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75A - 색소폰 스트랩 - Google Patents

색소폰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75A
KR20110041875A KR1020090098893A KR20090098893A KR20110041875A KR 20110041875 A KR20110041875 A KR 20110041875A KR 1020090098893 A KR1020090098893 A KR 1020090098893A KR 20090098893 A KR20090098893 A KR 20090098893A KR 20110041875 A KR20110041875 A KR 2011004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axophone
string
ring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만
Original Assignee
전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만 filed Critical 전종만
Priority to KR102009009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875A/ko
Publication of KR2011004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이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통증 및 호흡 장애 등의 전반적인 건강 악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힘의 분산에 따른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트랩 줄; 상기 스트랩 줄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색소폰의 상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1 연결고리; 상기 스트랩 줄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색소폰의 하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2 연결고리; 및 상기 스트랩 줄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줄의 일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키되 착용 시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줄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소폰, 스트랩, 줄, 걸이

Description

색소폰 스트랩{saxophone strap}
본 발명은,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이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통증 및 호흡 장애 등의 전반적인 건강 악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힘의 분산에 따른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은 싱글 리드(single reed)로 된 목관악기이다.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보통은 스트랩(strap)이라 하는 끈에 걸어 사용된다.
종래의 색소폰 스트랩으로서,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스트랩을 목(네크, neck)에 걸고 색소폰과 연결시키는 색소폰 네크 스트랩과,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스트랩을 엑스밴드 형태로 어깨 등에 매고 색소폰과 연결시키는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이 알려져 있다. 참고로, 도 1a 내지 도 2b의 이미지에는 편의상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우선, 도 1a 및 도 1b의 색소폰 네크 스트랩에 대해 설명한다. 색소폰 네크 스트랩은 스트랩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도 1a는 색소폰 중에서도 알토 색소폰으로 무게는 약 2.5kg이다. 참고로, 테너 색소폰의 무게는 약 3.5kg이고 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색소폰은 그 이상의 무게를 갖는다.
도 1a에서 보듯이 연주자는 무거운 색소폰을 목에 걸고 있기 때문에 목에 하중이 집중되어 목 관절이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즉, 네크 스트랩이 목 뒤쪽을 잡아당기기 때문에 목 주변의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킨다. 연주가 진행되면 목 부위의 피로와 통증으로 인해 목과 허리를 굽히게 되므로 연주자세가 흐트러질 우려가 높다. 목에 하중이 걸려 목 주변 근육에 힘을 주게 되므로 호흡기관이 경직되어 연주를 위한 호흡이 매우 불편하다.
도 1a와 같은 자세에서 색소폰을 잡고 있는 두 손을 놓으면 도 1b처럼 색소폰의 마우스피스가 입에서 어깨위로 옮겨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주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색소폰을 어깨위에서 입까지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수평 방향으로 밀어서 연주를 하고 있다는 것을 사진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관절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오른손 엄지손가락 관절의 통증과 함께 관절부위가 부어올라 연주가 끝나도 엄지손가락의 통증이 계속 지속될 수밖에 없다.
이처럼 도 1a 및 도 1b의 색소폰 네크 스트랩은 그 하중이 연주자의 목과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데, 이때,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피로 또는 통증으로 인해 엄지손가락이 아래로 처지게 되면 입에 물고 있던 마우스피스가 아랫입술을 누르게 되므로 아랫입술의 떨림으로 연주를 해야 하는 색소폰의 경우 연주가 제대로 될 수가 없다. 마우스피스가 아랫입술을 누르면 연주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연주자는 목과 허리를 굽히게 되는 바 연주자세가 전반적으로 엉망이 되어버린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의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에 대해 설명한다.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은 등 뒤에서 볼 때 스트랩의 형태가 X자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은 도 1a 및 도 1b의 색소폰 네크 스트랩과 달리 스트랩을 목에 걸지 않으므로 목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이점은 있다. 하지만,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 역시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은 미관이 좋지 않아 연주자를 바라보는 관객의 마음이 답답하고 불편하다는 평이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연주자들이 공연에서의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도 2a에서 보듯이 비교적 딱딱한 어깨끈 조절기가 쇄골이나 어깨에 위치하게 되면 연주자는 쇄골 및 어깨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엑스밴드 스트랩이 어깨를 앞쪽으로 당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어깨를 앞쪽으로 웅크리게 된다. 엑스밴드 스트랩이 가슴을 조이므로 가슴이 답답하여 호흡에 지장을 준다.
도 2a와 같은 자세에서 색소폰을 잡고 있는 두 손을 놓으면 도 2b처럼 색소폰의 마우스피스가 입에서 어깨위로 옮겨진다. 즉, 연주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색소폰을 어깨위에서 입까지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연주를 하고 있다는 것을 사진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관절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오른손 엄지손가락 관절의 통증과 함께 관절부위가 부어올라 연주가 끝나도 엄지손가락의 통 증이 계속 지속된다. 그러므로 색소폰의 하중은 연주자의 어깨와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게 되는데 이때,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피로 또는 통증으로 인해 엄지손가락이 아래로 처지게 되면 입에 물고 있던 마우스피스가 아랫입술을 누르게 되므로 아랫입술의 떨림으로 연주를 해야 하는 색소폰의 경우 연주가 제대로 될 수가 없다. 마우스피스가 아랫입술을 누르면 연주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연주자는 목과 허리를 굽히게 되는 바 연주자세가 전반적으로 엉망이 되어버린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10)은 전술한 색소폰 네크 스트랩이나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일 수 있다.
도 3a를 먼저 참조하면, 색소폰(S)의 하단 고리(S1)에 스트랩(10)을 연결하면, 색소폰(S)에 가해지는 하중(G)을 스트랩(10)이 상쇄시킨다. 그러나 색소폰(S)의 하단 고리(S1)를 중심으로 색소폰(S)의 상부지점에서 발생되는 모멘트(H1/M)와 하부지점에 발생되는 모멘트(H2/M)는 상쇄되지 않아 색소폰(S)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색소폰(S)의 하단 고리(S1)를 당기는 힘은 색소폰(S)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에 스트랩(10)을 연결하면, 색소폰(S)에 가해지는 하중(G)을 스트랩(10)이 상쇄시킨다. 그러나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를 중심으로 색소폰(S)의 상부지점에서 발생되는 모멘트(H1/M)와 하부지점에 발생되는 모멘트(H2/M)는 상쇄되지 않아 색소폰(S)이 반시 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를 당기는 힘은 색소폰(S)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10)은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추구하기에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이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통증 및 호흡 장애 등의 전반적인 건강 악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힘의 분산에 따른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색소폰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스트랩 줄; 상기 스트랩 줄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색소폰의 상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1 연결고리; 상기 스트랩 줄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색소폰의 하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2 연결고리; 및 상기 스트랩 줄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줄의 일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키되 착용 시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줄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줄 교차부재와 상기 제1 연결고리 사이의 스트랩 줄은 상기 줄 교차부재 쪽에서부터 벌어진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양 어깨를 지나 상기 사용자의 가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고리에서 모아지며, 상기 줄 교차부재와 상기 제2 연결고리 사이의 스트랩 줄은 상기 줄 교차부재 쪽에서부터 벌어진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줄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줄은 다수의 단위줄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줄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단위줄을 상호간 착탈시키는 착탈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고리는 해당 위치에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는 해당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줄과 상기 제2 연결고리는 상기 스트랩 줄을 따라 상기 제2 연결고리를 이동시키는 이동형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이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통증 및 호흡 장애 등의 전반적인 건강 악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힘의 분산에 따른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개략적인 사시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을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은,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과, 제1 스트랩 줄(110a)에 마련되어 색소폰(S, 도 7 참조)의 상단 고리(S2)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1 연결고리(121)와, 제2 스트랩 줄(110b)에 마련되어 색소폰(S)의 하단 고리(S1)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2 연결고리(122)와, 제1 스트랩 줄(110a)에 연결되어 제1 스트랩 줄(110a)의 일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키되 착용 시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줄 교차부재(130)를 포함한다.
스트랩 줄(110a,110b)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단위줄(110a,110b)로 마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긴 것을 제1 스트랩 줄(110a), 짧은 것을 제2 스트랩 줄(110b)이라 한다. 물론, 이는 편의상 구분될 것일 뿐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은 분리되지 않은 단일의 라인을 이룰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 스트랩 줄(110b)이 더 길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 사이에는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을 상호간 착탈시키는 착탈부재(150)가 마련된다. 착탈부재(150)는 가방 등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후크 타입일 수 있다. 착탈부재(150)는 도면과 달리 한쪽에만 마련되어도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처럼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이 마련되고 이들이 착탈부재(15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호간 손쉽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을 착용하기가 수월해진다(도 8a 내지 도 8f 참조).
또한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에는 제1 및 제2 스트랩 줄(110a,110b)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길이조절부재(140)가 더 마련된다. 본 실 시예의 경우, 3개의 길이조절부재(140)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1 및 제2 연결고리(121,122)는 각각 도 7의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 및 하단 고리(S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역시 후크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고리(121)는 제1 스트랩 줄(110a)의 끝단 영역에 고정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반해, 제2 연결고리(122)는 제2 스트랩 줄(110b)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한데, 이처럼 제2 연결고리(122)가 제2 스트랩 줄(110b) 상에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에 대한 색소폰(S)의 위치를 잡기가 수월해진다.
제2 연결고리(122)의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제2 스트랩 줄(110b)과 제2 연결고리(122)는 제2 스트랩 줄(110b)을 따라 제2 연결고리(122)를 이동시키는 이동형 고리(1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동형 고리(125)는 단순한 링(ring) 타입일 수 있다.
줄 교차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 줄(110a)에 연결되어 제2 스트랩 줄(110b)보다 긴 제1 스트랩 줄(110a)의 일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키는 부분이다. 착용 시 줄 교차부재(130)는 사용자의 등에 위치된다(도 6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교차부재(130)와 제1 연결고리(121) 사이의 제1 스트랩 줄(110a)은 줄 교차부재(130) 쪽에서부터 벌 어진 다음에 사용자의 양 어깨를 지나 사용자의 가슴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연결고리(121)에서 모아지는 형태로써 착용된다.
그리고 줄 교차부재(130)와 제2 연결고리(122) 사이의 제1 스트랩 줄(110a)은 줄 교차부재(130) 쪽에서부터 벌어진 다음에 제2 스트랩 줄(110b)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되는 형태로써 착용된다. 이후에, 제2 연결고리(122)를 제2 스트랩 줄(110b)을 따라 이동시켜 사용자의 배 영역에 위치시키면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f는 도 4에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을 실제 착용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 및 하단 고리(S1)에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의 제1 및 제2 연결고리(121,122)를 각각 연결하면 색소폰(S)에 가해지는 하중(G)을 색소폰 스트랩(1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분산하여 상쇄시킨다.
때문에 전술한 도 3a처럼 하단 고리(S1)를 중심으로 색소폰(S)의 상부 및 하부지점에서 발생되는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는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를 당기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쇄된다.
마찬가지로, 도 3b처럼 상단 고리(S2)를 중심으로 색소폰(S)의 상부 및 하부지점에서 발생되는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는 색소폰(S)의 하단 고리(S1)를 당기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쇄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은 색소폰(S)의 상부지점에서 발생되는 모멘트(H1/M)와 하부지점에 발생되는 모멘트(H2/M)를 상쇄시키게 되어 색소폰(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걸어 다니는 정도의 움직임이 있다 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과 고정되어 있는 A 영역 및 B 영역의 마찰력으로 인해 색소폰 스트랩(100)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는다. 따라서 색소폰(S)의 하중(G)과 회전하려고 하는 힘은 색소폰 스트랩(100)의 장력과 마찰력에 의해 정지 상태에서 알맞은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을 실제 착용하는 과정을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f에는 편의상 도면 참조부호를 생략하였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색소폰 스트랩(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한 후, 도 8c와 같이 색소폰(S)의 상단 고리(S2) 및 하단 고리(S1)에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100)의 제1 및 제2 연결고리(121,122)를 각각 연결한다.
다음, 도 8d와 같이 색소폰 스트랩(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색소폰(S)의 높이를 맞춘다.
그런 다음에 도 8e와 같이 색소폰 스트랩(100)의 상단 길이를 조절하여 색소폰(S)의 마우스피스가 입 안으로 들어오게 한 후, 최종적으로 도 8f와 같이 마우스피스의 위치가 적절하면 어깨와 허리를 움직여 연주하기에 편안한지 확인하면 간단 하게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목이나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통증 및 호흡 장애 등의 전반적인 건강 악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적절한 힘의 분산에 따른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연주자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는 달리, 만약 색소폰(S) 대신에 딱딱하지 않은 악기나 긴 악기(혹은 물체)인 경우에는, 별도의 스트랩 줄(110c)을 더 연결시키면 되고, 이렇게 구현하면 물체가 흔들리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색소폰 스트랩은 다음과 같은 추가의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첫째로, 스트랩 줄의 길이를 길게 늘려 바리톤 색소폰 같은 대형악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둘째로, 색소폰 스트랩의 제2 연결고리를 색소폰의 하단 고리로부터 분리하여 연주자의 활동성을 넓힐 수 있다. 셋째로, 색소폰 스트랩을 옷 속에 착용하면 도 1a 및 도 1b의 네크 스트랩처럼 보일 수 있다. 넷째로, 색소폰 스트랩 하단을 분리하여 스트랩 줄의 길이를 줄이면 스트랩을 가슴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 네크 스트랩의 사용 상태 이미지,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 엑스밴드 스트랩의 사용 상태 이미지,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을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f는 도 4에 도시된 색소폰 스트랩을 실제 착용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하중분산에 의한 색소폰 균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색소폰 스트랩 110a,110b : 스트랩 줄
121,122 : 연결고리 125 : 이동형 고리
130 : 줄 교차부재 140 : 길이조절부재
150 : 착탈부재

Claims (6)

  1. 스트랩 줄;
    상기 스트랩 줄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색소폰의 상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1 연결고리;
    상기 스트랩 줄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색소폰의 하단 고리와 연결되는 착탈형 제2 연결고리; 및
    상기 스트랩 줄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줄의 일 영역을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시키되 착용 시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줄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 교차부재와 상기 제1 연결고리 사이의 스트랩 줄은 상기 줄 교차부재 쪽에서부터 벌어진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양 어깨를 지나 상기 사용자의 가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고리에서 모아지며,
    상기 줄 교차부재와 상기 제2 연결고리 사이의 스트랩 줄은 상기 줄 교차부재 쪽에서부터 벌어진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줄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줄은 다수의 단위줄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줄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단위줄을 상호간 착탈시키는 착탈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고리는 해당 위치에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는 해당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줄과 상기 제2 연결고리는 상기 스트랩 줄을 따라 상기 제2 연결고리를 이동시키는 이동형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스트랩.
KR1020090098893A 2009-10-16 2009-10-16 색소폰 스트랩 KR20110041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93A KR20110041875A (ko) 2009-10-16 2009-10-16 색소폰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893A KR20110041875A (ko) 2009-10-16 2009-10-16 색소폰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75A true KR20110041875A (ko) 2011-04-22

Family

ID=4404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893A KR20110041875A (ko) 2009-10-16 2009-10-16 색소폰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8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59Y1 (ko) * 2013-05-16 2013-10-17 이상국 듀얼 지지스트랩을 이용한 악기 지지구
WO2016105041A1 (ko) * 2014-12-22 2016-06-30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102375590B1 (ko) 2021-06-25 2022-03-18 주식회사 정림 축사용 다기능 열교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59Y1 (ko) * 2013-05-16 2013-10-17 이상국 듀얼 지지스트랩을 이용한 악기 지지구
WO2016105041A1 (ko) * 2014-12-22 2016-06-30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102375590B1 (ko) 2021-06-25 2022-03-18 주식회사 정림 축사용 다기능 열교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3539U (ja) 楽器支持具
EP2747718B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posture of a user
KR101840897B1 (ko) 관악기용 운반 장치
JP2008268737A (ja)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US4630763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a banjo in adjustable proportions from both the torso and the shoulders of a player
KR20110041875A (ko) 색소폰 스트랩
US20060010657A1 (en) Specialized strap system
KR200481144Y1 (ko)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JP2007114713A (ja) 楽器用ストラップ
US8536433B1 (en) Waist belt rigid frame equipment support harness
JP6747703B1 (ja) バイオリン属用補助器
JP3184155U (ja) サクスフォン用ストラップ
KR102250680B1 (ko)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JP6456719B2 (ja) 楽器ホルダー
KR101263896B1 (ko)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JP6528742B2 (ja) 楽器用キャリア
CN207302608U (zh) 乐器支撑件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US202303069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spending a musical instrument
KR20200000749U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53U (ko) 악기 지지구
KR200469459Y1 (ko) 듀얼 지지스트랩을 이용한 악기 지지구
US20240203383A1 (en) Strap for relieving local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