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72Y1 -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72Y1
KR200475172Y1 KR2020130005148U KR20130005148U KR200475172Y1 KR 200475172 Y1 KR200475172 Y1 KR 200475172Y1 KR 2020130005148 U KR2020130005148 U KR 2020130005148U KR 20130005148 U KR20130005148 U KR 20130005148U KR 200475172 Y1 KR200475172 Y1 KR 200475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ray
casing
ai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성
김현태
김정욱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건조기의 트레이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는 구동부(140)가 형성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품이 수납되어 건조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리하여 각각 복수로 적층되어지는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 중 최상층의 트레이(120)에 장착되어지는 덮개(130)와, 상기 덮개(130)에 형성되어 트레이(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구(131)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Food drier with a detachable tray is having all}
본 고안은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건조기의 트레이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식품은 쉽게 부패하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보관하기가 쉽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식품들이 건조 처리되어 저장 또는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 건조와 관련된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식품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는 식품건조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건조기는 건조될 식품이 배치될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한 건조기 내의 과습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건조기의 하단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단의 덮개에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식품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건조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5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535호의 식품건조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에 해당하는 부분의 가운데에 원형의 홈을 내고, 상기 홈에 흡기구(53a)가 있는 모터케이스(52)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케이스(52)에 모터(55)를 장착하고 상기 받침대(50) 위쪽으로 건조대(65)를 적층한 것에 윗덮개(68)를 적층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55)의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터(55)의 축에 팬(56)을 장착하고, 상기 팬(56)의 주위에 열선(57) 및 열선부착판(58a)과 과열완충판(58b)으로 이루어진 히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60)를 구성하는 상기 열선(57)은 상기 팬(56)의 주위에 설치된 상기 열선부착판(58a)에 납작하게 권선되어 상기 과열완충판(58b)에 서로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60)의 측면에 직사각형의 홈이 나 있는 히터덮개(61)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덮개(61)는 상기 팬(56)과 상기 히터(60)를 보호하며, 상면에 순환통공(62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측면통공(62b)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히터(60) 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받침대(50) 위에는 다수의 삼각홈이 뚫려 있는 망판(66)이 형성된 건조대(65)가 한 개 또는 복수로 적층되며, 상기 망판(66) 위에는 상기 다수의 삼각홈 보다 촘촘하면서 작은 크기의 사각형 모양의 다수의 격자홈이 형성된 식품건조망(67)이 놓여진다.
아울러, 맨 위에 놓여지는 건조대(65)에는 배기구(53b)가 있는 윗덮개(68)가 적층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식품건조기는 건조대(65)가 한 개 또는 복수로 적층되어지되 정해진 부피 및 높이로 형성되어지게 됨으로써 건조대(65)의 정해진 부피 및 높이 이내의 식품만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해 소비자의 만족감 및 신뢰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식품건조기는 건조대(65)의 높이 변화를 위해 사이즈(size)가 다른 건조대(65)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높이 변화에 따른 다수의 건조대(65)를 사용하게 되어 제작 원가 및 제품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식품건조기의 트레이를 좌,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트레이의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제품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식품건조기의 트레이를 하나의 사이즈(size)를 사용하면서 밑판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사이즈의 식품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 원가는 물론 제품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식품건조기의 제어 및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식품건조기를 작동시키고 작동유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는 구동부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품이 수납되어 건조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리하여 각각 복수로 적층되어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중 최상층의 트레이에 장착되어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트레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정면에는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식품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망형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부는 케이싱 내부에 내열성 재질의 모터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받침대의 중앙에 모터가 장착되어진다.
상기 트레이는 케이싱 상부에 식품의 크기에 따라 좌,우에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되 식품의 크기가 크게 되면 복수의 트레이를 적층하지 않고 하나의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식품을 넣고 건조하는 식품건조기의 트레이를 좌,우로 분리하고 식품의 부피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식품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한 종류의 사이즈의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어 제작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효율성 및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정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식품의 장기간 보관이나 건조한 형태를 이용하는 음식물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가온된 공기에 의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식품건조기(100)에 있어서,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면서 양쪽으로 분리되는 다단의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덮개(130)를 포함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케이싱(110)의 중앙부에는 식품건조기(100) 내에 수납되는 식품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140)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의 중앙 상부에는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트레이(120)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의 정면에는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부(140)는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모터(141)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141)의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터(141)의 축에 팬(142)이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팬(142)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열선(143) 및 두개의 판(열선부착판(145)과 과열완충판(146))으로 이루어진 히터(144)가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결합되게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히터(144)에서 열선(143)은 팬(142)의 주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러싸게 고정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석면으로 된 육각형 모양의 열선부착판(145)에 열선(143)이 일정한 간격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의 열선부착판(145)과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같은 재료로 된 과열완충판(146)이 열선부착판(145)에 대해서 팬(142)의 수직높이의 약 1/2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팬(142)을 둘러싸고 고정되어진다.
상기 트레이(120)는 케이싱(110)의 상부에 다단으로 안착되어지되 식품 또는 수납용기의 높이에 따라 좌,우 양쪽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다단으로 안착되어지는 트레이(120)의 개구된 바닥면에는 식품건조기(100)의 내부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망판(121)이 선택적으로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120)는 케이싱(110)에 좌,우 양쪽으로 분리되어지되 건조하고자 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높게 되면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키지 않고 최하층에 적층되는 하나의 트레이(120)에만 망판(121)을 올려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낮게 되면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 트레이(120)는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120)의 양측면에는 케이싱(110)으로부터 트레이(120)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2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덮개(130)는 좌,우 양쪽으로 분리되는 트레이(120)를 각각 장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누어서 형성되어지며, 중앙부에 트레이(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130)의 양측면에는 케이싱(110)에 장착되는 트레이(120)를 덮거나 오픈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3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130)는 트레이(120)의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수납 및 건조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구동부(140)를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스위치(151)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120)에 수납되어 건조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에 따른 기능을 설정하게 되는 기능설정버튼(15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스위치(151)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1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153)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표시부(153)는 식품건조기(100)의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트레이(120)가 장착되어지되 상기 트레이(120) 내부에 건조하고자 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120)의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에 따라 트레이(120)를 케이싱(110) 상부에 좌.우 양쪽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좌,우 양쪽으로 분리하되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높을시에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상하 개구형의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키지 않고 최하층에 적층되는 하나의 트레이(120)에만 망판(121)을 올려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쪽의 트레이(120)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낮게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100)는 상기 트레이(120)를 케이싱(110)의 위에 다수로 적층시키면서 망판(121)의 선택적인 적용으로부터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식품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20)의 내부에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이 수납되어지면 상기 최상단의 트레이(120)에 덮개(130)를 덮어 트레이(12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에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수납이 완료되어지면 상기 작동스위치(151)를 작동시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전력이 공급되면 열선(143)이 가열되고 구동부(140)의 모터(141)가 구동하게 되어 열선(143)에 의하여 가온된 공기를 팬(142)이 회전되면서 송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팬(142)이 회전하게 되면 열선(143)에 의해 가온된 공기가 팬(142)에 의해 송풍되면서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식품건조기(10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0)의 내부에 놓여진 식품은 열선(143)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팬(142)이 회전하면서 송풍시키게 됨으로써 건조되어지게 되며, 가온된 공기가 트레이(120)의 망판(121) 전체를 통해서 상방향으로 흐르면서 식품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가온된 공기가 트레이(120) 내부의 식품을 건조시키며 자연배기 흐름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는 공기는 덮개(130)의 공기배출구(131)를 통하여 식품건조기(100) 밖으로 배출되어지게 되어 트레이(12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는 구동부(140)에 의해 식품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트레이(120)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높거나 또는 높낮이가 서로 다를 경우 트레이(120)를 좌,우 양쪽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되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높게 되면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에 맞게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키지 않고 최하층에 적층되는 하나의 트레이(120)에만 망판(121)을 올려 사용하고,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낮게 되면 케이싱(100)의 상부 다른 쪽에 다단의 트레이(12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에 각각 망판(121)을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서 좌,우 양쪽으로 분리되는 트레이(120)에 망판(121)을 선택적으로 올려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식품건조기(100)의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는 기존 제품에서 주로 사용하는 슬라이스된 식품을 비롯해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식품을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식품건조기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의 높이 변화를 위해 사이즈가 다른 트레이를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식품을 건조시킬 수 없음은 물론 여러 사이즈의 트레이를 제작함으로 인해 제작 원가가 상승하게 되나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높이가 변화되어도 다단으로 적층되는 트레이(120)를 사용하면서 망판(121)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높이의 식품을 건조시킬 수 있으면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100)는 상기 케이싱(110)에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표시하게 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작동스위치(151)를 간단하게 작동시켜 구동부(140)의 구동으로 식품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식품건조기(100)의 작동상태를 표시부(153)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120)에 수납되어 건조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에 따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설정버튼(152)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설정버튼(152)에 의해 식품의 종류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20)와 덮개(130)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게 됨에 따라 작동스위치(151)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120)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건조상태 및 진행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식품건조기
110 : 케이싱
111 : 공기유입구
120 : 트레이
121 : 망판
122,132 : 손잡이부
130 : 덮개
131 : 공기배출구
140 : 구동부
141 : 모터
142 : 팬
143 : 열선
144 : 히터
145 : 열선부착판
146 : 과열완충판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작동스위치
152 : 기능설정버튼
153 : 표시부
200 : 식품 또는 수납용기

Claims (15)

  1. 식품의 장기간 보관이나 건조한 형태를 이용하는 음식물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가온된 공기에 의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식품건조기에 있어서,
    식품을 건조시키기 위해 공기를 가온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부(140)가 형성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수납하도록 상하 개구형으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면서 좌,우 양쪽으로 분리되는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식품을 건조하기 위해 트레이(12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덮개(130)를 포함하고,
    다단 적층되는 상기 트레이(120)의 개구된 바닥면에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가 올려지면서 식품건조기(100)의 내부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시키는 망판(121)이 올려지도록 하되,
    상기 망판(121)은 상기 트레이(120)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다단을 이루는 상기 트레이(120)의 개구된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올려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중앙 상부에는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트레이(120) 내부로 가온이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정면에는 트레이(120)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건조시키게 되는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구동부(140)를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스위치(151)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120)에 수납되어 건조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에 따른 기능을 설정하게 되는 기능설정버튼(15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스위치(151)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1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1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53)는 식품건조기(100)의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40)는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모터(141)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141)의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터(141)의 축에 팬(142)이 설치되고, 상기 팬(142)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열선(143) 및 열선부착판(145)과 과열완충판(146)으로 이루어진 히터(144)가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결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20)는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20)의 양측면에는 케이싱(110)으로부터 트레이(120)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는 좌,우 양쪽으로 분리되는 트레이(120)를 각각 장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누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의 중앙부에는 트레이(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의 양측면에는 케이싱(110)에 장착되는 트레이(120)를 덮거나 오픈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는 트레이(120)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 또는 수납용기(200)의 수납 및 건조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KR2020130005148U 2013-06-25 2013-06-25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KR200475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48U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3-06-25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48U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3-06-25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72Y1 true KR200475172Y1 (ko) 2014-11-10

Family

ID=5228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148U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3-06-25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7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30B1 (ko) * 2015-03-04 2015-10-29 이진희 적외선램프가 구비된 트레이 분리형 적외선 식품건조기
KR101608707B1 (ko) * 2015-07-31 2016-04-04 주식회사 신성산업 식품 건조기
KR20160056253A (ko) * 2014-11-10 2016-05-19 김명원 분말된 습식 음식물을 찬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기
KR20160003405U (ko) * 2015-03-25 2016-10-06 한일전기 주식회사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101670714B1 (ko) * 2015-01-09 2016-10-31 주식회사 이몰드 식품건조기
KR101784713B1 (ko) 2016-05-11 2017-10-12 제이원 주식회사 식품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551U (ko) * 1990-01-26 1991-10-08
JPH1099029A (ja) * 1996-09-26 1998-04-21 Kinan Dan Board Kk 加工食品の天日干し器及びその補助枠
KR20010110653A (ko) * 1999-03-05 2001-12-13 추후제출 음식물 건조기
JP3097551U (ja) 2003-04-30 2004-01-29 株式会社ノースイ トレー
KR200354535Y1 (ko)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551U (ko) * 1990-01-26 1991-10-08
JPH1099029A (ja) * 1996-09-26 1998-04-21 Kinan Dan Board Kk 加工食品の天日干し器及びその補助枠
KR20010110653A (ko) * 1999-03-05 2001-12-13 추후제출 음식물 건조기
JP3097551U (ja) 2003-04-30 2004-01-29 株式会社ノースイ トレー
KR200354535Y1 (ko)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253A (ko) * 2014-11-10 2016-05-19 김명원 분말된 습식 음식물을 찬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기
KR102013328B1 (ko) 2014-11-10 2019-11-04 김명원 분말된 습식 음식물을 찬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기
KR101670714B1 (ko) * 2015-01-09 2016-10-31 주식회사 이몰드 식품건조기
KR101564530B1 (ko) * 2015-03-04 2015-10-29 이진희 적외선램프가 구비된 트레이 분리형 적외선 식품건조기
WO2016140468A1 (ko) * 2015-03-04 2016-09-09 이진희 적외선램프가 구비된 트레이 분리형 적외선 식품건조기
JP2018510314A (ja) * 2015-03-04 2018-04-12 リ ジンヒLEE, Jin Hee 赤外線ランプが備えられたトレー分離型赤外線食品乾燥機
KR20160003405U (ko) * 2015-03-25 2016-10-06 한일전기 주식회사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200482318Y1 (ko) 2015-03-25 2017-01-10 한일전기 주식회사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101608707B1 (ko) * 2015-07-31 2016-04-04 주식회사 신성산업 식품 건조기
KR101784713B1 (ko) 2016-05-11 2017-10-12 제이원 주식회사 식품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72Y1 (ko)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US10928132B2 (en) Food dehydrator
US4236063A (en) Dehydrator
WO1998030851A9 (en) Food dehydrator
KR101283516B1 (ko) 가정용 식품건조기
WO2000052407A1 (en) Food dehydrator
EP0968396A1 (en) Food dehydrator
US20030079363A1 (en) Apparatus for bulk drying of sliced and granular materials
KR20070035895A (ko) 발아기 겸용 고추 건조기
CN104583702B (zh) 具有加热气流的湿润的和酥脆的产品保持柜
KR200417227Y1 (ko) 원통형 식품건조기
KR200354535Y1 (ko) 식품 건조기
KR200423317Y1 (ko) 식품 건조장치
CN2839337Y (zh) 被褥烘干器
KR101608707B1 (ko) 식품 건조기
KR101516235B1 (ko) 가정용 식품건조기
CN204268822U (zh) 一种多用途烘烤箱
KR101378742B1 (ko) 열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 건조기
KR20170069459A (ko) 살균건조기 겸용 식품건조기
JP6454025B2 (ja) 赤外線ランプが備えられたトレー分離型赤外線食品乾燥機
KR101670714B1 (ko) 식품건조기
KR100865346B1 (ko) 외부케이스를 갖는 식품 건조기
CN208695073U (zh) 一种大米加工用凉米仓
CN208463754U (zh) 烹饪器具
KR200442061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