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00Y1 -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00Y1
KR200477200Y1 KR2020140003569U KR20140003569U KR200477200Y1 KR 200477200 Y1 KR200477200 Y1 KR 200477200Y1 KR 2020140003569 U KR2020140003569 U KR 2020140003569U KR 20140003569 U KR20140003569 U KR 20140003569U KR 200477200 Y1 KR200477200 Y1 KR 200477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pe
packing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도
Original Assignee
김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도 filed Critical 김문도
Priority to KR2020140003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28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74Utility vehicles
    • B60R2021/0081Work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종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패킹부와, 상기 패킹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패킹부를 보호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1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 2 프레임을 접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A pipe of door frame}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차의 도어 및 차체 프레임 등에 적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뒤틀림 방지 및 강성이 우수한 도어프레임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차 도어 프레임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이들에 독자적인 강도 부재나 보강 부재를 구비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그로 인해, 프레임의 구성 부품이 많아져 프레임 구조가 복잡화되는 동시에 작업차 전체적으로의 중량이 무거워져,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생산성이나 연비의 저하 등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도어 프레임에서는 각 구석부가 각이 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각 구석부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워지고, 국부적인 응력 집중에 기인한 도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파손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예를 들면, 빗물, 먼지 등으로 인해 패킹부재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프레임을 다각형의 굴곡진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뒤틀림 방지 및 강성이 우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부재를 더 마련하여 패킹부재의 오염 및 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의 구성은, 종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패킹부를 보호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1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 2프레임을 접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프레임은 몸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길이상의 몸체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와 맞대어 절단 부위에 용접시킴으로써, 용접범위가 확장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상기 제 2 프레임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프레임은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어 프레임을 다각형의 굴곡진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뒤틀림 방지 및 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부재를 더 마련하여 패킹부재의 오염 및 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10)는 종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1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강성(Stiffness)은 외부의 변형력에 저항하는 물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물질의 성질인 탄성 계수와 구조물의 형태학절 성질인 관성 능률과 관계가 있다. 축방향력만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 E와 단면적 A의 곱 EA, 휨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 E와 단면 2차 모멘트 I의 곱 EI, 전단을 받는 부재에서는 전단 탄성 계수 G와 단면적 A의 곱 GA에 비례한다.
그리고, 굴곡진 형태의 면적 관성 능률은 반경 R의 네제곱에 비례하므로 반경이 약간만 증가해도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11)의 굴곡진 형상으로 강성이 증가되고, 종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응집력이 분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은 작업차의 도어를 구성하는 골격으로, 각 프레임들을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의 일측에 패킹부(12)가 마련된다. 상기 패킹부(12)는 상기 제 1 프레임(11)의 일면을 절곡하여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후, 그 외주면에 패킹부재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패킹부(12)는 통상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부(12)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제 2 프레임(13)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패킹부(12)를 차단하도록 상기 패킹부(12)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은 단일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몸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이중프레임으로 형성하여 넓은 두께층을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은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패킹부(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1)과 상기 제 2 프레임(13)을 접합하는 용접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용접부(14)는 상기 제 2 프레임(13)의 이중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길이상의 몸체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단부와 맞대어 절단 부위에 용접을 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1)에 상기 제 2 프레임(13)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1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10)는 다수의 제 1 프레임(11)을 연결하여 작업차의 도어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은 종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국부적인 응력 집중에 기인한 뒤틀림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내측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의 일면을 절곡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패킹부(12)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12)는 외부 이물질로 인한 손상 및 마모로 인한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상기 패킹부(12)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단부에 상기 패킹부(12)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 2 프레임(13)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은 몸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이중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단일프레임으로 구성될 때보다 더욱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패킹부(12)재가 오염 및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을 상기 제 1 프레임(11)에 연장 형성(접합)하기 위해서는 용접과정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제 2 프레임(13)의 단부와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접하는 부분만을 용접하는 방법을 실시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용접 범위가 좁아 상기 제 2 프레임(13)의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 2 프레임(13)의 이중프레임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상의 몸체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1)의 단부와 맞대어 절단 부위에 용접시킴으로써, 용접범위가 확장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1)에 상기 제 2 프레임(13)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13)을 절곡 형성할 때, 상기 양단의 길이가 다르게 절곡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된 일단에 용접을 시행하도록 하여 절단 과정을 간소화 하는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11: 제 1 프레임
12: 패킹부 13. 제 2 프레임
14. 용접부

Claims (4)

  1. 작업차의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종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패킹부를 보호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1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 2 프레임을 접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몸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곡하여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길이상의 몸체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와 맞대어 절단 부위에 용접시킴으로써, 용접범위가 확장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상기 제 2 프레임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KR2020140003569U 2014-05-08 2014-05-08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KR200477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69U KR200477200Y1 (ko) 2014-05-08 2014-05-08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69U KR200477200Y1 (ko) 2014-05-08 2014-05-08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200Y1 true KR200477200Y1 (ko) 2015-05-15

Family

ID=5343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569U KR200477200Y1 (ko) 2014-05-08 2014-05-08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0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476A (ko) * 2005-12-17 200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래스런 및 웨더 스트립의 밀림방지가 가능한 차량용 도어
JP2008080949A (ja) * 2006-09-27 2008-04-10 Aisin Seiki Co Ltd ドアフレーム
JP2012096702A (ja) * 2010-11-04 2012-05-2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フレーム及び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476A (ko) * 2005-12-17 200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래스런 및 웨더 스트립의 밀림방지가 가능한 차량용 도어
JP2008080949A (ja) * 2006-09-27 2008-04-10 Aisin Seiki Co Ltd ドアフレーム
JP2012096702A (ja) * 2010-11-04 2012-05-2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フレーム及び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961B2 (ja) バッテリー搭載フレーム構造体
JP5472223B2 (ja)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CN109774634B (zh) 车辆冲击吸收构件
EP2448790A1 (en) Bumper for a vehicle
KR102175516B1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JP2008201192A (ja) 建設機械の運転室構造
JP6748538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2006160031A (ja) 車体後部構造
JP6024677B2 (ja) フードヒンジ構造
JP6816676B2 (ja) 車体上部構造
US9145182B2 (en) Frame unit for bicy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77200Y1 (ko)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JP2011073838A (ja) 乗客コンベアの主枠
US20050028478A1 (en) Joining structure
KR200487597Y1 (ko) 프레임 조립체
US20150048589A1 (en) Frame unit for bicy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988348B2 (ja) 車体下部構造
JP6867624B2 (ja) 閉断面構造体
JP2009184703A (ja) ホイール積載盤
JP5954942B2 (ja) 鉄骨有孔梁の補強構造
JP5238188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建物
WO2016163246A1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2007302104A (ja) 自動車用ドアビーム
KR101066910B1 (ko) 스틸월
JP2009241715A (ja) 鉄道車両の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