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18Y1 -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 Google Patents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18Y1
KR200482318Y1 KR2020150001885U KR20150001885U KR200482318Y1 KR 200482318 Y1 KR200482318 Y1 KR 200482318Y1 KR 2020150001885 U KR2020150001885 U KR 2020150001885U KR 20150001885 U KR20150001885 U KR 20150001885U KR 200482318 Y1 KR200482318 Y1 KR 200482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rying
net structure
h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05U (ko
Inventor
이창영
최병문
안재훈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1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건조망의 평면에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건조망의 저면에는 돌기를 돌출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경사부가 형성된 평면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저면에 식품을 선택적으로 올려 건조시 건조열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식품 건조 동작이 종료 후 건조망으로부터 식품을 손상없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식품건조기에 대한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Two faces dry net of food drier}
본 고안은 식품건조기의 건조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건조기에 있어, 트레이에 적용되는 건조망을 식품(예; 건어물, 고기류, 과일류, 야채류)의 종류에 따라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식품건조기의 건조 동작시의 건조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건조망에 식품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식품은 쉽게 부패하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보관하기가 쉽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식품들이 건조 처리되어 저장 또는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 건조와 관련된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식품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는 식품건조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건조기는 건조될 식품이 배치될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한 건조기 내의 과습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건조기의 하단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단의 덮개에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식품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건조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535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함)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식품건조기는 건조대가 한 개 또는 복수로 적층되어지되 정해진 부피 및 높이로 형성되어지게 됨으로써 건조대의 정해진 부피 및 높이 이내의 식품만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해 소비자의 만족감 및 신뢰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선행기술 1의 식품건조기는 건조대의 높이 변화를 위해 사이즈(size)가 다른 건조대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높이 변화에 따른 다수의 건조대를 사용하게 되어 제작 원가 및 제품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5172 호(공고일 2014.11.20)에서와 같은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이하, '선행기술 2' 이라함)를 개시하기에 이르렀으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2에서의 건조망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즉, 선행기술 2는 분리형 트레이에 올려진 건조망으로 식물이 올려지면서 식품 건조기의 건조동작이 이루어질 때, 건조하고자 하는 식품의 점성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따라, 선행기술1은 물론 선행기술2에서는 건조망으로 점성을 달리하는 식품(예; 건어물, 고기류, 과일류, 야채류 등)이 올려져 건조동작시, 건조망의 표면에 식품이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에따라 건조망과 식품의 접촉면적 확대로 인해 건조열이 트레이 전체에 고루게 전달되지 못하면서 식품 건조 성능을 저하시킴은 물론, 건조 동작 종료 후 건조망에 달라붙은 식품을 분리시킬 때 점성이 높은 식품의 경우에는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건조망이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망의 평면에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건조망의 저면에는 돌기를 돌출 구성함으로써, 경사부가 형성된 평면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저면에 식품을 선택적으로 올려 건조시 건조열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식품 건조 동작이 종료 후 건조망으로부터 식품을 손상없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은, 테두리부와 메쉬형태로서 건조열에 대한 통과홀을 가지는 망 구조부로 구성하되, 상기 망 구조부의 평면측에는 올려진 식품의 건조를 위한 건조열 흐름을 가이드하게 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망 구조부의 저면측에는 올려진 식품 건조시 식품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건조열의 흐름을 가이드하게 되는 돌기를 돌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망 구조부의 저면에서 평면으로 통과홀을 통과하는 건조열이 식품으로 확산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15°∼45°범위내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는 엠보싱 형상의 구조물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조망의 평면에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건조망의 저면에는 돌기를 돌출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경사부가 형성된 평면 또는 돌기가 형성된 저면에 식품을 선택적으로 올려 건조시 건조열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식품 건조 동작이 종료 후 건조망으로부터 식품을 손상없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식품건조기에 대한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식품건조기에 적용되는 건조망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식품건조기에 적용되는 건조망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트레이에 건조망을 적용하고 그 건조망의 평면에 식품을 올려 건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트레이에 건조망을 적용하고 그 건조망의 저면에 식품을 올려 건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식품건조기에 적용되는 건조망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식품건조기에 적용되는 건조망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트레이에 건조망을 적용하고 그 건조망의 평면에 식품을 올려 건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트레이에 건조망을 적용하고 그 건조망의 저면에 식품을 올려 건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의 양면 건조망(A)은, 식품의 장기간 보관이나 건조한 형태를 이용하도록 가온된 건조열에 의하여 식품을 건조하게 되는 식품건조기의 트레이(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건조망(A)에는 점성이 낮거나 높은 식품(예; 과일류, 채소류, 건어물, 고기류 등)이 올려지는 것으로써, 테두리부(10)와 메쉬형태로서 건조열에 대한 통과홀(20a)을 가지는 망 구조부(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망 구조부(20)의 평면으로는 점성이 비교적 낮은 과일류, 야채류 등의 식품이 올려지도록 한 것이고, 상기 망 구조부(20)의 저면으로는 점성이 비교적 높은 건어물, 고기류 등의 식품이 올려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망 구조부(20)는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망 구조부(20)의 평면에 위치하는 통과홀(20a)측에는 저면에서 평면으로 건조열의 통과가 이루어질 때 그 건조열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건조열을 평면에 올려진 식품에 고루게 퍼지도록 하는 경사부(21)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1)는 저면에서 평면으로 통과홀(20a)을 통과하는 건조열이 식품으로 확산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15°∼45°범위내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설계하여둔 것이다.
한편, 상기 망 구조부(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22)는 엠보싱 형태의 구조물로서 식품(예; 떡류, 고기류 등)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상기 망 구조부(20)의 저면과 올려진 식품이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평면으로부터 저면으로 통과홀(20a)을 통해 건조열의 통과가 이루어질 때, 상기 건조열이 상기 이격거리를 통해 올려진 식품으로 고루게 퍼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A)은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적층 구조를 이루는 트레이(100)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망 구조부(20)의 평면이 상부를 향상하도록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망 구조부(20)의 평면상에 점성이 낮은 식품, 일예로서 과일류와 야채류 등의 식품을 올려놓는다.
이후,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트레이(100)의 최상단에 덮개(200)를 덮어, 상기 트레이(10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식품 건조기의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통상적으로 선행기술 2에서와 같이 열선이 가열되면서 건조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건조열은 팬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송풍된 건조열은 식품건조기내의 트레이(10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트레이(100)의 내부에서 망 구조부(20)의 평면에 올려진 식품은 건조열에 의해 건조되는데, 그 건조열이 망 구조부(20)의 저면과 평면을 연결하는 통과홀(20a)을 통과시, 상기 평면에 위치하는 통과홀(20a)에 형성되는 경사부(21)에 의해 확산되면서, 식품으로 고루게 분포되고, 이에따라 망 구조부(20)의 평면에 올려진 식품의 건조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식품건조기에서 상기 설명과 다르게 점성이 높은 식품을 건조시키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적층 구조를 이루는 트레이(100)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망 구조부(20)의 저면이 상부를 향상하도록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망 구조부(20)의 저면상에 식품을 올려놓는다.
그러면, 상기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22)가 식품을 받쳐주게 되며, 이후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트레이(100)의 최상단에 덮개(200)를 덮어, 상기 트레이(10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식품 건조기의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통상적으로 선행기술 2에서와 같이 열선이 가열되면서 건조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건조열은 팬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송풍된 건조열은 식품건조기내의 트레이(10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트레이(100)의 내부에서 망 구조부(20)의 저면상에 올려진 식품은 건조열에 의해 건조되는데, 그 건조열이 망 구조부(20)의 평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통과홀(20a)을 통과시, 상기 저면에 돌출되는 돌기(22)에 의해 망 구조부(20)의 저면에 올려진 식품과 망 구조부(20)는 그 접촉면적이 최소화됨은 물론, 상기 돌기(22)와 식품 사이에는 상기 돌기(22)에 의해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되므로, 식품은 망 구조부(20)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건조열은 상기 이격거리를 통해 식품으로 고루게 분포되면서, 상기 망 구조부(20)의 저면에 올려진 식품에 대한 건조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돌기(22)로부터 망 구조부(20)의 저면에 올려진 식품은 건조 동작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망 구조부(20)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망 구조부(20)에 달라 붙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테두리부 20; 망 구조부
20a; 통과홀 21; 경사부
22; 돌기 100; 트레이
200; 덮개 A; 건조망

Claims (3)

  1. 테두리부와 메쉬형태로 건조열에 대한 통과홀을 가지는 망 구조부로 구성하되,
    상기 망 구조부의 평면측에는 점성이 낮은 식품이 올려질 때 올려진 식품의 건조를 위한 건조열 흐름을 가이드하게 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망 구조부의 저면측에는 점성이 높은 식물이 올려질 때 올려진 식품 건조시 식품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건조열의 흐름을 가이드하게 되는 돌기를 돌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망 구조부의 저면에서 평면으로 통과홀을 통과하는 건조열이 식품으로 확산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15°∼45°범위내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엠보싱 형상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2020150001885U 2015-03-25 2015-03-25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200482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85U KR200482318Y1 (ko) 2015-03-25 2015-03-25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85U KR200482318Y1 (ko) 2015-03-25 2015-03-25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5U KR20160003405U (ko) 2016-10-06
KR200482318Y1 true KR200482318Y1 (ko) 2017-01-10

Family

ID=5713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85U KR200482318Y1 (ko) 2015-03-25 2015-03-25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98B1 (ko) * 2022-12-13 2024-04-12 홍승환 농수산물 건조용 건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30Y1 (ko) 2001-07-05 2001-10-17 강문구 식품 건조기용 상자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4-11-1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59B1 (ko) * 2013-03-14 2014-12-22 박요안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30Y1 (ko) 2001-07-05 2001-10-17 강문구 식품 건조기용 상자
KR200475172Y1 (ko) 2013-06-25 2014-11-1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98B1 (ko) * 2022-12-13 2024-04-12 홍승환 농수산물 건조용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5U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248A1 (en) Food Dehydrator
JP6537359B2 (ja) 乾燥機
US9877502B2 (en) Food dehydrator
CA2277226A1 (en) Food dehydrator
US20150257432A1 (en) Fruit dehydrator
KR200475172Y1 (ko) 분리형 트레이가 구비된 식품건조기
US20200068926A1 (en) High capacity, silent, space saving dehydrator
KR101446071B1 (ko) 식품건조기
KR200482318Y1 (ko)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101656187B1 (ko) 찜 기능과 건조기능을 갖는 식품가공장치
TWM534994U (zh) 懸吊轉動式均溫烘焙裝置及運用其之負壓輻射加熱乾燥烘焙機
KR101608707B1 (ko) 식품 건조기
KR200474962Y1 (ko)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KR20170069459A (ko) 살균건조기 겸용 식품건조기
KR20090056573A (ko) 건조기
KR101378742B1 (ko) 열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 건조기
KR200442061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60003607U (ko)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KR20140118639A (ko) 농수산물건조기용 채반거치대
KR101690092B1 (ko) 채반건조기
KR20150131644A (ko) 식품 건조기
KR20120070636A (ko) 굴비 급속냉동용 채반
CN210330106U (zh) 一种猴头菇售货架
CN210832824U (zh) 一种食物烘干机物料篮
KR200376228Y1 (ko) 열풍건조기용 건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