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163U -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163U
KR20110001163U KR2020090009824U KR20090009824U KR20110001163U KR 20110001163 U KR20110001163 U KR 20110001163U KR 2020090009824 U KR2020090009824 U KR 2020090009824U KR 20090009824 U KR20090009824 U KR 20090009824U KR 20110001163 U KR20110001163 U KR 201100011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cloth
incision
leath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달
Original Assignee
박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달 filed Critical 박영달
Priority to KR2020090009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163U/ko
Publication of KR20110001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1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3Over-moulded parts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커버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냄으로써, 착탈이 용이하게 차량용 핸들커버를 제조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은 고무링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핸들커버로서, 상기 고무링 또는 가죽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펼쳐 천을 덧대어 에워싸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를 에워싼 천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에워싸는 천 위에, 양측 단에 대응되는 암·수 매직테이프가 서로 맞대응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별개의 천을 덧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은 제작이 단순하여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핸들커버의 일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핸들커버의 착탈이 용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를 덮는 매직 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직육면체의 천에 의해 핸들과 핸들커버와의 접착이 용이할 수 있다.
핸들커버, 절개부, 매직테이프, 착탈식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EASY DETACHABLE HANDLE COVER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커버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냄으로써, 착탈이 용이하게 차량용 핸들커버를 제조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조향 장치로써 핸들(Handle)이 구비되고, 운전자는 손으로 핸들을 파지하여 자동차를 운전하게 되고, 이러한 핸들에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파지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른 촉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핸들 커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핸들 커버의 종래 기술구성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죽(12)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길이 방향 양측 단부를 상호 대응하여 근접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재봉선(S)으로 재봉하여 링 형상의 모체 핸들 커버(M)로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모체 핸들 커버(M)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어 핸들(도시되지 않음)의 외측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유지하는 일체로 형성된 내피(14)의 외면에 밀착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 사이에 내피(14)의 외측 부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돌기부재(18)가 구비되고, 이 돌기부재(18)는 내피(14)의 외측에 밀착되는 모체 핸들 커버(M)의 표면을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상호 마주보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 부위에 소정 폭을 이루며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덧감(16)을 위치시켜 덧감(16)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재봉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핸들 커버(10)로서 완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핸들커버에 있어, 핸들과 핸들커버를 결합할 시에, 강제 끼움 형식을 취함으로써, 이러한 핸들커버는 끼우거나 벗겨내기가 힘들어, 새로운 핸들커버로 교체하고자 하고는 싶으나, 사용자 본인이 교체할 수 없어,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아예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작이 단순하여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는 고무링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핸들커버로서, 상기 고무링 또는 가죽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펼쳐 천을 덧대어 에워싸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를 에워싼 천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에워싸는 천 위에, 양측 단에 대응되는 암·수 매직테이프가 서로 맞대응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별개의 천을 덧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음질 단계는 초음파 융착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수 매직테이프는 똑딱이 단추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별개의 천은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의 피혁류나 보온성 직물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는 제작이 단순하여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핸들커버의 일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핸들커버의 착탈이 용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를 덮는 매직 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직육면체의 천에 의해 핸들과 핸들커버와의 접착이 용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5의 A부분의 전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죽 또는 고무를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길이 방향 양측 단부를 상호 대응하여 근접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재봉선으로 재봉하여 링 형상의 외피(41)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외피(41)의 안쪽에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어 핸들(도면의 단 순화를 위하여 생략함)의 외측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유지하는 일체로 형성된 내피(45)를 밀착 대응시켜, 재봉함으로써 하나의 핸들 커버(40)로서 완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핸들커버(40)의 외피(41)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내어 절개부(42)를 형성한다.
이 절개부(42)가 형성된 부분이 펼쳐지게 절개부(42)를 전개한 후, 상기 절개부(42)를 천(44)으로 덧씌우고, 박음직 실(43)로 박음질한다.
이렇게 박음질된 절개부(42) 내에는 상기 천(44)이 겹쳐져 있게 되어, 핸들커버(40)를 핸들에 끼울시에, 절개부(42)가 상기 천(44)이 겹쳐진 만큼 벌어지게 되어, 손쉽게 핸들커버를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시 차선을 바꾸거나 곡면을 주행하기 위해 핸들커버(40)를 급하게 돌릴 시에, 상기 절개부(42)로 인해 핸들커버(40)가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커버(40)의 내피(45)에 직육면체 형상이며, 암·수 매직테이프가 서로 맞대응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별개의 천(61)을 박음질한다.
이 천(61)이 상기 천(44) 부분을 감싸는 동시에 핸들커버(40) 전체를 C자형으로 감싸며 고정되어, 핸들커버(40)가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천(61)은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의 피혁류나 보온성 직물류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재질에 옥, 숯, 우레탄, 자석 등을 부착하여 기능성을 부여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수 매직테이프는 똑딱이 단추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박음질은 초음파 융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들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커버의 제조 과정에 따른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커버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5의 A부분의 전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핸들커버 41: 외피
42: 절개부 43: 재봉실
44: 천, 61 45: 내피
M; 모체 핸들 커버

Claims (4)

  1. 고무링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핸들커버로서, 상기 고무링 또는 가죽의 일면의 하단부를 상기 일면의 중심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펼쳐 천을 덧대어 에워싸는 단계와;
    상기 절개부를 에워싼 천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에워싸는 천 위에, 양측 단에 대응되는 암·수 매직테이프가 서로 맞대응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별개의 천을 덧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질 단계는 초음파 융착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매직테이프는 똑딱이 단추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천은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의 피혁류나 보온성 직물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KR2020090009824U 2009-07-27 2009-07-27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KR201100011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24U KR20110001163U (ko) 2009-07-27 2009-07-27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24U KR20110001163U (ko) 2009-07-27 2009-07-27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63U true KR20110001163U (ko) 2011-02-08

Family

ID=4420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24U KR20110001163U (ko) 2009-07-27 2009-07-27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1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52B1 (ko) * 2015-12-17 2016-10-11 김범수 탈부착이 용이한 위생형 자동차 핸들커버
KR102134456B1 (ko) * 2020-06-04 2020-07-16 (주)훠링 차선 기준대 역할을 가지는 포인트링이 있는 핸들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52B1 (ko) * 2015-12-17 2016-10-11 김범수 탈부착이 용이한 위생형 자동차 핸들커버
KR102134456B1 (ko) * 2020-06-04 2020-07-16 (주)훠링 차선 기준대 역할을 가지는 포인트링이 있는 핸들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7950A1 (en) Helmet
CA2972116C (en) Surgical cap and method
JP5927197B2 (ja) 丸められるサンバイザー
KR20110001163U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KR200475956Y1 (ko) 합성수지재와 실리콘 프레임으로 구성된 핸들커버
US9848690B2 (en) High strength retention loops for wearable bands
JP3861102B1 (ja) 収納スリッパ
JP2020104673A (ja) 車両用ハンドルカバー
JP2000300313A (ja) バンド
US10214122B2 (en) Vehicle seat
JP3214132U (ja) キーケース
JP2015182503A5 (ko)
JP2010158915A (ja) 革製カバーのエアバッグ装置用パッドへの取付方法
KR101712188B1 (ko) 레이블 홀더 손잡이를 구비한 다용도 수납함
KR102210511B1 (ko) 장식부 교체가 가능한 신발
JP6803614B2 (ja) ハンドルカバー
KR101683370B1 (ko) 차량용 핸들커버
JP2019180694A (ja) バッグ
JP3155236U (ja) 帽子
KR102161609B1 (ko) 넥타이
JP3170882U (ja) キャップ型帽子用トップボタン及びトップボタンを備えた帽子
JP6646280B2 (ja) ゴルフクラブ用ヘッドカバー
JP3153484U (ja) ストーマベルト
JP382630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カバー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8029716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