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309Y1 -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309Y1 KR200476309Y1 KR2020130005885U KR20130005885U KR200476309Y1 KR 200476309 Y1 KR200476309 Y1 KR 200476309Y1 KR 2020130005885 U KR2020130005885 U KR 2020130005885U KR 20130005885 U KR20130005885 U KR 20130005885U KR 200476309 Y1 KR200476309 Y1 KR 2004763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frame
- forklift
- cran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 및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고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탑승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탑승운반구는, 사각형상의 저면(10)과; 상기 저면(10)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연장된 저면지지벽(12); 상기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22)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프레임(24)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10) 상부에 육면체를 형성는 프레임(20); 상기 저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가는 한 쌍의 포크수납부(42); 상기 포크수납부(42)에 포크(50)가 들어간 상태에서, 포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로프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후크에 매달리기 위한 다수의 크레인용 고리(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후면프레임(30)은 전면 및 양측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고, 후면프레임(30)의 내부에는 안전망(36)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高所) 작업용 탑승 운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소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 또는 산업용 현장에서는 고소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은 고소 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소정의 운반구에 탑승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운반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고소 작업인 만큼 작업자의 안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조건이 뒤따른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고소 작업운 운반구는 작업 환경에 따라서 임의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작업의 위험성 및 법규에서 규정하는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는 상태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를 안전하게 원하는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특히 고소로의 이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계장치의 특성과 조합되어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고소로의 이동이 가능한 작업용 기계장치라고 할 수 있는 지게차 및 크레인 등에 특히 적합하고 고소를 고려한 작업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탑승 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탑승 운반구는, 사각형상의 저면과; 상기 저면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연장된 저면지지벽; 상기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 상부에 육면체를 형성는 프레임; 상기 저면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가는 한 쌍의 포크수납부; 상기 포크수납부에 포크가 들어간 상태에서, 포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로프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후크에 매달리기 위한 다수의 크레인용 고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후면프레임은 전면 및 양측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고, 후면프레임의 내부에는 안전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운반구의 저면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져서 포크의 수직부분 뒤에 걸리는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포크수납부를 이용하는 것에 이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고소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크레인을 이용해서도 고소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지게차의 포크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안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운반구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운반구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운반구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탑승 운반구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탑승 운반구의 측면에서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지게차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는, 탑승한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는 저면(10)과, 상기 저면(10)에서 상방을 일정 높이로 연장된 저면지지벽(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면(10)은 예를 들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지지벽(12)은 저면(10)의 전후좌우 측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이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저면지지벽(12)은 저면(1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10cm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지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는, 상기 저면(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저면(10)의 4개의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세로프레임(22)과, 상기 세로프레임(22)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로프레임(22)과 가로프레임(24)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사각형의 저면(10) 상에서 육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완성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24)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가로프레임(24a)과,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가로프레임(24b)로 구분되고, 이들은 저면(10)의 전후좌우 면에 모두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로프레임(24a)은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저면(10)으로부터 90~120cm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가로프레임(24b)은 저면(10)으로부터 45~60cm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4)에 의하여, 육면체 형상의 틀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그 내부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가운데, 일측면, 구체적으로 후면을 형성하는 프레임(30)은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일측면은 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탑승 운반구의 후면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높이가 높은) 한 쌍의 후면세로프레임(32)과, 상기 후면세로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후면가로프레임(34)에 의한 후면프레임(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면프레임(30)을 좌우측 프레임 및 전면 프레임 보다 높게 형성하게 되면 작업자가 의지하기에 충분한 후면프레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세로프레임(32)과 후면가로프레임(34)에 의하여 형성되는 후면프레임(30)의 내부에는 안전망(36)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망(36)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가로세로로 연속되는 격자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탑승 운반구의 저부에는 지게차의 포크(50)가 들어갈 수 있는 한 쌍의 포크수납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크수납부(42)는 사각형의 통체로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크수납부(42)는 탑승 운반구의 저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저면(10)의 하면에 지게차의 포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크(50)가 상기 포크수납부(42)에 들어간 상태에서,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탑승 운반구의 저면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8)가 성형되고, 상기 후방연장부(18)에는 이탈방지핀(P)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공에 이탈방지핀(P)이 삽입되면, 상기 이탈방지핀(P)은 포크(50)의 수직부분(52) 후방에 걸리게 되어, 본 고안의 탑승 안전구가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핀(P)은 포크(50)의 후방부분, 예를 들면 포크의 수직부분(52)에 걸림으로써, 탑승 안전구가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가 지게차에 사용되는 경우, 지게차의 포크(50)가 탑승 운반구를 들어서 높은 장소로 보낼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탑승 안전구가 크레인에 메달려서 고소 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경우를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운반구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크레인용 고리(6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크레인용 고리(60)는, 대략 육면체로 구성되는 탑승 운반구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사용시에는 상기 고리(60)에 로프(R)를 설치하고, 크레인(도시 생략)의 후크(H)에 상기 로프(R)를 걸게 되면, 크레인은 후크(H)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탑승 운반구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는 안전고리(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고리(70)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와 고리 연결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고리(70)는 작업자와 연결될 수 있는 안전고리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고소로 들어올려질 수 있음과 동시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소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과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까지 운반되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이외의 운반기계를 이용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을 이용하여 고소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저면
12 ..... 저면지지벽
20 ..... 프레임
22 ..... 세로프레임
24 ..... 가로프레임
24a ..... 상부가로프레임
24b ..... 하부가로프레임
30 ..... 후면프레임
32 ..... 후면세로프레임
34 ..... 후면가로프레임
36 ..... 안전망
60 ..... 크레인용 고리
70 ..... 안전고리
12 ..... 저면지지벽
20 ..... 프레임
22 ..... 세로프레임
24 ..... 가로프레임
24a ..... 상부가로프레임
24b ..... 하부가로프레임
30 ..... 후면프레임
32 ..... 후면세로프레임
34 ..... 후면가로프레임
36 ..... 안전망
60 ..... 크레인용 고리
70 ..... 안전고리
Claims (2)
- 사각형상의 저면(10)과;
상기 저면(10)의 전후 및 좌우 측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연장된 저면지지벽(12);
상기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22)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상부가로프레임(24a) 및 하부가로프레임(24b)으로 구성되는 가로프레임(24)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10) 상부에 육면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
상기 저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가는 한 쌍의 포크수납부(42);
상기 포크수납부(42)에 포크(50)가 들어간 상태에서, 포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로프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후크에 매달리기 위한 다수의 크레인용 고리(60)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후면프레임(30)은 전면 및 양측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고, 후면프레임(30)의 내부에는 안전망(36)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탑승운반구의 저면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8)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져서 포크의 수직부분 뒤에 걸리는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탑승운반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885U KR200476309Y1 (ko) | 2013-07-16 | 2013-07-16 |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885U KR200476309Y1 (ko) | 2013-07-16 | 2013-07-16 |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373U KR20150000373U (ko) | 2015-01-26 |
KR200476309Y1 true KR200476309Y1 (ko) | 2015-02-16 |
Family
ID=5257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5885U KR200476309Y1 (ko) | 2013-07-16 | 2013-07-16 |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30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7027B1 (ko) * | 2017-09-21 | 2019-07-05 | 김대기 | 물품 운반장치 |
KR200491882Y1 (ko) * | 2018-08-10 | 2020-07-09 | 서울특별시 종로구 | 고소작업대 |
CN111137817A (zh) * | 2018-11-05 | 2020-05-12 | 重庆峘能电动车科技有限公司 | 一种堆垛箱及堆垛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18586A (ja) * | 1997-02-13 | 1998-08-18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フォークリフト用のパレット兼用バスケット |
KR20010045763A (ko) * | 1999-11-08 | 2001-06-05 | 조양선 | 건물외장 시공용 크레인 버켓 |
-
2013
- 2013-07-16 KR KR2020130005885U patent/KR20047630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18586A (ja) * | 1997-02-13 | 1998-08-18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フォークリフト用のパレット兼用バスケット |
KR20010045763A (ko) * | 1999-11-08 | 2001-06-05 | 조양선 | 건물외장 시공용 크레인 버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373U (ko) | 2015-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309Y1 (ko) |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 |
CN202687760U (zh) | 工程升降起重吊笼 | |
JP2009269708A (ja) | パレットハンガー | |
KR101417298B1 (ko) | 화물보호아대의 설치기구 | |
KR200475608Y1 (ko) |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 |
CN202729718U (zh) | 一种带监测功能的伸缩叉 | |
CN205222427U (zh) | 一种用于托盘装建筑材料的吊料装置 | |
US20150021945A1 (en) | Safety sling | |
CN205472220U (zh) | 多功能c型吊具 | |
CN204416904U (zh) | 一种伸缩式吊钩 | |
JP3176251U (ja) | ポータブルサイロの吊り装置 | |
US20190202599A1 (en) | Easy lift spreader beam rack | |
CN202785473U (zh) | 一种带防护链条的液压升降机 | |
KR20160117940A (ko) | 건축자재용 운반구 | |
CN219971573U (zh) | 一种吊运叉车的专用安全吊具 | |
CN205204622U (zh) | 一种专用于塔筒的u型吊具 | |
CN204776471U (zh) | 双面托盘架 | |
CN205575507U (zh) | 多功能叉车升降平台 | |
CN213008258U (zh) | 一种带翻转结构的限位装置 | |
CN204021420U (zh) | 一种叉车专用的防坠箱笼 | |
CN217201606U (zh) | 一种吊具、组合吊具及吊装系统 | |
CN204224084U (zh) | 一种三爪式工字轮吊具 | |
KR20110011633U (ko) | 팔레트 이송장치 | |
JP2007331758A (ja) | 荷崩れ防止用パレット | |
KR20140006256U (ko) | 파이프 낙하 방지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