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713B1 - 식품건조기 - Google Patents

식품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713B1
KR101784713B1 KR1020160057377A KR20160057377A KR101784713B1 KR 101784713 B1 KR101784713 B1 KR 101784713B1 KR 1020160057377 A KR1020160057377 A KR 1020160057377A KR 20160057377 A KR20160057377 A KR 20160057377A KR 101784713 B1 KR101784713 B1 KR 10178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ray
mesh sheet
temperatur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제이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식품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식품건조기는,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식품을 수용하여 건조풍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풍이 유입되는 관통구가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구멍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조풍이 밑면을 통해 상승되도록 하며, 일단 이상 적층되는 채반; 상기 채반의 구멍을 관통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채반 내에 위치되고, 상기 식품이 상기 채반부의 밑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건조풍과 접촉되는 격자형상의 메쉬시트; 상기 건조풍의 온도 및 상기 건조풍의 송풍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온도 및 송풍시간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및 상기 송풍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건조풍을 발생시켜 상기 채반를 향해 유동되도록 송풍하는 본체; 및 상기 채반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채반에 수용가능한 식품의 용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동시간에 많은 식품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으며 채반의 세척이 용이하고, 항균재질의 메쉬시트에 의해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품건조기{Food dryer}
본 발명은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외부에 마련되어 채반 내부의 용적률을 향상시키는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과일이나 야채를 비롯하여 육류나 생선류 따위의 각종 식품을 간편하게 건조시켜 간식이나 음식재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전으로 식품건조기가 각광 받고 있다.
특히 본체 내에 팬과 공기 가열기를 설치하고 상부에 채반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식품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방식의 수직 적층형 건조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식품건조기는 작은 크기의 히팅팬으로 건조풍이 충분치 않고, 폭이 좁은 송풍구 및 흡기구에 의해 대류 정체 현상이 발생되어 대류 정체로 인해 채반의 높이에 따라 온도 차가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열풍 온도가 높은 하부의 식품보다 상부의 식품 건조 상태가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직으로 적층되는 채반의 경우 채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내부에 위치되어 채반에 수용가능한 식품의 용적율이 감소되는 것은 물론, 상승건조풍이 차단되어 대류의 흐름이 방해됨으로써 원활한 식품건조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의 위치에 의해 내부에 불필요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채반을 청소할 때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75172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채반의 외면에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채반에 수용가능한 식품의 용적율을 향상시키며 채반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고, 식품과 접촉되는 메쉬시트가 항균재질로 마련되어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건조기는,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식품을 수용하여 건조풍에 노출되도록 하고, 건조풍이 유입되는 관통구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풍이 밑면을 통해 상승되도록 하며, 일단 이상 적층되는 채반; 상기 식품이 상기 채반의 구멍을 관통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채반 내에 위치되는 격자형상의 메쉬시트; 상기 건조풍의 온도 및 상기 건조풍의 송풍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온도 및 송풍시간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및 상기 송풍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건조풍을 발생시켜 상기 채반을 향해 유동되도록 송풍하는 본체; 및 상기 채반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는, 상기 식품이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Slice)되도록 하는 슬라이스부재; 슬라이스되어 유입된 식품이 상기 메쉬시트 상에서 나열되도록 하는 나열부재; 및 상기 나열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스부재는, 상기 식품이 기설정된 두께로 슬라이스되도록 하는 칼날, 상기 칼날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상판, 상기 식품이 상기 칼날을 향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칼날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칼날에 의해 슬라이스된 식품이 이격된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식품이 슬라이스되는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열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스된 식품이 메쉬시트 상에에서 나열되도록 하는 판 및 상기 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걸림부 간의 결합을 통해 높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 간의 이격된 공간과 상기 홈을 통해 상기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시트는, 건조가 완료된 식품이 나열된 상태로 상기 채반으로부터 반출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의 높이를 초과하는 용기 또는 상기 식품이 상기 채반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개구형의 보조채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시트는, 상기 채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식품의 변질 및 세균 또는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 폴리프로필렌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열선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설정온도로 및 상기 시간에 대응되도록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가열된 공기인 건조풍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건조풍이 일정한 경로로 유동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히터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동일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채반에 수용가능한 식품의 용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동시간에 많은 식품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으며 채반의 세척이 용이하고, 항균재질의 메쉬시트에 의해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활한 대류의 흐름을 통해 식품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덮개부에 마련되는 슬라이스 부재 및 나열 부재를 통해 슬라이스가 완료된 식품이 바로 채반에 수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별도의 수단을 이용해 식품을 슬라이스한 후 채반에 옮기는 과정을 요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반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가 결합된 덮개가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가 식품을 나열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으로, 도 1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건조기는 야채나 과일 등을 포함하는 식품을 건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1회에 건조가능한 식품의 양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로 건조풍의 대류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식품건조기는 본체(100), 채반(200), 메쉬시트(300), 덮개(400) 및 보조 채반(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의 건조풍을 발생시켜 식품이 건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에 위치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에는 건조될 식품이 수용되는 채반(200) 또는 보조 채반(500)이 적층되고 최상층에 적층된 채반(200) 또는 보조 채반(500)에는 덮개(400)가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100)에서 발생된 건조풍은 일정한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어 식품과 접촉됨으로써 식품이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채반(200)은 건조될 식품이 수용되도록 하고, 식품이 수용되면 수용된 식품이 본체(100)로부터 발생된 건조풍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채반(200)은 식품이 건조풍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밑면은 방사상으로 구현되되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개구된 밑면을 통해 본체(100)로부터 발생된 건조풍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건조풍이 상부에 적층되는 채반(200)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채반(200)은 식품의 건조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하게 마련되어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채반(200)은 관통구(210) 및 손잡이(220)를 포함하며 이는 후술할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메쉬시트(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200)의 내면에 위치되어 채반(200)에 수용되는 식품이 위생적으로 관리되도록 하고 본체(100)에서 발생된 건조풍에 효과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메쉬시트(300)는 항균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마련되어 접촉되는 식품의 변질 및 세균 또는 곰팡이의 발생이나 증식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메쉬시트(300)는 건조가 완료된 식품이 나열된 상태로 채반(200)으로부터 반출되도록 한다.
메쉬시트(300)는 도면에서 최상단에 적층되는 채반(200)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일 뿐,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300)는 채반(200)이 마련되는 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채반(200)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된다.
메쉬시트는 이상의 목적 및 효과를 위해 삽입홈(310) 및 접이식 손잡이(320)를 포함한다.
한편, 덮개(400)는 채반(200)들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채반(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채반(200) 내부에 수용된 식품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여 채반(20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덮개(400)는 건조될 식품이 슬라이스되도록 하고, 슬라이스된 식품이 채반(200)에 바로 수용되도록 하며, 수용된 식품이 채반(200) 내부에 나열되도록 한다.
또한 덮개(400)는 본체(100)에서 발생된 건조풍이 적층된 채반(200)들을 경유하여 상부로 상승되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의 목적 및 효과를 위해 덮개(400)는 슬라이스부재(410), 나열부재(420) 및 홈(430)을 포함하며 이는 도 5 내지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보조 채반(500)은 채반(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채반(200)의 높이를 초과하는 식품이나 용기가 수용되면 식품이나 용기가 채반(2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보조 채반(500)은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상태로 일정한 높이의 둘레를 가지는 측면만 형성되어 채반(200)의 상부에 적층됨으로써 식품이나 용기가 적층되는 채반(200)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보조 채반(500)이 최상단에 적층된 채반(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보조 채반(500)의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먼저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의 건조풍을 발생시켜 식품이 건조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사용자로부터 식품이 건조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와 식품의 건조를 위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면 시간정보와 온도정보에 대응되는 건조풍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00)는 최하단에 위치되고 상부에 채반(200)들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된 건조풍이 상승하여 식품과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0)는 건조풍이 발생되는 동안 과열이 발생되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화재 및 재난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체(100)는 건조풍의 발생을 위해 입력부(110), 표시부(120), 히터부(130), 송풍팬(140), 히터 덮개부(150) 및 온도센서(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식품건조기가 동작되도록 하거나 식품이 건조되어야 하는 온도 및 건조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는 온도버튼(111), 시간버튼(113) 및 전원버튼(115)을 포함한다.
온도버튼(111)은 사용자로부터 식품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풍의 온도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온도버튼(11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온도정보를 입력받으면 본체(100)는 히터부(130), 송풍팬(140) 및 온도센서(160)를 통해 입력된 온도에 대응되는 건조풍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시간버튼(113)은 사용자로부터 식품이 건조되는데 필요한 시간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시간버튼(1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입력받으면 본체(100)는 히터부(130), 송풍팬(140) 및 온도센서(160)를 통해 입력된 시간동안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건조풍이 발생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타이머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온도버튼(111), 시간버튼(1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형태로 마련되거나 가압버튼 또는 터치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버튼(115)은 식품건조기의 온-오프(on-off)를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전원버튼(115)과는 별도로 온도센서(160)를 통해 과열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온도버튼(111), 시간버튼(113) 및 전원버튼(115)을 포함하는 입력부(110)가 터치방식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입력부(110)와 후술할 표시부(12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로 마련되어 식품건조기의 설정을 위한 조작 및 식품건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표시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정면에 위치된다.
표시부(120)는 온도버튼(111)이 조작되면 온도버튼(111)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가 숫자로 표시되도록 하고, 시간버튼(113)이 조작되면 시간버튼(113)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하며, 전원버튼(115)이 조작되어 전원이 온-오프(on-off)되면 조명이 점등 또는 멸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에서 설정가능한 온도는 35℃ 내지 70℃이고, 설정가능한 시간은 1시간 내지 72시간으로, 표시부(120)에는 이상의 온도 및 시간이 모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히터부(130)는 송풍팬(140)에 의해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열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열선(미도시)은 온도버튼(111)에 의해 입력된 온도에 맞게 공기가 가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열선(미도시)은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통해 주변의 공기가 가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히터부(130)는 열선(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고, 상부에 마련되는 송풍팬(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건조풍은 히터부(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팬(140)을 향해 흡입되고 상부를 향하도록 유동되어 식품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품이 건조되도록 하는 공기를 의미한다.
송풍팬(140)은 히터부(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히터부(130)에 의해 발생된 건조풍이 채반(200)을 향해 유동되도록 하고, 채반(200)으로 유동된 건조풍이 채반(200) 내부에서 유동되거나 상부에 적층된 채반(20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송풍팬(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팬과 모터로 구성되어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되면 하부에서 가열된 공기인 건조풍을 흡입하여 흡입된 건조풍이 상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풍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히터 덮개부(150)는 송풍팬(140)의 상부에 위치되어 송풍팬(140)에 의해 유동되는 건조풍이 일정한 경로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통공(151)을 포함한다.
통공(1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덮개부(150)의 상면 및 측면에 다수개로 마련되는데, 송풍팬(140)을 통해 상승되는 건조풍이 통공(151)을 통해 일부는 상부를 향해 유동되고, 일부는 히터 덮개부(150)의 측면을 통해 유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 덮개부(150)는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통공(151)을 통해 건조풍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 상면을 통해 유동되는 건조풍은 채반(200)의 중심을 향해 강한 세기로 건조풍이 상승되도록 하여 건조풍이 최상단에 적층되는 채반(200)까지 도달되도록 하고, 측면을 통해 유동되는 건조풍은 채반(200)의 중심 이외의 면들에 건조풍이 골고루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 덮개부(150)는 건조풍의 대류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식품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히터 덮개부(150)는 내부에 마련되는 살과 살 간의 간격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히터 덮개부(150)보다 넓게 마련되어 건조풍이 최상단에 위치된 채반(200)까지 상승될 수 있어 건조풍이 송풍되는 중간에 채반(200)의 위치변경을 요하지 않는 것은 물론, 히터 덮개부(150)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통공(151)을 통해 대류현상이 정체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덮개부(150) 내부에는 살이 8개로 마련되어 살과 살 간의 간격이 넓어 송풍팬(140)으로부터 발생된 건조풍이 유동될 수 있는 통공(151)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건조풍의 송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온도센서(160)는 히터부(130)와 송풍팬(140)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상에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본체(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온도센서(160)는 히터부(130)가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하락하기 전까지는 히터부(13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하락되면 히터부(130)가 재동작되도록 하여 전기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160)가 히터부(130)의 과열에 의해 설정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과열 및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160)는 1초에 60회의 온도를 체크하여 히터부(13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히터부(130)가 재작동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를 위해 본 식품건조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히터부(130), 송풍팬(140) 및 온도센서(16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관부(170)는 본체(10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선이 보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밑판의 일부가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선이 보관되는 수용공간으로 마련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반(2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채반(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될 식품을 수용하고 수용된 식품이 건조풍에 노출되어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채반(200)들이 서로 적층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반(200)은 관통구(210) 및 손잡이(220)를 포함한다.
관통구(210)는 본체(100)에서 발생된 건조풍이 적층된 채반(200)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건조풍이 수직상승하여 상부에 적층된 채반(200)으로 빠르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관통구(210)는 채반(200)의 중앙에 채반(200)이 관통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통구(210)가 채반(200)의 높이와 동일하게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관통구(210)를 통해 유입된 건조풍이 채반(200)의 내부로도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만큼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나열부재(420)의 이동을 위해 관통구(210)의 높이는 나열부재(420)의 최단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채반(200)들 마다 관통구(210)의 높이가 달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채반(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이 관통구(210)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구멍을 통해 건조풍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관통구(210)가, 건조풍이 적층되는 채반(200)들 중앙을 관통하여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면, 방사상의 그물형태에 의한 구멍은, 관통구(210)를 통과한 건조풍이 상부에 적층된 채반(200)의 하면 전체를 통해 채반(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채반(200)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건조풍은 채반(200)의 내부에 수용된 식품과 접촉됨으로써 식품의 수분을 흡수하여 식품이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220)는 채반(200)의 이동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200)의 외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반(200)은 채반(200) 내에 수용되는 식품의 용적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잡이(220)가 외부에 마련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채반(200)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채반(200)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 돌출되어 함몰된 형태의 손잡이로 마련됨으로써 채반(200) 내부 공간이 손잡이에 대응되는 공간만큼 협소해져 채반(200)의 용적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와 함께 모서리의 형성으로 세척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채반(200)은 외부에 마련되는 손잡이(220)에 의해 채반(200) 내부에 수용 가능한 식품의 양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내부에 불필요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채반(200)의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3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메쉬시트(300)는 채반(200)에 수용되는 식품이 채반(200)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채반(200)의 밑면으로부터 메쉬시트(300)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식품을 이격시켜 식품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메쉬시트(300)는 채반(200)의 밑면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식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300)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어 식품의 낙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채반(200)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건조풍이 격자점 사이의 구멍을 통해 관통되어 식품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메쉬시트(300)는 채반(200)의 내부 밑면에 위치되고, 삽입홈(310) 및 접이식 손잡이(320)를 포함한다.
삽입홈(310)은 메쉬시트(300)가 채반(200) 내부에 위치되면 채반(2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메쉬시트(300)의 정중앙에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지만, 삽입홈(310)의 형상은 채반(200)에 형성되는 관통구(2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이식 손잡이(320)는 메쉬시트(300)를 채반(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반출하기 위해 마련되며, 메쉬시트(30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접이식 손잡이(320)를 통해 메쉬시트(300)에 식품이 놓여져있는 상태 그대로 채반(200)으로부터 반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식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메쉬시트(300) 상에 놓여진 식품의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된 식품을 직접 이동시켰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300)는 접이식 손잡이(320)에 의해 식품이 놓여져있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되므로 식품이 옮겨지기 위한 과정에서 식품이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시트(300)는 식품의 오염, 변질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소재의 재질로 마련되며, 본 발명에서는 항균 폴리프로필렌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를 통해 메쉬시트(300)는 식품의 변질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4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42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420)가 결합된 덮개(400)가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열부재가 식품을 나열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덮개(400)는 적층되는 채반(200)들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채반(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채반(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채반(200) 전체에 설정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덮개(400)는 상승되는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반(200)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400)는 건조될 식품이 슬라이스된 후 채반(200) 내에 수용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슬라이스부재(410), 나열부재(420) 및 홈(430)을 포함한다.
슬라이스부재(410)는 식품이 슬라이스되도록 하고, 슬라이스된 식품이 곧바로 메쉬시트(300)가 놓여진 채반(2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스부재(410)는 칼날(411), 제1 상판(413), 제2상판(423a)을 포함한다.
칼날(411)은 식품이 절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상판(413)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칼날(411)은 절단되기 위한 식품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식품의 절단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칼날(411)의 식품이 절단될 수 있는 면은 제2 상판(415)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한편, 제1 상판(413)은 칼날(411)이 고정되도록 하고, 식품의 절단되지 않은 부분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식품 단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양각 또는 음각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제2 상판(415)은 식품이 칼날(411)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칼날(411)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칼날(411)에 의해 슬라이스된 식품이 이격된 공간으로 배출되어 채반(200)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상판(415)은 제1 상판(413)과 마찬가지로 식품 단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양각 또는 음각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상판(415)은 하단에 위치되는 두께조절부(미도시)조절부(미도시)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칼날(411)을 기준으로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두께조절부(미도시)조절부(미도시)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제2 상판(415)의 하단에 위치되어 제2 상판(415)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식품이 슬라이스되는 두께가 달라지도록 하거나 칼날(411)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칼날(41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슬라이스부재(410)가 덮개(400)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채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덮개(400)를 통해 식품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슬라이스된 식품을 채반(200)으로 옮겨담는 과정없이도 식품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나열부재(420)는 슬라이스부재(410)에 의해 슬라이스되어 채반(200) 내부에 쌓여있는 슬라이스된 식품이 메쉬시트(300) 상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나열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재(421) 및 판 부재(423)로 구성된다.
손잡이부재(421)는 덮개(400)의 상단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나열부재(420)를 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재(421)를 홈(430)의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손잡이부재(421)와 연결된 판 부재(423)가 이동됨으로써 슬라이스된 식품이 나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재(421)는 걸림부(421a)를 통해 판 부재(423)와 결합되게 된다.
걸림부(421a)는 손잡이 부재의 일단 및 타단의 내면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된다.
걸림부(421a) 각각은 슬라이스된 식품의 두께에 따라 판 부재(423)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격된 간격은 모두 다를 수 있으며, 걸림부(421a)의 개수 또한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421)는 덮개(4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덮개(400)의 상면을 이동하게 되는데, 손잡이부재(421)의 하면과 덮개(400)의 상면의 마찰력 감소를 위해 슬라이스부재(410)의 제1 상판(413) 및 제2 상판(415)에 형성된 홈이 음각으로 형성되면 손잡이부재(421)의 하면에는 음각에 대응되는 양각으로 형성된 홈이 마련되고, 슬라이스부재(410)의 제1 상판(413) 및 제2 상판(415)에 형성된 홈이 양각으로 형성되면 손잡이부재(421)의 하면에는 음각으로 형성된 홈이 마련되도록 한다.
판 부재(423)는 손잡이부재(421)와 연결되어 손잡이부재(421)의 이동에 의해 채반(200) 내부에서 이동됨으로써 메쉬시트(300) 상에 위치된 슬라이스된 식품들이 골고루 나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판 부재(423)는 판(423a), 연결부(423b) 및 결합부(423c)로 구성된다.
판(42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슬라이스된 식품과 직접 접촉되어 슬라이스된 식품의 위치가 변경되어 메쉬시트(300) 상에 나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채반(200)은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되는 관통구(210)를 포함하는데, 관통구(210)의 높이는 슬라이스부재(410)에 의해 슬라이스되는 두께 중 가장 얇은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연결부(423b)는 판(423a)이 손잡이부재(421)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판(423a)과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부재(421)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423b)는 홈(430)을 관통하여 판(423a)과 손잡이부재(421)를 연결함으로써 판(423a)은 채반(20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손잡이부재(421)는 덮개(4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423b)의 일측에는 돌출형성된 결합부(423c)가 형성되어 결합부(423c)를 통해 걸림부(421a)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재(421)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423b)는 결합부(423c)를 통해 손잡이부재(421)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나열부재(420)가 미사용되는 경우에는 덮개(400)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되도록 한다.
한편, 결합부(423c)는 연결부(423b)의 일측에 마련되고, 걸림부(421a)에 삽입되어 걸림부(421a)와 결합됨으로써 판 부재(423)가 손잡이부재(421)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부(423c)는 복수의 걸림부(421a) 중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판(423a)의 높이가 변경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421a) 중 최하단에 위치된 걸림부(421a)와 결합된 결합부(423c)가 최상단에 위치된 걸림부(421a)와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판 부재(423)의 높이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결합부(423c)와 최하단 걸림부(421a)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423b) 중 하나가 나머지 연결부(423b)를 향하도록 사용자가 가압하면 하나의 연결부(423b)에 형성된 결합부(423c)가 최하단 걸림부(421a)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하나의 연결부(423b)를 상부로 이동시켜 최상단 걸림부(421a)와 결합시키게 된다.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423b) 역시 이상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나열부재(420)가 미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상의 과정을 통해 결합부(423c)와 걸림부(421a)를 분리함으로써 덮개(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홈(430)은 나열부재(420)가 덮개(40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통해 나열부재(42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 덮개(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나열부재(420)가 미사용되는 경우에는 나열부재(420)가 덮개(400)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되고, 식품의 건조를 위해 덮개(400)가 최상단에 적층된 채반(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홈(430)은 배출구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한편, 홈(430)에 나열부재(420)의 연결부(423b)가 삽입되면 연결부(423b)는 홈(430)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므로 손잡이부재(421)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430)과 함께 칼날(411)과 제2 상판(415)과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도 건조풍의 배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도시된 덮개(400)는 나열부재(420)가 식품을 나열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슬라이스부재(410)에 대한 내용은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도 8에서는 나열부재(420)와 함께 도시되어야 하는 슬라이스부재(410)는 생략되었다.
또한 이상에서는 나열부재(420)의 손잡이부재(421)의 상면이 차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421)는 연결부(423b)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연결부(423b)가 손잡이부재(421)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판 부재(423)의 높이가 보다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입력부 111 : 온도버튼
113 : 시간버튼 115 : 전원버튼 120 : 표시부
130 : 히터부 140 : 송풍팬 150 : 히터 덮개부
151 : 통공 160 : 온도센서 170 : 보관부
200 : 채반 210 :관통구 220 : 손잡이
300 : 메쉬시트 310 : 삽입홈 320 : 접이식 손잡이
400 : 덮개 410 : 슬라이스부재 411 : 칼날
413 : 제1 상판 415 : 제2 상판 420 : 나열부재
421 : 손잡이부재 421a: 걸림부 423 : 판 부재
423a : 판 423b : 연결부 423c : 결합부
430 : 홈 500 : 보조 채반

Claims (10)

  1.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건조풍이 유입되는 관통구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풍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품이 건조풍에 노출되도록 하는 채반;
    상기 식품이 상기 방사상의 구멍을 관통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채반 내에 위치되는 격자형상의 메쉬시트;
    상기 건조풍의 온도 및 상기 건조풍의 송풍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온도 및 송풍시간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을 발생시켜 상기 채반을 향해 유동되도록 송풍하는 본체; 및
    상기 채반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식품이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Slice)되도록 하는 슬라이스부재;
    슬라이스되어 유입된 식품이 상기 메쉬시트 상에서 나열되도록 하는 나열부재; 및
    상기 나열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부재는,
    상기 식품이 기설정된 두께로 슬라이스되도록 하는 칼날, 상기 칼날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상판, 상기 식품이 상기 칼날을 향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칼날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칼날에 의해 슬라이스된 식품이 이격된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식품이 슬라이스되는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스된 식품이 메쉬시트 상에에서 나열되도록 하는 판 및 상기 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걸림부 간의 결합을 통해 높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 간의 이격된 공간과 상기 홈을 통해 상기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시트는,
    건조가 완료된 식품이 나열된 상태로 상기 채반으로부터 반출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의 높이를 초과하는 용기 또는 상기 식품이 상기 채반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개구형의 보조채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시트는,
    상기 채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식품의 변질 및 세균 또는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 폴리프로필렌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열선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온도 및 시간에 대응되도록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가열된 공기인 건조풍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건조풍이 일정한 경로로 유동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히터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동일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
KR1020160057377A 2016-05-11 2016-05-11 식품건조기 KR10178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77A KR101784713B1 (ko) 2016-05-11 2016-05-11 식품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77A KR101784713B1 (ko) 2016-05-11 2016-05-11 식품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713B1 true KR101784713B1 (ko) 2017-10-12

Family

ID=6013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377A KR101784713B1 (ko) 2016-05-11 2016-05-11 식품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7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5Y1 (ko) *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4-11-1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KR101546378B1 (ko) 2014-05-19 2015-08-27 (주) 테콘 채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5Y1 (ko) *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4-11-1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KR101546378B1 (ko) 2014-05-19 2015-08-27 (주) 테콘 채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7360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US11930964B2 (en) Heat management for food processor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EP2988637B1 (en) Cooking machine
KR101391972B1 (ko) 다용도 믹서기
US20130233181A1 (en) Combination Food Steamer and Food Processor
EP3445677B1 (en) Heating container for foods
US9962037B2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KR101784713B1 (ko) 식품건조기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KR200439650Y1 (ko) 건조 겸용 발효기
AU2004255207A1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KR101408896B1 (ko) 찜기
WO1995019112A1 (en) Multi-purpose cooker
JP6074772B2 (ja) 使い捨て容器型のまな板
EP2181940A1 (en) Food tray
JP4271099B2 (ja) 加熱装置および再加熱機能付冷却装置
JP3192821U (ja) 固形乳製品のグレーター装置
WO2023242885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stuffs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0476012Y1 (ko) 행거형 찜기
JP2015037954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US20150122804A1 (en) Splatter and splash guard to more uniformly heat items in microwave ovens and method therefor
KR20160003032U (ko) 밥솥 용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