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99Y1 - 악기 지지구 - Google Patents

악기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99Y1
KR200476999Y1 KR2020140009467U KR20140009467U KR200476999Y1 KR 200476999 Y1 KR200476999 Y1 KR 200476999Y1 KR 2020140009467 U KR2020140009467 U KR 2020140009467U KR 20140009467 U KR20140009467 U KR 20140009467U KR 200476999 Y1 KR200476999 Y1 KR 200476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ads
auxiliary
slits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59U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320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699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2020140009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9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99Y1/ko
Priority to JP2015006417U priority patent/JP3203539U/ja
Priority to PCT/KR2015/014000 priority patent/WO2016105041A1/ko
Priority to US15/314,941 priority patent/US9747877B2/en
Priority to EP15873568.8A priority patent/EP3244398B1/en
Priority to RU2017120210A priority patent/RU2656786C1/ru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45F2003/146Pack-carrying harn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연주자의 등판 및 어깨에 각각 밀착되도록 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방연결끈;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및 상기 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기 지지구{MUSICAL INSTRUMENT SUPPORTER}
본 고안은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의 무거운 하중을 어깨와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은, 하나의 리드가 들어 있는 취구를 사용하는 관악기로서 몸통은 대개 황동으로 형성되고, 몸통의 전면에는 고음과 저음의 음색이 발생되도록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운지키들이 다수개 구성된다. 또한, 몸통의 선단에는 연주자가 입에 물고 바람을 몸통 내부에 주입하는 리드와 조임쇠로 구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색소폰을 연주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스트랩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색소폰을 고리에 연결하여 연주자의 목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색소폰 넥 스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색소폰 넥 스트랩은 연주자의 목이 무거운 색소폰의 하중을 감당해야 하므로, 연주하는 동안 목에 강한 압박이 작용되어 목의 통증이 유발되고 심한 경우에는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59호. 2013. 10. 17.
본 고안의 목적은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기의 무게가 연주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주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연주자의 등판 및 어깨에 각각 밀착되도록 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방연결끈;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및 상기 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며,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조절홀을 가지는 제1 및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후방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악기지지구는 후방고정슬릿과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 그리고 제1 및 제2 후방지지슬릿을 가지는 후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을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후방중간부; 상기 제1 조절홀과 상기 제1 후방지지슬릿 및 상기 제1 후방조절슬릿, 상기 후방고정슬릿, 그리고 상기 제1 후방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후방연결끈; 및 상기 제2 조절홀과 상기 제2 후방지지슬릿 및 상기 제2 후방조절슬릿, 상기 후방고정슬릿, 그리고 상기 제2 후방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후방연결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전방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악기지지구는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 제1 및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제1 및 제2 전방지지슬릿을 가지는 전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을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전방중간부; 상기 제1 전방관통홀과 제1 전방지지슬릿, 제1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방연결끈; 및 상기 제2 전방관통홀과 제2 전방지지슬릿,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방연결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악기지지구는 제1 및 제2 전방보조슬릿과 제1 및 제2 후방보조슬릿을 가지는 보조위치조절구; 및 상기 제1 후방연결끈과 상기 제1 전방연결끈, 그리고 상기 제2 후방연결끈과 상기 제2 전방연결끈을 각각 연결하는 보조연결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특히, 악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날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전방열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꼬임방지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후방연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에 착용 가능한 보조 연결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관악기를 연주하는 착용자(또는 연주자)는 직접 손으로 악기를 파지하거나 목 일부분을 감싸는 목대와 일측이 목대에 결합되고 타측이 악기에 결합된 연결줄로 구성된 스트랩 또는 악기지지용 목걸이를 이용하여 악기 무게를 목에 지탱하며 악기를 연주하는 일반적이다.
그러나, 주로 황동으로 제작된 관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들이 많으며 특히 색소폰에 있어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등과 같은 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에 속한다.
상기한 악기는 제조 시의 선택되는 재질과 제조사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악기의 무게가 적게는 2.8㎏에서 많게는 거의 10㎏에 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중량의 악기를 악기지지용 목걸이에 지지하여 장시간 무리하게 연주할 경우, 목 주변은 상당한 피로감과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신체부위 중에서 목부위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디스크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목에 중압감을 심하게 느끼게 되면 안정된 음정을 유지하는 연주를 장시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아름다운 소리와 강렬한 음을 내기 위해 악기를 흔들거나 비틀면서 연주하기가 힘들어 감미롭고 격동적인 연주를 어렵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 관악기 연주가들 사이에는 편안하고 안정적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악기 지지구의 기술 제공 욕구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오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날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기 지지구(10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방연결끈(30)과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방연결끈(70), 그리고 전방연결끈(30)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왼쪽 어깨 및 오른쪽 어깨 위에 각각 걸쳐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를 통해 연주자의 어깨와 등에 전달된다. 또한,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어깨너비 방향으로 일정한 너비를 가지지며,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접촉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연주자가 느끼는 악기의 무게감은 낮아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패드(1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2 패드(20)는 제1 패드(1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차이점은 따로 언급하기로 한다.
제1 패드(10)는 각각 금속재질의 제1 프레임(12)과 제1 프레임(12)을 감싸는 제1 외피(14)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2)은 가볍고 내구성이 큰 알루미늄(Aluminium) 소재일 수 있다. 연주자가 악기 지지구(100)를 착용했을 시, 제1 프레임(12)의 후단은 견갑골(scapula)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12)의 전단은 빗장뼈(clavicle)의 하부에 놓여진다.
제1 프레임(12)은 비교적 연성이 크고 경도가 낮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연주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환형으로 벤딩(bending) 가능함으로써, 연주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제1 외피(14)는 천연(또는 인조가죽), 헝겊, 합성 수지재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연주자의 어깨 및 등에 각각 밀착될 수 있으며, 연주자의 부드러운 착용감을 형성하도록 제1 프레임(12)과 제1 외피(14) 사이에는 솜과 같은 쿠션제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패드(10)는 제1 패드(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1 전방관통홀(16) 및 제1 후방관통홀(18)을 가지며, 제1 전방관통홀(16) 및 제1 후방관통홀(18)은 제1 외피(14)와 제1 프레임(12)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황동으로 제작되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관악기)의 하중이 제1 패드(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집중되어 제1 외피(14)가 파손되더라도 악기는 제1 프레임(12)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 외피(14)는 중앙부 내측에 돌출되는 제1 날개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날개부(15)는 제1 날개부(1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1 조절홀(17)이 형성된다. 제1 조절홀(17)은 제1 패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외피(24)는 제2 날개부(25)를 더 구비하되, 제2 날개부(25)는 제1 날개부(1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날개부(25)는 제2 날개부(2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 조절홀들(27)이 형성되며, 제2 조절홀들(27)은 제2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외피(14)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와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후방고리(95a, 95b)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날개부(15, 25)의 전단부와 후단부 또한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제1 및 제2 조절고리(93a, 93b)는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연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꼬임방지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기 지지구(100)는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구비한다. 전방위치조절구(50)는 하부로부터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과 제1 및 제2 전방조절슬릿(53a, 53b), 그리고 제1 및 제2 전방지지슬릿(54a, 54b)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슬릿들(55)은 전방위치조절구(50)의 두께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꼬임방지쇠(60)는 전방위치조절구(50)와 고정구(40)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연결끈(30)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65)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관통홀들(65)을 위-아래 및 아래-위 방향으로 관통하며, 꼬임방지쇠(60)는 제1 및 제2 연결끈(31, 39)이 서로 꼬여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연결끈(30)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과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중간부(35)를 구비한다. 전방중간부(35)는 매듭을 통해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에 고정되며, 전방중간부(35)에 연결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고정구(40)에 연결된 고정구고리(41)를 관통하여 고정구(40)를 전방연결끈(30)에 고정한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전방지지슬릿(54a) 및 제1 전방조절슬릿(53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꼬임방지쇠(60) 및 고정구고리(41)에 삽입된다.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지지슬릿(54b) 및 제2 전방조절슬릿(53b)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꼬임방지쇠(60) 및 고정구고리(41)에 삽입된다. 제1 전방연결끈(31)과 제2 전방연결끈(39)에 연결되는 중간부(35)는 매듭을 통해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서로 중첩되며, 고정구(40)의 위치는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증가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근접하고,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감소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로부터 멀어진다.
악기는 차폐부재(44)의 개폐를 통해 고정구(40)에 결합 가능하며, 연주자는 전방위치조절구(50)를 이용하여 고정구(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이를 통해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악기가 고정구(40)에 결합되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전달되므로, 악기의 무게가 신체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전방고리(90a)에 고정되며,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고리(90b)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전방고리(90a)는 제1 전방관통홀(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상부전방고리(90a') 및 제1 상부전방고리(90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전방고리(90a'')를 구비한다. 제1 하부전방고리(90a'')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지지홀(91a)이 형성되며, 제1 전방연결끈(31)은 지지홀(91a)에 삽입되어 제1 전방고리(90a)는 제1 전방연결끈(31)에 연결된다. 한편, 제1 상부전방고리(90a')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집게 구조, 클립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하부전방고리(90a'')는 제1 상부전방고리(90a')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하부전방고리(90a'')의 지지홀(91a)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제1 하부전방고리(90a'')의 상단에 지지되어 지지홀(91a) 상부를 통해 재삽입 고정된 상태로 전방위치조절구(50)의 슬릿들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방고리(90b)는 제1 전방고리(90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전방연결끈(31)이 제1 전방고리(90a)에 연결되는 동일한 형태로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고리(90b)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 전방고리(90b)는 제2 패드(20)에 형성된 제2 전방관통홀(26)에 삽입되며, 고정구(40)에 결합된 악기는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에 의해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각각 연결되어 연주자의 어깨와 등을 통해 악기의 무게가 분산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후방연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연결끈(70)은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과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 위치조절구(80)는 후방고정슬릿(81),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a, 82b), 제1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a, 84b)을 구비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와 제1 후방조절고리(93a)를 통해 제1 패드(10)에 고정 가능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와 제2 후방조절고리(93b)를 통해 제2 패드(20)에 고정 가능하다.
각각의 고리들(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방고리(9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후방메인고리(95a)는 제1 후방관통홀(1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 및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를 구비한다.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지지홀(96a)이 형성되며, 제1 후방연결끈(71)은 지지홀(96a)에 삽입되어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연결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구비된 지지홀(96a)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1 후방지지슬릿(84a), 그리고 제1 후방조절고리(93a)에 구비된 지지홀(94a)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에 구비된 지지홀(96b)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b), 그리고 제2 후방조절고리(93b)에 구비된 지지홀(94b)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1 후방연결끈(71)과 제2 후방연결끈(79)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는 매듭을 통해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후방위치조절구(80)의 후단에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후방위치조절구(80)는 제1 후방조절슬릿(82a)과 제1 후방지지슬릿(84a)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후방연결슬릿(83a)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제2 후방지지슬릿(84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조절슬릿(82a)을 통과하여 제1 후방연결슬릿(83a)을 거쳐 제1 후방지지슬릿(84a)을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조절슬릿(82b)을 통과하여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거쳐 제2 후방지지슬릿(84b)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은 각각의 슬릿에 위-아래 및 아래-위 방향으로 교차하여 삽입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에 착용 가능한 보조 연결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연결끈(120)은 제2 후방연결끈(70)과 대체로 유사한 형상으로 보조위치조절구(130)에 연결된다. 보조연결끈(120)은 제1 및 제2 보조연결끈(121, 129)과 제1 및 제2 보조연결끈(121, 129)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중간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위치조절구(130)는 제1 및 제2 전방보조슬릿(132a, 132b)과 제1 및 제2 후방보조슬릿(131a, 131b)이 형성되며, 제1 보조연결끈(121)은 제1 전방보조고리(115a)에 형성된 지지홀(116a)에 삽입되어 제1 전방보조고리(115a)에 고정된다. 또한, 제1 보조연결끈(121)은 보조위치조절구(130)에 형성된 제1 전방보조슬릿(132a)과 제1 후방보조슬릿(13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1 후방보조고리(110a)에 형성된 지지홀(111a)에 삽입된다.
제2 보조연결끈(129)은 제2 전방보조고리(115b)에 형성된 지지홀(116b)에 삽입되어 제2 전방보조고리(115b)에 고정된다. 또한, 제2 보조연결끈(129)은 보조위치조절구(130)에 형성된 제2 전방보조슬릿(132b)과 제2 후방보조슬릿(131b)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2 후방보조고리(110b)에 형성된 지지홀(111b)에 삽입된다.
제1 보조연결끈(121)과 제2 보조연결끈(129)에 연결되는 보조중간부(125)는 매듭을 통해 제1 후방보조슬릿(131a) 및 제2 후방보조슬릿(131b)과 보조위치조절구(130)의 후단에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기 지지구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연결된 전방연결끈(30)과 후방연결끈(70)에 연결되며, 연주자가 악기 지지구(100)를 착용할 경우,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은 견갑골(scapula)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은 빗장뼈(clavicle)의 하부에 놓여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어깨 및 등을 감싸도록 환형으로 휨(bending) 가능한 제1 및 제2 프레임(12, 22)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연주자의 신체적 조건에 관계없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연주자가 악기 연주시, 악기의 이동 또는 연주자의 격렬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전방연결끈(30)은 매끈한 외주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연결끈(30)의 외주면이 매끈한 외주면을 가짐으로써 전방위치조절구(5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전방연결끈(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연주자는 자연스러운 연주가 가능하고 활동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한편, 후방연결끈(70)은 전방연결끈(30)보다 외주면이 거칠게 형성되는 체인형 또는 매듭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연결끈(70)은 연주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길이조절을 유지함으로써, 연주자의 움직임에 따라 후방위치조절구(80)가 후방연결끈(70)을 따라 쉽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강한 힘으로 제1 및 제2 패드(10, 20)를 반대방향으로 당길 경우, 후방위치조절구(80)는 후방연결끈(70)을 따라 이동된다.
제1 및 제2 후방보조고리(110a, 110b)는 제1 및 제2 후방메인고리(95a, 95b)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전방보조고리(115a, 115b)는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후방보조고리(110a, 110b)를 제1 및 제2 후방메인고리(95a, 95b)에 고정된 상태로 제1 전방보조고리(115a)를 연주자의 왼쪽 겨드랑이를 통과하여 제1 전방고리(90a)에 고정하고, 제2 전방보조고리(115b)를 연주자의 오른쪽 겨드랑이를 통과하여 제2 전방고리(90b)에 고정함으로써 장시간의 연주과정에서 제1 및 제2 패드(10, 20)가 가슴 중앙부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방보조고리(115a, 115b)는 연주자의 벨트 또는 벨트 봉재선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악기 지지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제1 패드 12 : 제1 프레임
14 : 제1 외피 20 : 제2 패드
30 : 전방연결끈 40 : 고정구
50 : 전방위치조절구 60 : 꼬임방지쇠
70 : 후방연결끈 80 : 후방위치조절구
100 : 악기 지지구 130 : 보조위치조절구

Claims (5)

  1. 착용자의 등판 및 어깨에 각각 밀착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방연결끈;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및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며,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조절홀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후방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조절홀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관통홀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악기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악기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지지구는 후방고정슬릿과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 그리고 제1 및 제2 후방지지슬릿을 가지는 후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을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후방중간부;
    상기 제1 조절홀과 상기 제1 후방지지슬릿 및 상기 제1 후방조절슬릿, 상기 후방고정슬릿, 그리고 상기 제1 후방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후방연결끈; 및
    상기 제2 조절홀과 상기 제2 후방지지슬릿 및 상기 제2 후방조절슬릿, 상기 후방고정슬릿, 그리고 상기 제2 후방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후방연결끈을 구비하는, 악기 지지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전방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악기 지지구는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 제1 및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제1 및 제2 전방지지슬릿을 가지는 전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을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전방중간부;
    상기 제1 전방관통홀과 제1 전방지지슬릿, 제1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방연결끈; 및
    상기 제2 전방관통홀과 제2 전방지지슬릿,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방연결끈을 구비하는, 악기 지지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전방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악기 지지구는,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 제1 및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제1 및 제2 전방지지슬릿을 가지는 전방위치조절구;
    제1 및 제2 전방보조슬릿과 제1 및 제2 후방보조슬릿을 가지는 보조위치조절구; 및
    상기 전방연결끈과 상기 후방연결끈을 연결하는 보조연결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연결끈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을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전방중간부;
    상기 제1 전방관통홀과 제1 전방지지슬릿, 제1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방연결끈; 및
    상기 제2 전방관통홀과 제2 전방지지슬릿, 제2 전방조절슬릿,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방연결끈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연결끈은,
    상기 제1 전방보조슬릿 및 상기 제1 후방보조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후방연결끈과 상기 제1 전방연결끈을 연결하는 제1 보조연결끈; 및
    상기 제2 전방보조슬릿 및 상기 제2 후방보조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후방연결끈과 상기 제2 전방연결끈을 연결하는 제2 보조연결끈을 더 포함하는, 악기 지지구.
KR2020140009467U 2014-12-22 2014-12-22 악기 지지구 KR200476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67U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4-12-22 악기 지지구
JP2015006417U JP3203539U (ja) 2014-12-22 2015-12-18 楽器支持具
PCT/KR2015/014000 WO2016105041A1 (ko) 2014-12-22 2015-12-21 악기 지지구
US15/314,941 US9747877B2 (en) 2014-12-22 2015-12-21 Musical instrument support device
EP15873568.8A EP3244398B1 (en) 2014-12-22 2015-12-21 Musical instrument support
RU2017120210A RU2656786C1 (ru) 2014-12-22 2015-12-21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ки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67U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4-12-22 악기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59U KR20150001459U (ko) 2015-04-15
KR200476999Y1 true KR200476999Y1 (ko) 2015-04-23

Family

ID=5303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467U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4-12-22 악기 지지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7877B2 (ko)
EP (1) EP3244398B1 (ko)
JP (1) JP3203539U (ko)
KR (1) KR200476999Y1 (ko)
RU (1) RU2656786C1 (ko)
WO (1) WO20161050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24Y1 (ko) 2019-10-30 2021-05-04 나정현 관악기용 스트랩
KR102527815B1 (ko) 2022-12-15 2023-05-02 주식회사 케이메이드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92796A1 (en) * 2018-06-26 2019-12-26 Tatsuro MIYATAKE Instrument support
KR200493393Y1 (ko) * 2018-09-11 2021-03-19 이상국 악기 지지구
JP6624606B1 (ja) * 2018-11-05 2019-12-25 志保 金山 管楽器用ストラップパッド
KR102227763B1 (ko) 2019-07-24 2021-03-15 주식회사 코스모스악기 악기 지지장치
KR102250680B1 (ko) 2019-10-28 2021-05-11 주식회사 코스모스악기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FR3120271A1 (fr) * 2021-03-01 2022-09-02 François NOUVEL Support de torse pour instrument de musique et procédé de réglage
EP4309542A1 (en) * 2022-07-20 2024-01-24 On Clouds GmbH Fastening device and wearable article with a fasten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595U (ko) * 1990-01-18 1991-09-26
JP2008268737A (ja) * 2007-04-24 2008-11-06 Ishimori Kangatsuki:Kk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JP2008304936A (ja) * 2007-03-01 2008-12-18 Yumiko Komura 楽器用ス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088A (en) * 1936-07-06 1937-11-23 Robertson Albert Instrument cord
US2247867A (en) * 1938-02-10 1941-07-01 Carl A Baumann Saxophone cord
US2284069A (en) * 1939-02-23 1942-05-26 Robertson Albert Instrument supporting cord
US2273136A (en) * 1940-02-02 1942-02-17 Carl G Orech Adjustable support
US2561606A (en) * 1946-09-06 1951-07-24 Norman C Bates Sazophone halter
US2630255A (en) * 1948-03-08 1953-03-03 Fin Der Inc Adjustment for saxophone neck support
US3129863A (en) * 1962-04-06 1964-04-21 Ruben G Haugen Shoulder strap for musical instruments
US3554194A (en) * 1968-09-24 1971-01-12 Curty Inc Arm sling
US4802613A (en) * 1985-09-03 1989-02-07 Tierney Mark D Instrument support apparatus
US5065919A (en) * 1990-11-29 1991-11-19 Sims George W Sling support apparatus
US5215239A (en) * 1992-08-24 1993-06-01 Walters Jr Paul A Weight support harness
US6651856B1 (en) * 1996-08-12 2003-11-25 Andrew M. Perry Device for suspending a record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753839A (en) * 1997-03-03 1998-05-19 Mcfarlin; Bill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rap
US5772091A (en) * 1997-04-07 1998-06-30 Lackner; Carl J. Support apparatus for a musical instrument
GB2365199B (en) * 2000-07-20 2003-01-08 Glynis Anne Langley Musical instrument support sling
US7282631B2 (en) * 2005-04-27 2007-10-16 Chou Wayne W Harness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9038872B1 (en) * 2007-07-28 2015-05-26 Shun-Hwa Chang Straps for carrying an object
US7709714B2 (en) * 2007-10-02 2010-05-04 Harbaugh Steven R Musical instrument harness
US7655853B1 (en) * 2009-01-30 2010-02-02 Ricca Tom L Weight-relieving device for a woodwind instrument
AU2010277246B2 (en) * 2009-07-28 2015-02-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nyard and personal emergency transmitter system
KR20110041875A (ko) * 2009-10-16 2011-04-22 전종만 색소폰 스트랩
CH704201A2 (de) * 2010-12-13 2012-06-15 Silvin M Jancic Tragevorrichtung für ein Blasinstrument.
US9029673B2 (en) * 2011-08-24 2015-05-12 Peter Kaynor Harmonica support with magnetic cradle
US8940987B2 (en) * 2011-08-24 2015-01-27 Peter Kaynor Harmonica support with magnetic cradle
JP3184155U (ja) * 2013-04-04 2013-06-13 達郎 宮武 サクスフォン用ストラップ
US9524705B2 (en) * 2014-09-08 2016-12-20 Harvey Pittel Creations, Inc. Wind instrument supports
KR200481144Y1 (ko) * 2015-03-30 2016-08-19 권석순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US9659551B1 (en) * 2016-01-22 2017-05-23 Lauren Rubin End blown woodwind harn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595U (ko) * 1990-01-18 1991-09-26
JP2008304936A (ja) * 2007-03-01 2008-12-18 Yumiko Komura 楽器用ストラップ
JP2008268737A (ja) * 2007-04-24 2008-11-06 Ishimori Kangatsuki:Kk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24Y1 (ko) 2019-10-30 2021-05-04 나정현 관악기용 스트랩
KR102527815B1 (ko) 2022-12-15 2023-05-02 주식회사 케이메이드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0437A1 (en) 2017-07-13
EP3244398A1 (en) 2017-11-15
EP3244398B1 (en) 2020-02-19
WO2016105041A1 (ko) 2016-06-30
EP3244398A4 (en) 2018-08-01
KR20150001459U (ko) 2015-04-15
JP3203539U (ja) 2016-04-07
RU2656786C1 (ru) 2018-06-06
US9747877B2 (en)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99Y1 (ko) 악기 지지구
US2273136A (en) Adjustable support
KR200488663Y1 (ko) 악기 지지구
US20050155619A1 (en) Hair accessory utilizing a drawable member and a securing member
US4930695A (en) Support system for guitar or like instrument
KR20100125323A (ko)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KR101855164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관악기용 어깨 스트랩
KR20110046054A (ko) 색소폰 스트랩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US11567343B2 (en) Ear adapter apparatus for distributing force against an ear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53U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49U (ko) 악기 지지구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
JP2007114713A (ja) 楽器用ストラップ
US1088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an instrument
US6349527B1 (en) Equestrain training device
CN207302608U (zh) 乐器支撑件
KR200478390Y1 (ko) 섹소폰 넥 스트랩
KR101430586B1 (ko) 단전부 지지형 관악기 지지구
KR20110041875A (ko) 색소폰 스트랩
US7028871B1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rap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456719B2 (ja) 楽器ホルダー
US20240203383A1 (en) Strap for relieving local pressure
JP2020003786A (ja) 機器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8

Effective date: 2016070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883;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620

Effective date: 201710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