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41Y1 - 자동차의 핸들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핸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41Y1
KR200478141Y1 KR2020140002988U KR20140002988U KR200478141Y1 KR 200478141 Y1 KR200478141 Y1 KR 200478141Y1 KR 2020140002988 U KR2020140002988 U KR 2020140002988U KR 20140002988 U KR20140002988 U KR 20140002988U KR 200478141 Y1 KR200478141 Y1 KR 200478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unit cover
unit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to KR2020140002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 작동 시의 슬립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한 핸들의 감촉을 제공할 수 있는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커버의 폭방향으로 분할한 복수 개의 단위 커버를 봉제선 등으로 결합하여 핸들을 감쌀 수 있는 호(弧) 형태로 조합한 새로운 핸들커버를 구현함으로써, 두께가 얇아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그립감 및 핸들과의 양호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착 작업이나 탈거 작업을 용이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들그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핸들커버{Handle cov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 작동 시의 슬립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한 핸들의 감촉을 제공할 수 있는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핸들에는 기본적으로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 등과 같은 외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핸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 및 마모되어 제 구실을 못하거나 색이 변색되면서 외관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 운전자들은 자동차 구매 후 곧바로 또는 노후된 상태에서 핸들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핸들커버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들커버는 핸들 작동의 슬립 등을 방지하며, 핸들의 감촉을 양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통 핸들커버는 내피를 형성하는 "C" 자 형태로 제조된 고무링과, 이 고무링의 내피에 씌워져 재봉되면서 외피를 형성하는 가죽 원단이나 합성수지 원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들커버는 한국공개특허 10-2013-0140405호, 한국공개특허 10-2009-0080856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겨울철 운행 시에는 핸들이 차갑기 때문에 핸들을 가열하여 운전자의 손을 따뜻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고급사양의 자동차 핸들에는 열선이 구비되어 겨울철 운행 시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열선이 갖추어져 있는 핸들은 한국공개특허 10-2012-010973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커버, 즉 고무링과 외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핸들커버를 열선이 구비되어 있는 핸들에 적용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핸들커버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떨어지면서 운전자가 느끼는 따뜻한 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무링 등으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진 기존 핸들커버의 경우 그립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착 및 탈거 시에도 힘이 많이 드는 등 교체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고무링을 제거하고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제작한 형태의 핸들커버가 일부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핸들의 곡면에 맞게 성형하기가 쉽지 않아 밀착성이 떨어지고, 끈으로 묶어서 마감하는 일부 가죽 제품의 경우에는 핸들과의 밀착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장착 작업이나 탈거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커버의 폭방향으로 분할한 복수 개의 단위 커버를 봉제선 등으로 결합하여 핸들을 감쌀 수 있는 호(弧) 형태로 조합한 새로운 핸들커버를 구현함으로써, 두께가 얇아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그립감 및 핸들과의 양호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착 작업이나 탈거 작업을 용이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들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자동차의 핸들커버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핸들을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커버 폭방향으로 분할한 띠 모양의 복수 개의 단위 커버를 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단위 커버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간의 연접부위가 함께 결합됨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단위 커버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호(弧)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원 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커버는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면 단위 커버와, 직선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원형을 이루면서 양단부가 서로 결합된 측면 단위 커버와,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하면 단위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단위 커버, 측면 단위 커버 및 하면 단위 커버는 원형을 이루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간의 연접부위가 함께 결합됨과 더불어 측면 단위 커버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단위 커버는 박음질이나 접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또 상기 각 단위 커버의 소재로는 천연 가죽 원단, 인조 가죽 원단, 합성수지 원단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 커버의 단부 결합부위는 마감편에 의해 감싸여져 단부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상기 각 단위 커버는 커버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다수 개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가죽 원단이나 합성수지 원단 자체로 이루어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열선이 갖추어져 있는 핸들에 적용 시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핸들에 장착 시 밀착성을 향상에 따른 우수한 그립감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가죽 원이나 합성수지 원단 자체가 가지는 유연성을 이용하여 장착 작업 및 탈거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다.
셋째, 복수 개의 단위 커버, 예를 들면 3개의 단위 커버를 박음질 등을 이용한 봉제선 등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핸들의 곡면 형상에 상응하는 호(弧)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등 단일 가죽 원단이나 합성수지 원단만으로도 벌어짐이나 들뜸없이 핸들에 꼭맞게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결합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커버는 복수 개의 단위 커버(10)를 조합한 형태로서, 각각의 단위 커버(10)는 커버 폭방향을 따라(호 형상의 단면 길이방향을 따라) 2등분, 3등분, 4등분 등으로 분할된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단위 커버(10)는 원형을 이루는 커버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단위 커버(10) 간의 연접부위는 박음질 또는 접착식 등으로 함께 결합되며, 이와 더불어 적어도 1개의 단위 커버(10), 예를 들면 후술하는 측면 단위 커버(10b)의 양쪽 단부도 서로 접한 상태에서 함께 박음질 또는 접착식 등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각각의 단위 커버(10)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길이방향 봉제선(11)과 어느 하나의 단위 커버(10)의 단부 연결을 위한 커버 폭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폭방향 봉제선(12)에 의해 하나의 일체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커버(10)는 길이방향 봉제선(11)과 폭방향 봉제선(12)에 의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호(弧) 형태의 단면, 예를 들면 "ㄷ"자 형태나 "C"자 형태 등의 단면을 가짐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이루면서 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커버(10)는 천연 가죽 원단, 인조 가죽 원단, 합성수지 원단 등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띠 모양 단위 커버(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핸들커버의 일 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핸드커버는 3개의 띠 모양의 단위 커버(10)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면 단위 커버(10a), 직선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측면 단위 커버(10b) 및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면 단위 커버(10c)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는 이음매가 없는, 다시 말해 단부가 없는 하나의 일체형 원형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직선의 측면 단위 커버(10b) 또한 상면 단위 커버(10a) 및 하면 단위 커버(10c)와 같은 직경, 예를 들면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의 외측 원주둘레가 이루는 직경과 같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을 이루면서 양단부가 서로 맞댄 상태에서 박음질이나 접착식 등에 의한 폭방향 봉제선(12)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원형을 이루는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는 일측에 끊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이 가지고 있는 양단부가 서로 맞댄 상태에서 박음질이나 접착식 등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모양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윗쪽의 상면 단위 커버(10a)와 아래쪽의 하면 단위 커버(10c) 사이에 측면 단위 커버(10b)가 폭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함과 더불어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와 접하면서 원형을 이루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간의 연접부위가 박음질이나 접착식 등에 의한 길이방향 봉제선(11)으로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 그리고 측면 단위 커버(10b)는 길이방향 봉제선(11)과 폭방향 봉제선(12)에 의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ㄷ"자 형태나 "C"자 형태 등과 같은 호(弧)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이루며 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단위 커버(10b)의 각 양단부 결합부위는 마감편(13)에 의해 그 바깥면이 폭방향을 따라 감싸여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단위 커버의 단부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깨끗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편(13)은 상면 단위 커버(10a) 및 하면 단위 커버(10c)도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의 마감편(13)은 박음질이나 접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단위 커버(10), 즉 상면 단위 커버(10a), 하면 단위 커버(10c) 및 측면 단위 커버(10b)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다수 개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원형의 띠 모양을 이루는 상면 단위 커버(10a) 및 하면 단위 커버(10c), 그리고 직선형의 띠 모양을 이루는 측면 단위 커버(10b)를 커버 길이방향으로 2등분이나 3등분, 또는 4등분 등으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한 각 단위 커버의 분할 라인을 박음질이나 접착식 등으로 결합하여, 하나로 이어진 원형의 띠 모양이나 직선형의 띠 모양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 길이방향의 분할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 그리고 측면 단위 커버(10b)도 길이방향 봉제선(11)과 폭방향 봉제선(12)에 의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ㄷ"자 형태나 "C"자 형태 등과 같은 호(弧)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이루며 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커버(10), 예를 들면 상면 단위 커버(10a)와 하면 단위 커버(10c), 그리고 측면 단위 커버(10b)로 이루어진 핸들커버(200)는 핸들(100)의 둘레면에 씌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핸들커버(200)는 핸들(100)의 내측 일부를 제외한 바깥면 전체 둘레를 커버하면서 씌워지게 되고, 특히 단일 원단 소재가 발휘하는 유연성 및 폭방향으로 분할한 각 단위 커버가 이루는 호 형태의 단면 형상에 의해 핸들(100)의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벌어짐이나 들뜸없이 핸들에 꼭맞게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 뛰어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열선이 갖추어져 있는 핸들에 적용 시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겨울철 운행 시 운전자에게 만족할만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10 : 단위 커버
10a : 상면 단위 커버
10b : 측면 단위 커버
10c : 하면 단위 커버
11 : 길이방향 봉제선
12 : 폭방향 봉제선
13 : 마감편

Claims (6)

  1. 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핸들을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커버 폭방향으로 분할한 띠 모양의 복수 개의 단위 커버를 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단위 커버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간의 연접부위가 함께 결합됨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단위 커버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호(弧)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원 형상을 이루되,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커버는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면 단위 커버와, 직선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원형을 이루면서 양단부가 서로 결합된 측면 단위 커버와, 원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하면 단위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단위 커버, 측면 단위 커버 및 하면 단위 커버는 원형을 이루는 커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간의 연접부위가 함께 박음질이나 접착식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측면 단위 커버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면 단위 커버와 하면 단위 커버, 그리고 측면 단위 커버로 이루어진 핸들커버를 핸들의 둘레면에 씌운 상태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커버는 천연 가죽 원단, 인조 가죽 원단, 합성수지 원단 중의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단위 커버의 단부 결합부위는 마감편에 의해 감싸여져 단부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커버는 커버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다수 개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들커버.
KR2020140002988U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핸들커버 KR200478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88U KR200478141Y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핸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88U KR200478141Y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핸들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41Y1 true KR200478141Y1 (ko) 2015-09-03

Family

ID=5434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88U KR200478141Y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핸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4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6573A1 (en) * 2010-12-17 2013-10-24 Daniel Henning Method for producing a steering wheel and covering for covering a steering wheel rim of a steering wheel
KR101365016B1 (ko) 2013-03-13 2014-02-20 이성훈 핸들커버의 제조방법 및 핸들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6573A1 (en) * 2010-12-17 2013-10-24 Daniel Henning Method for producing a steering wheel and covering for covering a steering wheel rim of a steering wheel
KR101365016B1 (ko) 2013-03-13 2014-02-20 이성훈 핸들커버의 제조방법 및 핸들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5396A1 (ja) バッグの提げ手の構造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US20140033392A1 (en) Welder's glove
JP4543438B2 (ja) 厨房用ハンドプロテクタ
CA2674947C (en) Waterproof glove having a simplified structure
KR101307670B1 (ko) 교체 가능한 부분 핸들커버를 갖춘 자동차 핸들커버
KR200478141Y1 (ko) 자동차의 핸들커버
US20040173046A1 (en) Hand guard
KR200383587Y1 (ko) 표면에 봉제선이 표출되지 않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US6553571B1 (en) Baseball glove with finger wrap
JP688616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カバー
KR100891715B1 (ko) 미끄럼 방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핸들커버와 기어봉커버
JP3218270U (ja) 雨カッパ
KR101683370B1 (ko) 차량용 핸들커버
JP3076241U (ja) 自動車のハンドルカバー
CN216783612U (zh) 一种方向盘套
KR20110001163U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KR200464500Y1 (ko)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KR200404935Y1 (ko) 자동차 핸들커버
ITVR20100126A1 (it) Protezione rimovibile per una struttura di supporto per il corpo umano
KR101786354B1 (ko) 원통형상이 유지되는 핸들커버
JP3181533U (ja) 養生用車カバー
KR20080006018U (ko) 사이즈 조절형 자동차 핸들커버
KR20080000767U (ko) 봉재선이 감추어진 자동차 핸들커버
JP3203752U (ja) 自動車用マイハンドルカバー
JP6727242B2 (ja) アーム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