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322B1 -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322B1
KR102320322B1 KR1020210046334A KR20210046334A KR102320322B1 KR 102320322 B1 KR102320322 B1 KR 102320322B1 KR 1020210046334 A KR1020210046334 A KR 1020210046334A KR 20210046334 A KR20210046334 A KR 20210046334A KR 102320322 B1 KR102320322 B1 KR 10232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drying chamber
ai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일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열풍을 형성하고 다단식 건조대의 각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어 수분함유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가 다단으로 놓여진 다단식 건조대가 내부에 수용되어 열풍에 의해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상측에 마련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 내로 배출하는 열풍형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은, 다단식 건조대의 일측편에 건조실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열풍형성모듈에 의해 가온된 공기로부터 형성된 열풍을 다단식 건조대를 향해 배출하는 열풍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형성모듈은, 건조실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와 회수된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관은, 다단식 건조대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이 각각의 배출구를 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가 복수 개의 배출구 각각에 인접하게끔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Apparatus for drying water containing substance by using hot air-circulation and Dr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풍을 이용하여 다단식 건조대에 수용된 수분함유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순환식 건조장치는, 히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만들어 건조실 내에 존재하는 수분함유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킨 후, 이를 다시 히터로 회수하여 재공급하게끔 구성된다. 이때, 건조실 내부에는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가 다단으로 적층된 다단식 건조대가 놓여져, 열풍에 의해 수분함유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히터와 송풍기를 이용한 열풍 건조 방식은, 히터의 용량이 작고 열풍을 형성하면서 생성된 증기가 건조실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않아, 다단식 건조대의 수분함유물의 건조를 진행함에 상당 시간이 소요되며,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기가 건조실 내에 설치되므로, 열풍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영향을 받아 잦은 고장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5546호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열풍을 형성하고 다단식 건조대의 각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어 수분함유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는,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가 다단으로 놓여진 다단식 건조대가 내부에 수용되어 열풍에 의해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상측에 마련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 내로 배출하는 열풍형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은, 다단식 건조대의 일측편에 건조실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열풍형성모듈에 의해 가온된 공기로부터 형성된 열풍을 다단식 건조대를 향해 배출하는 열풍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형성모듈은, 건조실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와 회수된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관은, 다단식 건조대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이 각각의 배출구를 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가 복수 개의 배출구 각각에 인접하게끔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는, 배출구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유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유도로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는, 열풍공급관을 가로막게끔 형성되며, 그 상측으로 위치되는 나머지 제1 배출유도로는, 일정 비율로 길이가 감소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는, 제1 배출유도로에서 배출구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2 배출유도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식 건조대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어 열풍이 관통하며 지나가도록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는, 복수 개의 건조상자 각각의 인접한 상측으로 열풍이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은, 상기 열풍형성모듈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유입하여 열풍공급관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제1 송풍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기는, 건조실과 인접한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은, 열풍형성모듈로부터 건조실의 내측 상부로 가온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 내에 위치되는 공기배출관의 일단은, 제1 송풍기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관은, 건조실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다단식 건조대는 복수 개가 두 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와,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은, 내측 상부 중앙으로부터 열풍형성모듈을 향해 구비되어 다단식 건조대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기 및 공기배출관은, 공기흡입관을 중심으로 대칭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형성모듈은, 건조실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보내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은, 상기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하되, 복수 개의 건조상자 각각에 수분함유물을 2~3cm 두께로 깔아 다단식 건조대에 수용시키고 다단식 건조대를 건조실 내에 위치시키는 1차 준비단계;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건조실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100~120℃를 이루도록 하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단계 이후, 1차 건조단계에서 투입된 다단식 건조대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2~3개의 건조상자를 제외한 나머지 건조상자를 제거하고, 제거된 건조상자가 위치하였던 자리에 새로운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를 구비시키는 2차 준비단계;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건조실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100~120℃를 이루도록 하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통해 가온된 공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므로 수분함유물을 소정의 시간동안 건조되도록 충분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열교환기에서 제거되므로, 기저귀나 생리대의 원료 등과 같은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수분함유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가이드구를 통해 다단식 건조대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므로, 소정의 시간동안 다량의 수분함유물을 한꺼번에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B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본 발명에서는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열풍을 형성하고 다단식 건조대의 각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어 수분함유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가 다단으로 놓여진 다단식 건조대가 내부에 수용되어 열풍에 의해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상측에 마련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 내로 배출하는 열풍형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은, 다단식 건조대의 일측편에 건조실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열풍형성모듈에 의해 가온된 공기로부터 형성된 열풍을 다단식 건조대를 향해 배출하는 열풍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형성모듈은, 건조실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와 회수된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관은, 다단식 건조대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마다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이 각각의 배출구를 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가 복수 개의 배출구 각각에 인접하게끔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하되, 복수 개의 건조상자 각각에 수분함유물을 2~3cm 두께로 깔아 다단식 건조대에 수용시키고 다단식 건조대를 건조실 내에 위치시키는 1차 준비단계;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건조실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100~120℃를 이루도록 하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0)과 열풍형성모듈(200)을 포함하여 수분함유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의 수분함유물은 일 예로, 기저귀나 생리대의 원료 등과 같이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실(1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단식 건조대(10)가 수용되며, 다단식 건조대(10)에 존재하는 수분함유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식 건조대(10)는,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11)가 다단으로 놓여지는 구조를 이루며, 이때, 건조상자(11)는 쟁반과 같은 형태를 이루어 건조상자(11)에 놓인 수분함유물이 노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건조상자(11)에 수분함유물이 2~3cm 두께로 깔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수분함유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상자(11)에 깔리는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수분함유물이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것일 경우 2~3cm 두께로 건조상자(11)에 깔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11)는, 복수 개가 다단을 이루도록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여진다. 일 예로, 다단식 건조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어, 사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이루거나, 적어도 측방이 개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적어도 측방이 개방된 구조를 이룬 다단식 건조대(10)에는 복수 개의 건조상자(11)가 다단을 이루도록 놓여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이 건조상자(11)의 일측편에서 불어들어와 건조상자(11)의 타측편으로 나가게 된다. 즉,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은, 다단식 건조대(10)를 관통하며 지나가는데, 구체적으로 건조상자(11)와 인접한 상측을 지나간다.
열풍형성모듈(200)은, 건조실(100)의 상측에 마련되며, 건조실(100)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100)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열풍형성모듈(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기(220) 및 열교환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기(220)는, 건조실(100) 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가 열교환기(210)를 향해 배출되도록 한다. 건조실(100) 내의 공기가 제2 송풍기(220)로 유입되도록, 건조실(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0)과 열풍형성모듈(200)을 연결하는 공기흡입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흡입관(140)의 일단은 건조실(100)와 연통되고, 공기흡입관(140)의 타단은 제2 송풍기(220)의 유입구로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210)는 제2 송풍기(220)에 의해 건조실(100)로 회수된 공기를 전달받아, 건조실(100)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와, 회수된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킨다. 열교환기(210)는 일 예로 건조실(100)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가 흐르는 열교환관이 꼬불꼬불하게 내부에 구비되고, 제2 송풍기(220)와 연결된 관과 연결된 열교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유입구의 반대편에 가온된 공기가 배출되는 열교환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210)를 거쳐 가온된 공기가 건조실(100) 내로 배출되도록, 건조실(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형성모듈(200)과 건조실(100)을 연결하는 공기배출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은 열교환기(200)의 열교환배출구와 연결되고, 공기배출관(130)의 타단은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실(100)로 회수된 공기는, 열교환기(210) 내부를 지나면서, 열교환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건조실(100) 내에서 수분함유물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는, 건조실(100)로 회수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열교환기(210)에서 제거되는바, 건조실(100) 내의 습도를 매우 낮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나 생리대의 원료 등과 같은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수분함유물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건조실(100) 및 열풍형성모듈(2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인 수분함유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0) 내에 열풍공급관(110)이 구비된다. 열풍공급관(110)은, 다단식 건조대(10)의 일측편에 건조실(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열풍형성모듈(200)에 의해 가온된 공기로부터 형성된 열풍을 다단식 건조대(10)를 향해 배출한다.
일 예로, 다단식 건조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건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일렬을 이룬 복수 개의 다단식 건조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열이 건조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건조실(100)의 폭방향을 따라 다단식 건조대(10)가 2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열풍공급관(110)은 건조실(10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즉, 일 다단식 건조대(10)는 왼편에 열풍공급관(110)이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 다단식 건조대(10)는 오른편에 열풍공급관(110)이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와,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어, 원활한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각각의 열풍공급관(110)으로부터 배출된 열풍은, 각 열풍공급관(110)과 인접한 다단식 건조대(10)를 관통하며 지난 후,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와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열풍형성모듈(2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 상술한 공기흡입관(140)은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 중앙으로부터 열풍형성모듈(200)을 향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다단식 건조대(10)를 지난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열풍공급관(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건조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에 포함된 각각의 건조상자(11)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게끔 할 수 있어, 한꺼번에 다량의 수분함유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열풍공급관(110)은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11)마다 열풍이 공급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구(111)가 다단식 건조대(10)를 향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배출구(11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건조상자(11) 각각의 인접한 상측으로 열풍이 지나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열풍공급관(110)으로부터 다단식 건조대(10)를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열풍공급관(110)을 통해 다단식 건조대(10)를 향해 배출되는 열풍은, 열풍공급관(110)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내려오며, 그 과정에서 각각의 배출구(111)로 배출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모든 배출구(111)로 고르게 열풍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열풍공급관(110)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이 각각의 배출구(111)를 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가 복수 개의 배출구(111) 각각에 인접하게끔 구비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배출유도로(112a)는 일단이 배출구(111)와 연결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게끔 상향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일 예로, 다단식 건조대(10)에 10개의 건조상자(11)가 다단을 이루며 놓여진 경우, 열풍공급관(110)에서 배출구(111)와 제1 배출유도로(112a)는 건조상자(11)의 개수와 동일하게 10개가 형성되는데, 최상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는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고, 최하측에 위치되는 제2 배출유도로(112a)는 가장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최상측에 위치되는 1번 제1 배출유도로(112a)는 타단이 열풍공급관(110)의 폭방향으로 2cm에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게끔 형성되고, 2번 제2 배출유도로(112a)는 타단이 열풍공급관(110)의 폭방향으로 4cm에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는 타단이 그 인접한 상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의 타단보다 열풍공급관(110)의 폭방향으로 2cm씩 늘어난 지점에 위치하게끔 형성된다.
그리고 열풍공급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배출유도로(112a)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관(110)을 가로막게끔 형성되어, 열풍공급관(110)의 하단부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하측에 위치된 배출구(111)로도 충분한 열풍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열풍공급관(110)의 폭이 20cm인 경우, 최하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는 타단이 열풍공급관(110)의 폭방향으로 20cm에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 상측으로 위치되는 나머지 제1 배출유도로(112a)는, 일정 비율로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각 배출구(111)로 고르게 열풍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유도로(112a)와 더불어, 제1 배출유도로(112a)에서 배출구(11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2 배출유도로(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유도로(112)에서 배출구(11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끝단이란, 상기에서 제1 배출유도로(112a)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한 제1 배출유도로(112a)의 타단을 의미한다. 제1 배출유도로(112a)로부터 연장형성된 제2 배출유도로(112a)는 상단이 그 상측의 배출구(111)보다 낮게 위치되어, 배출구(111)를 향해 충분한 양의 열풍이 안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배출유도로(112a)로 인해, 열풍공급관(11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은, 적어도 일정량 이상씩 나뉘어져 제2 배출유도로(112a)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제1 배출유도로(112a)의 경사를 따라 배출구(111)로 안내되는바, 모든 배출구(111)를 통해 일정량 이상의 열풍이 배출되게 된다.
한편, 건조실(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형성모듈(200)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유입하여 열풍공급관(110)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제1 송풍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송풍기(120)는 건조실(100)과 인접한 상측, 즉 건조실(100)의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송풍기(120)는 건조실 내의 고온 환경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송풍기(120)는 건조실(100)과 인접한 상측에서 유입구가 건조실(100)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유출구가 열풍공급관(110)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실(100)과 열풍형성모듈(200)을 연결하면서 열풍형성모듈(200)로부터 가온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130)은, 일단이 제1 송풍기(120)와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송풍기(120)와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이 인접하다는 것은, 직접 연결되지 않아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을 통해 배출된 가온된 공기가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를 거친 후 제1 송풍기(120)로 유입됨을 의미한다.
이는 제1 송풍기(120)와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이 직접 연결된 경우, 제1 송풍기(120)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되어, 열풍공급관(110)으로 충분한 양의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송풍기(120)와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이 직접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건조실(100) 내의 일부 공기가 함께 제1 송풍기(120)로 유입되는바, 열풍공급관(110)을 따라 이동되는 열풍이 수분함유물을 건조하기에 적정 온도를 가지도록, 가온된 공기의 온도를 다소 낮춰주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관(110)이 건조실(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됨과 더불어, 복수 개의 다단식 건조대(10)가 두 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와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가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공기흡입관(140)이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 중앙으로부터 구비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풍기(120) 및 공기배출관(130)은 공기흡입관(14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건조실(100)과 열풍형성모듈(200) 사이의 원활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는바, 두 개의 열을 이룬 복수 개의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인 모든 수분함유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는, 열교환기(210)를 통해 가온된 공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므로 수분함유물을 소정의 시간동안 건조되도록 충분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열교환기(210)에서 제거되므로, 기저귀나 생리대의 원료 등과 같은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수분함유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공급가이드구(112)를 통해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11)마다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므로, 소정의 시간동안 다량의 수분함유물을 한꺼번에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여 상술한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1차 준비단계(S10) 및 1차 건조단계(S20)를 포함하며, 2차 준비단계(S30) 및 2차 건조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준비단계(S10)는, 복수 개의 건조상자(11) 각각에 수분함유물을 소정의 두께로 깔아 다단식 건조대(10)에 수용시킨다. 이때, 수분함유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상자(11)에 깔리는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나, 수분함유물이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것일 경우 2~3cm 두께로 건조상자(11)에 깔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분함유물이 소정의 두께로 깔린 복수 개의 건조상자(11)는 다단식 건조대(10)에 다단을 이루도록 놓여지며, 복수 개의 건조상자(11)가 다단으로 놓여진 다단식 건조대(10)를 건조대(100) 내에 위치시킨다.
1차 건조단계(S20)는, 열교환기(210)를 작동시켜 건조실(100)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도록 하여, 건조실(100) 내 온도가 100~120℃를 이루도록 한다. 건조실(100) 내 온도가 상승하여 100~120℃를 유지하는 시간을 모두 합한 소정의 시간동안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인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소정의 시간은 수분함유물의 종류마다 상이하며, 일 예로,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수분함유물일 경우, 24시간일 수 있다.
수분함유물에 따라 1차 건조단계(S20)에서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인 모든 수분함유물의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거나, 일부 수분함유물의 건조가 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고흡수제와 물이 혼합된 수분함유물일 경우, 다단식 건조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건조상자(11) 중, 상측에 위치되는 2~3개의 건조상자(11)에 수용된 수분함유물의 건조가 50% 정도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1차 건조단계(S20) 이후, 2차 준비단계(S30)와 2차 건조단계(S40)를 진행한다.
2차 준비단계(S30)는, 1차 건조단계(S10)에서 투입된 다단식 건조대(10)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2~3개의 건조상자(11)를 제외한 나머지 건조상자(11)를 제거하고, 제거된 건조상자(11)가 위치하였던 자리에 건조실(100)에 투입되지 않았던 새로운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11)를 구비시킨다.
2차 건조단계(S40)는, 열교환기(210)를 작동시켜 건조실(100)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도록 하여, 건조실(100) 내 온도가 100~120℃를 이루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킨다. 이에 따라, 1차 건조단계(S20)에서 50% 정도만 건조가 이루어진 수분함유물은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새로이 투입된 수분함유물도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10 : 다단식 건조대 11 : 건조상자
100 : 건조실 110 : 열풍공급관
111 : 배출구 112 : 열풍공급가이드구
112a : 제1 배출유도로 112b : 제2 배출유도로
120 : 제1 송풍기 130 : 공기배출관
140 : 공기흡입관
200 : 열풍형성모듈 210 : 열교환기
220 : 제2 송풍기

Claims (12)

  1.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11)가 다단으로 놓여진 다단식 건조대(10)가 내부에 수용되어 열풍에 의해 수분함유물이 건조되는 건조실(100);
    상기 건조실(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건조실(100)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100) 내로 배출하는 열풍형성모듈(200);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100)은, 다단식 건조대(10)의 일측편에 건조실(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열풍형성모듈(200)에 의해 가온된 공기로부터 형성된 열풍을 다단식 건조대(10)를 향해 배출하는 열풍공급관(110)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형성모듈(200)은, 건조실(100)로부터 회수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와 회수된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해 회수된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교환기(210)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관(110)은, 다단식 건조대(10)에 놓여진 복수 개의 건조상자(11)마다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출구(111)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내려오는 열풍이 각각의 배출구(111)를 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가 복수 개의 배출구(111) 각각에 인접하게끔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100)은, 상기 열풍형성모듈(200)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유입하여 열풍공급관(110)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제1 송풍기(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기(120)는, 건조실(100)과 인접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100)은, 열풍형성모듈(200)로부터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로 가온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실(100) 내에 위치되는 공기배출관(130)의 일단은, 상기 제1 송풍기(12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는, 배출구(1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유도로(1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유도로(112a)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제1 배출유도로(112a)는, 열풍공급관(110)을 가로막게끔 형성되며, 그 상측으로 위치되는 나머지 제1 배출유도로(112a)는, 일정 비율로 길이가 감소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풍공급가이드구(112)는, 제1 배출유도로(112a)에서 배출구(11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2 배출유도로(11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건조대(1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어 열풍이 관통하며 지나가도록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11)는, 복수 개의 건조상자(11) 각각의 인접한 상측으로 열풍이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관(110)은, 건조실(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다단식 건조대(10)는 복수 개가 두 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와, 다른 하나의 열을 이루는 다단식 건조대(10)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100)은, 내측 상부 중앙으로부터 열풍형성모듈(200)을 향해 구비되어 다단식 건조대(10)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관(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기(120) 및 공기배출관(130)은, 공기흡입관(14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형성모듈(200)은, 건조실(100) 내의 공기를 회수하고 회수된 공기를 열교환기(210)로 보내는 제2 송풍기(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하되,
    복수 개의 건조상자(11) 각각에 수분함유물을 2~3cm 두께로 깔아 다단식 건조대(10)에 수용시키고 다단식 건조대(10)를 건조실(100) 내에 위치시키는 1차 준비단계;
    상기 열교환기(210)에 의해 건조실(100)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100~120℃를 이루도록 하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차 건조단계 이후,
    1차 건조단계에서 투입된 다단식 건조대(10)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2~3개의 건조상자(11)를 제외한 나머지 건조상자(11)를 제거하고, 제거된 건조상자(11)가 위치하였던 자리에 새로운 수분함유물이 수용된 건조상자(11)를 구비시키는 2차 준비단계;
    상기 열교환기(210)에 의해 건조실(100)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100~120℃를 이루도록 하면서 소정의 시간동안 수분함유물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20210046334A 2021-04-09 2021-04-09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232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34A KR102320322B1 (ko) 2021-04-09 2021-04-09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34A KR102320322B1 (ko) 2021-04-09 2021-04-09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322B1 true KR102320322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34A KR102320322B1 (ko) 2021-04-09 2021-04-09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344A (ko) 2022-03-18 2023-09-26 정기조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46Y1 (ko) 1997-08-16 2000-01-15 배희주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KR101387010B1 (ko) * 2013-05-30 2014-04-24 롯데건설 주식회사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JP2014117837A (ja) * 2012-12-14 2014-06-30 Sumitomo Forestry Co Ltd 乾燥木材の製造方法
KR20170050637A (ko) * 2015-10-30 2017-05-11 신동식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46Y1 (ko) 1997-08-16 2000-01-15 배희주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JP2014117837A (ja) * 2012-12-14 2014-06-30 Sumitomo Forestry Co Ltd 乾燥木材の製造方法
KR101387010B1 (ko) * 2013-05-30 2014-04-24 롯데건설 주식회사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20170050637A (ko) * 2015-10-30 2017-05-11 신동식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344A (ko) 2022-03-18 2023-09-26 정기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4313A (en) Multiple stage grain dryer with intermediate steeping
AU2007247801B2 (en) Indirect-heat thermal processing of particulate material
CA2868285C (en) Multiple product belt drier for drying pasty and/or powdery materials, particularly for sludges from treatment plants or biomass
US9995531B2 (en) Multiple intermittence beehive grain dryer
KR102320322B1 (ko) 열풍순환식 수분함유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105605898A (zh) 一种递增式热风循环烘茧机构及其方法
CN105004164A (zh) 一种多级排湿烘蚕机
US4242806A (en) Stacked air dryer with air recirculation
CN212299827U (zh) 一种高效长网干燥机
CN113203251B (zh) 一种谷物流化床干燥装置
KR101516669B1 (ko) 농산물 건조기
US3302297A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657388U (zh) 多层干燥装置
KR101418260B1 (ko) 건조 폐열 재활용 기능을 가진 회전형 농수산물 건조기
CN113654312B (zh) 一种横流式谷物干燥机构及谷物干燥机
US2722752A (en) Drying plants for wooden sheet material
KR20090056573A (ko) 건조기
CN201917190U (zh) 烘箱的热风循环系统
KR200415582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39967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PT2372279E (pt) Estrutura de ejecção de ar aquecido para secar fornos para produtos têxteis
KR200165546Y1 (ko) 농수산물 다단식 열풍순환 건조장치
CN220103564U (zh) 一种循环式农产品烘干装置
US5233764A (en) Turbulent airflow hot shelf tower dryer
KR200376228Y1 (ko) 열풍건조기용 건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