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92B1 -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92B1
KR101608792B1 KR1020150147251A KR20150147251A KR101608792B1 KR 101608792 B1 KR101608792 B1 KR 101608792B1 KR 1020150147251 A KR1020150147251 A KR 1020150147251A KR 20150147251 A KR20150147251 A KR 20150147251A KR 101608792 B1 KR101608792 B1 KR 10160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ixing
core
convex surfa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102015014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암몰드의 합체내경을 통하여 암몰드와 수몰드의 합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합체 후에는 합체유격이 없으며, 또 성형되는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합체내경 하측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테두리 끝에 단턱이 형성되는 암몰드와; 상기 암몰드의 오목홈에 결합되는 볼록면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직 상부에는 합체외경이 형성된 수몰드를 합체하는 주형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의 합체내경을 위에서 아래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몰드의 볼록면 테두리에 볼록면의 곡률반경과 다른 반경으로 되는 만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테두리 끝과 만곡면 사이에 볼록면과 반대방향의 곡률을 가진 함몰접점부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접점부를 상기 암몰드의 단턱에 대응되는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female mold molding equipment and the contact lens forming mold}
본 발명은 암, 수몰드의 합체가 원활하면서도 합체 후 합체의 정교함이 유지되고, 나아가 성형된 콘택트렌즈(이하 '렌즈'로 약칭함)의 가장자리 두께를 확장할 수 있는 주형 그리고 코어 고정용 체결볼트를 기성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암몰드의 오목홈에 수몰드의 볼록면이 결합되는 주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데, 합체된 암몰드의 합체내경과 수몰드의 합체외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위 공간은 렌즈를 성형할 때 렌즈 원료(모노머)의 중합반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스와 부피변화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 주형을 이용하여 렌즈를 성형하려면, 먼저 암몰드의 오목홈에 액상형 렌즈 원료를 주입하고, 위 원료가 경화되기 전에 수몰드의 볼록면을 상기 오목홈에 합체하면 오목홈과 볼록면 사이에서 일정두께의 렌즈가 성형된다. 이때 성형되는 렌즈 가장자리는 주형 내부의 절단부분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에서 절단부분은 암몰드의 오목홈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 부분이고, 절단은 단턱의 모서리에 상기 볼록면이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성형과정에서 가장자리가 절단된 렌즈의 수득은, 먼저 암몰드에서 수몰드를 인출하고, 인출된 수몰드의 볼록면에 부착된 렌즈를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면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주형은 암몰드의 합체내경과 수몰드의 합체외경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엄격한 합체의 정밀성이 요구되고, 위 정밀성은 합체의 원활성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합체외경과 합체내경 간에 공차를 두어야 하지만, 이 경우 합체된 암, 수몰드 간에는 공차만큼의 합체 유격(유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주형은 합체의 정밀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과 같은 문제와 유격으로 인하여 동일한 규격의 렌즈를 양산할 수 없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주형은, 렌즈의 절단면과 렌즈의 가장자리 사이 두께가 매우 얇아 수몰드의 볼록면에서 렌즈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때 렌즈의 가장자리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 이유는 도면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볼록면에 단턱의 모서리를 맞닿게 하면 렌즈의 절단면에 해당하는 단턱 면과 렌즈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되는 두께(T)가 얇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볼록면의 볼록 형상이 렌즈의 가장자리 두께(T)를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형의 암몰드는 별도의 금형과 그에 따른 부수적 장치 이른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위 제조장치는 크게 암몰드의 형상이 홈 형태로 형성된 고정금형과; 볼록형태의 헤드를 가진 코어가 설치된 가동금형과; 상기 코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으로 구성된다(위 설명에서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은 서로 바뀔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제조장치는 코어를 체결볼트로 고정하고, 코어 헤드는 체결볼트를 관통하는 고정볼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코어를 가동금형에 체결하지 않고서는 헤드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또 헤드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코어 고정용 체결볼트 중심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코어 고정용 체결볼트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특허등록 제0976153호 KR 실용신안등록 제0476473호
본 발명은 일반적인 주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비롯하여 주형의 암몰드를 제조함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몰드와 수몰드를 합체함에 있어 요구되는 고도의 합체 정밀성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고, 합체 후 암, 수몰드 간의 합체 유격이 없으며, 성형된 렌즈를 수득할 때 렌즈의 가장자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코어 고정용 체결볼트를 기성품으로 하더라도 코어 및 헤드의 고정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상기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성형용 주형은, 합체내경 하측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테두리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합체내경이 위에서 아래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암몰드와; 상기 암몰드의 오목홈에 결합되는 볼록면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직 상부에는 합체외경이 형성된 수몰드를 합체하는 주형에 있어서, 상기 수몰드의 볼록면 테두리에 볼록면의 곡률반경과 다른 반경으로 되는 만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테두리 끝과 만곡면 사이에 볼록면과 반대방향의 곡률을 가진 함몰접점부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접점부를 상기 암몰드의 단턱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성형용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는, 암몰드의 외관형상이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금형과; 상면에 헤드가 안착되고, 상면 중심에는 헤드의 고정봉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는 체결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가 장착되되, 코어 선단이 상부로 돌출되는 가동금형과; 상기 코어를 가동금형에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헤드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체결나사구멍을 일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체결나사구멍 천장과 헤드 고정홈 사이에, 헤드 고정용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벽이 형성되도록 하고, 가동금형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코어의 선단을 축소하여 그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경사진 암몰드의 합체내경을 통하여 암몰드와 수몰드의 합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암, 수몰드의 합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합체 후에는 합체유격이 없음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렌즈를 양산할 수 있는 렌즈 제조용 주형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되는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 두께가 곡률형 접점부로 인하여 확장되므로 성형된 렌즈를 수몰드에서 물리적으로 분리할 때 렌즈의 가장자리가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품질이 우수한 렌즈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동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기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는, 기성의 체결볼트를 사용하더라도 코어와 헤드의 고정을 확고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고정 구성도 간단하여 원가절감 및 고정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위 제조장치는, 가동금형 상면으로 돌출되는 코어의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암몰드 제조 시 암몰의 합체내경을 경사지게 정밀형성할 수 있어 암몰드를 제조한 후 그 합체내경을 경사지게 정밀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공정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형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사각 내부 확대 예시도
도 3은 도 1을 분해한 단면 예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예시도
(나)는 (가)와 관련된 종래 예시도
도 5는 성형된 렌즈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암몰드 제조장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중요부분 발췌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상세한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나 공지된 사항은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암몰드(20)의 합체내경(22)에 수몰드(10)의 합체외경(12)이 결합되는 것을 이용하여 암몰드(20)의 오목홈(21)과 수몰드(10)의 볼록면(R1)이 합체되도록 함으로써 렌즈(L)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오목홈(21) 테두리의 단턱(211)을 포함하는 파팅부분(30)(30')을 가진 통상의 렌즈 성형용 주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오목홈(21)과 볼록면(R1)의 곡률은 동일하여야 함이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성형용 주형은, 수몰드의 합체외경은 통상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암몰드의 합체내경은 위에서 아래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암몰드(20) 합체내경(22)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암몰드(20)의 합체내경(22)에 대하여 수몰드(10)의 합체외경(12)을 결합할 때 상기 합체외경(12)의 도입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결합완료 후에는 합체외경 끝이 합체내경의 경사면에 걸리는 형태가 되므로 수몰드(10)의 합체 유격이 생성되지 않아 수몰드(10)의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부분(30)(30')에 해당하는 수몰드(10)의 볼록면(R1) 테두리 끝 부분에 함몰접점부(R3)를 형성한다. 상기 함몰접점부(R3)는 상기 볼록면(R1)의 테두리 양끝에 볼록면(R1)의 반경과 다른 반경으로 되는 만곡면(R2) 끝과 상기 볼록면(R1) 끝이 만나는 부분으로서 곡률형으로 형성하고, 그 곡률은 상기 볼록면(R1)과 반대방향으로 한다. 또 상기 함몰접점부(R3)의 위치는 암몰드(20)의 단턱(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정하되, 곡률형 함몰접점부(R3) 대부분이 암몰드(20)의 단턱(211)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록면(R1)의 테두리 끝과 만곡면(R2) 사이에 곡률형 함몰접점부(R3)를 형성하면 성형되는 렌즈(L)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T1)를 종래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다(도면 도 4의 (가) 참조). 즉, 상기 함몰접점부(R3)의 곡률 방향이 렌즈(L) 내면의 곡률 방향과 반대방향이 때문에 렌즈(L)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성형용 주형의 제조장치는, 고정금형(60), 가동금형(70), 가동금형(70)에 장착되는 코어(80), 코어(80) 최상단에 고정되는 헤드(90), 가동금형에 코어를 고정하는 체결볼트(100), 그리고 코어(80)에 헤드(9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0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제조장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위 제조장치에서 고정금형(60)에는 암몰드(20)의 외관형상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금형(70)에는 코어(80)가 장착되는데, 코어(80) 상단이 가동금형(70) 상면으로 돌출되는 한편 코어(80) 중심은 고정금형(60)의 암몰드 홈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저면 중심에는 체결나사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80) 최상단에 안착되는 헤드(90)는 볼록한 상면 하단에 고정봉(91)이 형성되는 우산형태로서 상기 고정봉(91)은 코어(8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고정홈(83)에 삽입된 후 코어(80) 하부에서부터 도입하는 고정볼트(200)에 체결되어 헤드(90)의 안착을 견고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80)의 체결나사구멍(81)을 일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체결나사구멍(81) 천장과 헤드(90)의 고정홈(83) 사이에 ?(8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82) 중심으로는 헤드 고정용 고정볼트(200)가 관통하여 헤드(90)의 고정봉(91)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볼트(200) 머리가 ?(82) 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 코어(80)의 체결나사구멍(81)으로 체결볼트(100)를 체결하여 가동금형(70)에 대한 코어(80)의 장착/고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헤드(90)를 고정하면 종래와 같이 코어(80) 고정용 체결볼트(100) 중심으로 헤드 고정용 고정볼트(200)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기성의 체결볼트(100)를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코어(80)의 체결나사구멍(81)의 지름을 상기 고정볼트(200) 머리의 지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므로 체결볼트(100)의 선택이 자유로워진다.
본 발명은 가동금형(70)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코어(80)의 선단을 축소하여 그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하면 위에는 넓고 아래는 좁은 암몰드(20)의 합체내경(2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코어(80)의 경사 외면을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가공할 수 있어 암몰드(20)의 합체내경(22)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L : 렌즈 10 : 수몰드
R1 : 볼록면 R2 : 만곡면
R3 : 함몰접점부 11 : 합체외경
20 : 암몰드 21 : 오목홈
211 : 단턱 22 : 합체내경
30, 30' : 절단부분 60 : 고정금형
70 : 가동금형 80 : 코어
81 : 체결나사구멍 82 : 벽
83 : 고정홈 90 : 헤드
91 : 고정봉 100 : 체결볼트
200 : 고정볼트 T, T1 : 두께

Claims (3)

  1. 삭제
  2. 합체내경(22) 하측에 오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1)의 테두리에 단턱(211)이 형성되며, 상기 합체내경(22)이 위에서 아래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암몰드(20)와; 상기 암몰드(20)의 오목홈(21)에 결합되는 볼록면(R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R1) 직 상부에는 합체외경(12)이 형성된 수몰드(10)를 합체하는 주형에 있어서,
    상기 수몰드(10)의 볼록면(R1) 테두리에 볼록면(R1)의 곡률반경과 다른 반경으로 되는 만곡면(R2)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R1) 테두리 끝과 만곡면(R2) 사이에 볼록면(R1)과 반대방향의 곡률을 가진 함몰접점부(R3)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접점부(R3)를 상기 암몰드(20)의 단턱(211)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3. 암몰드(20)의 외관형상이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금형(60)과; 상면에 헤드(90)가 안착되고, 상면 중심에는 헤드(90)의 고정봉(91)이 삽입되는 고정홈(83)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는 체결나사구멍(81)이 형성되는 코어(80)와; 상기 코어(80)가 장착되되, 코어 선단이 상부로 돌출되는 가동금형(70)과; 상기 코어(80)를 가동금형(70)에 고정하는 체결볼트(100)와; 상기 헤드(9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코어(80)의 체결나사구멍(81)을 일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체결나사구멍(81) 천장과 헤드(90)의 고정홈(83) 사이에, 헤드 고정용 고정볼트(200)가 관통하는 ?(82)이 형성되도록 하고, 가동금형(70)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코어(80)의 선단을 축소하여 그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KR1020150147251A 2015-10-22 2015-10-22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KR10160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51A KR101608792B1 (ko) 2015-10-22 2015-10-22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51A KR101608792B1 (ko) 2015-10-22 2015-10-22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792B1 true KR101608792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51A KR101608792B1 (ko) 2015-10-22 2015-10-22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15B1 (ko) * 2016-12-08 2017-05-22 김영일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2163326B1 (ko) * 2020-01-28 2020-10-08 박근창 콘택트렌즈 성형잔여물 제거방법
KR20230001831U (ko) * 2022-03-11 2023-09-19 김현배 가연성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혼합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연료봉을 제조하는 장치의 조립식 금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5811B2 (ja) * 2002-10-30 2009-09-30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用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5811B2 (ja) * 2002-10-30 2009-09-30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用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15B1 (ko) * 2016-12-08 2017-05-22 김영일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2163326B1 (ko) * 2020-01-28 2020-10-08 박근창 콘택트렌즈 성형잔여물 제거방법
KR20230001831U (ko) * 2022-03-11 2023-09-19 김현배 가연성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혼합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연료봉을 제조하는 장치의 조립식 금형
KR200497500Y1 (ko) 2022-03-11 2023-11-29 김현배 가연성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혼합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연료봉을 제조하는 장치의 조립식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92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CN209126032U (zh) 一种精密模具的定位机构
CN107081872B (zh) 模具用活块的固定结构及具有该固定结构的透镜成型用模具
CN104191547B (zh) 公、母模仁加工工艺
CN109571882A (zh) 一种注塑件浇口裁切方法
CN206186295U (zh) 一种注塑模具和注塑系统
JP2006327005A (ja) 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107081873A (zh) 透镜成型模具用的活块及具有该活块的透镜成型用模具
CN210061698U (zh) 一种橡胶密封件模具
CN209775406U (zh) 用于注塑模具的定距拉板结构
CN210174104U (zh) 一种注塑模具
CN112659477B (zh) 射出成型模具
CN107649679B (zh) 一种粉末冶金棒料框架模具
CN207273733U (zh) 医疗面罩镜片模具
JP5760555B2 (ja) アパーチャアレ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8693747U (zh) 一种具有嵌件的模具
CN106553292A (zh) 模具一体化组装设计
CN218948306U (zh) 一种高精度一体式镜筒模具
CN108788085A (zh) 一种具有快速定位功能的加工模具
CN212072813U (zh) 一种具有多种定位结构的显示器前壳注塑模具型腔
CN210362266U (zh) 一种梯形模具的模仁定位安装结构
CN210936756U (zh) 一种冲压模具导向装置
CN211763129U (zh) 光学高像素手机大镜筒注塑模具结构
CN210362263U (zh) 一种计算器外壳的推拉定位结构
CN220973181U (zh) 一种树脂铸造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