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15B1 -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315B1
KR101738315B1 KR1020160166411A KR20160166411A KR101738315B1 KR 101738315 B1 KR101738315 B1 KR 101738315B1 KR 1020160166411 A KR1020160166411 A KR 1020160166411A KR 20160166411 A KR20160166411 A KR 20160166411A KR 101738315 B1 KR101738315 B1 KR 10173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male mold
contact lens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102016016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57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urface condition of the edge, e.g. flashless, burrless, sm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오목코어 및 볼록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코어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후면을 형성하는 수몰드와, 상기 볼록코어를 이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을 형성하는 암몰드 각각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몰드 및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 성형 시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 사이의 접점 구역에 라운드진(rounded) 에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몰드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의 미리 설정된 곡률과 다른 만곡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암몰드의 돌출부와 수몰드의 만곡부를 통해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라운드지게 제조할 수 있어 후공정 특히 분리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적합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한편, 수몰드의 합체외경부에 복수의 가이드구간을 두어 수몰드와 암몰드가 상호 정밀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원활히 조립될 수 있어 종래보다 암몰드에 대한 수몰드의 정렬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렌즈의 곡률이나 두께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OLD PROCESSING METHOD FOR CONTACT RENSE OF ROUNDED EDGE AND CONTACT RENSE OF ROUNDED EDGE MANUFACTURED B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드진 에지면을 가진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통해 라운드진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종래대비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수율이 향상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난시 또는 근시 교정용으로, 최근 들어 미용상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콘택트렌즈의 가공 프로세스는 절삭가공법, 주조법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 대체적으로 주조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주조법은 콘택트렌즈의 전면과 후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각의 몰드(암몰드와 수몰드)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결합하고 사이에 액상의 폴리머 소재(단량체 등)를 공급한 이후, 경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렌즈가 암몰드와 수몰드 사이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암몰드와 수몰드 간의 접점 구역 즉,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날카로운 에지면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후, 분리(demolding) 공정, 검사 및 포장 공정 등의 이른바 후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콘택트렌즈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 동안 몰드 성형장치, 이송장치, 분리장치 등의 각 공정 설비가 요구된다.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의 날카로운 에지면으로 성형되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렌즈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부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몰드 분리 공정 시, 렌즈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정제수에 담가둔 상태에서 분리하는 습식 분리법을 사용한 바 있다.
그러나, 몰드로부터 렌즈를 습식 분리법을 이용하여 분리하게 되면 작업자가 렌즈 낱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업할 수 밖에 없고 이후의 후공정 전반에 습식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등 생산비용이 증가되고, 생산수율이 저하되며 결국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날카로운 에지면을 가진 렌즈는, 렌즈 자체의 착용감이 저하될 뿐 아니라 눈과 렌즈 사이에 눈물이 스며들 수도 없어 이질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일반적인 암몰드의 내벽을 이루는 합체내경부에 대하여 수몰드의 외벽 또는 외면을 이루는 합체외경부는 합체내경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암몰드와 수몰드 상호 조립 시 각도의 틀어짐 없이 정밀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수몰드의 합체외경부는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암몰드의 합체내경부보다 미세하게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몰드의 합체외경부의 형상 구조로 인해 암몰드와의 상호 조립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게 되며, 조립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합체외경과 합체내경부 간에 허용 공차를 두게 되는 경우, 암, 수몰드 간에는 공차만큼의 합체 유격(유동)이 발생될 수 있어 암몰드에 대한 수몰드의 정렬이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몰드로부터 제조되는 렌즈의 곡률이나 두께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암몰드의 돌출부와 수몰드의 만곡부를 통해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라운드지게 제조할 수 있어 후공정 특히 분리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적합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한편, 수몰드의 합체외경부에 복수의 가이드구간을 두어 수몰드와 암몰드가 상호 정밀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원활히 조립될 수 있어 종래보다 암몰드에 대한 수몰드의 정렬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렌즈의 곡률이나 두께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목코어 및 볼록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코어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후면을 형성하는 수몰드와, 상기 볼록코어를 이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을 형성하는 암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몰드 및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 성형 시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 사이의 접점 구역에 라운드 에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몰드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의 미리 설정된 곡률과 다른 만곡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몰드에는 상기 전면에 대응되는 전면대응면이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면대응면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의 돌출면일 수 있다.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에 대응되는 후면대응면이 마련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후면대응면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이거나 또는 상기 후면대응면의 곡률과 반대방향의 곡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곡률의 만곡면일 수 있다.
상기 오목코어 및 볼록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반구 형상의 볼록코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돌출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볼록코어의 가장자리를 미리 설정된 곡률로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게 오목코어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하는 단계에서 연마 곡률은, 상기 볼록코어의 내측으로 0.05 R 에서 1 R일 수 있다.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대응면에서 상기 만곡면으로 연속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후면대응면에서 상기 만곡면으로 전환되는 변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수몰드와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의 접점 구역 상의 접점은 상기 변곡점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몰드와 수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고정금형에 대해 업/다운 이동되는 가동금형과, 상기 가동금형에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코어연결체와,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가 형성하는 공간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코어연결체에는, 일단부에 걸쳐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타단부에 걸쳐 상기 가동금형과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몰드에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합체내경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합체내경부에 일부 구간이 접촉되며 상기 암몰드에 대하여 상기 수몰드 결합 시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합체외경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합체내경부는 수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합체외경부는, 상기 수몰드의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합체내경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제1 가이드구간; 상기 제1 가이드구간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마련되는 절곡구간; 및 상기 절곡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가이드구간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몰드 및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 성형 시 상기 제2 가이드구간이 상기 합체외경부와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은, 암몰드의 돌출부와 수몰드의 만곡부를 통해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라운드지게 제조할 수 있어 후공정 특히 분리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적합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몰드의 합체외경부에 복수의 가이드구간을 두어 수몰드와 암몰드가 상호 정밀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원활히 조립될 수 있어 종래보다 암몰드에 대한 수몰드의 정렬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렌즈의 곡률이나 두께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코어 형성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몰드를 제조하는 암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수몰드 제작을 위한 오목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암몰드 및 수몰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암몰드와 수몰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코어 형성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몰드를 제조하는 암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수몰드 제작을 위한 오목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암몰드 및 수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암몰드와 수몰드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L)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콘택트렌즈(L)와, 수몰드(10) 및 암몰드(20), 그리고 오목코어(90a)와 볼록코어(90)의 각 부분에 대한 명칭을 간단히 정의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을 주로 참조하면, 콘택트렌즈(L)의 외면을 전면으로, 내면을 후면으로 지칭하고, 암몰드(20)에는 상기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대응면(24)이 마련되며 상기 수몰드(10)에는 상기 후면에 대응되는 후면대응면(15)이 마련된다.
그리고, 암몰드(20)의 전면대응면(24)이 성형되기 위해서, 암몰드 성형장치에 볼록코어(90)가 설치되며, 수몰드(10)의 후면대응면(15)이 성형되기 위해, 수몰드 성형장치에 오목코어(90a)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L)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코어(90a) 및 볼록코어(9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오목코어(90a)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L)의 후면을 형성하는 수몰드(10)와, 상기 볼록코어(90)를 이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L)의 전면을 형성하는 암몰드(20) 각각을 성형하는 단계(S20)와, 상기 수몰드(10)와 암몰드(20)를 경화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오목코어(90a) 및 볼록코어(9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0).
볼록코어(90)는 암몰드(20)를 성형하기 위해 몰드 성형장치에 설치되는 공구 인서트이고, 오목코어(90a)는 수몰드(10)를 성형하기 위한 공구 인서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오목코어(90a) 및 볼록코어(90)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반구 형상의 볼록코어(90)를 마련하는 단계(S11)와, 상기 돌출면(21)에 대응되게 상기 볼록코어(90)의 가장자리를 미리 설정된 곡률로 연마하는 단계(S12)와,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게 오목코어(90a)를 마련하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반구 형상의 볼록코어(90)를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
볼록코어(90)는 도 3 및 도 4를 주로 참조하면, 반구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헤드(91)와 헤드(9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코어몸체(92)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91)는 반구 형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헤드(91)의 형상은 암몰드(20)의 전면대응면(24)을 성형하게 되며, 전면대응면(24)은 콘택트렌즈(L)의 전면을 성형하게 된다. 헤드(91)의 곡률은 미리 설정된 곡률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헤드(91) 곡률은 대략 7.31 R 이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R은 mm이다.
코어몸체(92)에는 하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볼트(200)가 결합되는 코어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코어결합홀에는 고정볼트(200)가 결합되어 볼록코어(90)를 코어연결체(8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면(21)에 대응되게 상기 볼록코어(90)의 가장자리를 미리 설정된 곡률로 연마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 상기 연마하는 단계는, 별도의 가공장치 예를 들어, NC, CNC 등의 절삭장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연마면(도 4 참조)은 상기 볼록코어(90)의 내측을 기준으로 0.05 에서 1 R의 곡률로 연마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마면은 후술할 암몰드(20)의 돌출부(21)를 성형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오목코어(90a)가 마련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
오목코어(90a)는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상단부의 헤드(91a)와, 헤드(91a)의 하부 구간의 코어몸체(92a)로 마련될 수 있다. 오목코어(90a)의 헤드(91a)는 상면에서 하부 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반구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오목코어(90a)의 헤드(91a)는 수몰드(10)의 후면대응면(15)에 대응되며, 수몰드(10)의 후면대응면(15)은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L)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오목코어(90a)의 헤드(91a)의 곡률은 볼록코어(90)의 곡률(91)보다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작게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7.3R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91a)의 가장자리 구역에는 헤드(91a)의 곡률과는 상이한, 수몰드(10)의 만곡부(16)를 형성하는 만곡형성면(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만곡형성면은 대략적으로 곡률이 11R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면대응면(15)의 곡률과 동일한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만곡면형성면의 곡률 방향이 후면대응면(15)의 곡률 방향과 달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만곡형성면은 후술할 수몰드(10)의 만곡부(16)를 성형할 수 있게 한다.
코어몸체(92a)에는 하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볼트(200)가 결합되는 코어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코어결합홀에는 고정볼트(200)가 결합되어 오목코어(90a)를 코어연결체(미도시)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암몰드(20)와 수몰드(10)를 성형하는 단계(S20)는, 오목코어(90a) 및 볼록코어(90)를 몰드 성형장치를 통해 콘택트렌즈(L)의 금형 또는 틀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암몰드(20)와 수몰드(10)를 성형하는 단계(S20)는, 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금형(60)에 대해 업/다운 이동되는 가동금형(70)과, 상기 가동금형(70)에 상기 볼록코어(90) 또는 오목코어(90a)를 코어연결체(80)로 상호 연결하여 고정금형(60)과 볼록코어(90) 또는 오목코어(90a) 사이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위 설명에서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의 명칭 및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코어연결체(80)에는, 일단부에 걸쳐 상기 볼록코어(90)(또는 오목코어(90a))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타단부에 걸쳐 상기 가동금형과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에 삽입된 볼록코어(90)의 코어몸체(92)에 결합홀의 방향에서 고정볼트(200)가 투입되어 볼록코어(90)를 코어연결체(80)에 결합되며, 결합홀에 체결볼트(100)가 체결되어 가동금형(70)에 코어연결체(8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몰드 성형장치에서는 전술한 가동금형(70) 상에 볼록코어(90)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체결볼트(100)에 코어 고정을 위한 별도의 나사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코어(90, 90a)의 고정은 코어연결체(80)에서 담당하게 하고, 가동금형(70)에는 코어연결체를 체결하는 이중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볼트 구성이 아닌, 범용의 체결볼트(100)를 사용하여 볼록코어(90)를 가동금형(7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고정 구성도 간단하여 원가절감 및 고정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오목코어(90a)를 이용하여 수몰드 성형장치도 전술한 설명과 대부분 일치하므로 수몰드 성형장치의 구성은 생략하고, 도 5에 오목코어(90a)의 구성만 도시하고 있다.
이후, 상기 수몰드(10)와 암몰드(20)를 경화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수몰드(10)와 암몰드(20)의 경화는 건식 또는 습식 오븐 등과 같은 설비 내에서 열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가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암몰드(20)와 수몰드(10) 각각을 상세 설명한다.
암몰드(20)는 콘택트렌즈(L)의 전면을 형성하는 금형 또는 틀이 될 수 있다. 암몰드(20)는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전면대응면(24)과, 전면대응면(24)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전면대응면(24)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대응면(24)의 곡률은 대략 7.31R로 마련되며, 전면대응면(24)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1)는 도 6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면, 전면대응면(24)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돌출면(21)일 수 있다(도면 상에 점선은 전면대응면(24)의 곡률을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면(21)은 상기 수몰드(10) 및 상기 암몰드(20)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L) 성형 시 상기 수몰드(10)와 암몰드(20) 사이의 접점 구역에 라운드 에지면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수몰드(10)는 콘택트렌즈(L)의 후면을 형성하는 금형 또는 틀이 될 수 있다. 수몰드(10)는 주로 도 7을 참조하면, 후면대응면(15)과, 후면대응면(15)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후면대응면(15)보다 큰 곡률로 형성되는 만곡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몰드(10)에는 상기 후면대응면(15)에서 상기 만곡부(16)로 연속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후면대응면(15)에서 상기 만곡부(16)로 전환되는 변곡점(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후면대응면(15)의 곡률은 대략 7.3R로 마련되며, 후면대응면(15)의 가장자리에 만곡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6)는, 상기 후면대응면(15)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이거나 또는 상기 후면대응면(15)의 곡률과 반대방향의 곡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곡률의 만곡면(16)일 수 있다. 이러한 만곡면(16)은 상기 수몰드(10) 및 상기 암몰드(20)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L) 성형 시 상기 수몰드(10)와 암몰드(20) 사이의 접점 구역에 라운드 에지면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몰드(10) 및 상기 암몰드(20)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L) 성형될 때 수몰드(10)와 암몰드(20)가 서로 접하는 접점 구역이 암몰드(20)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암몰드(20)의 돌출면(21)의 모서리가 수몰드(10)의 만곡면(16) 상에 접하는 접점이 발생되며, 돌출면(21)이 암몰드(20) 내측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되는 콘택트렌즈(L)의 에지면이 라운드지게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은 상기 변곡점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몰드(20)의 돌출면(21)과 수몰드(10)의 만곡면을 통해 콘택트렌즈(L)의 가장자리를 라운드지게 제조할 수 있어 후공정 특히 건식분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프로세스의 자동화와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몰드(20)에는 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합체내경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체내경부(22)는 수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으로 마련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몰드(10)에는 주로 도 7을 참조하면, 합체외경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합체외경부(11)는 상기 수몰드(10)의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합체내경부(2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제1 가이드구간(14)과, 상기 제1 가이드구간(14)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마련되는 절곡구간(13)과, 상기 절곡구간(13)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가이드구간(14)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구간(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합체외경부(11)는 상기 합체내경부(22)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암몰드(20)에 대하여 상기 수몰드(10) 결합 시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몰드(10)의 합체외경부(11)에 복수의 가이드구간(12, 13, 14)을 둘 수 있다.
제1 가이드구간(14)은 암몰드(20)의 합체내경부(2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암몰드(20)에 대한 수몰드(10)의 조립 시 조립방향을 안내하고,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등 원활히 조립되는 역할을 한다. 절곡구간(13)도 제1 가이드구간(14)의 역할과 거의 유사하며,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 제2 가이드구간(12)은 암몰드(20)의 합체내경부(22)의 직경과 미세하게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이드구간(14)이 상기 합체내경부(22)와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보다 수몰드(10)에 대하여 암몰드(2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합체외경부(11)를 통해, 암몰드(20)에 대한 수몰드(10)의 정렬이 종래보다 용이할 수 있고 몰드로부터 제조되는 렌즈의 곡률이나 두께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암몰드(20) 및 수몰드(10)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L)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L)는 몇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사용자에게 착용감을 개선시키고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라운드 에지면을 통해, 눈 표면과 콘택트렌즈(L) 사이에 공기나 수분 침투가 용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 투과율이 증대되고 이질감을 낮출 수 있다.
둘째, 후공정 특히, 몰드와 렌즈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자동화된 설비가 가능할 수 있게 한다. 콘택트렌즈(L)의 가장자리 구역이 렌즈 중앙부의 두께 만큼 유지될 수 있어 몰드(90, 90a)로부터 렌즈 분리 시 특히, 건식분리 공법을 이용하더라도 렌즈의 파손이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건식 분리 공정이 수행되게 되면, 렌즈의 분리 공정을 포함한 이후의 후공정 전반에 걸쳐 자동화 및 대량 생산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수몰드 11 : 합체외경부
12 : 제2 가이드구간 13 : 절곡구간
14 : 제1 가이드구간 15 : 후면대응면
16 : 만곡부, 만곡면 20 : 암몰드
21 ; 돌출부, 돌출면 24 : 전면대응면
60 : 고정금형 70 : 가동금형
80 : 코어연결체 90, 90a : 볼록코어, 오목코어
91, 91a : 볼록코어, 오목코어의 헤드
92, 92a : 코어몸체 100 : 체결볼트
200 : 고정볼트 L : 콘택트렌즈

Claims (12)

  1. 오목코어 및 볼록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코어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후면을 형성하는 수몰드와, 상기 볼록코어를 이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을 형성하는 암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몰드 및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 성형 시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 사이의 접점 구역에 라운드진(rounded) 에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몰드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의 미리 설정된 곡률과 다른 만곡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암몰드에는 상기 전면에 대응되는 전면대응면이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면대응면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의 돌출면이며,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에 대응되는 후면대응면이 마련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후면대응면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이거나 또는 상기 후면대응면의 곡률과 반대방향의 곡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곡률의 만곡면이며,
    상기 오목코어 및 볼록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반구 형상의 볼록코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돌출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볼록코어의 가장자리를 미리 설정된 곡률로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게 오목코어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하는 단계에서 연마 곡률은, 상기 볼록코어의 내측으로 0.05 R에서 1 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후면대응면에서 상기 만곡면으로 연속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후면대응면에서 상기 만곡면으로 전환되는 변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수몰드와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수몰드와 암몰드의 접점 구역 상의 접점은 상기 변곡점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와 수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고정금형에 대해 업/다운 이동되는 가동금형과, 상기 가동금형에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코어연결체와,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가 형성하는 공간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연결체에는, 일단부에 걸쳐 상기 볼록코어 또는 오목코어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타단부에 걸쳐 상기 가동금형과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에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합체내경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몰드에는 상기 합체내경부에 일부 구간이 접촉되며 상기 암몰드에 대하여 상기 수몰드 결합 시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합체외경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체내경부는 수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체외경부는,
    상기 수몰드의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합체내경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제1 가이드구간;
    상기 제1 가이드구간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마련되는 절곡구간; 및
    상기 절곡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가이드구간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몰드 및 상기 암몰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 성형 시 상기 제2 가이드구간이 상기 합체외경부와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1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20160166411A 2016-12-08 2016-12-08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173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11A KR101738315B1 (ko) 2016-12-08 2016-12-08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11A KR101738315B1 (ko) 2016-12-08 2016-12-08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315B1 true KR101738315B1 (ko) 2017-05-22

Family

ID=5904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411A KR101738315B1 (ko) 2016-12-08 2016-12-08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32B1 (ko) * 2020-04-22 2020-12-04 디케이메디비젼 주식회사 표면조도에 의한 착용감 개선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262B2 (ja) * 2005-12-05 2012-03-07 株式会社メニコン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608792B1 (ko) * 2015-10-22 2016-04-04 김영일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262B2 (ja) * 2005-12-05 2012-03-07 株式会社メニコン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608792B1 (ko) * 2015-10-22 2016-04-04 김영일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32B1 (ko) * 2020-04-22 2020-12-04 디케이메디비젼 주식회사 표면조도에 의한 착용감 개선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041B (zh) 用于在接触透镜生产中使用的模具
JPH11245259A (ja) 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の製造装置及びレンズ
US8459979B2 (en) Apparatus for molding optical fiber connector
KR101738315B1 (ko)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1563087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JPS6339410B2 (ko)
CN104811598A (zh) 镜头组件的加工方法、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KR101096962B1 (ko) 안경테 제조용 사출 금형
KR101608792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 및 그 주형의 암몰드 제조장치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CN112976456B (zh) 一种用于加工隐形眼镜的模具以及该模具的成型机构
CN107004993A (zh) 一种usb接口金属外壳的制造方法及制造设备
KR101611055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KR102172870B1 (ko)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GB2216065A (en) Contact lens production
CN107735238A (zh) 模制模具和模制方法
CN103737903B (zh) 一种镜片成型模具、公模仁及镜片加工方法
KR200347020Y1 (ko)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US20060098295A1 (en) Method for forming optical elements
CN219946991U (zh) 一种隐形眼镜模具
JP2012234036A (ja) 母型の製造方法、母型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KR102120006B1 (ko)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CN212764568U (zh) 用于大平方电线橡胶防水件成型的硫化模
CN212147360U (zh) 一种复眼透镜及灯罩一体成型式坯料结构
KR101596579B1 (ko) 콘택트렌즈 제조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