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42Y1 - 악기 지지구 - Google Patents
악기 지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242Y1 KR200495242Y1 KR2020200001342U KR20200001342U KR200495242Y1 KR 200495242 Y1 KR200495242 Y1 KR 200495242Y1 KR 2020200001342 U KR2020200001342 U KR 2020200001342U KR 20200001342 U KR20200001342 U KR 20200001342U KR 200495242 Y1 KR200495242 Y1 KR 2004952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upport
- ring
- string
- instru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착용자의 양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이 통과하는 고정구고리를 구비하는 고정구;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전방조절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조절구는, 하부홀 및 중간홀, 그리고 상기 중간홀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링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의 중앙부가 절곡된 고리가 상기 하부링에 걸쳐져 고정되어,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1 및 제2 연결끈은 상기 고정구고리 및 중간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제1 상부홀 및 상기 제1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제2 상부홀 및 상기 제2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의 무거운 하중을 어깨와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은, 하나의 리드가 들어 있는 취구를 사용하는 관악기로서 몸통은 대개 황동으로 형성되고, 몸통의 전면에는 고음과 저음의 음색이 발생되도록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운지키들이 다수개 구성된다. 또한, 몸통의 선단에는 연주자가 입에 물고 바람을 몸통 내부에 주입하는 리드와 조임쇠로 구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색소폰을 연주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스트랩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색소폰을 고리에 연결하여 연주자의 목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색소폰 넥 스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색소폰 넥 스트랩은 연주자의 목이 무거운 색소폰의 하중(약 1.5-4kg)을 감당해야 하므로, 연주하는 동안 연주자의 피로감을 급격히 증가시켜 정상적인 연주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목에 강한 압박이 작용되어 목의 통증이 유발되고 심한 경우에는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기의 무게가 연주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주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 지지구는, 착용자의 양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이 통과하는 고정구고리을 구비하는 고정구;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전방조절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조절구는, 하부홀 및 중간홀, 그리고 상기 중간홀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링, 그리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1 및 제2 연결끈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중간부가 매듭을 통해 상기 하부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끈은 상기 고정구고리 및 상기 중간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제1 상부홀 및 상기 제1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1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1 고리의 내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제2 상부홀 및 상기 제2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2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2 고리의 내측을 통과한다.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를 기준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대칭을 이루며, 상기 하부홀 및 상기 중간홀은 상기 중심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1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1 고리의 내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2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2 고리의 내측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끈을 수용가능한 제1 및 제2 수용홈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악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특히, 악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날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연결끈 및 전방조절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꼬임방지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후방연결끈 및 후방조절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1 및 제2 연결끈이 제1 및 제2 패드에 각각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날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연결끈 및 전방조절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꼬임방지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후방연결끈 및 후방조절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1 및 제2 연결끈이 제1 및 제2 패드에 각각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관악기를 연주하는 착용자(또는 연주자)는 직접 손으로 악기를 파지하거나 목 일부분을 감싸는 목대와 일측이 목대에 결합되고 타측이 악기에 결합된 연결줄로 구성된 스트랩 또는 악기지지용 목걸이를 이용하여 악기 무게를 목에 지탱하며 악기를 연주하는 일반적이다.
그러나, 주로 황동으로 제작된 관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들이 많으며 특히 색소폰에 있어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등과 같은 악기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에 속한다.
상기한 악기는 제조 시의 선택되는 재질과 제조사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악기의 무게가 적게는 2.8㎏에서 많게는 거의 10㎏에 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중량의 악기를 악기지지용 목걸이에 지지하여 장시간 무리하게 연주할 경우, 목 주변은 상당한 피로감과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신체부위 중에서 목부위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디스크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목에 중압감을 심하게 느끼게 되면 안정된 음정을 유지하는 연주를 장시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아름다운 소리와 강렬한 음을 내기 위해 악기를 흔들거나 비틀면서 연주하기가 힘들어 감미롭고 격동적인 연주를 어렵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 관악기 연주가들 사이에는 편안하고 안정적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악기 지지구의 기술 제공 욕구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오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기 지지구(10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방연결끈(30)과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방연결끈(70), 그리고 전방연결끈(30)에 결속되어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왼쪽 어깨 및 오른쪽 어깨 위에 각각 걸쳐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를 통해 연주자의 어깨와 등에 전달된다. 또한,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어깨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접촉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연주자가 느끼는 악기의 무게감은 낮아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패드(1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2 패드(20)는 제1 패드(10)와 좌우 대칭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드(10)는 각각 금속재질의 제1 프레임(12)과 제1 프레임(12)을 감싸는 제1 외피(14)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2)은 가볍고 내구성이 큰 알루미늄(Aluminium) 소재일 수 있다. 연주자가 악기 지지구(100)를 착용했을 시, 제1 프레임(12)의 후단은 견갑골(scapula)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12)의 전단은 빗장뼈(clavicle)의 하부에 놓여진다.
제1 프레임(12)은 비교적 연성이 크고 경도가 낮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주자의 어깨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환형으로 벤딩(bending) 가능함으로써, 연주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제1 외피(14)는 천연(또는 인조가죽), 헝겊, 합성 수지재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연주자의 어깨 및 등에 각각 밀착될 수 있으며, 연주자의 부드러운 착용감을 형성하도록 제1 프레임(12)과 제1 외피(14) 사이에는 솜과 같은 쿠션재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패드(10)는 제1 패드(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1 전방관통홀(16) 및 제1 후방관통홀(18)을 가지며, 제1 전방관통홀(16) 및 제1 후방관통홀(18)은 제1 외피(14)와 제1 프레임(12)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황동으로 제작되는 비교적 무거운 악기(관악기)의 하중이 제1 패드(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집중되어 제1 외피(14)가 파손되더라도 악기는 제1 프레임(12)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 외피(14)는 중앙부 내측에 돌출되는 제1 날개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날개부(15)는 제1 날개부(1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1 조절홀(17)이 형성된다. 제1 조절홀(17)은 제1 패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외피(24)는 제2 날개부(25)를 더 구비하되, 제2 날개부(25)는 제1 날개부(1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날개부(25)는 제2 날개부(25)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 조절홀들(27)이 형성되며, 제2 조절홀들(27)은 제2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외피(14)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와 제1 및 제2 패드(10, 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후방고리(95a, 95b)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날개부(15, 25)의 전단부와 후단부 또한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제1 및 제2 조절고리(93a, 93b)는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피(14)의 전방 하단은 제1 프레임(12)의 전방 하단 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즉, 제1 외피(14)는 제1 프레임(12) 보다 길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연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꼬임방지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기 지지구(100)는 악기를 탈착 가능한 고정구(40)를 구비한다. 전방위치조절구(50)는 하부로부터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과 제1 및 제2 전방조절슬릿(53a, 53b), 그리고 제1 및 제2 전방지지슬릿(54a, 54b)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슬릿들(55)은 전방위치조절구(50)의 두께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꼬임방지쇠(60)는 전방위치조절구(50)와 고정구(40)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연결끈(30)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65)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관통홀들(65)을 위-아래 및 아래-위 방향으로 관통하며, 꼬임방지쇠(60)는 제1 및 제2 연결끈(31, 39)이 서로 꼬여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연결끈(30)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과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중간부(35)를 구비한다. 전방중간부(35)는 매듭을 통해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에 고정되며, 전방중간부(35)에 연결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고정구(40)에 연결된 고정구고리(41)를 관통하여 고정구(40)를 전방연결끈(30)에 고정한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전방지지슬릿(54a) 및 제1 전방조절슬릿(53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꼬임방지쇠(60) 및 고정구고리(41)에 삽입된다.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지지슬릿(54b) 및 제2 전방조절슬릿(53b)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꼬임방지쇠(60) 및 고정구고리(41)에 삽입된다. 제1 전방연결끈(31)과 제2 전방연결끈(39)에 연결되는 중간부(35)는 매듭을 통해 제1 및 제2 전방고정슬릿(51, 52)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서로 중첩되며, 고정구(40)의 위치는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증가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근접하고,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감소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로부터 멀어진다.
악기는 고정구(40)에 결합 가능하며, 연주자는 전방위치조절구(50)를 이용하여 고정구(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이를 통해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악기가 고정구(40)에 결합되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전달되므로, 악기의 무게가 신체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전방고리(90a)에 고정되며,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고리(90b)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전방고리(90a)는 제1 전방관통홀(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상부전방고리(90a') 및 제1 상부전방고리(90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전방고리(90a'')를 구비한다. 제1 하부전방고리(90a'')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지지홀(91a)이 형성되며, 제1 전방연결끈(31)은 지지홀(91a)에 삽입되어 제1 전방고리(90a)는 제1 전방연결끈(31)에 연결된다. 한편, 제1 상부전방고리(90a')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집게 구조, 클립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하부전방고리(90a'')는 제1 상부전방고리(90a')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하부전방고리(90a'')의 지지홀(91a)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제1 하부전방고리(90a'')의 상단에 지지되어 지지홀(91a) 상부를 통해 재삽입 고정된 상태로 전방위치조절구(50)의 슬릿들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방고리(90b)는 제1 전방고리(90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전방연결끈(31)이 제1 전방고리(90a)에 연결되는 동일한 형태로 제2 연결끈(39)은 제2 전방고리(90b)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 전방고리(90b)는 제2 패드(20)에 형성된 제2 전방관통홀(26)에 삽입되며, 고정구(40)에 결합된 악기는 제1 및 제2 전방고리(90a, 90b)에 의해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각각 연결되어 연주자의 어깨와 등을 통해 악기의 무게가 분산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후방연결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연결끈(70)은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과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 위치조절구(80)는 후방고정슬릿(81), 제1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a, 82b), 제1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a, 84b)을 구비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와 제1 후방조절고리(93a)를 통해 제1 패드(10)에 고정 가능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와 제2 후방조절고리(93b)를 통해 제2 패드(20)에 고정 가능하다.
각각의 고리들(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방고리(9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후방메인고리(95a)는 제1 후방관통홀(1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 및 제1 상부후방메인고리(95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를 구비한다. 제1 하부후방메인고리(95a'')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지지홀(96a)이 형성되며, 제1 후방연결끈(71)은 지지홀(96a)에 삽입되어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연결된다.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메인고리(95a)에 구비된 지지홀(96a)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1 후방지지슬릿(84a), 그리고 제1 후방조절고리(93a)에 구비된 지지홀(94a)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메인고리(95b)에 구비된 지지홀(96b)에 관통하여 후방고정슬릿(81)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 및 제2 후방지지슬릿(84b), 그리고 제2 후방조절고리(93b)에 구비된 지지홀(94b)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제1 후방연결끈(71)과 제2 후방연결끈(79)에 연결되는 후방중간부(75)는 매듭을 통해 제1 후방조절슬릿(82a) 및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후방위치조절구(80)의 후단에 매듭을 통해 고정된다.
후방위치조절구(80)는 제1 후방조절슬릿(82a)과 제1 후방지지슬릿(84a)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후방연결슬릿(83a)과 제2 후방조절슬릿(82b)과 제2 후방지지슬릿(84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후방연결끈(71)은 제1 후방조절슬릿(82a)을 통과하여 제1 후방연결슬릿(83a)을 거쳐 제1 후방지지슬릿(84a)을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제2 후방연결끈(79)은 제2 후방조절슬릿(82b)을 통과하여 제2 후방연결슬릿(83b)을 거쳐 제2 후방지지슬릿(84b)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및 제2 후방연결끈(71, 79)은 각각의 슬릿에 위-아래 및 아래-위 방향으로 교차하여 삽입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전방조절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1 및 제2 연결끈이 제1 및 제2 패드에 각각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위치조절구(50)는 삼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링(55a,55b)을 구비한다. 전방위치조절구(50)는 착용자가 악기 지지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를 기준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대칭을 이루며, 전방조절구(50)와 고정구고리(41)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연결끈(30)과 본체, 그리고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는 대체로 'Y'자 형상을 이룬다. 본체는 하부로부터 하부홀(51)과 중간홀(52), 그리고 제1 및 제2 상부홀(53a, 53b)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홀들(55)은 전방위치조절구(50)의 두께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부홀(51) 및 중간홀(52)은 앞서 설명한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상부홀(53a,53b)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다.
위치고정구는 전방위치조절구(50)와 고정구고리(41) 사이에 위치하며, 원통 형상의 통(62)과 통(62)에 고정된 걸림구(64)를 구비한다. 전방연결끈(30) 중 전방조절구(50)와 고정구고리(41)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연결끈(30)은 통(62)을 통과하며, 통(62)은 원통이 아닌 사각통 등일 수 있다. 전방조절구(50)는 전방연결끈(30)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구고리(41)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방조절구(50)가 이동함에 따라 전방연결끈(30) 역시 고정구고리(41) 등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구(40)의 위치가 조절된다. 착용자는 고정구(40)의 위치조절이 완료된 이후, 걸림구(64)를 하부홀(51) 또는 중간홀(52)에 삽입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방조절구(50)와 고정구고리(41)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연결끈(30)이 절곡되므로, 전방연결끈(3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고 제한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고정구(40)의 높이 또는 위치가 임의로 쉽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연결끈(30)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과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중간부(35)를 구비한다. 전방중간부(35)는 매듭을 통해 하부홀(51)에 고정되며, 전방중간부(35)에 연결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고정구(40)에 연결된 고정구고리(41)를 관통하여 고정구(40)를 전방연결끈(30)에 고정한다.
제1 및 제2 연결끈(31,39)은 고정구고리(41) 및 중간홀(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제1 연결끈(31)은 제1 상부홀(53a) 및 제1 지지링(55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제2 연결끈(39)은 제2 상부홀(53b) 및 제2 지지링(55b)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중간홀(52)과 제1 및 제2 상부홀(53a,53b)을 통과한 제1 및 제2 연결끈(31,39)은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를 따라 각각 배치되며,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는 제1 및 제2 연결끈(31,39)을 각각 수용가능한 제1 및 제2 수용홈(56a,56b)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서로 중첩되며, 고정구(40)의 위치는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증가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근접하고,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가 감소하면 고정구(40)는 제1 및 제2 패드(10, 20)로부터 멀어진다.
악기는 고정구(40)의 후크(42)에 결합 가능하며, 연주자는 전방위치조절구(50)를 이용하여 고정구(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중첩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의 길이는 증감하며, 이를 통해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방위치조절구(50)는 본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1 및 제2 고리(58a,58b)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고리(58a,58b)는 제1 및 제2 상부홀(53a,53b)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개방된다. 중간홀(52)을 통과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은 제1 및 제2 고리(58a,58b)로 인해 제1 및 제2 상부홀(53a,53b)을 향해 직접 배치되지 않고 제1 및 제2 고리(58a,58b)를 통과하여 우회하는 형태로 제1 및 제2 상부홀(53a,53b)을 향해 배치된다. 따라서, 전방위치조절구(50)를 상부로 올릴 경우 쉽게 이동하여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를 상향시킬 수 있으나, 반대로, 전방위치조절구(50)를 하부로 내릴 경우 제1 및 제2 고리(58a,58b)가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아래로 눌러 외력을 가하고 이로 인해 마찰력이 증가하여 전방위치조절구(50)가 쉽게 이동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악기의 무게 등으로 인해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가 하향하거나 전방위치조절구(50)가 쉽게 하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방위치조절구(50) 또는 고정구(40)의 높이(또는 악기의 높이)를 쉽게 상향시킬 수 있다. 악기를 연주하는 과정에서, 전방위치조절구(50) 또는 고정구(40)가 악기의 무게로 인해 쉽게 하향하는 점과, 이를 다시 상향시킬 필요가 있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1 전방연결끈(31)이 제1 고리(58a)를 통과하고 제2 전방연결끈(39)이 제2 고리(58b)를 이탈한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악기가 고정구(40)에 결합되면, 악기의 무게는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전달되므로, 악기의 무게가 신체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바(54a,54b)는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을 좌우로 이격시켜 착용자의 가슴 중앙에 악기의 무게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주 중 악기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지지링(55a,55b)은 10 내지 20c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악기의 무게로 인해 제1 및 제2 전방연결끈(31, 39)이 신체에 미치는 압박감을 분산 및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방연결끈(31)은 제1 패드(10)에 형성된 제1 전방관통홀(16)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며, 제2 전방연결끈(39)은 제2 패드(20)에 형성된 제2 전방관통홀(26)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된다. 고정구(40)에 결합된 악기는 제1 및 제2 패드(10, 20)에 의해 지지되어 연주자의 어깨와 등을 통해 악기의 무게가 분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드(10, 20)는 연주자의 어깨 및 등을 감싸도록 환형으로 휨(bending) 가능한 제1 및 제2 프레임(12, 22)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연주자의 신체적 조건에 관계없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연주자가 악기 연주시, 악기의 이동 또는 연주자의 격렬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전방연결끈(30)은 매끈한 외주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연결끈(30)의 외주면이 매끈한 외주면을 가짐으로써 전방위치조절구(5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전방위치조절구(50)가 전방연결끈(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연주자는 자연스러운 연주가 가능하고 활동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4)
- 착용자의 양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패드;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가슴쪽에 배치되는 전방연결끈;
상기 전방연결끈에 결속되어 악기를 지지가능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이 통과하는 고정구고리를 구비하는 고정구; 및
상기 전방연결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연결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전방조절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조절구는, 하부홀 및 중간홀, 그리고 상기 중간홀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링, 그리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연결끈의 제1 및 제2 연결끈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중간부가 매듭을 통해 상기 하부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끈은 상기 고정구고리 및 상기 중간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제1 상부홀 및 상기 제1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1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1 고리의 내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연결끈은, 상기 제2 상부홀 및 상기 제2 지지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패드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홀 및 상기 제2 상부홀 사이에서 상기 제2 고리의 내측을 통과하는, 악기 지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조절구는 상기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를 기준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대칭을 이루며, 상기 하부홀 및 상기 중간홀은 상기 중심선을 따라 배치되는, 악기 지지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끈을 수용가능한 제1 및 제2 수용홈을 각각 가지는, 악기 지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342U KR200495242Y1 (ko) | 2020-04-21 | 2020-04-21 | 악기 지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342U KR200495242Y1 (ko) | 2020-04-21 | 2020-04-21 | 악기 지지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2397U KR20210002397U (ko) | 2021-10-29 |
KR200495242Y1 true KR200495242Y1 (ko) | 2022-04-08 |
Family
ID=7826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342U KR200495242Y1 (ko) | 2020-04-21 | 2020-04-21 | 악기 지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242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144Y1 (ko) * | 2015-03-30 | 2016-08-19 | 권석순 |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
KR200488663Y1 (ko) * | 2018-04-24 | 2019-03-06 | 이상국 | 악기 지지구 |
KR200491479Y1 (ko) * | 2019-11-19 | 2020-04-10 | 전하구 | 색소폰 넥 스트랩용 슬라이더 잠금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303B1 (ko) | 2013-06-27 | 2015-01-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스크러버부 및 세라믹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
-
2020
- 2020-04-21 KR KR2020200001342U patent/KR20049524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144Y1 (ko) * | 2015-03-30 | 2016-08-19 | 권석순 |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
KR200488663Y1 (ko) * | 2018-04-24 | 2019-03-06 | 이상국 | 악기 지지구 |
KR200491479Y1 (ko) * | 2019-11-19 | 2020-04-10 | 전하구 | 색소폰 넥 스트랩용 슬라이더 잠금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2397U (ko) | 2021-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999Y1 (ko) | 악기 지지구 | |
US3102446A (en) | Waist encircling belt for supporting guitars and the like | |
KR200488663Y1 (ko) | 악기 지지구 | |
JP6103561B2 (ja) | 木管楽器用サポートシステム | |
US20060010657A1 (en) | Specialized strap system | |
KR200495242Y1 (ko) | 악기 지지구 | |
US4338850A (en) | Adjustable muffler for percussion instrument | |
US7655853B1 (en) | Weight-relieving device for a woodwind instrument | |
US4347776A (en) | O-ring ligature | |
KR200493393Y1 (ko) | 악기 지지구 | |
KR20110046054A (ko) | 색소폰 스트랩 | |
KR20200000753U (ko) | 악기 지지구 | |
KR20200000749U (ko) | 악기 지지구 | |
US1088588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an instrument | |
KR200478390Y1 (ko) | 섹소폰 넥 스트랩 | |
JP2007114713A (ja) | 楽器用ストラップ | |
US6011206A (en) | Musical instrument--the ribbon harp | |
KR200493624Y1 (ko) | 관악기용 스트랩 | |
JP3239885U (ja) | 管楽器用ミュートおよびそのセット | |
CN207302608U (zh) | 乐器支撑件 | |
KR101263896B1 (ko) |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 |
KR102654233B1 (ko) | 색소폰용 손가락 지지구 | |
US20240203383A1 (en) | Strap for relieving local pressure | |
KR102250680B1 (ko) |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 |
US7028871B1 (en) |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rap and method of manufa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