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07U -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07U
KR20160003607U KR2020150002281U KR20150002281U KR20160003607U KR 20160003607 U KR20160003607 U KR 20160003607U KR 2020150002281 U KR2020150002281 U KR 2020150002281U KR 20150002281 U KR20150002281 U KR 20150002281U KR 20160003607 U KR20160003607 U KR 20160003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gricultural
marine products
tray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85Y1 (ko
Inventor
조준혁
Original Assignee
(주)해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주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해주이엔지
Priority to KR202015000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8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 시 사용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산물의 건조시 채반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위치를 작업자가 변경하지 않아도 균일하게 건조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은,건조장치(1)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순환구멍이 천공된 바닥판(10)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15)와, 상기 연결부(15)를 상호 연결하는 돌출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DRYING TRAY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 시 사용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산물의 건조시 채반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위치를 작업자가 변경하지 않아도 균일하게 건조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버섯, 대추, 썰은 무, 호박, 곶감, 곶감 말랭이나, 오징어, 김 등과 같은 농수산물은 품질을 유지시키면서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출하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로변이나 공터 등의 바닥에 각종 농수산물을 펼쳐놓고 태양열과 자연바람에 의해 건조되는 자연건조방식에 의존하였으나, 건조를 위하여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우천 시나 일조 후 에는 건조물을 거둔 다음 다시 펼쳐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종 농수산 건조물을 채반 위에 펼쳐 논 다음 채반을 건조기에 다층으로 적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순환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순환공기를 순환되게 하여 채반 위에 얹혀진 각종 농수산 건조물이 건조되게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농산물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채반은, 농수산물을 적치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몸체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거나 다수개의 철사로 이루어진 그물망을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채반은 상기 농수산물의 중량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채반이 두꺼워지거나 철과 같은 무거운 금속재의 사용 함으로써 채반의 중량 및 상기 채반에 적치되는 농수산물의 중량으로 인해 작업자가 채반의 이동이나 농산물 건조장치의 적재시 작업자 혼자 작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687호 및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71689호와 같이 채반을 형성하는 재질을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이용한 채반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은 고온의 열풍을 사용하여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일반적인 농산물 건조장치에서 사용 시 환경호르몬 등의 식품안전상의 문제와 상기 환경호르몬 등의 식품안전을 해결하기 위한 원자재의 비용 상승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기술은 채반에 적치된 농수산물의 적치 위치에 따른 건조가 달라져 작업자가 일정시간 건조 후 채반에 적치된 농수산물의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열풍건조장치는 상부 도는 측면에서 열풍이 순환되도록 배출되는데 이로 인해 채반에 양 측면에 적치된 농수산물의 건조가 가장 빠르고 중앙으로 갈수록 건조시간이 늦어져 채반의 양 측면과 중앙의 건조 상태가 서로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농수산물의 균등한 건조를 위하여 채반에 적치된 농수산물의 위치 변경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위치를 변경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인건비 소요 및 위치변경을 위한 건조장치의 가동 중지로 인한 건조시간의 장기화에 따른 비용지출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수산물의 건조시 채반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위치를 작업자가 변경하지 않아도 균일하게 건조되고, 상기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중량에 의한 채반의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하는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은,건조장치(1)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순환구멍이 천공된 바닥판(10)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15)와, 상기 연결부(15)를 상호 연결하는 돌출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된 제1 순환구멍(17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순환구멍(17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15)는,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단이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조 시 일정시간 이후 건조 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 위치 변경작업에 따른 인건비 낭비를 해소할 수 있고, 빠른 건조시간으로 인해 생산량 증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채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적층 및 이동시 건조대상물의 중량에 의한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이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수산물건조용 채반이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은, 건조장치(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설치되고, 다수개의 순환구멍(17)이 천공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외측으로 수직되게 결합된 측벽판(20)과, 상기 측벽판(20)의 상단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0)는, 작업자가 채반 이동시 작업자가 채반을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 역할을 하고, 상기 건조장치(1) 내부에 슬라이딩 설치 시 상기 건조장치(1) 내부에 구비된 결합돌기에 슬라이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사이에 위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3)와,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1)는, 일정한 두께의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상호 이격간격은 상기 베이스부(11)의 넓이보다 넓거나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가 상호 이격된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돌출부(13)는, 일정한 두께의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1)의 넓이보다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와 상기 돌출부(13)의 이격된 부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판형의 연결부(15)의 상측단이 상기 돌출부(13)의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베이스부(11)의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는, 상기 돌출부(13)의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1)의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의 사이에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연결부(15)가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의 일측에 각각 수직되게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5)와의 단면 현상이 사다리꼴 모양이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13)와 베이스부(11)에는, 상기 건조장치(1)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순환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순환구멍(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순환구멍(17)은,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되는 제1순환구멍(17a)과 상기 돌출부(13)에 형성되는 제2순환구멍(17b)으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장치(1)에서 유입되는 열풍의 순환시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의 순환량을 상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13)에 형성된 제2순환구멍(17b)의 직경이 상기 제1순환구멍(17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에 적치되는 건조대상물을 상기 바닥판(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건조대상물의 전체 표면에 열풍이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순환구멍(17)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격돌기를 형성하여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은, 건조대상물인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하여 열풍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대상물을 수용하여 적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순환구멍(17) 천공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외측으로 수직으로 결합된 측벽판(20)을 결합하여 상기 건조대상물이 적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1) 내부에 슬라이딩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측벽판(20)의 상측단에는 외측으로 띠 형상의 손잡이(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건조장치(1)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딩돌기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건조대상물의 적치 후 채반이 상기 건조장치에 슬라이딩 설치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을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건조장치(1)에서 순환되는 열풍의 양이 상기 바닥판(10)의 외측에 형성된 베이스부(11)에 비해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3)의 순환량이 적어 상부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일정시간 건조 후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에 적치된 건조대상물 간의 자리를 변경해야 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고, 그로 인해 상기 건조장치(1)의 구동정지가 불가피하다.
또한, 건조대상물의 위치 변경을 위한 건조장치(1)의 개폐로 인한 내부열풍이 손실되어 에너지낭비 및 건조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적치되는 건조대상물의 원활한 건조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1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부(11)와 상기 이격된 베이스부(11)사이에 위치하여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돌출부(13)로 구성하여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를 연결부(15)로 상호 일체로 연결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이격된 상기 돌출부(13)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순환되는 열풍이 잔류하도록 하고, 상기 잔류된 열풍이 상기 돌출부(13)하부공간에서 와류되어 상기 돌출부(13)상부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표면에 많이 접촉되어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에 형성된 순환구멍(17)을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된 제1순환구멍(17a)과, 상기 돌출부(13)에 형성된 제2순환구멍(17b)의 직경을 상호 상이하게 하여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에 순환되는 열풍이 상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된 제1순환구멍(17a)보다 상기 돌출부(13)에 형성된 제2순환구멍(17b)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3) 상부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에 열풍이 더 많이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의 건조대상물과 상기 돌출부(13)의 건조대상물이 동일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와 돌출부(1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5)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3)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의 열풍유입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는, 상측단이 상기 돌출부(13)의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하측단이 상기 베이스부(11)에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채반의 이동 및 건조대상물의 적치시 중량에 의한 뒤틀림으로 인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바닥판(10)을 구성하는 베이스부(11)에 비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3)로 인해 상기 돌출부(13)가 상기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를 연결하는 보강돌기 역할을 수행하여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중량에 의한 상기 바닥판(10)의 처짐이나 이동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은, 건조 시 일정시간 이후 건조 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 위치 변경작업에 따른 인건비 낭비를 해소할 수 있고, 빠른 건조시간으로 인해 생산량 증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채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적층 및 이동시 건조대상물의 중량에 의한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건조장치 10 : 바닥판
11 : 베이스부 13 : 돌출부
15 : 연결부 17 : 순환구멍
20 : 측벽판 30 : 손잡이

Claims (3)

  1. 건조장치(1)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순환구멍이 천공된 바닥판(10)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15)와, 상기 연결부(15)를 상호 연결하는 돌출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된 제1 순환구멍(17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순환구멍(17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건조용 채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는,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단이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건조용 채반.
KR2020150002281U 2015-04-09 2015-04-09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KR200483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81U KR200483885Y1 (ko) 2015-04-09 2015-04-09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81U KR200483885Y1 (ko) 2015-04-09 2015-04-09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07U true KR20160003607U (ko) 2016-10-19
KR200483885Y1 KR200483885Y1 (ko) 2017-07-27

Family

ID=5723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281U KR200483885Y1 (ko) 2015-04-09 2015-04-09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68Y1 (ko) * 2020-02-25 2020-12-07 안진현 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901A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한도펀칭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228Y1 (ko) * 2004-11-16 2005-03-11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열풍건조기용 건조상자
KR20120071689A (ko) * 2010-12-23 2012-07-03 영농조합법인 연우 농수산물 건조채반
KR20140113227A (ko) * 2013-03-14 2014-09-24 정정진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228Y1 (ko) * 2004-11-16 2005-03-11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열풍건조기용 건조상자
KR20120071689A (ko) * 2010-12-23 2012-07-03 영농조합법인 연우 농수산물 건조채반
KR20140113227A (ko) * 2013-03-14 2014-09-24 정정진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68Y1 (ko) * 2020-02-25 2020-12-07 안진현 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85Y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885Y1 (ko)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N107494464B (zh) 立体桑蚕养殖专用器
KR101235817B1 (ko)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N104188278A (zh) 一种制鞋用烘干设备
US3028837A (en) Spawn tray assembly
US20170370043A1 (en) Clothes drying stand
KR101338017B1 (ko) 고추 건조행거
JP6045109B2 (ja) 干し柿乾燥用の乾燥用具
US20140021153A1 (en) Dish rack for oversized containers
CN206062406U (zh) 一种可晾晒衣物的行李箱
KR20140113227A (ko)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CN205641794U (zh) 一种带有限位结构的冰箱玻璃搁物架
US3029788A (en) Bird cage
KR200482318Y1 (ko)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101471751B1 (ko) 농수산물건조기용 채반거치대
CN208055683U (zh) 一种洗衣机减震底座
KR20150131644A (ko) 식품 건조기
KR101687967B1 (ko) 건조기용 채반
CN214002813U (zh) 一种使用垂直物流输送机的多层自动化仓库
KR20160023326A (ko) 관리가 용이한 식품건조기
KR20230007901A (ko)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N203661810U (zh) 一种禽类孵化出雏盘
KR20130001293U (ko) 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파이프하우스
JP3162216U (ja) まな板立て
TWM501224U (zh) 烘碗機的置筷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