성되어 타방향으로 연장된 타측봉(951)과,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이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블럭(953)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953)의 내측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제1고정바(96)와 제2고정바(98)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고정핀(97)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은 외면에서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핀(97)이 삽입되는 제1관통공(954)을 각각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삽입단(961)과 제2삽입단(983)은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에 각각 형성되는 제1관통공(954)에 일치되는 제2관통공(961a)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블럭(953)은 내측에서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이 슬라이딩 되도록 내측이 중공형성되고,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의 외면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951b, 952b)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953a)이 형성되고, 양 끝단에서 각각 하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951b, 952b)가 걸림되어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이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인출입될 수 있도록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걸림돌기(953b)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돌기(951b, 952b)는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이 상기 슬라이등블럭의 양측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전체 길이가 상기 입구측의 거리와 일치되도록 그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블럭(953)은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 상기 일측봉(952)과 타측봉(951)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일정길이 이상 인출되면 걸림되어 저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그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 작업대(90)에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자재를 탑재하고 승차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작업대(90)의 입구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안전봉(94)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공구나 자재가 작업대(90)에 탑재되었다면, 작업도중에 작업대(90) 밖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94)의 하측에서 제2안전봉(95)을 입구 양측의 수직바(92, 92')에 각각 체결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상기 제2고정바(98)의 제2고정블럭(982)을 상향시킨 뒤에 상기 제2고정블럭(982)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단(983)을 직립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2삽입단(983)과 상기 타측봉(951)의 중공(951a)의 위치를 일치시킨 뒤에 상기 제2안전봉(95)을 하강시켜 상기 제2삽입단(983)이 상기 타측봉(951)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타측봉(951)의 제1관통공(954)과 제2삽입단(983)의 제2관통공(961a)이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타측의 수직바(92')에 연결되는 고정핀(97)을 연통시켜 상기 제2안전봉(95)의 타측봉(951)을 상기 제2고정바(98)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2안전봉(95)이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2안전봉(95)은 상기 제2고정바(98)에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제2고정블럭(982)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슬라이딩블럭(953)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봉(952)을 인출시켜 상기 제1고정바(96)의 제1삽입단(961)이 상기 일측봉(952)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일측봉(952)의 제1관통공(954)과 상기 제1삽입단(961)의 제2관통공(961a)을 일치시킨 뒤에 일측 수직바(92)에 줄(971)로서 고정된 고정핀(97)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1안전봉(94)의 하측에 제2안전봉(95)을 추가로 조립할 수 있어 제1안전봉(9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공구나 자재가 낙하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작업대(90)에서 상기 조작패널(20)을 조작하여 리프트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작패널(20)에서 인가되는 명령어를 통하여 이동부(50)를 구동시켜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기울임센서(42)는 상기 리프트의 이동중에 발생되는 충돌이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상기 조향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바퀴의 이동 및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기울림센서(4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충돌이나 기울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70)를 통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향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부(50)의 이동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0)에서 이동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경고등(62)을 구동시켜 방향별로 설정된 색상으로 발광시켜 주변의 사람들에게 상기 리프트의 이동방향을 경고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조작패널(20)을 조작하여 상기 리프트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뒤에 상기 리프팅부(10)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작패널(20)의 조작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배터리(30)와 모터(13) 사이의 전원라인을 스위칭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3)는 상기 유압펌프(14)를 구동시키고, 상기 유압밸브(15)는 상기 조작패널에서 인가된 명령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실린더(17)에 연결되는 분기관(16)을 개방시켜 상기 유압펌프(14)에서 발생된 유압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리프트실린더(17)가 구동됨에 따라서 승강된다.
이때 상기 유압센서(41)는 상기 리프팅부(10)의 구동시에 상기 리프트실린더(17)에 연결되는 분기관(16)의 유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유압센서(4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그 감지신호의 레벨에 비례되는 하중을 확인하여 설정된 하중과 비교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유압센서(41)의 감지신호를 설정된 과적 기준과 비교하여 과적기준에 해당 되면 상기 경보부(60)를 구동시켜 작업대(90)에 승차한 작업자 및 주변의 관리자에게 경보한다. 이때 상기 경보부(60)는 스피커(61)를 통하여 음성메세지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등(62)을 발광시켜 상기 작업대(90)의 과적을 경보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등(62)은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과적을 경고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음성메세지 또는 음향신호와 경고등(62)의 발광신호에 의하여 과적상태임을 인지하여, 상기 리프팅부(10)의 승강을 중단하고 작업대(90)의 하중을 감소시킨 뒤에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저가의 유압센서(41)로서 작업대(90)의 과적하중을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음성메세지 및 음향으로서 과적하중을 경고하기에 저가의 비용으로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리프팅부 11 : 지지바
12 : 받침대 13 : 모터
14 : 유압펌프 15 : 유압밸브
16 : 분기관 17 : 리프트실린더
20 : 조작패널 30 : 배터리
40 : 센서부 41 : 기울림센서
42 : 유압센서 50 : 이동부
60 : 경보부 61 : 스피커
62 : 경고등 70 : 디스플레이
80 : 제어부 90 : 작업대
91 : 작업판넬 92 : 수직바
93 : 수평바 94 : 제1안전봉
95 : 제2안전봉 96 : 제1고정바
97 : 고정핀 98 : 제2고정바
951 : 타측봉 952 : 일측봉
953 : 슬라이딩블럭 954 : 제1관통공
961 : 제1삽입단 962 : 제1고정블럭
981 : 힌지 982 : 제2고정블럭
983 : 제2삽입단

Claims (5)

  1. 유압에 의하여 작업대를 승 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를 구비하는 리프팅부;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분기하여 상기 리프트 실린더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분기관;
    상기 작업대의 하중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센서;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으로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분기관의 유압 감지신호의 레벨에 비례되는 하중과 설정된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의 과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의 과적 및 기울어짐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음향메세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리프트의 전후좌우측 방향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방향을 표시하는 경고등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리프팅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작업판넬에서 하나 이상이 직립되도록 고정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
    상기 작업대의 입구 양측에 직립된 수직바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1안전봉;
    상기 제1안전봉의 하단에서 상기 양측의 수직바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안전봉;
    상기 양측의 수직바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2안전봉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된 중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을 각각 구비하는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 및
    상기 제2안전봉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삽입단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연통삽입하여 상기 제2안전봉을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중 어느 하나는 상기 경고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봉은
    내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슬라이딩블럭; 및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일측과 타측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제2고정바에 각각 체결되는 일측봉과 타측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바는 일측의 수직바에 고정되어 끝단에서 상기 삽입단이 돌출되는 제1고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바는 타측의 수직바에서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끝단에서 상기 삽입단이 돌출되는 제2고정블럭을 포함하는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KR2020140000787U 2014-02-04 2014-02-04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KR200479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87U KR200479074Y1 (ko) 2014-02-04 2014-02-04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87U KR200479074Y1 (ko) 2014-02-04 2014-02-04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59U KR20150003059U (ko) 2015-08-12
KR200479074Y1 true KR200479074Y1 (ko) 2015-12-15

Family

ID=5401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87U KR200479074Y1 (ko) 2014-02-04 2014-02-04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1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95A (ja) * 1998-08-28 2000-03-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JP2007099439A (ja) * 2005-10-04 2007-04-19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95A (ja) * 1998-08-28 2000-03-0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JP2007099439A (ja) * 2005-10-04 2007-04-19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1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KR102528236B1 (ko) 2019-02-18 202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59U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724B1 (ko)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한 고소작업장치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20170090375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KR101667569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693619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KR20080039329A (ko) 고소작업차
JP2010255377A (ja) 機械式駐車装置に入庫する車両のはみ出し部検知方法及び装置
KR200479074Y1 (ko)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KR101695723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JP2009040553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フォーク昇降制御装置
KR102160374B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기울어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 틸팅 안전장치
JP2020007143A (ja) 移動式クレーン
KR20140110406A (ko) 고소작업대
JP6041601B2 (ja) 高所作業車
JPH06271245A (ja) 工事用昇降装置の搬器
CN211109753U (zh) 工件料框的缓存机构
JP5859776B2 (ja) 立体駐車装置
JP2015155338A (ja)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時の安全装置
KR20210001402A (ko)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JP4329026B2 (ja) 物品移載装置
JP5822650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安定度測定方法
JP2003040596A (ja) オーダーピッキング車
JP4329027B2 (ja) 昇降式の物品移載装置
KR20180130963A (ko) 크레인 차량의 안전 주행 방법
JP2005212996A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