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06B1 -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06B1
KR102120006B1 KR1020190051898A KR20190051898A KR102120006B1 KR 102120006 B1 KR102120006 B1 KR 102120006B1 KR 1020190051898 A KR1020190051898 A KR 1020190051898A KR 20190051898 A KR20190051898 A KR 20190051898A KR 102120006 B1 KR102120006 B1 KR 10212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mold
contact lens
male mold
upp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관현
김문겸
Original Assignee
(주)메디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오스 filed Critical (주)메디오스
Priority to KR102019005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상응하는 형상의 하부 암몰드가 합체되어 컨택트 렌즈 본체가 성형된 후 상기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컨택트 렌즈 본체를 탈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립 상향으로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3개의 가이드 레일(3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중심을 향하는 반경방향 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311)에 각각 삽입되는 3개의 방경방향 슬라이딩 블록(320)들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탑재되고 단부에 안치가압부(340)가 형성되는 고정블록(330)과; 상기 고정블록(33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몰드(200)의 제2 플랜지(230)가 얹어지는 하부 지지편(341)과, 상기 제2 플랜지(23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측방가압턱(342)이 형성된 안치가압부(340)와; 상기 안치가압부(340)에 렌즈 본체부(S1)이 상부로 노출되게 뒤집힌 상태로 위치한 상부 수몰드(200)의 오목한 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부 수몰드(200)를 가열 연화시키는 열풍 분사부(350)와; 상기 열풍 분사부(35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Description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 Contant Lens Producing Mold }
본 발명은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체 탈형시 몰드 피가압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몰드 깨지거나 성형체 렌즈 본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03389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조에서의 이형 및 렌즈분리방법 및 시스템(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의 제1 몰드 섹션 및 제2 몰드 섹션에 의해 형성된 렌즈 형상 공동에 위치하는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 내의 중합가능한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 선구체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분리된 몰드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를 이형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상기 분리된 몰드 섹션으로부터,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분리하는 렌즈분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 단계는 (i)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상기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를 1내지 10초 동안 침지 액체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이후 (ⅱ) 상기 분리된 몰드 섹션 중 하나만이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도록, 상기 침지 액체로부터 몰드 조립체를 제거하고 하나 이상의 쐐기형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몰드 섹션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분리 단계는 (i) 수화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된 몰드 섹션의 상기 중합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접촉 액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ⅱ) 진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수화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상기 분리된 몰드 섹션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종래 기술은 상부 또는 하부 금형에 부착된 성형체 탈형시 몰드가 깨지거너 성형체 렌즈 본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성형체 분리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 및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성형체 탈형시 몰드 피가압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몰드 깨지거나 성형체 렌즈 본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는,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상응하는 형상의 하부 암몰드가 합체되어 컨택트 렌즈 본체가 성형된 후 상기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컨택트 렌즈 본체를 탈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립 상향으로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3개의 가이드 레일(3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중심을 향하는 반경방향 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311)에 각각 삽입되는 3개의 방경방향 슬라이딩 블록(320)들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탑재되고 단부에 안치가압부(340)가 형성되는 고정블록(330)과;
상기 고정블록(33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몰드(200)의 제2 플랜지(230)가 얹어지는 하부 지지편(341)과, 상기 제2 플랜지(23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측방가압턱(342)이 형성된 안치가압부(340)와;
상기 안치가압부(340)에 렌즈 본체부(S1)이 상부로 노출되게 뒤집힌 상태로 위치한 상부 수몰드(200)의 오목한 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부 수몰드(200)를 가열 연화시키는 열풍 분사부(350)와;
상기 열풍 분사부(35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성형체 탈형시 몰드 피가압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몰드 깨지거나 성형체 렌즈 본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방법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정면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전체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단면 사시도.
도 9, 10는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기능 설명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명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방법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정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는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상응하는 형상의 하부 암몰드가 합체되어 컨택트 렌즈 본체가 성형된 후 상기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컨택트 렌즈 본체를 탈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10)은 직립 상향으로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3개의 가이드 레일(31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320)들은 중심을 향하는 반경방향 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311)에 각각 삽입되는 3개의 방경방향으로 왕복운동 한다. 고정블록(330)은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탑재되고 단부에 안치가압부(340)가 형성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가압부(340)는 고정블록(33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몰드(200)의 제2 플랜지(230)가 얹어지는 하부 지지편(341)과, 상기 제2 플랜지(23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측방가압턱(342)이 형성된다. 열풍 분사부(350)는, 안치가압부(340)에 렌즈 본체부(S1)이 상부로 노출되게 뒤집힌 상태로 위치한 상부 수몰드(200)의 오목한 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부 수몰드(200)를 가열 연화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에 있어서, 열풍 분사부(35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에 있어서, 고정블록(330)은 전단에서 하향 돌출된 전방돌출스톱부(334a) 및 중간에서 하향 돌출된 중간돌출부(334b)와, 관통 형성된 고정홈(332)과, 상기 고정홈(33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3)를 포함한다. 고정블록(330)의 전방돌출스톱부(334a)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전단에 걸리게 배치되고, 중간돌출부(334b)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중간홈(322)에 삽입된다. 열풍 분사부(3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중심을 상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방법은, 렌즈 주조 단계(S100)와 몰드 분리 단계(S200)와 렌즈 위치 단계(S300)와; 연화시키는 단계(S400)와 렌즈 탈형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주조 단계(S100)에서, 렌즈 주조 단계(S100)와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상응하는 형상의 하부 암몰드(100)가 합체되어 컨택트 렌즈 본체부(S1)와 성형체의 에지부(S3)와 렌즈 본체부(S1)와 에지부(S3)를 분리 구획하는 위크 영역(Weak 영역, Parting Line)을 갖는 렌즈 성형체를 주형으로 제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분리 단계(S200)에서, 에지부(S3)는 하부 암몰드(100)에 부착되고 상기 렌즈 본체부(S1)는 상기 상부 수몰드(200)에 부착되도록 상기 위크 영역(Weak 영역, Parting Line)을 기준으로 상부 수몰드(200)와 하부 암몰드(100)가 분리(이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위치 단계(S300)에서, 상부 수몰드(200)에 부착된 렌즈 본체부(S1)를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탈형하기 위하여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의 안치가압부(340)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연화 단계(S400)에서, 렌즈 위치 단계(S300)와 렌즈 탈형 단계(S500) 사이에 열풍 공급부(360)에 연결된 열풍 분사부(350)가 상부 수몰드(200)의 오목한 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부 수몰드(200)를 연화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탈형 단계(S500)에서,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의 3개의 슬라이딩 블록(320)들이 동시에 중심으로 전진하면서 안치가압부(340)의 측방가압턱(342)이 제2 플랜지(230)의 외측을 가압하여 렌즈 본체부(S1)가 상기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탈형된다. 그후 슬라이딩 블록(320)들은 중심으로 후진하여 다음의 성형체가 위치하도록 간격을 벌려준다.
도 5 ~ 도 10은 몰드 분리 단계(S200)에서, 에지부(S3)는 하부 암몰드(100)에 부착되고 상기 렌즈 본체부(S1)는 상기 상부 수몰드(200)에 부착되도록 상기 위크 영역(Weak 영역, Parting Line)을 기준으로 상부 수몰드(200)와 하부 암몰드(100)가 분리(이형)되는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은,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오목부(10)을 갖는 하부 암몰드(100)가 합체되어 콘택트 렌즈를 성형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에 관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하부 암몰드(100)는, 볼록부(210)와 합체되어 렌즈 본체부(S1)를 성형하는 오목부(10)와, 오목부(10)의 상측에 360도 원주를 둘러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몰드(200)의 경계부(220)과 함께 성형체의 렌즈부(S1)와 에지부(S3)를 분리 구획하는 위크 영역(Weak 영역, Parting Line)을 성형하는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와, 오목부(10)의 상측변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플랜지(230)의 하부에서 대향되는 메인 플랜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은, 메인 플랜지부(50)는, 렌즈 성형체 탈형시 가압에 의해 에지부(S3)를 둘러싸는 주형에 힘을 가하는 외측 가압부(60)와, 외측 가압부(60)로부터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내측 가압부(81)에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70)와, 중간 연결부(70)의 하부에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하부 공백부(75)와, 내측 가압살부(81)와 상부의 에지 성형을 위한 상부 외벽부(41)로 구성되는 내측 플랜지부(80)로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9,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수회 테스트 결과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 근처에서 렌즈 본체부의 찢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중간 연결부(70)의 두께(t2)는, 하부 암몰드(100)의 렌즈 본체부(S1)를 성형하는 오목부(10)의 두께(t1)의 0.15 ~ 0.6 배 인 것이 불량률을 현저히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 5 내지 도 9,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중간 연결부(70)의 하면(70a)를 내측 중심으로 수평 연장한 제 3선(L3) 아래에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 지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제4 선(L4)이 위치하고, 제 3선(L3)과 제4 선(L4)이 간의 간격(D1, 떨어져 있는 거리)은 중간 연결부(70)의 두께(t2)의 1 ~ 2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회 테스트 결과 이 범위에서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 근처에서 렌즈 본체부의 찢김 손상이 발생하는 불량률이 현저히 줄여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위 및 형상에서 외측 가압부(60)의 피가압력이 가느다란 길목 형태의 중간 연결부(70)를 통과한 후 도 5의 파가압영역(B1)에 주로 전달되고, 그 아래인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 지점 즉, 에지부 렌자 본체부의 연결부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 탈형(이형) 후 렌즈 본체부의 충격에 의한 가장자리 찢김, 손상이 개선전 기술(도 6) 대비 불량률이 절반 이상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에 있어서, 성형 후 상, 하 몰드 탈형시
성형체의 에지부(S3)는 상기 상부 수몰드(200)보다 상기 하부 암몰드(100)에 부착되는 힘이 커서 상기 상부 수몰드(200)와 탈형되고 상기 하부 암몰드(100)에 부착 상태로 남아있고, 상기 렌즈 본체부(S1)는 상기 하부 암몰드(100)보다 상부 수몰드(200)보다 에 부착되는 힘이 커서 상기 하부 암몰드(100)로부터 이탈되고 상부 수몰드(200)에 부착 상태로 남아있어서, 상, 하 몰드 탈형에 의해 자동으로 성형체의 위크 영역(Weak 영역, S2)을 경계로 에지부(S3)가 상기 렌즈 본체부(S1)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에지성형 외벽부(40)와 에지성형 내벽부(240)가 상호 대응하여 에지부(S3)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에지성형 내벽부(240)는 상부 수몰드(200)의 경계부(220)와 제2 플랜지(230) 사이에 형성되고, 에지성형 외벽부(40)는, 하부 암몰드(100)의 제1 플랜지(30)의 내측에 원주를 둘러서 상향 돌출되는 상부 외벽부(41)와, 위크 영역 성형 돌기부(20)와 상부 외벽부(41)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외벽면부(45)로 구성된다. 또한, 에지성형 외벽부(40)의 상부 외벽부(41)는, 상면(41a)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으로 단턱홈(43a)을 형성하는 단턱홈 형성부(43)가 더 구비되고, 렌즈 성형액이 상기 단턱홈(43a)에 유입되어 냉각되어 굳어짐으로써 성형체 에지부(S3)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어, 성형체 에지부(S3)와 하부 암몰드(100)의 부착 정도가 성형체 에지부(S3)와 상부 수몰드(200)의 부착 정도 보다 더 커지게 된다. 에지성형 외벽부(40)의 단턱홈 형성부(43)는 45 ~ 90도 균일 등각도 간격으로 8 ~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은, 에지성형 내벽부(24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내벽면(241)이 에지부 성형 공간 내벽면을 형성하고, 상부 외벽부(4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외벽면(42)와 하부 외벽면부(45)가 함께 하나의 면을 이루어서 상기 에지부 성형 공간 외벽면(46)을 형성한다. 에지성형 내벽부(24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내벽면(241)은 요철이 없고 평평한 반면, 에지부 성형 공간 외벽면(46)은 부분부분 오목지게 형성된 오목홈부(47 또는 48)를 구비한다. 성형체 에지부(S3)와 하부 암몰드(100)의 부착 정도가 성형체 에지부(S3)와 상부 수몰드(200)의 부착 정도 보다 더 커지게 되고, 오목홈부는 원주 방향으로 길다란 형상으로 오목지게 형성된 제1 원주형 오목홈부(47)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주형 오목홈부(47)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30 ~ 90도 균일 등각도 간격으로 12 ~ 4개가 형성되고, 제1 원주형 오목홈부(47)보다 높은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따라 30 ~ 90도 균일 등각도 간격으로 12 ~ 4개가 형성되는 제2 원주형 오목홈부(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0: 수몰드 210: 볼록부
230: 제2 플랜지 310: 베이스프레임
311: 가이드 레일 320: 슬라이딩 블록
330: 고정블록 340: 안치가압부
341:하부 지지편 342: 측방가압턱
350:열풍 분사부 360: 열풍 공급부
S1: 렌즈 본체부

Claims (5)

  1. 삭제
  2. 볼록부(210)와 외측에 제2 플랜지(230) 갖는 상부 수몰드(200)와, 상응하는 형상의 하부 암몰드가 합체되어 컨택트 렌즈 본체가 성형된 후 상기 상부 수몰드(200)로부터 컨택트 렌즈 본체를 탈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립 상향으로 위치하고 반경방향으로 3개의 가이드 레일(3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중심을 향하는 반경방향 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311)에 각각 삽입되는 3개의 방경방향 슬라이딩 블록(320)들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탑재되고 단부에 안치가압부(340)가 형성되는 고정블록(330)과;
    상기 고정블록(33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몰드(200)의 제2 플랜지(230)가 얹어지는 하부 지지편(341)과, 상기 제2 플랜지(23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측방가압턱(342)이 형성된 안치가압부(340)와;
    상기 안치가압부(340)에 렌즈 본체부(S1)이 상부로 노출되게 뒤집힌 상태로 위치한 상부 수몰드(200)의 오목한 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부 수몰드(200)를 가열 연화시키는 열풍 분사부(350)와;
    상기 열풍 분사부(35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블록(330)은 전단에서 하향 돌출된 전방돌출스톱부(334a) 및 중간에서 하향 돌출된 중간돌출부(334b)와, 관통 형성된 고정홈(332)과, 상기 고정홈(33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블록(320)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330)의 전방돌출스톱부(334a)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전단에 걸리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돌출부(334b)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중간홈(32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분사부(3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중심을 상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1898A 2019-05-03 2019-05-03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KR10212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898A KR102120006B1 (ko) 2019-05-03 2019-05-03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898A KR102120006B1 (ko) 2019-05-03 2019-05-03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006B1 true KR102120006B1 (ko) 2020-06-08

Family

ID=7108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898A KR102120006B1 (ko) 2019-05-03 2019-05-03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387A (ko) * 2015-08-17 2017-02-28 (주)비젼사이언스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KR101800645B1 (ko) * 2016-05-10 2017-11-23 주식회사 비엠지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903587B1 (ko) * 2017-07-20 2018-11-14 (주)지오메디칼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387A (ko) * 2015-08-17 2017-02-28 (주)비젼사이언스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KR101800645B1 (ko) * 2016-05-10 2017-11-23 주식회사 비엠지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903587B1 (ko) * 2017-07-20 2018-11-14 (주)지오메디칼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7493B2 (ja)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の製造装置
CA2555723C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jection molding
JP456649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金型
KR20080082631A (ko) 콘택트 렌즈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
CN101918191B (zh) 用于制作容器的模具系统
JPH02292019A (ja) 剛性のある変形可能な支持体と可撓性のある装飾カバーとを金型成形により組み立てる方法
KR102120006B1 (ko) 열풍 연화 방식의 콘택트 렌즈 성형체 탈형 장치
WO2006027979A1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KR101563087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CN101918190B (zh) 在基于纸板的容器内形成分隔体的模具系统
JPH08156015A (ja) 表皮一体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成形型
JP3183832B2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製造金型装置
KR102172870B1 (ko)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JPH0639861A (ja) 表皮一体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US1346848A (en) Method of making hollow rubber articles
JP3731857B2 (ja) シート材料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US20060098295A1 (en) Method for forming optical elements
JP374963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成形用成形型
RU2746158C2 (ru) Станц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секционной стеклоформующей машины
EP3592543B1 (en) Station and method for curing a tread strip
US1289776A (en) Process for vulcanizing rubber articles.
CN108527733B (zh) 一种压制模制作工艺
KR0172689B1 (ko) 실리콘 모울드 제조방법
SU1196103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безопочных форм вакуумной формовкой
JPS5878715A (ja) 試作品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