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00Y1 -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00Y1
KR200464500Y1 KR2020110005378U KR20110005378U KR200464500Y1 KR 200464500 Y1 KR200464500 Y1 KR 200464500Y1 KR 2020110005378 U KR2020110005378 U KR 2020110005378U KR 20110005378 U KR20110005378 U KR 20110005378U KR 200464500 Y1 KR200464500 Y1 KR 200464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circumferential
handle cover
recess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844U (ko
Inventor
민경훈
Original Assignee
민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훈 filed Critical 민경훈
Priority to KR2020110005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0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3Over-mou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 둘레에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에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그립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는, 신축성을 가진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 돌출턱에 의해 함몰면이 형성된 내측커버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A handle cove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둘레에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에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그립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핸들커버는, 핸들의 조향시 손에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하여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핸들 둘레의 전체를 감싸는 원형링 형상의 핸들커버와, 핸들을 잡는 손 부분만을 커버하는 부분 핸들커버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부분 핸들커버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에 알려진 부분 핸들커버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11063호의 "자동차 핸들커버"가 공개되어 있다.
종래의 핸들커버는, 밀착성을 보유한 러버시트를 소재로 한 내피와 천연피혁 및 합성피혁 또는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러버시트를 소재로 한 외피로 형성되며 양끝에 스판밴드를 각각 봉제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내피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외피의 일측에는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의 벨크로테이프끼리 상호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커버는, 자동차 핸들의 일측 또는 양측에 한 개 또는 다수 개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핸들커버를 핸들에 장착할 경우에는, 핸들커버를 펼친 상태에서 핸들 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내피의 일측과 외피의 일측에 구비된 밸크로테이프를 상호 붙이는 과정을 통해 핸들에 장착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들커버는, 밸크로 테이프의 부착부분이 이중으로 겹치게 됨으로써 손으로 벨크로테이프를 잡을 경우에는, 벨크로테이프의 돌출된 부착 부분으로 인하여 그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벨크로테이프의 부착을 통해 핸들의 림에 핸들커버를 장착함에 따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는 벨크로테이프의 부착력이 상실됨으로써, 주행 중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에서 이탈되어 대형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외피를 피혁 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러버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주행중 손에서 발생되는 땀이 쉽게 차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 둘레에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핸들 커버를 핸들의 림에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을 가진 내측커버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외측커버로 구성된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본재로 구성된 외측커버의 외주면에 수지 코팅층을 더 구비하여 손과의 흡착성을 향상시켜 보다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커버의 외측둘레의 길이를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전,후방에 경사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핸들커버를 손으로 쥘 경우에 손바닥 면이 핸들커버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커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턱과 함몰면이 만나는 경계에 길이방향으로 외측커버의 둘레 개방부의 상,하 단부가 삽입되는 함몰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주행 중 핸들의 조작 시 외측커버가 헛도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커버의 내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출대를 구비함으로써, 주행 중 핸들의 조작시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에서 헛도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축성을 가진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 돌출턱에 의해 함몰면이 형성된 내측커버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본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는, 외주면에 흡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팅된 수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는, 내측 둘레의 원호길이보다 외측 둘레의 원호길이가 길게 되도록 전,후방에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내측커버의 함몰면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에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는, 내면인 둘레 개방부 안쪽의 상,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돌출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면은, 상기 내측커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턱과 만나는 경계부에 길이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커버 내면의 둘레 개방부의 안쪽에 상,하로 형성된 삽입 돌출턱이 삽입되는 함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몰면은, 전,후방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밀착면과, 전,후방의 밀착면의 사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중간 밀착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는, 내주면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대와, 상기 양측 단부의 돌출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돌출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내측 둘레에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핸들 커버를 핸들의 림에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그립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성을 가진 내측커버와 내측커버를 감싸며 탄성 복원력을 가진 외측커버로 구성된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에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외측커버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주행 중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카본재로 구성된 외측커버의 외주면에 수지 코팅층을 더 구비하여 손과의 흡착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손의 미끄럼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수지 코팅층을 통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핸들커버의 외측둘레의 길이가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길게 전,후방에 경사부 더 구비함에 따라, 핸들커버를 손으로 쥘 경우에 손바닥 면이 핸들커버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킨 핸들커버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주행중 외측커버가 헛도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안전성을 좀더 향상시킨 핸들커버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내측커버의 내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출대를 구비하여 주행중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에서 헛도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킨 핸들커버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내측커버를 펼쳐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는, 핸들을 구성하는 림(103)의 양측이나 한쪽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는, 신축성을 가진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 돌출턱(13)에 의해 함몰면(12)이 형성된 내측커버(1)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면(12)을 감싸며 구비되는 외측커버(2)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커버(1)와 외측커버(2)로 구성된 핸들커버는, 부분 핸들커버로서 한손으로 쥘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핸들커버가 장착되는 상기 핸들은, 조향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허브(101)와, 상기 허브(10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수 개의 스포크(102), 및 상기 각 스포크(102)를 원형상으로 연결하는 림(103)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내측커버를 펼쳐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내측커버(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수지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신축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둘레 개방부(1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둘레 돌출턱(13)에 의해 함몰면(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둘레 돌출턱(13)은, 내측커버(1)의 외주면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커버(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외측커버(2)가 함몰면(12)에 밀착될 경우에는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함몰면(12)은, 상기 외측커버(2)의 내면이 밀착되게 형성된 것으로, 전,후방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밀착면(121)과, 전,후방의 밀착면(121)의 사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중간 밀착면(1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착면(121)들과 중간 밀착면(122)들의 외면은 함몰면(12)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커버(2)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 중 핸들커버를 잡은 상태에서 약간의 쿠션을 주게 됨에 따라 그립감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내측커버(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의 상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대(16)와, 상기 상하 단부의 돌출대(16)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돌출대(17)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내측커버(1)의 내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출대(16)와 중간 돌출대(17)를 구비함에 따라, 주행 중 핸들의 조작 시 내측커버(1)를 포함하는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103)에서 헛도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외측커버(2)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를 유지하면서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둘레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커버(1)의 함몰면(12)을 감싸며 구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외측커버(2)는, 카본재로 구성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측커버(1)의 함몰면(12)을 감싸면서 핸들의 림(103)에 장착될 경우에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내측커버(1)와 함께 핸들 림(103)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눌러줌으로써,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이 없이 핸들의 림(10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내측 둘레에 별도의 연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핸들 커버를 핸들의 림에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핸들커버의 그립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외측커버(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커버(2)의 외면에 수지 코팅층(22)이 더 코팅됨으로써, 손바닥 면과의 흡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지 코팅층(22)을 통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행 중 핸들의 조작시 손이 외측커버(2)의 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커버(1)는, 내측 둘레의 원호길이보다 외측 둘레의 원호길이가 길게 되도록 전,후방에 형성된 경사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버(2)는, 상기 내측커버(1)의 함몰면(12)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에 상기 경사부(14)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형성된 경사부(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4)(23)를 통해 핸들커버의 내측 둘레가 좁고 외측 둘레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핸들커버를 손으로 쥘 경우에 손바닥 면이 핸들커버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손바닥 면과 핸들커버의 밀착면적을 확장시켜 좀 더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커버(2)는, 내면인 둘레 개방부(21) 안쪽의 상,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돌출턱(211)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면(12)은, 상기 내측커버(1)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턱(13)과 만나는 경계부에 길이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커버(2) 내면의 둘레 개방부(21)의 안쪽에 상,하로 형성된 삽입 돌출턱(211)이 삽입되는 함몰홈(15)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함몰홈(15)에는 상기 외측커버(2) 내면인 둘레 개방부(21)의 안쪽에 상,하로 형성된 삽입 돌출턱(211)이 삽입됨으로써, 주행중 핸들의 조작 시 외측커버(2)가 헛도는 것을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할 경우에는, 내측커버(1)의 외주연에 형성된 함몰면(12)에 외측커버(2)를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외측커버(2) 내면인 둘레 개방부(21)의 안쪽에 상,하로 형성된 삽입 돌출턱(211)을 상기 함몰면(12)의 내측에 형성된 상,하 함몰홈(15)에 끼운다.
다음 외측커버(2)가 내측커버(1)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커버(1)의 내측에 형성된 둘레 개방부(11)의 상,하 폭을 넓혀 내측커버(1)와 외측커버(2)의 직경을 확장시키면서, 내측커버(1)를 핸들의 림(103)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한 후, 내측커버(1)의 둘레 개방부(11)의 넓힘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외측커버(2)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외측커버(2)의 직경이 좁아들게 되며, 이와 더불어 외측커버(2) 내측의 둘레 개방부(21)와 내측커버(1) 내측의 둘레 개방부(11)의 상,하폭이 좁아들게 됨으로써,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103)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신축성을 가진 내측커버(1)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외측커버(2)로 구성된 핸들커버를 핸들의 림(103)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외측커버(2)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주행중 핸들커버가 핸들의 림(103)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내측커버
11 : 둘레 개방부
12 : 함몰면
121 : 밀착면, 122 : 중간 밀착면
13 : 둘레 돌출턱
14 : 경사부
15 : 함몰홈
16 : 돌출대
17 : 중간 돌출대
2 : 외측커버
21 : 둘레 개방부
211 : 삽입 돌출턱
22 : 수지 코팅층
23 : 경사부

Claims (3)

  1. 신축성을 가진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 돌출턱(13)에 의해 함몰면(12)이 형성되어 지되, 내측둘레의 원호길이보다 외측둘레의 원호길이가 길게 되도록 전·후방에 경사부(14)가 형성된 내측커버(1)와;
    형상을 유지하려는 강도와 탄성 복원력을 갖출수 있도록 카본재로 성형된 원호형의 관으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둘레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면(12)을 감싸며 구비되어 지되, 상기 내측커버(1)의 함몰면(12)을 감싸며 장착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내측커버(1)의 경사부(14)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경사부(23)가 형성된 외측커버(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2)는 외주면에 흡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지 코팅층(22)을 갖추고, 둘레 개방부(21)의 내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돌출턱(2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1)는 그 외주면을 이루는 함몰면(12)에 외측커버(2)가 결합될 때 외측커버(2)의 둘레 개방부(21)에 형성된 삽입돌출턱(211)이 끼워지는 함몰홈(15)이 내측커버(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면(12)의 전후방에는 밀착면(121)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전후방의 밀착면(121) 사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중간밀착면(122)이 형성되며, 내측커버(1)의 길이방향으로 내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대(16)가 상하로 형성되어지되, 상하로 형성된 돌출대(16)의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돌출대(17)가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KR2020110005378U 2011-06-16 2011-06-16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KR200464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78U KR200464500Y1 (ko) 2011-06-16 2011-06-16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78U KR200464500Y1 (ko) 2011-06-16 2011-06-16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44U KR20120008844U (ko) 2012-12-27
KR200464500Y1 true KR200464500Y1 (ko) 2013-01-08

Family

ID=5367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378U KR200464500Y1 (ko) 2011-06-16 2011-06-16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70B1 (ko) 2012-08-08 2013-09-12 김범수 교체 가능한 부분 핸들커버를 갖춘 자동차 핸들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63U (ko) * 2008-04-25 2009-10-29 박용봉 자동차 핸들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63U (ko) * 2008-04-25 2009-10-29 박용봉 자동차 핸들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70B1 (ko) 2012-08-08 2013-09-12 김범수 교체 가능한 부분 핸들커버를 갖춘 자동차 핸들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44U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532B2 (en) Spoked wheel for a bicycle
KR200464500Y1 (ko) 차량용 부분 핸들커버
US20130264791A1 (en) Hand rim for propelling a wheelchair
JP688616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カバー
JP3173002U (ja) 自動車用ハンドルカバー
KR20140005829U (ko) 차량용 휠의 림 보호구
JP200828502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159746U (ja) 自動車用ハンドルカバー
JP3161191U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自転車用車輪
US2952491A (en) Wheel cover
US2970009A (en) Wheel cover
US10065458B2 (en) Vehicle tire
KR200305009Y1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KR200393449Y1 (ko) 에어 통로가 형성된 핸들커버
US2153380A (en) Method of mounting ornamental accessories on steering wheels
KR20100000311U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KR101413319B1 (ko) 지퍼처리된 조향핸들용 가죽커버
US2847251A (en) Wheel cover
JP4131565B2 (ja) 自転車用チューブレスゴムタイヤ装置およびそれを装備した自転車
JP3282806B2 (ja) 組立式自動車用ホイールの加飾装置
US2955685A (en) Air circulation wheel structure
JP3209453U (ja) 自走式車椅子の車輪用スポークカバー
KR200343063Y1 (ko) 자동차 핸들카바의 미끄럼방지용 돌출부의 구조
JP5936389B2 (ja) 車椅子ハンドリムカバー
KR10166475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위생형 자동차 핸들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