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680B1 -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 Google Patents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680B1
KR102250680B1 KR1020190134875A KR20190134875A KR102250680B1 KR 102250680 B1 KR102250680 B1 KR 102250680B1 KR 1020190134875 A KR1020190134875 A KR 1020190134875A KR 20190134875 A KR20190134875 A KR 20190134875A KR 102250680 B1 KR102250680 B1 KR 10225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rdion
waist
buckle
band body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368A (ko
Inventor
민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스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스악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스악기
Priority to KR102019013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아코디언의 하중을 분산지지함으로써 연주자의 목 또는 어깨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 연주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에 관한 것으로,
일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감긴 후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밴드본체(10); 아코디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밴드본체(10)의 전면부(11)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버클부재(20); 일측 단부에는 아코디언에 연결되는 연결고리(35)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버클부재(20)에 결합되는 수버클이 구비된 연결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Waist Band for Load Distribution of Accordion}
본 발명은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자의 허리에 장착되어 아코디언의 무게를 분산지지함으로써 연주자의 목 또는 어깨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 연주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에 관한 것이다.
아코디언은 건반과 버튼을 누르면서 바람통으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여 자유 리드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로서, 들고 다시면서 멜로디와 화음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이며, 레지스터(Register)를 통해 화려하고 다채로운 음색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장르의 연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코디언은 중량이 대략 10∼15㎏으로 음량이 비슷한 다른 건반악기에 비해 가벼운 편이므로, 운반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든 연주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코디언은 거리의 악사들이 애용하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아코디언을 연주자가 목이나 어깨에 걸고 연주하였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가지는 아코디언을 목이나 어깨에 걸고 연주하는 경우, 아코디언의 무게가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에 가해짐은 물론, 연주 자세에 따라 연주자의 허리에 편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허를 찾지 못하였으며, 관련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로 다음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사용자의 목 일부분을 감싸도록 유연성을 갖는 목대와, 일측 및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손으로 들고 연주하는 악기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링이 구비된 연결고리와, 그 일단이 상기 목대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조절부재의 관통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어 타측 단부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링에 삽입되고, 다시 상기 조절부재의 관통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어 타측 단부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링에 삽입되며, 또다시 상기 조절부재의 관통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어 타측 단부로 관통하여 상기 목대의 타단에 고정결합되는 연결줄을 포함함으로써, 악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지지하면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악기용 목걸이형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연주자의 등판 및 어깨에 각각 밀착되도록 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주자의 상체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방연결끈;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주자의 상체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및 상기 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하며,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악기의 무게가 연주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주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악기 지지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 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 가능한 고정구;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전방조절구; 그리고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조절구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을 절곡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며,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악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악기 지지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20-0463121 Y1 특허문헌 2: KR20-2015-0001459 U 특허문헌 3: KR20-0488663 Y1
본 발명은 연주자가 아코디언을 목이나 어깨에 걸고 연주할 때 아코디언의 하중이 연주자의 허리 측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아코디언의 하중으로 인해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주자의 허리에 감긴 상태에서 아코디언의 하중 일부를 지지하되 그 크기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주자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는, 일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감긴 후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밴드본체; 아코디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밴드본체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버클부재; 일측 단부에는 아코디언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버클부재에 결합되는 수버클이 구비된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드본체의 배면에 배치되어 버클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드본체의 일측 단부의 전면부에 제1 벨크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배면부에 제2 벨크로부가 형성되어, 제1 벨크로부와 제2 벨크로부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밴드본체의 크기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벨크로부는 제2 벨크로부보다 3∼5배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클부재는 아코디언의 후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이 결합되는 제1 버클과, 아코디언의 하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이 결합되는 제2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는 연주자가 목이나 어깨에 메고 연주하는 아코디언의 하중 일부를 연주자의 허리 쪽으로 분산함으로써 연주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킴은 물론, 아코디언의 하중으로 인해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크로 결합이나 자석 결합 등을 통해 밴드본체를 허리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밴드본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연주자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버클부재가 구비되어 아코디언의 배면 중앙 부분과 하단 중앙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아코디언의 하중이 비교적 고르게 분산되고, 연주 도중에 아코디언이 처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를 아코디언에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를 이용하여 아코디언을 메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와 멜빵을 이용하여 아코디언을 지지한 상태로 연주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는, 밴드본체(10), 버클부재(20), 연결끈(30), 및 보강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목이나 어깨에 메고 연주하는 아코디언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밴드본체(10)는 사용자의 허리에 감겨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밴드본체(10)의 폭은 15∼25㎝인 것이 바람직한데, 15㎝ 미만일 경우는 밴드본체(10)에 작용하는 하중이 연주자의 허리 부분에 충분하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고, 25㎝를 초과할 경우는 착용시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밴드본체(10)는 일측 단부의 전면부(11)에 제1 벨크로부(13)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배면부(12)에 제2 벨크로부(14)가 형성되어, 제1 벨크로부(13)와 제2 벨크로부(14)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밴드본체(10)의 크기가 조절되어 고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부재(20)가 설치된 전면부(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밴드본체(10)를 연주자의 허리에 감은 후, 제1 벨크로부(13)에 제2 벨크로부(14)를 겹쳐 고정함으로써, 밴드본체(10)가 연주자의 허리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벨크로부(13)는 제2 벨크로부(14)보다 3∼5배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벨크로부(13)를 제2 벨크로부(14)에 비해 길게 형성함으로써 연주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밴드본체(1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벨크로부(13)는 밴드본체(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1/4∼1/3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고, 제2 벨크로부(14)는 밴드본체(10)의 타측 단부로부터 1/10∼1/5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밴드본체(10)가 벨크로 결합에 의해 연주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벨크로부의 위치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금속판을 부착하고 제2 벨크로부의 위치에 강한 자력을 가진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자력 결합에 의해 밴드본체(10)가 연주자의 허리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버클부재(20)는 밴드본체(10)의 전면부(11)에 부착되는 것으로, 밴드본체(10)에 리벳으로 고정된 고정끈에 연결된다. 암수로 이루어진 통상의 버클부재 중 암버클로 이루어져, 연결끈(30)에 구비된 수버클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버클부재(20)는 2개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아코디언의 후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30)의 수버클이 결합되는 제1 버클(20a)과 아코디언의 하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30)의 수버클이 결합되는 제2 버클(20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끈(30)은 아코디언과 밴드본체(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아코디언에 연결되는 연결고리(35)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버클부재(20)에 결합되는 수버클이 구비된다.
보강판(40)은 버클부재(20)가 밴드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밴드본체(10)의 배면에 배치되어 밴드본체(10)에 리벳 고정되는 것으로, 밴드본체(10)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보강판(40)은 버클부재(20)가 설치되는 부분에만 설치되며, 버클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한 리벳이 밴드본체와 보강판(40)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버클부재(20)가 밴드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는 연주자가 목이나 어깨에 걸고 연주하는 아코디언의 무게를 연주자의 허리 부분으로 분산시켜 연주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 및 허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과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밴드본체
11...전면부
12...배면부
13, 14...벨크로부
20...버클부재
20a...제1 버클
20b...제2 버클
30...연결끈
35...연결고리
40...보강판

Claims (4)

  1. 일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감긴 후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밴드본체(10);
    아코디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밴드본체(10)의 전면부(11)에 부착되는 버클부재(20);
    아코디언에 연결되는 연결고리(35)가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버클부재(20)에 결합되는 수버클이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끈(30); 및
    밴드본체(10)의 배면에 배치되어 버클부재(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판(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밴드본체(10)의 일측 단부의 전면부(11)에 제1 벨크로부(13)가 형성되고 또한 밴드본체(10)의 타측 단부의 배면부(12)에 제2 벨크로부(14)가 형성되어, 제1 벨크로부(13)와 제2 벨크로부(14)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밴드본체(10)의 크기가 조절되어 고정되며,
    버클부재(20)는 아코디언의 후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30)의 수버클이 결합되는 제1 버클(20a)과 아코디언의 하단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끈(30)의 수버클이 결합되는 제2 버클(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34875A 2019-10-28 2019-10-28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KR10225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75A KR102250680B1 (ko) 2019-10-28 2019-10-28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75A KR102250680B1 (ko) 2019-10-28 2019-10-28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68A KR20210050368A (ko) 2021-05-07
KR102250680B1 true KR102250680B1 (ko) 2021-05-11

Family

ID=7591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875A KR102250680B1 (ko) 2019-10-28 2019-10-28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6151A (ja) * 2006-05-23 2007-12-06 Kenji Ura 弦楽器用ス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21Y1 (ko) 2011-04-28 2012-10-18 김복열 악기용 목걸이형 지지장치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5-04-23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101878366B1 (ko) * 2016-07-04 2018-07-13 정일순 낚시용 요대
KR200488663Y1 (ko) 2018-04-24 2019-03-06 이상국 악기 지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6151A (ja) * 2006-05-23 2007-12-06 Kenji Ura 弦楽器用ス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68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4398B1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JPWO2008107939A1 (ja) 楽器用ストラップおよび楽器連結具
JP2008268737A (ja)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US7282631B2 (en) Harness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9812102B2 (en) Ergonomic support apparatus
TWI712031B (zh) 薩克斯風支持裝置
KR102250680B1 (ko)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US6624346B2 (en) Support cushion for musical instrument
US6791018B2 (en) Guitar sling
WO2005115103A2 (en) Specialized strap system
US7009097B1 (en) Guitar strap
JP2021502612A5 (ko)
JP2001188529A (ja) 楽器のためのケース
KR20110046054A (ko) 색소폰 스트랩
US3129863A (en) Shoulder strap for musical instruments
US8536433B1 (en) Waist belt rigid frame equipment support harness
JP3153387U (ja) 直管楽器用ストラップ
JP2007114713A (ja) 楽器用ストラップ
US202303069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spending a musical instrument
KR20110041875A (ko) 색소폰 스트랩
KR102227763B1 (ko) 악기 지지장치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KR101263896B1 (ko)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JP6747703B1 (ja) バイオリン属用補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