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73Y1 -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73Y1
KR200476473Y1 KR2020140006391U KR20140006391U KR200476473Y1 KR 200476473 Y1 KR200476473 Y1 KR 200476473Y1 KR 2020140006391 U KR2020140006391 U KR 2020140006391U KR 20140006391 U KR20140006391 U KR 20140006391U KR 200476473 Y1 KR200476473 Y1 KR 200476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cave
convex
contact len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만
Original Assignee
김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만 filed Critical 김규만
Priority to KR2020140006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렌즈재료를 넣고 렌즈재료가 응고되기 전에 볼록주형의 블록면을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결합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과 볼록주형의 볼록면 사이에서 렌즈재료가 가압되어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도록 하는 콘텍트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볼록주형이 오목주형에 결합할 때 오목주형의 입구에 있는 결합안내부에서 직경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목주형의 결합안내부 내주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긴 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배치하여 볼록주형의 외주면을 파지하게 함으로써, 결합되는 볼록주형이 결합안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오목주형을 성형할 때 사출단계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오목주형의 주벽 두께가 균등하도록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성형능률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내구성이 담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텍트렌즈 제조용 주형의 정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성형의 정밀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APPARATUS FOR MOLDING OF CONTACT LENS}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목주형의 구조 및 그 성형장치에 관련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렌즈재료를 넣고 렌즈재료가 응고되기 전에 볼록주형의 블록면을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결합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과 볼록주형의 볼록면 사이에서 렌즈재료가 가압되어 콘택트렌즈가 형성되도록 하는 콘텍트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볼록주형이 오목주형에 결합할 때 오목주형의 입구에 있는 결합안내부에서 직경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목주형의 결합안내부 내주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긴 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배치하여 볼록주형의 외주면을 파지하게 함으로써, 결합되는 볼록주형이 결합안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오목주형을 성형할 때 사출단계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오목주형의 주벽 두께가 균등하도록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성형능률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내구성이 담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텍트렌즈 제조용 주형의 정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성형의 정밀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지지틀 중심에 오목홈이 있는 오목주형을 오목홈이 위를 향해 개방되도록 고정하고 오목주형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며 하단에 볼록면이 있는 볼록주형을 장치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콘택트렌즈 제조용 재료를 넣고 볼록주형을 위에서 아래로 강제 이동시켜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볼록주형의 볼록면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오목홈과 볼록면이 만나는 공간에서 렌즈재료가 압착되어 콘택트렌즈가 형성되고 렌즈재료가 응고되면 볼록주형을 오목주형에서 분리하여 제품을 인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주형은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볼록주형이 결합할 때 오목주형의 입구측에 있는 결합안내부의 내경이 볼록주형의 외경보다 커서 헐겁게 결합하므로 결합안내부에 결합하는 볼록주형의 결합부가 직경방향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로인해 정밀성이 담보되지 않아 성형된 렌즈의 곡률이 정교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오목주형의 몸체 주벽은 그 외주부의 두께가 중앙부보다 더 두터워 성형단계에서 사료재료의 분포가 균등하지 않게 되므로 주형의 변형이 발생하여 성형 에러가 발생하는 일이 잦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오목주형(1)의 오목홈(1a)내에 콘텍트렌즈 재료를 넣고 응고되기전에 볼록주형(2)의 볼록면(2a)을 오목홈에 결합시키고 압착하여 콘텍트렌즈를 제조하는 주형에 있어서,
오목주형에 결합하는 볼록주형이 오목주형의 오목홈 입구측에 형성된 결합안내부에서 직경방향으로 흔들림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오목주형의 오목홈 입구측에 형성된 결합안내부 내주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긴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배치하여 오목주형의 결합안내부에 투입되는 볼록주형의 결합부 외주면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볼록주형이 오목주형에 결합할 때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게 하여, 렌즈의 압착성형이 정밀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목주형의 오목홈 입구측에 형성되는 결합안내부를 제1,제2결합안내부로 구분하여 계단형으로 형성하고 경계부가 경사연결부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제1결합안내부와 제2결합안내부의 주벽 두께를 균등화시켜 성형시 제품두께의 차이에 의거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오목주형의 결합안내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균등간격에 성형이 될 수 있도록 코어금형을 구성하여 오목주형의 능률적인 성형할 수 있게 하여 볼록주형의 볼록면 결합부와 정교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성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콘텍트렌즈의 정밀성형이 달성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오목주형의 오목홈(1a) 입구에서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원통형으로 제1,제2결합안내부(1b)(1c)가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세로방향으로 긴 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의 지지돌기(1e)(1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록주형(2)의 볼록면(2a) 상단외주에 형성된 결합부가 오목홈의 결합안내부에 삽입되면 볼록주형의 제1결합부(2b)는 오목주형의 제1결합안내부(1b)에 삽입되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볼록주형의 제2결합부(2c)는 오목주형의 제2결합부안내부(1c)에 삽입되어 그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에 지지되므로 볼록주형이 흔들지지 않고 오목주형에 결합하여 오목홈에 수용된 재료를 상하방향으로 정확하게 압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정교한 성형이 이루어지고, 콘텍트렌즈 재료가 압착될 때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지지돌기 사이를 통해 상측개방부로 배출되므로 성형된 제품에 기포가 생기지 않아 제품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게 된다.
그리고 볼록주형(2)의 볼록면(2a)은 그 외주가 오목주형(1)의 오목홈(1a)의 입구(가)부분에 밀착하여 형성된 렌즈의 외주를 절단하므로 렌즈의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고, 오목주형의 결합안내부가 제1,제2결합안내부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그 경계부에 경사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장치의 코어금형에도 제1,제2성형부가 구분되게 형성되어 성형되는 오목주형의 주벽두께가 균등하도록 성형공간을 형성하므로 사출작업시 제품의 두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형이 없을 뿐 아니라 압력전달이 균등하게 이루어져 성형된 오목주형의 주벽이 견고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본 고안의 오목주형 성형장치는 코어금형의 제1,제2성형부 외주면에 지지돌기성형용 요입홈(15a')(15b')이 형성되어 있어서 오목주형성형단계에서 제1,제2결합안내부(1b)(1c) 내주면에 지지돌기(1e)(1f)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되고, 지지돌기(1e)(1f)의 돌출높이를 0.01~0.50mm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성형된 오목주형을 금형에서 분리할 때 가동금형의 코어금형에 오목주형의 내주면이 부착되는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제품분리를 용이하게 하므로 생산성을 좋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12개의 오목주형이 동시에 성형되므로 생산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코어금형과 볼록금형은 체결볼트로 조립되므로 착탈이 용이하여 렌즈의 곡면에 맞는 볼록금형을 교환설치할 때 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형제조 금형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표시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 표시 부분 확대도
도 4는 오목주형 배치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도 5는 성형된 오목주형 사시도
도 6은 오목주형을 볼록주형에 결합하는 예시도
도 7은 오목주형에 볼록주형이 결합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가-가'선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오목주형(1)을 오목홈(1a)이 상향으로 개방되게 지지틀에 장치하고 그 위에 상하방향으로 강제 승강하며 하단부에 볼록면(2a)이 형성된 볼록주형(2)을 장치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1a)내에 콘텍트렌즈재료를 넣고 렌즈재료가 응고되기 전에 볼록주형(2)을 위에서 아래로 강제 이동시켜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볼록주형의 볼록면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오목홈과 볼록면이 만나는 사이에서 콘텍트렌즈 재료가 압착성형하는 콘텍트렌즈가 형성되고 형성된 렌즈가 응고되면 볼록주형을 오목주형에서 분리하여 렌즈를 인출하는 콘텍트렌즈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오목주형(1)은 오목홈(1a)의 입구(가)에서 직경방향으로 확장되고 확장부(1a') 외주에서 개방부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제1결합안내부(1b)와, 제1결합안내부 상단 외주(1b')에서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확장부가 외향경사면을 이루는 경사연결부(1c')와 경사연결부 상단 외주에서 개방부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제2결합안내부(1c)를 형성하여 제1결합안내부 내주벽과 제2결합안내부 내주벽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간격으로 나란하게 지지돌기(1e)(1f)를 형성하고, 볼록주형(2)은 하단부에 형성된 볼록면(2a) 외주에서 볼록면의 외경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주형의 제1결합안내부(1b)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2b)와, 제1결합부 상단 외주에서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확장부가 상향 경사면을 유지하여 오목주형의 경사연결부(1c')에 대면하는 경사연결부(2b')와, 경사연결부 상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주형의 제2결합안내부(1c)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2c)를 형성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오목주형의 제1결합안내부와 제2결합안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1e)(1f)는 3~50개 범위에서 선택되고 그 돌출높이는 0.01~0.50mm로 제한하여 성형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오목주형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장치가 구비되며, 사출장치는 고정금형(10)의 내면에 재료사출공(10a)을 중심에 두고 그 외주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오목주형(1)의 외면형상에 해당하는 곡면을 가지는 12개의 요입홈(11)을 등간격에 형성하여 요입홈의 외주연부와 재료사출공 사이에 연통되도록 재료공급홈(12)을 형성하고, 고정금형과 대면하는 가동금형(13)에는 요입홈(11) 중심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코어금형장치홈(14)을 형성하여 코어금형(15)을 삽입하되 코어금형(15)은 코어금형장치홈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4a)에 체결볼트(16)를 끼워 체결볼트(16)의 나사부를 코어금형의 중심나사공(15c)에 나사조립하여 고정하고, 코어금형(15) 중심에는 요입홈(11) 쪽으로 개방되게 볼록금형장치홈(15d)을 형성하여 외측단에 콘택트렌즈의 외측 곡면에 대응하도록 볼록면(17a)이 형성된 블록금형(17)을 삽입하여 그 중심나사구멍(17b)을 체결볼트(16) 중심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8)의 나사부(18a)를 나사조립하여 코어금형 중심에 볼록금형(17)을 고정시키고, 고정금형에서 요입홈(11) 쪽으로 연장되는 코어금형 외주면에 오목주형의 제2결합안내부(1c)를 형성하는 제1성형부(15a)와, 오목주형의 제1결합안내부(1b)를 형성하는 제2성형부(15b)를 형성하여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를 연결하는 경사연결부(15e)와 제1성형부외주면과 제2성형부 외주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오목주형의 지지돌기(1e)(1f)를 형성하는 요입홈(15a')(15b')을 0.01~0.50mm 깊이로 음각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1 : 오목주형 1a : 오목홈
1a' : 단턱 1b : 제1결합안내부
1c : 제2결합안내부 1c' : 경사연결부
1e,1f : 지지돌기 2 : 볼록주형
2a : 볼록면 2b : 제1결합부
2b' : 경사연결부 2c : 제2결합부
10 : 고정금형 10a : 재료사출공
11 : 요입홈 12 : 재료공급홈
13 : 가동금형 14 :: 코어금형장치
14a : 체결공 15 : 코어금형
15a : 제1성형부 15b : 제2성형부
15a',15b' : 요입홈 15c : 중심나사공
15d : 볼록금형장치홈 15e : 경사연결부
16 : 체결볼트 17 : 블로금형
17a : 볼록면 17b : 중심나사구멍
18 : 고정볼트 18a : 나사부
가 : 입구

Claims (2)

  1. 오목주형(1)을 오목홈(1a)이 상향으로 개방되게 지지틀에 장치하고 그 위에 상하방향으로 강제 승강하며 하단부에 볼록면(2a)이 형성된 볼록주형(2)을 장치하여 오목주형의 오목홈(1a)내에 콘텍트렌즈재료를 넣고 렌즈재료가 응고되기 전에 볼록주형(2)을 위에서 아래로 강제 이동시켜 오목주형의 오목홈에 볼록주형의 볼록면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오목홈과 볼록면이 만나는 사이에서 콘텍트렌즈 재료가 압착되어 콘텍트렌즈가 형성되고 형성된 렌즈가 응고되면 볼록주형을 오목주형에서 분리하여 렌즈를 인출하는 콘텍트렌즈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오목주형(1)은 오목홈(1a)의 입구(가)에 직경방향으로 확장되고 확장부(1a') 외주에서 개방부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제1결합안내부(1b)와, 제1결합안내부 상단 외주(1b')에서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확장부가 외향경사면을 이루는 경사연결부(1c')와, 경사연결부 상단 외주에서 개방부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제2결합안내부(1c)를 형성하여 제1결합안내부 내주벽과 제2결합안내부 내주벽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긴모양을 갖고 같은 높이에 균등간격으로 나란하게 지지돌기(1e)(1f)를 형성하고, 볼록주형(2)은 하단부에 형성된 볼록면(2a) 외주에서 볼록면의 외경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주형의 제1결합안내부(1b)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2b)와, 제1결합부 상단 외주에서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확장부가 상향 경사면을 유지하여 오목주형의 경사연결부(1c')에 대면하는 경사연결부(2b')와, 경사연결부 상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주형의 제2결합안내부(1c)에 결합하는 제2결합부(2c)를 형성하여서 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2. 오목주형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장치는 고정금형(10)의 내면에 재료사출공(10a)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주 동심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오목주형(1)의 외면형상에 해당하는 요입곡면을 가지는 12개의 요입홈(11)과, 요입홈(11)의 외주연부와 재료사출공 사이에 연통되는 재료공급홈(12)과, 고정금형과 대면하는 가동금형(13)에서 요입홈(11) 중심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코어금형장치홈(14)과, 코어금형장치홈에 삽입되는 코어금형(15)과, 코어금형(15)을 코어금형장치홈 중앙에 나사조립하는 체결볼트(16)와, 코어금형(15) 중심에 형성된 볼록금형장치홈(15d)에 삽입되고, 외측단에 콘택트렌즈의 외측 곡면에 대응하도록 볼록면(17a)이 형성되며, 그 중심나사구멍(17b)에 체결볼트(16) 중심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8)가 나사조립되어 고정되는 볼록금형(17)과, 고정금형에서 요입홈(11) 쪽으로 연장되는 코어금형 외주면에서 오목주형의 제2결합안내부(1c)와 제1결합안내부(1b)를 형성하는 제1성형부(15a) 및 제2성형부(15b)와,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를 연결하는 경사연결부(15e)와 제1성형부 외주면과 제2성형부 외주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오목주형의 지지돌기(1e)(1f)를 형성하는 깊이 0.01~0.50mm 되는 요입홈(15a')(15b')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오목주형 성형장치
KR2020140006391U 2014-08-28 2014-08-28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KR200476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91U KR200476473Y1 (ko) 2014-08-28 2014-08-28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91U KR200476473Y1 (ko) 2014-08-28 2014-08-28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473Y1 true KR200476473Y1 (ko) 2015-03-09

Family

ID=5304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91U KR200476473Y1 (ko) 2014-08-28 2014-08-28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47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472A (ko) * 1990-03-16 1991-11-05 베르너 발데그 콘택트 렌즈 주형 모율드
KR20100130140A (ko) * 2009-06-02 2010-12-10 뉴바이오 (주) 완전 자동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몰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472A (ko) * 1990-03-16 1991-11-05 베르너 발데그 콘택트 렌즈 주형 모율드
KR20100130140A (ko) * 2009-06-02 2010-12-10 뉴바이오 (주) 완전 자동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292B2 (en) Injection mold
CN104475540A (zh) 一种精密件的冲压模具
CN208324035U (zh) 一种快速成型的模具
KR101450779B1 (ko) 자동차용 풀리 단조 제조 장치
KR200476473Y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CN108043959A (zh) 一种热成形装置
KR101608792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CN103640191B (zh) 一种四面滑块脱离塑料制品的机构
CN216292918U (zh) 一种方便顶开取出的蜂胶成型模具
CN110193915B (zh) 汽车门板注塑模具及其喇叭位成型块结构
CN206154658U (zh) 大型模具组合式推管顶出机构
CN214188192U (zh) 一种便于拆装的模具
CN208359224U (zh) 一种便于出模的模具
KR101738315B1 (ko)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CN205702174U (zh) 一种t型带冲压导位装置
CN211842785U (zh) 一种用于制作碳纤维法兰的模具
CN109226628B (zh) 一种铝锂合金锥筒模具
CN216911985U (zh) 一种冷镦模主模
CN220808334U (zh) 一种模具
CN218503246U (zh) 一种锻压模具定位装置
KR101414184B1 (ko) 합성수지빌렛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N210362266U (zh) 一种梯形模具的模仁定位安装结构
CN215203415U (zh) 一种塑料瓶用吹塑模具
CN109955440A (zh) 脱模装置、注塑模具及注塑工件脱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