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24Y1 - 관악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24Y1
KR200493624Y1 KR2020190004375U KR20190004375U KR200493624Y1 KR 200493624 Y1 KR200493624 Y1 KR 200493624Y1 KR 2020190004375 U KR2020190004375 U KR 2020190004375U KR 20190004375 U KR20190004375 U KR 20190004375U KR 200493624 Y1 KR200493624 Y1 KR 200493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pad
shoulder
strap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정현
Original Assignee
나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현 filed Critical 나정현
Priority to KR2020190004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연결되는 관악기 하중을 왼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1 지지 프레임,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관악기의 하중을 오른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2 지지 프레임, 제1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왼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1 어깨 패드 및 제2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제1 어깨 패드의 이동과는 독립하여 제2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오른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2 어깨 패드를 포함하는 관악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악기용 스트랩{STRAP FOR WIND INSTRUMENT}
본 고안은 관악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비된 어깨 패드의 위치를 조절 가능토록 하여 연주자에 인가되는 관악기 무게 하중을 연주자의 체형이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연주자의 목이나 어깨에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관악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관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나타내고 그 재질에 따라 목관악기나 금관악기로 구분된다. 관악기의 예로 색소폰, 색스혼, 클라리넷, 호른, 트럼펫 등이 있다.
금관악기는 금속재로 그 재질이 구성된다. 금속재질을 주 재료로 구성되는 금관악기는 무게가 많이 나가 손으로만 금관악기를 들고 계속 연주를 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예를 들어, 알토, 테너, 소프라노 등의 색소폰은 그 무게가 적게는 2Kg에서 많게는 10Kg 정도여서 연주자가 손으로만 계속 들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라 색소폰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넥 스트랩이 널리 활용된다.
색스폰용 넥 스트랩은 가죽이나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주자는 넥 스트랩의 끈을 목에 걸치고 끈을 색스폰에 연결하여 색스폰의 무게 하중을 연주자 목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색스폰용 넥 스트랩은 색스폰 하중 중 일부를 목 등을 통해 인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다른 부작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넥 스트랩은 목에 많은 하중이 부가되어 목 디스크 등의 유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넥 스트랩의 부작용을 고려한 고안이 알려져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76999호는 넥 스트랩의 부작용을 인지하여 색소폰 하중을 목뿐 아니라 어깨 전면과 등판을 통해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 색소폰용 스트랩이 구성되어 기존의 넥 스트랩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반면, 연주자 등은 그 신체 사이즈가 서로 다르고 색소폰 등의 관악기 연주시에 연주 스타일(연주 자세)(색소폰을 들고서 연주하는 전형적인 모양 등)이 서로 다르다. 즉, 색스폰용 스트랩을 사용하는 경우 각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 스타일에 따라 그 색스폰용 스트랩의 형태가 변경되거나 유연하게 변형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76999호와 같이 색스폰을 지탱하는 스트랩의 형태가 변형 불가능한 경우, 이는 연주자에게 여전히 양손을 통해 모든 색소폰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고 연주자 전용의 스타일로 연주시에도 연주자의 양손을 통해 색소폰의 모든 하중이 인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색소폰 등의 관악기 하중을 신체를 통해 분산시키면서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 스타일을 반영하여 쉽게 스트랩의 구조가 변형 가능한 관악기용 스트랩이 필요하다.
등록실용신안 20-0476999, 2015년04월23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용이하게 스트랩의 구조가 변형가능하고 그에 따라 관악기의 하중을 어깨 등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관악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 프레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면서 하측에서 고정되는 독립적인 어깨 패드를 제공하여 연주자별 서로 상이한 신체 사이즈와 연주 스타일에서도 안정적으로 신체를 통해 관악기를 지지하고 하중을 분산 가능한 관악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어깨와 목을 통해 관악기 하중을 분산시켜 연주자 등이 쉽게 관악기의 회전, 스윙 등과 같은 다양한 연주 스타일로 연주할 수 있는 관악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악기용 스트랩은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연결되는 관악기 하중을 왼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1 지지 프레임,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관악기의 하중을 오른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2 지지 프레임, 제1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왼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1 어깨 패드 및 제2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제1 어깨 패드의 이동과는 독립하여 제2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오른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2 어깨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관악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제1 어깨 패드 및 제2 어깨 패드는 전방 패드에 지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를 구비하고, 제1 지지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은 어깨 패드를 상하 이동 가능토록 하고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여 어깨 패드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 및 지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대응하는 유형의 복수 단추를 구비하고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제1 어깨 패드와 제2 어깨 패드는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에서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 중 적어도 하나와 리드의 대응 유형의 복수 단추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으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한 관악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제1 어깨 패드 및 제2 어깨 패드는 각각 상측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넥 연결홀을 구비하여 복수의 넥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끈을 통해 서로 지지하여 관악기의 하중을 사용자의 목을 통해서도 분산시키고,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은 너비 방향 양측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져 어깨 패드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한 관악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와 대응 유형의 복수 단추는 결합으로 스냅 단추를 구성하고, 관악기용 스트랩은 색소폰용 스트랩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은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용이하게 스트랩의 구조가 변형가능하고 그에 따라 관악기의 하중을 어깨 등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은 지지 프레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면서 하측에서 고정되는 독립적인 어깨 패드를 제공하여 연주자별 서로 상이한 신체 사이즈와 연주 스타일에서도 안정적으로 신체를 통해 관악기를 지지하고 하중을 분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은 전방 어깨와 목을 통해 관악기 하중을 분산시켜 연주자 등이 쉽게 관악기의 회전, 스윙 등과 같은 다양한 연주 스타일로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관악기용 스트랩에 대해 일 측에서 바라본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관악기용 스트랩에 대해 다른 일 측에서 바라본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관악기용 스트랩에 대해 또 다른 일 측에서 바라본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에서 두 개의 어깨 패드와 넥 패드를 포함하는 일부 구성을 상세히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에서 두 개의 지지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히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의 높이 조절기 및 결합 고리의 구성을 상세히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의 착용시의 형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상측에서 사선으로 바라보고 촬영된 예시적인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외형을 도시하고 도 2는 정면에서 바라보고 촬영된 예시적인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외형을 도시하고 도 3은 뒷면에서 바라보고 촬영된 예시적인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100)을 살펴보면, 관악기용 스트랩(100)은 관악기, 예를 들어 색소폰, 색스혼, 클라리넷, 호른, 트럼펫 등을 연주자(사용자)의 신체에 연결하고 스트랩이 밀착하는 신체를 통해 관악기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지지구이다.
관악기용 스트랩(100)은 바람직하게는 색소폰용 스트랩일 수 있고 연주자의 신체 전방의 양 어깨와 신체 후방의 목 주위를 통해 색소폰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어깨는 적어도 목 둘레부터 상완(上腕)(위팔)까지의 신체 부위 중 전부나 일부를 나타내거가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되는 관악기용 스트랩(100)은 그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 두 개의 어깨 패드(120), 높이 조절기(160), 넥 패드(130) 및 결합 고리(170)를 포함하고, 주요 구성요소(110, 120, 130, 160, 170)가 두 개 이상의 연결끈(140, 15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연주자 신체 전방의 양 어깨 부분과 후방의 목 주위(둘레) 부분을 통해 결합 고리(170)에 결합되어 있는 관악기(금관악기, 예를 들어 색소폰)를 연주자 몸에 결합시키고 관악기의 하중을 분산시킨다.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 중 하나의 지지 프레임(110)(이하 "제1 지지 프레임"이라고도 지칭함)은 제1 지지 프레임(110)의 형상에 의해 연결된 관악기의 하중을 왼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킨다.
제1 지지 프레임(11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로 어깨와 상측 가슴에 밀착하고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형태(형상)를 유지하기 위한 금속 프레임을 포함한다. 금속 프레임은 밀착되는 어깨와 상측 가슴의 형상에 따라 설계된 굴곡을 가진다. 금속 프레임은 알루미늄, 철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10)은 금속 프레임 외부에 이 금속 프레임을 내부에 감싸기 위한 외피를 구비한다. 외피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 가죽, 인조 가족, 직물 재질 등일 수 있다. 외피도 금속 프레임의 형상과 유사하게 왼쪽 어깨와 왼쪽 상측 가슴에 밀착 가능하도록 기다랗고 굴곡을 가지는 형상을 가진다.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 중 나머지 하나의 지지 프레임(110)(이하 "제2 지지 프레임"이라고도 함)은 제2 지지 프레임(110)의 형상에 의해 연결된 관악기의 하중을 오른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킨다.
제2 지지 프레임(11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로 어깨와 상측 가슴에 밀착하고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형태(형상)를 유지하기 위한 금속 프레임을 포함한다. 금속 프레임은 밀착되는 어깨와 상측 가슴의 형상에 따라 설계된 굴곡을 가진다. 금속 프레임은 알루미늄, 철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10)은 금속 프레임 외부에 이 금속 프레임을 내부에 감싸기 위한 외피를 구비한다. 외피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 가죽, 인조 가족, 직물 재질 등일 수 있다. 외피도 금속 프레임의 형상과 유사하게 오른쪽 어깨와 오른쪽 상측 가슴에 밀착 가능하도록 기다랗고 굴곡을 가지는 형상을 가진다.
제1 지지 프레임(110)(의 금속 프레임 및 외피)은 제2 지지 프레임(110)(의 금속 프레임 및 외피)과 그 형상이 동일하거나 대항하고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어깨 패드(120)는 왼쪽 어깨 또는 오른쪽 어깨에 직접 밀착하여 지지 프레임(110)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어깨 패드(120)는 지지 프레임(110)의 외피를 감싸고 지지 프레임(1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어깨 패드(120)는 어깨 부위와 직접 밀착하는 표면(후방 패드(129)) 내부에 충격이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완충부재는 스펀지, 솜,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어깨 패드(120) 중 하나의 어깨 패드(120)(이하 "제1 어깨 패드"라고도 함)는 제1 지지 프레임(110)의 외피를 외부에서 감싸고 제1 지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완충재가 구비된 표면을 통해 연주자의 왼쪽 어깨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어깨 패드(120) 중 나머지 하나의 어깨 패드(120)(이하 "제2 어깨 패드"라고도 함)는 제2 지지 프레임(110)의 외피를 외부에서 감싸고 제2 지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완충재가 구비된 표면(후방 패드(129))을 통해 연주자(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어깨 패드(120)와 제2 어깨 패드(120)는 서로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어깨 패드(120)와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의 구성을 상세히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두 개의 어깨 패드(120)가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를 표시하고 도 5는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이 어깨 패드(120)로부터 분리된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깨 패드(120)는 프레임 삽입 홀(125), 프레임 삽입홀을 통해 전방(전면) 및 후방(후면)으로 서로 구별되는 전방 패드(127), 후방 패드(129), 복수의 제1 단추(121) 및 하나 이상의 넥 연결홀(123)을 구비한다.
전방 패드(127)와 후방 패드(129)는 실 등을 이용한 봉제(재봉) 등으로 전방 패드(127)와 후방 패드(129)의 너비 방향 외측 경계가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어깨 패드(120)는 전방 패드(127)와 후방 패드(129)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프레임 삽입 홀(125)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10)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프레임 삽입 홀(125)의 너비는 지지 프레임(110)의 너비보다 더 넓도록(길도록) 구성되고 지지 프레임(110)이 전방 패드(127)와 후방 패드(129) 사이의 프레임 삽입 홀(125)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전방 패드(127)와 후방 패드(129)는 그 표면이 지지 프레임(110)의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연주자의 어깨, 가슴 등에 밀착되는 후방 패드(129)는 표면 내부에 완충부재를 바람직하게 구비한다.
제1 및 제2 어깨 패드(120)(의 전방 패드(127))는 전면 표면에 설계된 지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어깨 패드(120)는 두 개의 동일 유형의 단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패드(120)는 스냅 단추(똑딱이 단추)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단추 또는 두 개의 암단추를 전방 패드(127)의 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어깨 패드(120) 각각은 상측(및 삽입되는 지지 프레임(110) 옆의 위치)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넥 연결홀(123)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어깨 패드(120)에는 대항하는 제2 어깨 패드(120) 방향의 상측(왼쪽 어깨 상단 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넥 연결홀(1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어깨 패드(120)에는 대항하는 제1 어깨 패드(120) 방향의 동일한 위치의 상측(오른쪽 어깨 상단 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넥 연결홀(123)을 구비할 수 있다. 넥 연결홀(123) 사이의 거리는 두 단추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관악기용 스트랩(100)에서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데, 지지 프레임(110)은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 및 리드(115)를 구비하고 있다.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 및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은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리드(115)는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에서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 방향으로 돌출된다.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 및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은 내부에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고 외피로 이 두 개의 금속 프레임을 감싼 형태로 구성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은 너비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너비)를 가져, 이 이동 프레임(111)이 어깨 패드(120)의 프레임 삽입 홀(125)로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다. 그에 따라, 연주자의 어깨에 밀착할 어깨 패드(120)는 이동 프레임(111) 대비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은 도 5나 도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지고 그 굴곡은 밀착하는 상측의 어깨 부위에서 많고 하측의 가슴 부위에서 적도록 구성된다.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과 일체로 구성되는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은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의 아래(착용시 연주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하고 이동 프레임(111)에 삽입된 어깨 패드(1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한다.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은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111)과 접하는 위치에 너비 방향 양측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진다.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의 외피가 너비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고 돌출한 형상에서의 너비(길이)가 어깨 패드(120)의 프레임 삽입 홀(125)의 너비보다 더 길게 구성되어 압력 등에 의해 어깨 패드(120)가 하측(아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탈)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조절기 연결홀(113-1)을 구비하고 조절기 연결홀(113-1)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끈(150)을 통해 높이 조절기(160)에 연결된다.
리드(115)는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113)에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113) 상측 이동 프레임(11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리드(115)는 이동 프레임(111)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적어도 제1 단추(121) 사이의 지정된 거리와 제2 단추(115-1)의 폭(제 2 단추(115-1)의 크기 또는 직경)의 합 이상)로 돌출되는 외피를 구비하고 이동 프레임(111)과 결합하는 어깨 패드(120)의 전방 패드(127)의 제1 단추(121)에 대응하는 유형의 복수의 제2 단추(115-1)를 구비한다.
리드(115)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2 단추(115-1)를 구비하고 두 개의 제2 단추(115-1)는 두 개의 제1 단추(121)에 설계된 지정된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리드(115)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2 단추(115-1)는 이동 프레임(111)(에 설치되는 어깨 패드(120)의 전방 패드(127)) 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제2 단추(115-1)는 제1 단추(121)와 대응하는 유형의 단추이고 예를 들어, 제1 단추(121)가 암단추이면 제2 단추(115-1)는 수단추이고 제1 단추(121)가 수단추이면 제2 단추(115-1)는 암단추이다.
제1 어깨 패드(120)는 이동 프레임(111)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제1 어깨 패드(120)의 두 개의 제1 단추(121)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지지 프레임(110)의 리드(115)의 대응하는 제2 단추(115-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결합되어 제1 어깨 패드(120)는 제1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어깨 패드(120)는 이동 프레임(111)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어깨 패드(120)의 두 개의 제1 단추(121)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지지 프레임(110)의 리드(115)의 대응하는 제2 단추(115-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결합되어 제2 어깨 패드(120)는 제2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제1 단추(121)와 대응하는 유형의 제2 단추(115-1)는 그 결합으로 스냅 단추(똑딱이 단추)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넥 패드(130)는 연주자의 뒷 목 부위(뒷 목 둘레)에 직접 밀착하여 관악기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통해 목에 인가되는 하중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넥 패드(130)는 목(뒷목) 부위와 직접 밀착하는 표면 내부에 충격이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완충부재는 스펀지, 솜,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구성 요소로 포함되는 상부 연결끈(140)은 제1 어깨 패드(120), 제2 어깨 패드(120) 및 넥 패드(130)를 서로 연결시키고 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연결끈(140)은 제1 어깨 패드(120)의 관통된 복수의 넥 연결홀(123)과 제2 어깨 패드(120)의 관통된 복수의 넥 연결홀(123)에 삽입되고 넥 패드(130)에 연결되어 관악기의 하중을 왼쪽 어깨, 왼쪽 가슴 상측, 오른 어깨, 오른 가슴 상측 및 목 부위(뒷 목 부위)를 통해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연결끈(140)은 섬유 재질(직물 등), 금속 재질 및/또는 그 표면에 일정한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관악기용 스트랩(100)은 뒤쪽 목 부위, 양 어깨, 앞쪽 가슴 부위에 하중이 분산되어 연주자는 손쉽게 관악기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다양한 연주 스타일(자세), 퍼포먼스를 큰 부담없이 수행할 수 있다.
높이 조절기(160)는 연결되어 있는 결합 고리(170)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 조절기(16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161)을 구비하여 다수의 연결홀(161)을 통해 하부 연결끈(150)이 연결된다. 높이 조절기(160)는 플라스틱,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높이 조절기(160)의 너비는 제1 어깨 패드(120)와 제2 어깨 패드(120) 사이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일정한 범위(예를 들어, +/- 10%)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높이 조절기(160) 내의 다수의 연결홀(161)에는 하부 연결끈(150)이 삽입되고 결합 고리(170)가 하부 연결끈(150)에 결합된다. 높이 조절기(160)는 높이 조절기(160)의 설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 걸이(163)를 구비한다. 다수의 연결홀(161)은 높이 조절기(160) 바디 내에 구성되고 고정 걸이(163)는 높이 조절기(160)의 바디에서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원통형으로 돌출되고 (못) 헤더 형상을 가진)을 가진다. 고정 걸이(163)에 하부 연결끈(150)이 걸려 높이 조절기(160)가 상하 이동없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결합 고리(170)는 관악기를 관악기용 스트랩(100)에 결합시킨다. 결합 고리(170)는 개폐 가능한 고리를 구비하여 고리 내에 관악기의 연결링 등이 결합되어 연주자의 관악기(예를 들어, 색소폰)가 관악기용 스트랩(100)에 고정되고 손을 통해 관악기를 들지 않거나 손에 의한 전적인 하중 부담이 없는 경우 관악기의 하중이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여러 부분을 통해 분산된다.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하부 연결끈(150)은 결합 고리(170), 높이 조절기(160) 및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의 조절기 연결홀(113-1)을 통해)을 서로 연결시킨다. 하부 연결끈(150)은 지지 프레임(110)의 조절기 연결홀(113-1), 높이 조절기(160)의 연결홀(161) 등에 삽입되어 결합 고리(170)와 높이 조절기(160) 및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 및 결합시킨다. 하부 연결끈(150)은 섬유 재질(직물 등), 금속 재질 및/또는 그 표면에 일정한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하부 연결끈(150)을 통해 서로 결합된 높이 조절기(160) 및 결합 고리(170)의 구성을 상세히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일 방향(연주자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바라본 높이 조절기(160) 및 결합 고리(17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b) 반대 방향(면)에서 바라본 높이 조절기(160) 및 결합 고리(17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연결끈(150)을 통해 높이 조절기(160),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0) 및 결합 고리(170)가 서로 연결되고 높이 조절기(160)의 상하 이동으로 결합 고리(170)의 위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기(160)는 두 개의 고정 걸이(163)를 구비하고 두 개의 고정 걸이(163)에 하부 연결끈(150)이 걸리는 경우(도 6의 (b) 참조) 높이 조절기(160)는 상하 이동이 불가능하고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 걸이(163)은 높이 조절기(160) 내의 연결홀(161)들과는 달리 하부 연결끈(150)을 걸어 높이 조절기(160)과 결합 고리(170)를 서로 고정시켜 높이 조절기(160)의 상하 이동 시도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위치에서 관악기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관악기용 스트랩(100)의 착용시의 형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관악기용 스트랩(100)을 연주자가 착용한 후의 연주자 앞모습을 표시하고 도 7의 (b)는 착용후 연주자 뒷모습을 표시하고 있다.
도 7의 (a) 및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왼쪽 어깨 패드(120)는 왼쪽 어깨 부위에 밀착하고 오른쪽 어깨 패드(120)는 오른쪽 어깨에 밀착한다. 결합 고리(170)를 통해 연결되는 관악기의 하중은 왼쪽 지지 프레임(110)과 왼쪽 어깨 패드(120)를 통해 왼쪽 어깨와 좌측 상측 가슴을 통해 분산하고 오른쪽 지지 프레임(110)과 오른쪽 어깨 패드(120)를 통해 오른쪽 어깨와 오른쪽 상측 가슴을 통해 분산되며, 넥 패드(130)를 통해 목을 통해 그 하중이 분산된다.
왼쪽 어깨와 밀착하는 왼쪽 어깨 패드(120)(도 7의 (d) 참조)와 오른쪽 어깨와 밀착하는 오른쪽 어깨 패드(120)(도 7의 (c))는 서로 독립적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여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 연주 스타일(자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셋팅 가능하다.
도 7의 (c)에서는 두 개의 제1 단추(121) 및 두 개의 제2 단추(115-1)가 모두 결합되고 도 7의 (d)에서 두 개의 제1 단추(121) 중 하나의 제1 단추(121)와 두 개의 제2 단추(115-1) 중 하나의 제2 단추(115-1)가 결합되어 하부 연결끈(150)에 연결되는 높이 조절기(160)와 결합 고리(170)의 높이가 좌측과 우측별로 서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주자는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 연주자 자신이 원하는 연주 자세 등에 맞춰 관악기 연주가 가능하고 관악기 하중을 어깨와 가슴 등을 통해 분산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관악기용 스트랩
110 : 지지 프레임
111 :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
113 :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
113-1 : 조절기 연결홀
115 : 리드
115-1 : 제2 단추
120 : 어깨 패드
121 : 제1 단추 123 : 넥 연결홀
125 : 프레임 삽입 홀 127 : 전방 패드
129 : 후방 패드
130 : 넥 패드
140 : 상부 연결끈
150 : 하부 연결끈
160 : 높이 조절기
161 : 연결홀 163 : 고정 걸이
170 : 결합 고리

Claims (4)

  1. 관악기용 스트랩으로서,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연결되는 관악기 하중을 왼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1 지지 프레임;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관악기의 하중을 오른쪽 어깨를 통해 분산시키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왼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1 어깨 패드;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외피를 감싸고 상기 제1 어깨 패드의 이동과는 독립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오른쪽 어깨에 밀착하는 제2 어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깨 패드 및 상기 제2 어깨 패드는 전방 패드에 지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어깨 패드를 상하 이동 가능토록 하고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 상기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어깨 패드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지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대응하는 유형의 복수 단추를 구비하고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깨 패드와 상기 제2 어깨 패드는 상기 어깨패드 이동 프레임에서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리드의 대응 유형의 복수 단추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관악기용 스트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깨 패드 및 상기 제2 어깨 패드는 각각 상측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넥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넥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끈을 통해 서로 지지하여 상기 관악기의 하중을 사용자의 목을 통해서도 분산시키고,
    상기 어깨패드 고정 프레임은 너비 방향 양측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져 상기 어깨 패드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관악기용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유형의 복수 단추와 상기 대응 유형의 복수 단추는 결합으로 스냅 단추를 구성하고,
    상기 관악기용 스트랩은 색소폰용 스트랩인,
    관악기용 스트랩.
KR2020190004375U 2019-10-30 2019-10-30 관악기용 스트랩 KR200493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75U KR200493624Y1 (ko) 2019-10-30 2019-10-30 관악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75U KR200493624Y1 (ko) 2019-10-30 2019-10-30 관악기용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24Y1 true KR200493624Y1 (ko) 2021-05-04

Family

ID=7591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75U KR200493624Y1 (ko) 2019-10-30 2019-10-30 관악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2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9203B1 (en) * 2000-11-20 2002-03-19 Arthur Cronos Method and strap support assembly for holding musical instrument in upright position
US7780049B1 (en) * 2008-12-31 2010-08-24 James Baranoski Body support for a portable computer
KR20150001459U (ko) * 2014-12-22 2015-04-15 이상국 악기 지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9203B1 (en) * 2000-11-20 2002-03-19 Arthur Cronos Method and strap support assembly for holding musical instrument in upright position
US7780049B1 (en) * 2008-12-31 2010-08-24 James Baranoski Body support for a portable computer
KR20150001459U (ko) * 2014-12-22 2015-04-15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5-04-23 이상국 악기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99Y1 (ko) 악기 지지구
US20090052719A1 (en) Headphone device
JPWO2008107939A1 (ja) 楽器用ストラップおよび楽器連結具
KR20100125323A (ko)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JP2008268737A (ja)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KR200463121Y1 (ko) 악기용 목걸이형 지지장치
KR200488663Y1 (ko) 악기 지지구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
KR200481144Y1 (ko)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KR20110046054A (ko) 색소폰 스트랩
KR200478390Y1 (ko) 섹소폰 넥 스트랩
US20020100357A1 (en) Asymmetrical dual plane guitar body for solid body guitars, an invention that enables the musician to enjoy the advantages of playing in a sitting position while standing
JP2007114713A (ja) 楽器用ストラップ
KR100999719B1 (ko) 색소폰 넥 스트랩
CN108499010A (zh) 一种手指恢复训练装置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US10885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an instrument
CN208260070U (zh) 一种手指恢复训练装置
KR101263896B1 (ko)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JP6456719B2 (ja) 楽器ホルダー
KR20200000749U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53U (ko) 악기 지지구
KR20210001480U (ko) 색소폰 넥 스트랩
KR102250680B1 (ko)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