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815B1 -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815B1
KR102527815B1 KR1020220175811A KR20220175811A KR102527815B1 KR 102527815 B1 KR102527815 B1 KR 102527815B1 KR 1020220175811 A KR1020220175811 A KR 1020220175811A KR 20220175811 A KR20220175811 A KR 20220175811A KR 102527815 B1 KR102527815 B1 KR 10252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le
strap
nec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메이드
Priority to KR102022017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목 주변으로 견착되는 걸이대(10);와, 걸이대 양측을 기반으로 설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로프(50);와, 로프 끝단을 구속하면서 연주 대상 악기와 결부되게 하는 고리부(20);와, 걸이대로부터 고리부에 이르는 로프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로프 양단을 설정 순서로 취합하는 커넥터(30);와, 걸이대 양측에서 각각 하향하는 로프 상에 결부되어 양측 로프의 간극을 임의 간격으로 확장되게 하는 금속 소재의 확장구(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A strap}
본 발명은 연주자에 인가되는 관악기 등의 무게 하중을 목이나 어깨 부위에 특정하여 집중되지 않게 적절히 분산 유도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관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따위를 지칭하고, 재질에 따라 목관악기나 금관악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악기의 예로 색소폰, 색스혼, 클라리넷, 호른, 트럼펫 등이 있다.
금관악기는 금속재로 그 재질이 구성되는데, 금속재질을 주 재료로 한 금관악기는 무게가 상당하여 연주자가 손으로만 금관악기를 들고 연주를 지속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예컨대 알토, 테너, 소프라노 등의 색소폰은 무게가 적게는 2Kg에서 많게는 10Kg 정도여서 연주자의 힘만으로 이를 극복하는 것은 실로 불가한바, 색소폰 등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넥 스트랩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전술한 색소폰용 넥 스트랩은 가죽이나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끈 형태가 일반적이고, 연주자는 이러한 넥 스트랩의 끈을 목에 걸친 후 색소폰에 연결함으로써 해당 악기의 무게 하중이 연주자 목에 집중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색소폰용 넥 스트랩은 색소폰 하중 중 일부를 목 등을 통해 인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의도치 않게 연주자 목에 상당한 하중이 집중 부가되면서 목 디스크 등의 유발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상술한 넥 스트랩의 부작용을 고려한 기술사상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999호는 넥 스트랩의 부작용을 인지하여 색소폰 하중을 목뿐 아니라 어깨 전면과 등판을 통해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게 구성한 색폰용 스트랩이지만, 색소폰을 지탱하는 스트랩의 형태가 변형 불가능한 경우여서 여전히 연주자의 양손을 통해 모든 색소폰의 무게를 부담해야 할 뿐 아니라 연주자 전용의 스타일로 연주 시에도 연주자의 양손을 통해 색소폰의 모든 하중이 인가되는 문제가 여전히 초래된다.
즉, 연주자는 신체 사이즈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연주 스타일 내지 연주 자세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스트랩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적절히 형태 변경되거나 유연하게 적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색소폰 등의 관악기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키면서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 스타일을 반영하여 쉽게 구조 변형이 가능한 스트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999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형이 가능하여 대상 악기의 하중을 어깨 등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더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하여 해당 부위에 압박이 적극 해소되는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100)은 사용자 목 주변으로 견착되는 걸이대(10);와, 걸이대 양측을 기반으로 설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로프(50);와, 로프 끝단을 구속하면서 연주 대상 악기와 결부되게 하는 고리부(20);와, 걸이대로부터 고리부에 이르는 로프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로프 양단을 설정 순서로 취합하는 커넥터(30);와, 걸이대 양측에서 각각 하향하는 로프 상에 결부되어 양측 로프의 간극을 임의 간격으로 확장되게 하는 금속 소재의 확장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구(40)는 중심에서 양측 단부에 이를수록 직경 내지 면적이 확장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프(50) 양측의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 구속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30)는 연속되는 굴곡에 의해 라운드의 단면을 가진 역 삼각 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30)는 최하단 중심에 천공되어 로프(50)의 진입을 허용하고, 설정 경로에 기인하여 형성시킨 로프 매듭이 위치 보존되는 제1관통홀(31);과, 제1관통홀로부터 하향하는 로프 양단이 고리부(20)를 경유하여 각각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2관통홀(32);과, 제2관통홀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이 각각 상향 선회하면서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3관통홀(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구(40)는 반구 형상을 가진 양측 단부의 중심에서 각각 동일 수직선상에 대해 제1걸림공(41) 내지 제3걸림공(43)이 서로 대응하여 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공(41)은 커넥터(30)의 제3관통홀(33)로부터 인출된 로프 양단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공(42)은 제1걸림공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을 각각 상향 선회 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걸림공(43)은 로프에 결부된 스토퍼(70)가 끼움 구속되면서 확장구(40)의 위치 가변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70)는 로프에 권취되어 로프 상에서 위치 가변이 허용되는 링부; 및 링부 끝단에 일체화되어 제3걸림공 내부로 끼움 구속되는 구속편;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형이 가능하여 대상 악기의 하중을 어깨 등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더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에 압박이 적극 해소되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트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커넥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로프의 체결 과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실시 양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확장구를 활용하여 스트랩의 전체 체결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트랩의 확장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연주자에 인가되는 관악기 등의 무게 하중을 목이나 어깨 부위에 특정하여 집중되지 않게 적절히 분산 유도하는 스트랩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100)은 사용자 목 주변으로 견착되는 걸이대(10);와, 걸이대 양측을 기반으로 설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로프(50);와, 로프 끝단을 구속하면서 연주 대상 악기와 결부되게 하는 고리부(20);와, 걸이대로부터 고리부에 이르는 로프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로프 양단을 설정 순서로 취합하는 커넥터(30);와, 걸이대 양측에서 각각 하향하는 로프 상에 결부되어 양측 로프의 간극을 임의 간격으로 확장되게 하는 금속 소재의 확장구(40);로 구성됨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구(40)는 중심에서 양측 단부에 이를수록 직경 내지 면적이 확장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프(50) 양측의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 구속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확장구(40)는 설정 면적으로 이루어져 양측 로프의 간격을 인위적으로 넓힘에 따라 연주자의 목 부위에 집중되는 압박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구(40)는 설정 길이만큼 수평 연장되는 바디; 및 바디의 양측에서 바디에 비해 확장된 라운드 단면을 갖는 만곡부;로 구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구의 수직선상 위치는 연주자의 선택 내지 선호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로프를 수단으로 한 자유로운 위치 가변으로 소기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0)는 연속되는 굴곡에 의해 라운드의 단면을 가진 역 삼각 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30)는 최하단 중심에 천공되어 로프(50)의 진입을 허용하고, 설정 경로에 기인하여 형성시킨 로프 매듭이 위치 보존되는 제1관통홀(31);과, 제1관통홀로부터 하향하는 로프 양단이 고리부(20)를 경유하여 각각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2관통홀(32);과, 제2관통홀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이 각각 상향 선회하면서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3관통홀(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구(40)는 반구 형상을 가진 양측 단부의 중심에서 각각 동일 수직선상에 대해 제1걸림공(41) 내지 제3걸림공(43)이 서로 대응하여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공(41)은 커넥터(30)의 제3관통홀(33)로부터 인출된 로프 양단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공(42)은 제1걸림공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을 각각 상향 선회 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여 로프의 체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로프의 양 가닥은 제1관통홀에서 매듭 형상으로 결부되고, 매듭 양 끝단을 하향시켜 고리부에 건 다음 재차 상향 이동하여 제2관통홀로 한 가닥씩 나뉘어 끼움한다. 제2관통홀로 끼움된 로프의 각 끝단은 상향 선회한 후 제3관통홀로 각각 끼움 결부되고, 이렇게 결부된 로프 양단은 확장구의 제1걸림공으로 개별 인입되어 재차 상향 선회한 다음 확장구의 제2걸림공을 통해 끼움 결부된 후 걸이대 양단에서 고정 결속을 완료한다.
결국, 본 발명의 로프는 커넥터를 기반으로 하여 고리부와 확장구를 경유한 후 걸이대에 일체화됨으로써 단일의 스트랩을 완성하고, 이때 확장구는 커넥터와 걸이대 사이 공간인 로프 상에 수평 체결되어 선택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된다.
한편, 상기 제3걸림공(43)은 로프에 결부된 스토퍼(70)가 끼움 구속되면서 확장구(40)의 위치 가변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70)는 로프에 권취되어 로프 상에서 위치 가변이 허용되는 링부; 및 링부 끝단에 일체화되어 제3걸림공 내부로 끼움 구속되는 구속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70)의 구성은 연주자에 의해 위치 확정된 확장구(40)의 수직선상 위치가 가변되지 않게 하기 위함으로, 자칫 제1걸림공과 제2걸림공을 수단으로 로프에 끼움된 확장구가 의도치 않게 자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승강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주자의 신체 사이즈나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형이 가능하여 대상 악기의 하중을 어깨 등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목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의 양측을 조이는 압박감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역삼각형 로프 사이에 설정 형상의 확장구를 더 개재함에 따라 로프 상에서의 상하 슬라이드 조작에 기인한 위치 설정을 통해 목 너비보다 간극을 확장 전환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에 압박이 적극 해소되는 이점을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걸이대
20. 고리부
30. 커넥터
40. 확장구
50. 로프
70. 스토퍼
100. 스트랩

Claims (8)

  1. 사용자 목 주변으로 견착되는 걸이대(10);와, 걸이대 양측을 기반으로 설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로프(50);와, 로프 끝단을 구속하면서 연주 대상 악기와 결부되게 하는 고리부(20);와, 걸이대로부터 고리부에 이르는 로프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로프 양단을 설정 순서로 취합하는 커넥터(30);와, 걸이대 양측에서 각각 하향하는 로프 상에 결부되어 양측 로프의 간극을 임의 간격으로 확장되게 하는 금속 소재의 확장구(40);로 구성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확장구(40)는 반구 형상을 가진 양측 단부의 중심에서 각각 동일 수직선상에 대해 제1걸림공(41), 제2걸림공(42), 제3걸림공(43)이 서로 대응하여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걸림공(43)은 로프에 결부된 스토퍼(70)가 끼움 구속되면서 확장구(40)의 위치 가변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구(40)는 중심에서 양측 단부에 이를수록 직경 내지 면적이 확장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프(50) 양측의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 구속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연속되는 굴곡에 의해 라운드의 단면을 가진 역 삼각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최하단 중심에 천공되어 로프(50)의 진입을 허용하고, 설정 경로에 기인하여 형성시킨 로프 매듭이 위치 보존되는 제1관통홀(31);
    제1관통홀로부터 하향하는 로프 양단이 고리부(20)를 경유하여 각각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2관통홀(32);
    제2관통홀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이 각각 상향 선회하면서 일대일 대응 끼움 개재되는 제3관통홀(33);
    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공(41)은 커넥터(30)의 제3관통홀(33)로부터 인출된 로프 양단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공(42)은 제1걸림공에서 인출된 로프 양단을 각각 상향 선회 후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70)는,
    로프에 권취되어 로프 상에서 위치 가변이 허용되는 링부;
    링부 끝단에 일체화되어 제3걸림공 내부로 끼움 구속되는 구속편;
    을 포함하는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KR1020220175811A 2022-12-15 2022-12-15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KR10252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811A KR102527815B1 (ko) 2022-12-15 2022-12-15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811A KR102527815B1 (ko) 2022-12-15 2022-12-15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815B1 true KR102527815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811A KR102527815B1 (ko) 2022-12-15 2022-12-15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936A (ja) * 2007-03-01 2008-12-18 Yumiko Komura 楽器用ストラップ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5-04-23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200481144Y1 (ko) * 2015-03-30 2016-08-19 권석순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936A (ja) * 2007-03-01 2008-12-18 Yumiko Komura 楽器用ストラップ
KR200476999Y1 (ko) 2014-12-22 2015-04-23 이상국 악기 지지구
KR200481144Y1 (ko) * 2015-03-30 2016-08-19 권석순 자가 조절형 색소폰 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3247A (en) Portable steel drums and carrier
US7601903B1 (en) Drum stick holder
US3894464A (en) Musical instrument strap retaining device
EP3244398B1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JP6103561B2 (ja) 木管楽器用サポートシステム
US4930695A (en) Support system for guitar or like instrument
JP2008268737A (ja) 管楽器用ストラップ及び演奏用衣服
KR102527815B1 (ko) 국부 압박 해소용 스트랩
US9190041B1 (en) Neckdive strap
CN201364728Y (zh) 萨克斯风吊挂装置
US5596158A (en) Three-paint suspension of musical instruments
KR200488663Y1 (ko) 악기 지지구
US5431320A (en) Suspension strap for musical instrument
JP3153387U (ja) 直管楽器用ストラップ
US3136197A (en) Violin support
KR200493393Y1 (ko) 악기 지지구
KR200478390Y1 (ko) 섹소폰 넥 스트랩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
KR102250680B1 (ko) 아코디언의 하중 분산을 위한 허리밴드
JP3203481U (ja) 筝糸張力測定器
KR20200000749U (ko) 악기 지지구
KR20200000753U (ko) 악기 지지구
US6525248B2 (en) Instrument or wind chime
CN204242570U (zh) 带有调音装置的七弦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