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027B1 - 물품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027B1
KR101997027B1 KR1020170121833A KR20170121833A KR101997027B1 KR 101997027 B1 KR101997027 B1 KR 101997027B1 KR 1020170121833 A KR1020170121833 A KR 1020170121833A KR 20170121833 A KR20170121833 A KR 20170121833A KR 101997027 B1 KR101997027 B1 KR 10199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vertical
connecting rod
vertica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266A (ko
Inventor
김대기
Original Assignee
김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기 filed Critical 김대기
Priority to KR102017012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0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에 여러개를 모아서 손상없이 결박하여 크레인 또는 지게차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운반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과; 상기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10)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1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재(20)와; 상기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재(30)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20)의 전방쪽을 각각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봉(40)과; 상기 수평지지부재(200의 선단 및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선단 체결봉(42) 및 후방 체결봉(44)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운반장치{Articles 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일시에 여러개를 모아서 손상없이 크레인 또는 지게차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사현장에서 자재 등의 물품을 비치한 곳으로부터 사용처로 운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은 견고성과 난연성 및 단열성과 방음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트럭이나 앰뷸런스 등과 같은 특수차량이나 철도차량의 바닥재 또는 선박의 선실 도어패널 및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을 하나씩 운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샌드위치 패널 자체의 중량(통상 40kg)이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더욱이 샌드위치 패널 구조상 클램핑하여 운반시 샌드위치 패널의 손상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운반하게 되어 작업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여러 개를 한꺼번에 결박하여 크레인 등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결박하는 과정에서 샌드위치 패널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물품인 샌드위치 패널을 일시에 여러개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재와; 상기 수직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재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전방쪽을 각각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봉과;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선단 및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선단 체결봉 및 후방 체결봉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재는, 직선형의 제 1수직편과, 상기 제 1수직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제 2,3수직편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수직편과 제 2,3수직편은 각각 착탈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체결봉과 지지봉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체결봉, 선단 체결봉, 후방 체결봉, 지지봉이 관통하는 부분의 양쪽면에는 너트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후방 체결봉의 양쪽 측면에는 제 1슬링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의 양쪽 측면에는 제 2슬링부재가 연결되어서 물품을 탑재하고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접하는 쪽에 형성되는 취부 브래킷을 가지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재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하부 지지부재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전방쪽을 각각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봉과;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선단 및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단 체결봉 및 후방 체결봉을 포함하여, 좌우 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의 한쪽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포크 삽입부재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 등)을 한번에 여러개를 원하는 위치로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운반장치가 완전 조립식으로 구성가능하여 좌우 폭 및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어,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C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에 샌드위치 패널을 탑재한 다음 크레인에 의해 견인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 제 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10)와, 상기 수직 지지부재(1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재(20)와, 상기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재(3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10)는, 직선형의 제 1수직편(11)과, 상기 제 1수직편(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ㄱ(또는 "ㄴ"자형)"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제 2,3수직편(12)(13)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수직편(11)과 제 2,3수직편(12)(13)은 각각 체결부재(14)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재(10)는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평지지부재(20)는, 전방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편(21)이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결합편(21)을 관통하여 체결봉(4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 3수직편(13)은 제 1수직편(11)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3수직편(13)은 "ㄴ"자형으로 형성되지만, 제 1수직편(11)의 하부 안쪽 즉, 하부 지지부재(30)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 3수직편(13)은 수직한 일자형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하부 지지부재(30)를 연결하고 있는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부측의 강도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보강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재(20)의 선단부 및 후방에는 각각 선단 체결봉(42)과 후방 체결봉(44)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는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이 형성되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1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직부재(10)의 배면에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를 마련하고, 이 고정부재(6)의 전면에 수직부재(10)를 이루는 제 2수직편(12)을 고정(용접 등)한 다음, 제 1수직편(11)을 그 사이에 끼우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4)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은 "ㄱ"자 및/또는 "ㄴ"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운반장치(1)의 중간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조 지지부재(5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지지부재(50)의 상단부 및 하단부도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에 고정(용접 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재(50)의 상부에는 보조 지지부재(50)와 직교방향으로 연결부재(52)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2)는 수평지지부재(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편(5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편(53)에는 체결봉(40)이 관통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재(10) 및 보조 지지부재(5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60)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보조 지지부재(50)의 사이에만 지지봉(60)을 연결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봉(40)과 지지봉(60)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서 일종의 나사봉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 전반에 걸쳐서 상기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및 지지봉(60)의 직경을 모두 동일하게 도시하였으나, 크레인에 의한 운반시 적재된 샌드위치 패널(P)의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선단 체결봉(42) 및 후방 체결봉(44)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부재(30)는 수직 지지부재(10)가 각각 양측면에서 지지되게 하면서 체결부재(14)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지지봉(60)이 관통하는 부분의 양쪽면에는 너트(70)로 조여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직 지지부재(10)의 제 1수직편(11) 양쪽 측면에 너트(70)를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하는 물품의 중량에 따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직경의 체결봉(4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체결봉(44)에는 제 1슬링부재(80)가 연결되는데, 2개의 견인고리(82)를 간격을 두고 상기 후방 체결봉(44)의 중앙 위치에 결합하고, 이러한 견인고리(82)에 상기 제 1슬링부재(80)를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봉(40)의 양쪽 측면에는 제 2슬링부재(84)를 연결하는데, 먼저 체결봉(4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견인고리(86)를 결합하고, 연결고리(88)를 통해 상기 제 2슬링부재(84)를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는, 먼저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P)을 안치하기 위해서, 물품 운반장치(1)의 중앙 위치에는 제 1슬링부재(80)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 1슬링부재(80)는 후방 체결봉(44)에 미리 결합한 견인고리(82)에 연결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 1슬링부재(80)를 들어올리면 물품 운반장치(1)는 수평상태가 유지되고, 작업자가 직접 수평상태의 물품 운반장치(1)를 소정의 장소에 비치된 샌드위치 패널(P)에 접근시켜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P)이 탑재되도록 하부 지지부재(30)를 끼운다.
이런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으로부터 제 1슬링부재(80)를 분리하고, 제 2슬링부재(84)를 연결하여 들어올려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도록 하면 되는데, 물품 운반장치(1)의 전방쪽에 배치된 체결봉(40)에 상기 제 2슬링부재(8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을 통해 제 2슬링부재(84)를 들어올리면, 물품 운반장치(1)의 앞쪽이 들어올려지면서 후방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적층된 샌드위치 패널(P)은 앞으로 쏟아지지 않고 안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을 통해 소정의 위치로 운반하여 내린 다음, 작업자가 직접 다시 물품 운반장치(1)를 샌드위치 패널(P)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크레인을 동원하여 물품 운반장치(1)를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공사 현장에서 건물의 신축시 소정의 높이에서 작업할때, 해당 높이까지 크레인을 통해 물품 운반장치(1)를 이동시킨 다음, 작업자가 샌드위치 패널(P)을 내려서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샌드위치 패널(P)의 가로방향 길이는 통상적으로 물품 운반장치(1)의 가로폭 길이의 대략 4배 정도 되는데, 편의상 샌드위치 패널(P)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운반장치(1)는, 하부에서는 양측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재(30)에 의해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탱하고, 한쪽 측면에서는 수직 지지부재(10), 상부에서는 수평 지지부재(20)에 의해 지지하고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P)을 적재하면, 상부, 하부 및 한쪽 측면에서 샌드위치 패널(P)을 지지하고, 전방만 오픈된 상태에서 약간 기울여서 운반하면 되므로, 적재된 샌드위치 패널(P)이 오픈된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와이어 등으로 별도로 결박하여 운반할 필요가 없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더욱이 한번에 여러개의 샌드위치 패널(P)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상면에 탑재되는 샌드위치 패널(P)의 중량을 고려하여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를 충전하여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P)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는 무게가 가벼운 경량 구조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크레인 등에 의해 해당 물품(샌드위치 패널(P) 등)을 적재하여 운반할때, 중량에 의한 부하를 줄여주고, 이와 동시에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로방향으로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을 사이에 두고 수직방향으로는 수직 지지부재(10) 및 보조 지지부재(50)를 통해 지지하고, 상부에서는 수평 지지부재(20)를 연결하며, 하부에서는 양측으로 하부 지지부재(30)를 연결하여 최소한의 구조를 이루어서 중량을 최소화하고,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및 후방 체결봉(44)과, 수직 지지부재(10)와 보조 지지부재(50)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지지봉(60)을 통해 중량을 많이 늘리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부재(30)로 물품 운반장치(1)의 양측에 고정되어 지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에 충전물을 채워서 중량물에 더욱 확실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에 있어서,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직 지지부재(10)를 구성하는 제 1수직편(11)의 상부에 결합된 제 2수직편(12)을 체결부재(14)를 풀고 상부로 수직하게 올린 다음, 다시 풀었던 체결부재(14)를 체결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 한쌍을 마주 접하게 한 다음, 크레인을 통해 들어올려서 해당 위치로 운반할 수 있어, 일시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샌드위치 패널(P) 등)을 원하는 장소로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르면, 샌드위치 패널(P)은 적재만 하고, 별도로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결박하지 않으므로, 결박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결박시 샌드위치 패널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 제 2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은 제 2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운반장치(1)의 높이 및 좌우 폭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와, 지게차를 활용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완전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의 양쪽 측면(2a)(3a)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길이를 연장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공(2b)(3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의 좌우 길이를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정 길이의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면, 측면(2a)(3a)이 맞닿게 되고, 그러면 결합공(2b)(3b)을 통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은 도 7에 도시된 기본이 되는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횡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하여 원하는 만큼의 좌우 길이를 연장할때 사용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부재(10)를 구성하는 제 1수직편(11)의 상부 및 하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제 2,3수직편(12)(13)에서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수직면에 접하는 부분의 양측으로 취부 브래킷(12a)(13a)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5)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3)에는 하부 지지부재(30)외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삽입 공간부를 가지는 포크 삽입부재(90)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포크 삽입부재(90)의 양측을 지지해주기 위해서, 수직 지지부재(1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크 삽입부재(90)의 양측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재(10)는 하부 지지부재(30)의 양 측면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재(10)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수직편(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3수직편(13)은 제 1수직편(11)의 양측면에 결합되는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3수직편(13)은 "ㄴ"자형으로 형성되지만, 제 1수직편(11)의 안쪽 즉, 하부 지지부재(30)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 3수직편(13)은 수직한 일자형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하부 지지부재(30)를 연결하고 있는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부측의 강도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보강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포크 삽입부재(90)의 단부와 맞닿는 하부 프레임(3)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포크 삽입부재(90)의 입구부 폭이 비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는 관통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를 완전히 개방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지지부재(5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에는 취부 브래킷(50a)이 형성되어서 수직 지지부재(10)와 마찬가지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7에 있어서, 포크 삽입부재(90)는 구조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제작시에는 도면과 다르게 좀더 크고 강도가 강하도록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7에 도시된대로 한정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에 있어서, 수직 지지부재(10)의 배면에 제 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착탈가능한 고정부재(6)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를 이용하여 샌드위치 패널(P)을 적재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제 2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에 미리 샌드위치 패널(P)을 적재한 다음, 포크 삽입부재(90)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고, 샌드위치 패널(P)을 내리면 된다.
만일, 좌,우방향으로 폭을 늘려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2)과 하부 프레임(3)의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별도의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연결하여 연장되도록 하는데, 도 7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 보다 횡방향 길이가 짧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마련하여 대고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길이를 연장한다.
그런 다음에, 하부 프레임(3)에 마련된 한쌍의 하부 지지부재(30)를 각각 연장된 부분의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 쪽으로 이동시키는데, 하부 지지부재(30)를 양측면에서 지지하고 있는 수직 지지부재(10)도 풀어서 하부 지지부재(30)와 함께 이동하여 다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및 지지봉(60)은 연장된 길이에 맞는 길이의 것으로 대체하여 끼워넣으면 된다. 이때, 너트(70)를 풀어서 상기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및 지지봉(60)을 분리한 다음, 길이가 연장된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및 지지봉(60)을 끼우고 너트(70)로 조이면 된다.
만일, 포크 삽입부재(9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체결부재(14)를 풀고 수직 지지부재(10)와 포크 삽입부재(90)를 분리하면 되고, 필요에 따라 포크 삽입부재(90)의 양측면에서 지지하고 있는 수직 지지부재(10)도 모두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수직 지지부재(10)를 구성하는 제 1수직편(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체결부재(14)를 풀고 제 2수직편(12)을 높이를 올린 다음, 해당 결합공에 체결부재(14)를 체결하여 결합시키면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르면, 크레인을 동원하여 물품 운반장치(1)에 적재된 샌드위치 패널(P)과 같은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지게차를 동원하여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고, 완전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시 물품 운반장치의 사이즈(높이 및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2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장치(1)는 소재의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고한 구조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샌드위치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P : 샌드위치 패널
1 : 물품 운반장치
2 : 상부 프레임
2a,3a : 측면
2b,3b : 결합공
3 : 하부 프레임
6 : 고정부재
10 : 수직 지지부재
11 : 제 1수직편
12 제 2수직편
12a : 취부 브래킷
13 : 제 3수직편
14,15 : 체결부재
20 : 수평지지부재
21 : 결합편
30 : 하부 지지부재
40 : 체결봉
42 : 선단 체결봉
44 : 후방 체결봉
50 : 보조 지지부재
50a : 취부 브래킷
52 : 연결부재
53 : 결합편
60 : 지지봉
70 : 너트
80 : 제 1슬링부재
82 : 견인고리
84 : 제 2슬링부재
86 : 견인고리
88 : 연결고리
90 : 포크 삽입부재

Claims (8)

  1.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과;
    상기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10)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1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재(20)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 지지부재(30)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20)의 전방쪽을 각각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봉(40)과;
    상기 수평지지부재(20)의 선단 및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선단 체결봉(42) 및 후방 체결봉(44);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60)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체결봉(44) 및 지지봉(60)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40), 선단 체결봉(42), 후방 체결봉(44), 지지봉(60)이 관통하는 부분의 양쪽면에는 너트(70)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10)는, 직선형의 제 1수직편(11)과, 상기 제 1수직편(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제 2,3수직편(12)(1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편(11)과 제 2,3수직편(12)(13)은 각각 착탈가능하게 체결부재(14)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체결봉(44)의 양쪽 측면에는 제 1슬링부재(80)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40)의 양쪽 측면에는 제 2슬링부재(84)가 연결되어서 물품을 탑재하고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7.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과;
    상기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접하는 쪽에 형성되는 취부 브래킷(12a)을 가지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복수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직 지지부재(10)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10)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재(20)와;
    상기 각 수직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하부 지지부재(30)와;
    상기 수평 지지부재(20)의 전방쪽을 각각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봉(40)과;
    상기 수평지지부재(20)의 선단 및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단 체결봉(42) 및 후방 체결봉(44);
    을 포함하여,
    좌우 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지지부재(30)의 한쪽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포크 삽입부재(90)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장치.
KR1020170121833A 2017-09-21 2017-09-21 물품 운반장치 KR10199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33A KR101997027B1 (ko) 2017-09-21 2017-09-21 물품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33A KR101997027B1 (ko) 2017-09-21 2017-09-21 물품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66A KR20190033266A (ko) 2019-03-29
KR101997027B1 true KR101997027B1 (ko) 2019-07-05

Family

ID=6589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833A KR101997027B1 (ko) 2017-09-21 2017-09-21 물품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1583B (zh) * 2021-04-09 2023-12-29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多功能高安全性装配式建筑吊运夹具
CN113562669B (zh) * 2021-09-28 2021-12-14 山东明宇重工机械有限公司 托盘车用的挡货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598Y1 (ko) * 2002-06-03 2002-08-22 주식회사 엔텍 세면대의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633U (ko) * 2010-06-10 2011-12-16 장대진 팔레트 이송장치
KR200476309Y1 (ko) * 2013-07-16 2015-02-16 백승만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598Y1 (ko) * 2002-06-03 2002-08-22 주식회사 엔텍 세면대의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66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67B2 (en) Method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KR101997027B1 (ko) 물품 운반장치
CN104837761A (zh) 用于将油布放置到装载物上的系统和方法
KR20160127802A (ko) 골조 부재를 위한 컨테이너
US20220251837A1 (en) Mobile Modular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Same
JP2012158248A (ja) 搬送据付装置
JP2011130756A (j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JP2018078932A (ja) 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貨物車両
CN111601999A (zh) Led面板的模块化支撑框架和包括该支撑框架的led墙
CN110182126B (zh) 一种大型预制件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JP5896499B1 (ja) 運搬装置
US20160257328A1 (en) Load maneuvering
JP3232384U (ja) 荷台作業時転落防止装置
JP3232384U7 (ko)
US20030190222A1 (en) Back bone beam dolly
JP5612432B2 (ja) 荷崩れ防止用台車
JP2019014499A (ja) シート掛け補助装置
US108942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ge rigging
KR20140006129U (ko) 족장판 운반장치
JP4458732B2 (ja) 枠組体の立設方法
JP7338111B2 (ja) シートパレットの牽引補助装置、牽引補助装置付きシートパレット及びシートパレットの牽引方法
KR101644351B1 (ko) 운반장치
KR20130001458U (ko) 선박용 핸드 레일의 운반 지그
CN210554838U (zh) 一种铁道运输卷钢座架
JP3246558U (ja) 高所作業用の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