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93Y1 - 악기 지지구 - Google Patents

악기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93Y1
KR200493393Y1 KR2020180004240U KR20180004240U KR200493393Y1 KR 200493393 Y1 KR200493393 Y1 KR 200493393Y1 KR 2020180004240 U KR2020180004240 U KR 2020180004240U KR 20180004240 U KR20180004240 U KR 20180004240U KR 200493393 Y1 KR200493393 Y1 KR 200493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trap
hole
plate
control hole
p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739U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2020180004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9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한 고정구;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전방조절구; 그리고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조절구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을 절곡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기 지지구{MUSICAL INSTRUMENT SUPPORTER}
본 고안은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의 무거운 하중을 어깨와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은, 하나의 리드가 들어 있는 취구를 사용하는 관악기로서 몸통은 대개 황동으로 형성되고, 몸통의 전면에는 고음과 저음의 음색이 발생되도록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운지키들이 다수개 구성된다. 또한, 몸통의 선단에는 연주자가 입에 물고 바람을 몸통 내부에 주입하는 리드와 조임쇠로 구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색소폰을 연주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스트랩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색소폰을 고리에 연결하여 연주자의 목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색소폰 넥 스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색소폰 넥 스트랩은 연주자의 목이 무거운 색소폰의 하중(약 1.5-4kg)을 감당해야 하므로, 연주하는 동안 연주자의 피로감을 급격히 증가시켜 정상적인 연주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목에 강한 압박이 작용되어 목의 통증이 유발되고 심한 경우에는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15-0001459호(2015.04.15.)
본 고안의 목적은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기의 무게가 연주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주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한 고정구;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전방조절구; 그리고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조절구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을 절곡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조절구는 후면에 형성된 후크홀을 가지며, 상기 위치고정구는,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에 의해 관통되는 통; 그리고 상기 통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홀에 삽입고정가능한 걸림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는 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상부전방조절홀 및 제1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가지며, 상기 제2 패드는 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상부전방조절홀 및 제2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제2 하부전방조절홀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전방연결끈이 통과하는 고정링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조절구는, 전방판; 상기 전방판과 상기 착용자의 가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후방판; 상기 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하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의 중앙부가 절곡된 고리가 걸쳐지는 중앙지지대;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들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패드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1 연결끈은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1 패드 측에서 상기 제2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2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 중간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상부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며,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패드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2 연결끈은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2 패드 측에서 상기 제1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2 상부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2 중간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며,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는 상기 전방판 및 상기 후방판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및 우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끈고정링들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끈고정링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 및 상기 제1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상기 제1 상부전방조절홀을 차례로 통과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중앙개구를 통해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1 패드 측에서 상기 제2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 끈고정링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상부전방조절홀 및 상기 제2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상기 제2 하부전방조절홀을 차례로 통과하며, 상기 중앙개구를 통해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2 패드 측에서 상기 제1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며,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제1 상부슬롯 및 제1 중간슬롯, 그리고 제1 하부슬롯으로 구획하는 제1 상부지지대 및 제1 하부지지대;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2 연결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며,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2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제2 상부슬롯 및 제2 중간슬롯, 그리고 제2 하부슬롯으로 구획하는 제2 상부지지대 및 제2 하부지지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후방판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측에 각각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 후방홀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제1 하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중간슬롯 및 제1 후방홀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끈고정링을 통과하며,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 및 상기 제1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상기 제1 상부전방조절홀을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개구를 통해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1 상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상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제2 하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중간슬롯 및 제2 후방홀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 끈고정링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상부전방조절홀 및 상기 제2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상기 제2 하부전방조절홀을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개구를 통해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2 상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링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상부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판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절개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후방판의 상단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릿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끈의 선단부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매듭지어져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는, 금속재질의 제1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을 감싸는 제1 외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외피의 전방 하단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상부전방조절홀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외피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전방조절홀 및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은 상기 제1 외피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특히, 악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의 후방연결끈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후방연결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의 전방연결끈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위치고정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관악기를 연주하는 착용자(또는 연주자)는 직접 손으로 악기를 파지하거나 목 일부분을 감싸는 목대와 일측이 목대에 결합되고 타측이 악기에 결합된 연결줄로 구성된 스트랩 또는 악기지지용 목걸이를 이용하여 악기 무게를 목에 지탱하며 악기를 연주하는 일반적이다.
그러나, 주로 황동으로 제작된 관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들이 많으며 특히 색소폰에 있어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등과 같은 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에 속한다.
상기한 악기는 제조 시의 선택되는 재질과 제조사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악기의 무게가 적게는 2.8㎏에서 많게는 거의 10㎏에 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중량의 악기를 악기지지용 목걸이에 지지하여 장시간 무리하게 연주할 경우, 목 주변은 상당한 피로감과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신체부위 중에서 목부위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디스크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목에 중압감을 심하게 느끼게 되면 안정된 음정을 유지하는 연주를 장시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아름다운 소리와 강렬한 음을 내기 위해 악기를 흔들거나 비틀면서 연주하기가 힘들어 감미롭고 격동적인 연주를 어렵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 관악기 연주가들 사이에는 편안하고 안정적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악기 지지구의 기술 제공 욕구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오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악기 지지구는 제1 및 제2 패드(10, 20),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방연결끈(30)과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방연결끈(70), 그리고 전방연결끈(30)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왼쪽 어깨 및 오른쪽 어깨 위에 각각 걸쳐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를 통해 연주자의 어깨와 등에 전달된다. 또한,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어깨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접촉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연주자가 느끼는 악기의 무게감은 낮아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패드(1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2 패드(20)는 제1 패드(10)와 좌우 대칭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드(10)는 각각 금속재질의 제1 프레임(12)과 제1 프레임(12)을 감싸는 제1 외피(14)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2)은 가볍고 내구성이 큰 알루미늄(Aluminium) 소재일 수 있다. 연주자가 악기 지지구(100)를 착용했을 시, 제1 프레임(12)의 후단은 견갑골(scapula)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12)의 전단은 빗장뼈(clavicle)의 하부에 놓여진다.
제1 프레임(12)은 비교적 연성이 크고 경도가 낮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주자의 어깨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환형으로 벤딩(bending) 가능함으로써, 연주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제1 외피(14)는 천연(또는 인조가죽), 헝겊, 합성 수지재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연주자의 어깨 및 등에 각각 밀착될 수 있으며, 연주자의 부드러운 착용감을 형성하도록 제1 프레임(12)과 제1 외피(14) 사이에는 솜과 같은 쿠션재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패드(10)는 제1 패드(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1 전방관통홀(16) 및 제1 후방관통홀(18)을 가진다. 제1 전방관통홀(16)은 제1 패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상부전방조절홀(16a) 및 제1 중간전방조절홀(16b), 그리고 제1 하부전방조절홀(16c)을 가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피(14)의 전방 하단은 제1 프레임(12)의 전방 하단 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즉, 제1 외피(14)는 제1 프레임(12) 보다 길다. 따라서, 제1 상부전방조절홀(16a) 및 제1 후방관통홀(18)은 제1 외피(14)와 제1 프레임(12)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되나, 제1 중간전방조절홀(16b) 및 제1 하부전방조절홀(16c)은 제1 프레임(12)의 전방 하단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외피(14) 만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외피(14)의 전방 하단은 제1 중간전방조절홀(16b) 및 제1 하부전방조절홀(16c)을 통과하는 제1 연결끈(31)에 의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악기 지지구에 악기가 체결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외피(14)는 중앙부 내측에 돌출되는 제1 날개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날개부(15)는 제1 날개부(1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1 조절홀(17)이 형성된다. 제1 조절홀(17)은 제1 패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외피(24)는 제2 날개부(25)를 구비하되, 제2 날개부(25)는 제1 날개부(1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날개부(25)는 제2 날개부(2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 조절홀들(27)이 형성되며, 제2 조절홀들(27)은 제2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외피(14)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제2 외피(24)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의 후방연결끈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후방연결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방연결끈(70)은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과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 위치조절구(80)는 후방고정슬릿(81),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a, 82b), 제1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a, 84b)을 구비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와 제1 후방조절고리(93a)를 통해 제1 패드(10)에 고정 가능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와 제2 후방조절고리(93b)를 통해 제2 패드(20)에 고정 가능하다.
제1 후방메인고리(95a)는 제1 후방관통홀(1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 및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를 구비한다.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지지홀(96a)이 형성되며, 제1 후방연결끈(71)은 지지홀(96a)에 삽입되어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연결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구비된 지지홀(96a)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1 후방지지슬릿(84a), 그리고 제1 후방조절고리(93a)에 구비된 지지홀(94a)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에 구비된 지지홀(96b)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b), 그리고 제2 후방조절고리(93b)에 구비된 지지홀(94b)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1 후방연결끈(71)과 제2 후방연결끈(79)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는 매듭을 통해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후방위치조절구(80)의 후단에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후방위치조절구(80)는 제1 후방조절슬릿(82a)과 제1 후방지지슬릿(84a)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후방연결슬릿(83a)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제2 후방지지슬릿(84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조절슬릿(82a)을 통과하여 제1 후방연결슬릿(83a)을 거쳐 제1 후방지지슬릿(84a)을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조절슬릿(82b)을 통과하여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거쳐 제2 후방지지슬릿(84b)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은 각각의 슬릿에 위-아래 및 아래-위 방향으로 교차하여 삽입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악기 지지구는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구비하며, 고정구(40)는 전방연결끈(30)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10,20)에 연결된다. 고정구(40)는 고정링(4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전방연결끈(30)은 고정링(42)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패드(10,20)에 연결된다.
전방조절구(50)는 전방연결끈(30) 상에 설치되며, 전방연결끈(30)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구(40)와 제1 및 제2 패드(10,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고정구(40)에 고정된 악기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전방조절구(50)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을 구비하며, 후방판(51) 및 전방판(52)은 대체로 삼각 형상을 가진다. 후방판(51)은 착용자의 신체(가슴)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전방판(52)은 후방판(51)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판(51)으로부터 이격된다.
중앙지지대(57)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의 하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후방판(51)과 전방판(52) 사이에 위치하며, 후방판(51)과 전방판(52)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바(53a,54a)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의 양측에 연결되어 중앙지지대(57)로부터 이격되며, 후방판(51)과 전방판(52) 사이에 위치하며, 후방판(51)과 전방판(52)을 서로 연결한다. 중앙지지대(57)와 제1 연결바(53a) 사이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중앙지지대(57)와 제2 연결바(54a) 사이에 제2 개구가 형성된다.
제1 연결바(53a)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으로부터 착용자의 좌측을 향해 연장되며, 제1 끈고정링(53)은 제1 연결바(53a)의 선단에 연결된다. 제2 연결바(54a)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으로부터 착용자의 좌측을 향해 연장되며, 제2 끈고정링(54)은 제1 연결바(54a)의 선단에 연결된다.
제1 개구는 제1 하부지지대(59a) 및 제1 상부지지대(59b)에 의해 구획되어, 제1 하부슬롯(59c) 및 제1 중간슬롯(59d), 그리고 제1 상부슬롯(59e)을 형성한다. 제1 하부지지대(59a) 및 제1 상부지지대(59b)는 중앙지지대(57) 및 제1 연결바(53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개구는 제2 하부지지대(58a) 및 제2 상부지지대(58b)에 의해 구획되어, 제2 하부슬롯(58c) 및 제2 중간슬롯(58d), 그리고 제2 상부슬롯(58e)을 형성한다. 제2 하부지지대(58a) 및 제2 상부지지대(58b)는 중앙지지대(57) 및 제2 연결바(54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판(51)은 슬릿(52a)과 제1 및 제2 후방홀(52b,52c), 그리고 후크홀(52d)을 가진다. 슬릿(52a)은 후방판(5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일부 절개되며, 전방연결끈(30)의 양 선단부는 매듭진 상태에서 슬릿(52a)에 의해 고정된다. 한 쌍의 지지판(56a,56b)은 후방판(51)의 상단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릿(52a)의 양측에 위치하며, 슬릿(52a)에 고정된 전방연결끈(30)의 매듭이 슬릿(52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후방홀(52b,52c)은 슬릿(52a)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다. 후크홀(52d)은 제1 및 제2 후방홀(52b,52c)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판(51)과 전방판(52)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므로, 후방판(51)과 전방판(52)의 상부에 중앙개구(52h)가 형성되며, 중앙개구(52h)는 후방판(51)과 전방판(52)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악기 지지구의 전방연결끈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전방연결끈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연결끈(30)의 중앙부는 절곡되어 고리(30a)를 형성하고, 중앙지지대(57)에 걸쳐진다. 전방연결끈(30)은 고리(30a)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끈(31)과 제2 연결끈(32)으로 구분된다. 제1 연결끈(31)은 제1 패드(10) 측에 배치되며, 제2 연결끈(32)은 제2 패드(20) 측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끈(32)은 제2 하부슬롯(58c)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고정링(42)을 제2 패드(20) 측에서 제1 패드 측(10)으로 관통한다. 이후, 제2 연결끈(32)은 제1 중간슬롯(59d)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제2 후방홀(52c)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제2 끈고정링(54)을 통과한다. 제2 연결끈(32)은 제2 상부전방조절홀(26a)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고, 제2 중간전방조절홀(26b)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고, 제2 하부전방조절홀(26c)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며, 이를 통해 제2 패드(20)는 제2 연결끈(32)에 연결된다.
이후, 제2 연결끈(32)은 중앙개구(52h)를 통해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제2 상부슬롯(58e)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고정링(42)을 제2 패드(20) 측에서 제1 패드 측(10)으로 관통한다. 이후, 제2 연결끈(32)은 제1 상부슬롯(59e)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슬릿(52a)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끈(31)은 제1 하부슬롯(59c)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고정링(42)을 제1 패드(10) 측에서 제2 패드 측(20)으로 관통한다. 이후, 제1 연결끈(31)은 제2 중간슬롯(58d)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제1 후방홀(52b)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제1 끈고정링(53)을 통과한다. 제1 연결끈(31)은 제1 하부전방조절홀(16c)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고, 제1 중간전방조절홀(16b)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고, 제1 상부전방조절홀(16a)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며, 이를 통해 제1 패드(10)는 제1 연결끈(31)에 연결된다.
이후, 제1 연결끈(31)은 중앙개구(52h)를 통해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제1 상부슬롯(59e)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고정링(42)을 제1 패드(10) 측에서 제2 패드 측(20)으로 관통한다. 이후, 제1 연결끈(31)은 제2 상부슬롯(58e)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슬릿(52a)을 통과하여 전방조절구(50)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도 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전방연결끈(30)의 연결방식을 통해, 전방조절구(50) 및 고정구(40)가 제1 및 제2 패드(10,20)와 연결된다. 착용자는 악기 지지구, 즉 제1 및 제2 패드(10,20)를 착용자의 어깨에 걸치는 방법으로 악기 지지구를 착용할 수 있으며, 악기를 고정구(40)에 고정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색소폰의 경우, 고유한 연주방식으로 인해 악기가 착용자의 우측(예를 들어, 제2 패드(20)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제1 및 제2 패드(10,20)와 전방조절구(50) 사이에 4가닥의 전방연결끈(30)이 형성되고, 4가닥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4가닥에 걸리는 장력이 균일하게 발생하므로, 착용자는 악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위치고정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고정구는 전방조절구(50)와 고정링(42) 사이에 위치하며, 원통 형상의 통(62)과 통(62)에 고정된 걸림구(64)를 구비한다. 전방연결끈(30) 중 전방조절구(50)와 고정링(42)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연결끈(30)은 통(62)을 통과하며, 통(62)은 원통이 아닌 사각통 등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조절구(50)는 전방연결끈(30)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구(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방조절구(50)가 이동함에 따라 전방연결끈(30) 역시 고정링(42) 등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구(40)의 위치가 조절된다. 착용자는 고정구(40)의 위치조절이 완료된 이후, 걸림구(64)를 후크홀(52d)에 삽입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조절구(50)와 고정링(42)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연결끈(30)이 절곡되므로, 전방연결끈(3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고 제한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고정구(40)의 높이 또는 위치가 임의로 쉽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

  1.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한 고정구;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후크홀을 가지는 전방조절구; 및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조절구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을 절곡하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고정구는,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에 의해 관통되는 통; 및
    상기 통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전방조절구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연결끈을 절곡하고 상기 전방연결끈 및 상기 고정구의 이동을 제한가능한 걸림구를 구비하는, 악기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상부전방조절홀 및 제1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가지며,
    상기 제2 패드는 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상부전방조절홀 및 제2 중간전방조절홀, 그리고 제2 하부전방조절홀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전방연결끈이 통과하는 고정링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조절구는,
    전방판;
    상기 전방판과 상기 착용자의 가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후방판;
    상기 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하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의 중앙부가 절곡된 고리가 걸쳐지는 중앙지지대; 및
    상기 중앙지지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바들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패드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1 연결끈은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1 패드 측에서 상기 제2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2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 중간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상부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며,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패드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2 연결끈은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제2 패드 측에서 상기 제1 패드 측으로 통과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조절구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2 상부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2 중간전방조절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하부전방조절홀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며, 선단부가 상기 전방조절구에 고정되는, 악기 지지구.
KR2020180004240U 2018-09-11 2018-09-11 악기 지지구 KR200493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40U KR200493393Y1 (ko) 2018-09-11 2018-09-11 악기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40U KR200493393Y1 (ko) 2018-09-11 2018-09-11 악기 지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10U Division KR200488663Y1 (ko) 2018-04-24 2018-04-24 악기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39U KR20190002739U (ko) 2019-11-01
KR200493393Y1 true KR200493393Y1 (ko) 2021-03-19

Family

ID=6853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240U KR200493393Y1 (ko) 2018-09-11 2018-09-11 악기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9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90Y1 (ko) * 2014-07-28 2015-10-06 최기현 섹소폰 넥 스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303B1 (ko) 2013-06-27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부 및 세라믹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200476999Y1 (ko) * 2014-12-22 2015-04-23 이상국 악기 지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90Y1 (ko) * 2014-07-28 2015-10-06 최기현 섹소폰 넥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39U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99Y1 (ko) 악기 지지구
KR200488663Y1 (ko) 악기 지지구
US2273136A (en) Adjustable support
US4930695A (en) Support system for guitar or like instrument
US20050155619A1 (en) Hair accessory utilizing a drawable member and a securing member
US4817488A (en) Guitar slide bar apparatus
US20120279379A1 (en) Cover For Striking Device for Percussion Instrument
JP2008268737A (ja)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US6085500A (en) Equestrian training device
KR200463121Y1 (ko) 악기용 목걸이형 지지장치
US9373312B1 (en) Stable positioning harness for suspending a musical instrument on the player
US7009097B1 (en) Guitar strap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53U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49U (ko) 악기 지지구
KR101855164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관악기용 어깨 스트랩
US20130014630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349527B1 (en) Equestrain training device
CN207302608U (zh) 乐器支撑件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
JP2007114713A (ja) 楽器用ストラップ
US1088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an instrument
KR102250680B1 (ko)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KR20110041875A (ko) 색소폰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