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573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573A
KR20090056573A KR1020070123783A KR20070123783A KR20090056573A KR 20090056573 A KR20090056573 A KR 20090056573A KR 1020070123783 A KR1020070123783 A KR 1020070123783A KR 20070123783 A KR20070123783 A KR 20070123783A KR 20090056573 A KR20090056573 A KR 2009005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discharge hole
dryer
ai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석
Original Assignee
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석 filed Critical 강동석
Priority to KR102007012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573A/ko
Publication of KR2009005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벽면의 내측으로는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벽면과 가이드판 사이에는 유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에는 내부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보다 상측 또는 하측으로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을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실, 피건조물, 가이드판, 유도공간, 채반

Description

건조기{Dri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에 다층으로 배치된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기 내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고추, 담배, 버섯, 약재등과 같은 농산물 및 생선, 건어물,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은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건조출하가 요구된다. 이에, 종래에는 인도나 도로변, 공터등의 바닥에 수산물과 같은 피건조물을 펼쳐놓고 태양열과 자연풍에 의해 자연건조방식에 의존하였으나, 건조를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일조후에는 피건조물을 거둔 다음 다음날 다시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을 다수의 채반에 담아 놓은 상태로 다층으로 배치한 다음, 건조실 내에 열을 공급하여 공급된 열을 공기와 함께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러한 건조기는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가 어려워 고품질의 피건조물을 획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건조기는 건조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건조기 상부에 구비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배출구가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다량의 물이 발생되는데, 이 물이 건조기의 부식을 초래하고 피건조물로 떨어져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기 내에 다층으로 배치된 피건조물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기 내의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벽면의 내측으로는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벽면과 가이드판 사이에는 유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에는 내부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보다 상측 또는 하측으로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을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은 건조실의 공간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균일한 압력으로 건조실의 하부까지 도달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바닥면의 상측으로는 격판이 설치되어 바닥면과 격판 사이에는 유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의 일측상단에는 내부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과 이격된 위치에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을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실 내에 다층으로 배치된 피건조물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실 내의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열 공기의 순환과정을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건조 기에서 발열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는 건조실 내에 고추, 담배, 버섯, 약재등과 같은 농산물 및 생선, 건어물,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을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40)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는 구획판(11)을 통해 건조실(20)과 장치실(30)로 구분되어, 상기 건조실(20)은 상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마련되고, 전방으로 고추, 담배, 버섯, 약재등과 같은 농산물 및 생선, 건어물, 해조류와 같은 수산물을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채반(40)에 담겨진 상태로 넣고 뺄 수 있게 도어(D)가 구비된다. 그리고 구획판(11)에는 중앙으로 흡입공(1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토출공(14)이 형성되며, 흡입공(12)과 대응되는 장치실(30) 내부에는 흡입공(12)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공(14)으로 토출할 수 있게 공기순환팬(31)이 설치된다.
건조실(20) 내에는 다수의 거치대(22)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거치대(22)에는 채반(40)이 적층되도록 놓여진다. 여기서, 거치대(22)는 상하로 공기가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조기(10)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5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발열체(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체는 상기 건조실(20)내의 채반(40)과 채반(4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건조발열체(51)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발열체(51)는 상기 건조실(40) 내벽에 설치된 설치바(23)에 설치되어, 건조발열체(51)와 채반(40)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도록 놓여진다. 여기서, 건조발열체(51)는 발열부재 자체로만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지지력을 담보하기 위해 발열부재(51a)와, 발열부재(51a)의 상측 및 하측에 착설되며 발열부재에서 발열하는 열이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피건조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상면지지대(51b) 및 하면지지대(5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열부재(51a)에서 발열되는 열은 상면지지대(51b) 및 하면지지대(51c)의 내부를 관통하여 피건조물로 공급되며, 이 열기가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열 공기가 순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열부재(51a)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판이나 열파이프 등과 같이 열을 발산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발열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52)는 장치실(30)내에 설치된 공기순환팬(31)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순환팬(3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실(20)내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조실(20) 내에서 열 공기가 건조실내의 상하 방향으로 균일하게 순환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함유된 공기가 건조실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벽면의 내측으로는 가이드판(60)이 설치되어 벽면과 가이드판(60) 사이에는 유도공간(S)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판(60)의 하단에는 내부배출공(61)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61)보다 상측 또는 하측으로 외부배출공(13)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20)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61)을 통해 유도공간(S)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배출공(13)은 도 1과 같이 상기 건조기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건조기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배출구가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되면, 건조기내로 공급되는 열 공기가 건조기내의 하측까지 도달하지 않은 채 건조기의 중간 부분에서 상측으로 회귀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채반 내에 담긴 피건조물 중 상측부분에 담긴 피건조물과 하측부분에 담긴 피건조물 사이에 건조량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로 공급되는 열 공기를 내부배출공을 통해 하방향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조실내 열공기가 건조실의 하방향까지 흐를 수 있게 하여 열 공기가 건조실 내의 상하 방향에서 균일하게 순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건조실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건조실(20)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61)을 통해 유도공간(S)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기내부에서 물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60)은 건조실의 공간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판(60)이 경사지게 설치되면 상기 건조실(20)내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균일한 압력으로 건조실의 하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토출공(14)에서 토출되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가이드판(60)에 부딪혀서 수평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상부, 중앙 및 하부에 배치된 채반까지 공기가 골고루 안내되어 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은 건조기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판은 건조기의 전면 즉, 도어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팬(32)이 작동되면 건조실(20) 내의 공기는 흡입공(14)을 통해 장치실(30)로 유입되고 장치실(30)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토출공(16)을 통해 토출되는 방식으로 상하 순환된다. 이때, 발열체(50)에서 발산된 열기가 공기와 함께 믹싱되어 열 공기가 건조기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가이드판에 의해 건조실 하부까지 균일한 압력으로 도달된 후 상방향으로 다시 순환되게 되고, 가이드판에 부딪힌 공기는 채방 방향으로 굴절되어 채반(40) 내에 담기 피건조물을 골고루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건조기내의 수분을 담고 있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에 형성된 내측배출구를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되어 유입된 다음 유도공간 내부에서 일정시간 체류한 이후 외부배출공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건조실 내에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공간에는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일정시간 체류하여 단열막 역활을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들어 찬공기를 차단하여 건조실의 건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일시예와 비교할 때 건조실내의 공기를 굴절시켜 일정시간 체류시킨 다음 배출시키는 유도공간을 건조실 하부에 마련되도록 구성한 점만 상이할 뿐 목적,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서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실(20)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40)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50)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마련되고, 바닥면의 상측으로는 격판(70)이 설치되어 바닥면과 격판(70) 사이에는 유도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70)의 일측 상단에는 내부배출공(7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71)과 이격된 위치에 외부 배출공(15)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71)을 통해 유도공간(S)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효과와 더불어 상기 유도공간에서 가열된 공기가 일정시간 체류한 다음 배출되어 단열막 역활을 하기 때문에 바닥에서 올라오는 찬공기를 차단하여 건조실의 건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의류 건조, 신발 건조, 염료 건조 등과 같은 폭 넓은 분야의 건조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열 공기의 순환과정을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건조기에서 발열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

Claims (5)

  1.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벽면의 내측으로는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벽면과 가이드판 사이에는 유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에는 내부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보다 상측 또는 하측으로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을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건조실의 공간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균일한 압력으로 건조실의 하부까지 도달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건조실내의 채반과 채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건조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공기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건조실 내에 피건조물이 담겨진 다수의 채반이 다층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상하로 순환시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바닥면의 상측으로는 격판이 설치되어 바닥면과 격판 사이에는 유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의 일측상단에는 내부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배출공과 이격된 위치에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기 내부배출공을 통해 유도공간으로 굴절된 후 상기 외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70123783A 2007-11-30 2007-11-30 건조기 KR20090056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83A KR20090056573A (ko) 2007-11-30 2007-11-30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83A KR20090056573A (ko) 2007-11-30 2007-11-30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73A true KR20090056573A (ko) 2009-06-03

Family

ID=4098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83A KR20090056573A (ko) 2007-11-30 2007-11-30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5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683A (zh) * 2016-08-19 2017-01-04 天津市博爱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生产车间用循环干燥装置
CN106352677A (zh) * 2016-08-19 2017-01-25 天津市博爱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材专用干燥装置
CN114631712A (zh) * 2020-12-16 2022-06-17 宁波诚可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样品展柜的除湿结构
CN117461858A (zh) * 2023-12-27 2024-01-30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高温烘烤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683A (zh) * 2016-08-19 2017-01-04 天津市博爱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生产车间用循环干燥装置
CN106352677A (zh) * 2016-08-19 2017-01-25 天津市博爱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材专用干燥装置
CN106288683B (zh) * 2016-08-19 2018-10-30 天津市博爱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生产车间用循环干燥装置
CN114631712A (zh) * 2020-12-16 2022-06-17 宁波诚可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样品展柜的除湿结构
CN114631712B (zh) * 2020-12-16 2023-09-29 浙江丰华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样品展柜的除湿结构
CN117461858A (zh) * 2023-12-27 2024-01-30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高温烘烤设备
CN117461858B (zh) * 2023-12-27 2024-04-26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高温烘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460B1 (ko) 발아기 겸용 고추 건조기
US6438862B1 (en) Drying apparatus for coffee beans and similar crops
US20030079363A1 (en) Apparatus for bulk drying of sliced and granular materials
KR101878643B1 (ko) 광열건조장치 및 광열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0799345B1 (ko)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20090056573A (ko) 건조기
KR101275867B1 (ko)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46071B1 (ko) 식품건조기
KR101738070B1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CN214385901U (zh) 炕式干燥装置
KR20100001099U (ko) 면상발열체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101044236B1 (ko) 수산물 열풍건조기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320577B1 (ko) 냉동 고추 살균건조기
KR101418260B1 (ko) 건조 폐열 재활용 기능을 가진 회전형 농수산물 건조기
KR102320322B1 (ko)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50964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US1328396A (en) Fruit, vegetable, and other food dehydrating furnace and its cooperating apparatus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482318Y1 (ko)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KR2004384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165546Y1 (ko)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CN219635748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塑料围板箱
KR101548245B1 (ko) 온실형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