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245B1 - 온실형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온실형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245B1
KR101548245B1 KR1020130105156A KR20130105156A KR101548245B1 KR 101548245 B1 KR101548245 B1 KR 101548245B1 KR 1020130105156 A KR1020130105156 A KR 1020130105156A KR 20130105156 A KR20130105156 A KR 20130105156A KR 101548245 B1 KR101548245 B1 KR 10154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chamber
heating chamb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394A (ko
Inventor
성훈경
Original Assignee
성훈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훈경 filed Critical 성훈경
Priority to KR102013010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패널을 이용해 제작하는 온실을 이용해 각종 농산물 및 수산물 등을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건조장치를 구성하되, 공기의 흐름과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물이 더욱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고, 벽체와 천장은 투명패널로 제작되어 태양광은 투과되고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 건조실과, 건조실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고 벽체와 지붕은 투명패널로 제작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건조실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 공기 가열실과, 건조실과 공기 가열실을 구분하는 건조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의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는 급기휀으로 형성된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며, 건조장치를 자동화하는 경우에도 내부의 온도를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배기휀의 작동시켜야 하는 시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대상물이 균일일 품질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물이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실형 건조장치{GLASSHOUSE-TYP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패널을 이용해 제작하는 온실을 이용해 각종 농산물 및 수산물 등을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건조장치를 구성하되, 공기의 흐름과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물이 더욱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촌과 어촌 등에서는 다양한 농수산물들을 건조하여 보관 및 판매하고 있다. 농촌을 예로 들면, 대표적으로 건조시켜 유통시키는 농산물로는 고추, 시래기, 무말랭이 등과 같은 채소를 생각할 수 있다. 어촌의 경우에도 미역, 다시마, 멸치 등 다양한 물품을 건조시켜 보관 및 유통시키고 있다.
건조된 농수산물은 보관이 용이하기도 하나, 건조된 상태의 식감이 생물일 때의 식감와 확연히 달라지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식감을 즐기기 위해 건조된 상태에서 조리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은 태양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태양광을 이용한 건조 방법은 일조량의 차이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즉,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다는 점과, 건조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개선할 부분이 존재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어촌에 많이 보급된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에서 건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은 낮 동안에는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게 상승하여 별도의 열원 없이도 농수산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낮 동안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게 상승하면 건조하고자 하는 농수산물이 열에 의해 파손되어 건조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건조물에서 수분이 증발되게 한다 하여도, 내부의 습한 공기를 적절한 시기에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게 되면, 건조물의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비닐하우스와 온실 등은 낮 동안에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 건조장치로 사용하는 데에는 제한이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에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데는 전기로 작동되는 건조장치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기로 작동되는 건조장치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건조대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물의 양과 비례하여 사용되는 전력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전기로 가동되는 건조장치는 구매비용이 높고,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 시에도 별도의 전기료가 발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손익분기점을 고려하여 수익이 발생될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에만 구매해야 하는 물품이다.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본 발명은, 농어촌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다목적 시설물인 온실을 이용하여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건조장치의 내부온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건조대상물이 신속히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낮 동안에는 내부의 열을 축적하고 야간에도 축적된 열을 다시 건조 공급하여 건조대상물이 일정한 속도로 건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벽체와 천장은 투명패널로 제작되어 태양광은 투과되고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 건조실과, 건조실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고 벽체와 지붕은 투명패널로 제작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건조실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 공기 가열실과, 건조실과 공기 가열실을 구분하는 건조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의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는 급기휀으로 형성된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건조실의 벽체 하부에는 건조실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휀이 형성되고, 건조실의 벽체 상부에는 배기휀을 통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때 외부의 공기가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건조실의 내부에는 건조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되, 온도센서는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센서와 건조실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센서로 형성되고, 상부센서는 배기휀을 개방시키는 온도를 측정하고, 하부센서는 배기휀을 정지시키는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공기 가열실의 벽체에는 급기휀이 작동할 때만 개방되는 흡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공기 가열실 내부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것이 격벽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공기 가열실의 상부 외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보조지붕이 형성되고, 보조지붕에는 급기휀이 작동하여 공기 가열실의 공기가 건조실로 공급될 때에만 개방되는 흡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공기 가열실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열교환기는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과 공기 가열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건조실 바닥에는 난방배관이 설치되고, 난방배관에는 물탱크 내부의 가열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물탱크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는 버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형 건조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어촌에 보급되어 있는 다목적 시설물인 온실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건조장치를 자동화하는 경우에도 내부의 온도를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배기휀의 작동시켜야 하는 시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대상물이 균일일 품질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물이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낮 동안에는 건조장치에서 남는 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물탱크로 축적시키고, 밤에는 물탱크에 축적된 물의 열을 이용하여 건조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건조실을 가동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짧은 시간에 많은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형 건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온실형 건조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투명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온실형 건조장치의 내부 단면도 및 건조실의 배기흐름도,
도 4는 온실형 건조장치의 공기 가열실과 건조실 사이의 배기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형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온실형 건조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보 발명에 따른 온실형 건조장치에 열교환기 및 난방배관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온실형 건조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온실형 건조장치(1:이하, 건조장치라 함)는 벽체(11)와 천장(12) 및 지붕(22)이 빛이 투과되는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투광패널(2)에 의해 태양광은 투과되어 실내로 유입되고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인위적인 조작 이외에는 외부의 공기와 접촉 및 순환되는 것이 차단된다.
투광패널(2)은 비닐, 유리패널, 단층 합성수지패널 및 복층 합성수지패널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건조장치(1)를 제조하는 비용 및 성능을 고려할 때 복층 합성수지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건조장치(1)는 건조실(10)과 공기 가열실(20)로 구성되고, 건조실(10)과 공기 가열실(20) 사이에는 급기휀(500)이 설치된다.
건조실(10)은 벽체(11)와 천장(1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어 태양광은 투과되고 외기의 유입은 차단된다. 또한, 건조실(10)은 내부에 선반 형태의 건조시설물(미 도시됨)이 설치되고, 건조대상물은 건조시설물에는 층층이 올려져 건조된다. 이를 위해 건조실(10)은 공간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게 천장(12)이 지면과 평행이 되는 직육면체로 제작된다.
공기 가열실(20)은 건조실(10) 천장(12)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21)와 지붕(22)은 투광패널(2)로 제작되어 태양광은 내부로 유입되고 외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다.
급기휀(500)은 건조실(10)의 천장(12)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20)의 공기를 건조실(10)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급기휀(500)은 공기 가열실(20)의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10)로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게 천장(12)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실(10)과 공기 가열실(20)로 구분된 건조장치(1)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건조실(10)과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공기가 동시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이중 건조실(10) 내부의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면 건조대상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고온 다습하게 된 공기는 건조실(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건조대상물의 건조를 활성화하는데 유리하다.
건조실(10)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은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별도의 환기창을 개방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건조실(10)에서 가열된 공기를 아무런 조치 없이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게 되면 다시 건조실(10)을 가열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즉, 건조실(10)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으면 건조대상물은 건조가 중지되거나 지연되고, 결과적으로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건조물은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10)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가열시키기 위해 건조실(1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급기휀(500)을 가동시켜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10)로 이동시킨다.
즉,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건조하게 가열된 공기를 활용하여 건조실(10)이 단시간 안에 고온 상태로 회복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건조장치(1)로 사용되는 온실은 야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풍하중과 설하중 등을 고려하여 지붕(22)의 형상이 삼각형 내지는 반원형인 것이 일반적이다.
삼각형 내지 반원형 형상의 지붕(22)이 설치되는 온실은 양측면과 중앙의 높이차이로 인해 균일한 높이의 선반을 설치할 경우 중앙부분 상부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지붕 하부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선반은 단이 추가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을 추가하는 경우 작업자의 키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 건조대상물을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사다리 등을 이용해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잘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던 공간인 지붕(22) 하부 공간을 공기 가열실(20)로 사용하므로 추가되는 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고, 건조성능은 향상된 건조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건조장치(1)를 자동화하기 위해 자동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건조실(10) 벽체(11)에는 자동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휀(210)과 흡기구(220)가 설치된다.
배기휀(210)은 건조실(10) 벽체(11)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휀(210)을 벽체(11) 상부에 설치하지 않고 하부에 설치하는 것은 건조실(10)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흡기구(220)는 배기휀(210)과는 다르게 건조실(10) 벽체 중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구(220)는 덮개가 열리고 닫히는 타입보다는 공기의 흐름만 차단하면서 건조실(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실(1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메쉬형태의 필터(22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구(220)를 필터(221)로 사용하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건조실(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공기가 대류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배기휀(210)의 작동에 의해 압력차로 유입되게 한 것이다.
건조실(10)의 내부에는 건조실(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온도센서(100)는 자동제어장치에서 배기휀(210)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온도센서(100)는 건조실(1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센서(110)와 건조실(1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센서(120)로 구성된다. 이중 상부센서(110)는 배기휀(210)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하부센서(120)는 배기휀(2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데 적합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건조실(10)의 온도가 상승하여 배기휀(210)을 작동하여야 하는 경우, 건조실(10)의 온도는 상부가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센서(110)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배기휀(210)이 작동하게 설정한다.
반대로, 건조실(10) 내부 공기가 외기와 충분히 순환되어 건조실(10) 하부 온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면 건조실(10)을 폐쇄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건조실(10)의 건조효율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부센서(120)가 설치된다.
공기 가열실(20)은 태양광이 투과되어 건조실(10)로 유입게 하는 한편, 통과하는 태양광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공기 가열실(20)은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저장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건조실(1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 후에는 급기휀(500)이 작동되어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10)로 공급한다.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10)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 가열실(20)은 별도의 외기가 공급되어야만 진공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공기 가열실(20)에 외기 공급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급기휀(500)이 작동하여도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공기는 건조실(10)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공기 가열실(20) 내부가 외부와 기압이 일치될 수 있게 공기 가열실(20)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별도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다. 즉, 외기가 기압차에 의해 외부에서 공기 가열실(20) 방향으로만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된 일종의 체크벨브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공기 가열실(20)의 벽체(21)에는 개구부(311)가 형성되고, 개구부(311)에는 공기 가열실(20) 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차단판(321)이 형성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가열실(20) 내부에는 공기 가열실(20)을 분할하는 격벽(23)이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격벽(23)은 공기 가열실(20)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가열실(20)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공기 가열실(20)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공기 가열실(20) 측면이 중앙보다 먼저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공기 가열실(20) 내부를 격벽(23)으로 분리시키는 것이고, 격벽(23)에 의해 공기 가열실(20)의 측면은 다소 온도가 낮아진다 하여도 중앙부분은 측면보다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공기 가열실(20) 내부에 격벽(23)이 설치되는 경우 공기 가열실(20)의 측면에 설치되는 흡기구(301)로 유입된 외기는 격벽(23)에 의해 공기 가열실(20) 전체로 공급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기 가열실(20) 상부 외부에 지붕(22) 상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보조지붕(25)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보조지붕(25)은 공기 가열실(20)의 폭보다는 매우 좁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공기 가열실(20)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흡기구(302)가 형성된다.
보조지붕(25) 내부에 형성된 흡기구(302) 역시 급기휀(500)이 작동할 때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흡기구(302)는 개구부(312)와 차단판(322)으로 형성되고 차단판(322)은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경우에만 작동되어 외기가 공기 가열실(20)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작동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가열실(20)에는 열교환기(250)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물탱크(230)에 저장된 물이 순환되면서 공기 가열실(20)의 가열된 공기와 물탱크(230)의 차가운 물이 서로 열교환 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처럼 열교환기(250)를 설치하는 것은 건조실(10)의 가열된 공기가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시간 동안 공기 가열실(20) 내부 공기가 필요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공기 가열실(20)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면서 발생된 열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물탱크(230)에서 공급된 물은 열교환기(250)를 통해 공기 가열실(20)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과정에서 흡수된 열은 다시 물탱크(230) 내부의 물에 축적된다. 따라서 물탱크(230)의 온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물탱크(230)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건조실(10) 바닥에 난방배관(240)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난방배관(240)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난방배관(240)을 전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난방배관(240)은 물탱크(230)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하고, 낮 동안에 공기 가열실(20)에서 수집된 열로 가열된 물탱크(230) 내부의 온수는 난방배관(240)을 통해 공급되어 건조실(10)에 열을 공급하면 건조대상물을 야간에도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난방배관(240)을 활용하는 경우 야간에도 지속적으로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고, 난방배관(240)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인 경우에는 물탱크(230)에 별도의 버너(260)를 더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버너(260)는 석유, 가스 및 전기로 작동되는 것을 모두 고려할 수 있고, 야간 또는 일조량이 충분하지 않은 날에도 물탱크(230)의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온수가 난방배관(240)으로 공급되어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버너(260)를 이용해 물탱크(230) 속의 물을 온수로 만들고, 온수를 난방배관(240)에 공급하면 건조실(10)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건조대상물을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완성된 건조물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 온실형 건조장치 2: 투광패널
10: 건조실 11: 벽체
12: 천장 20: 공기 가열실
21: 벽체 22: 지붕
23: 격벽 25: 보조지붕
100: 온도센서 110: 상부센서
120: 하부센서 210: 배기휀
220: 흡기구 221: 필터
230: 물탱크 240: 난방배관
250: 열교환기 260: 버너
301,302: 흡기구 311,312: 개구부
321,322: 차단판 500: 급기휀
600: 열교환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벽체와 지붕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패널로 제작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벽체(11)와 천장(1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건조실(10);과
    건조실(10) 천장(12) 상부에 설치되고 벽체(21)와 지붕(2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공기 가열실(20);과
    건조실(10) 천장(12)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20)의 공기를 건조실(10)로 이동시키는 급기휀(500);과
    공기 가열실(20)의 벽체(21)에 설치되고 급기휀(500)이 작동될 때만 개방되는 흡기구(301)로 형성된 온실형 건조장치.
  5. 벽체와 지붕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패널로 제작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벽체(11)와 천장(1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건조실(10);과
    건조실(10) 천장(12) 상부에 설치되고 벽체(21)와 지붕(2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공기 가열실(20);과
    건조실(10) 천장(12)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20)의 공기를 건조실(10)로 이동시키는 급기휀(500);과
    공기 가열실(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공기 가열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23)으로 형성된 온실형 건조장치.
  6. 벽체와 지붕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패널로 제작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벽체(11)와 천장(1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건조실(10);과
    건조실(10) 천장(12) 상부에 설치되고 벽체(21)와 지붕(22)이 투광패널(2)로 제작되는 공기 가열실(20);과
    건조실(10) 천장(12)에 설치되어 공기 가열실(20)의 공기를 건조실(10)로 이동시키는 급기휀(500);과
    공기 가열실(20)의 상부 외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보조지붕(25);과
    보조지붕(25)에 구비되어 급기휀(500)이 작동하여 공기 가열실 공기가 건조실(10)로 공급될 때에만 개방되는 흡기구(302);로 형성된 온실형 건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05156A 2013-09-02 2013-09-02 온실형 건조장치 KR10154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56A KR101548245B1 (ko) 2013-09-02 2013-09-02 온실형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56A KR101548245B1 (ko) 2013-09-02 2013-09-02 온실형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94A KR20150026394A (ko) 2015-03-11
KR101548245B1 true KR101548245B1 (ko) 2015-08-28

Family

ID=5302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156A KR101548245B1 (ko) 2013-09-02 2013-09-02 온실형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101212A4 (en) * 2018-07-13 2018-09-20 Apex Greenhouses (Australia) Pty Ltd System and structure for environmental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461A (ja) * 1999-03-16 2000-09-29 Ohbayashi Corp 土木材料の乾燥設備及び乾燥方法
JP2012093037A (ja) * 2010-10-28 2012-05-17 Eco Factory:Kk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461A (ja) * 1999-03-16 2000-09-29 Ohbayashi Corp 土木材料の乾燥設備及び乾燥方法
JP2012093037A (ja) * 2010-10-28 2012-05-17 Eco Factory:Kk 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94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0490B1 (en) Liquid dessicant cooler system and method
JP2019023549A (ja) 放熱器の浄化冷却構造
ES2629456T3 (es) Sistema de secado, calentamiento y aire acondicionado alimentado con energía solar
Campen et al. Greenhouse cooling and heat recovery using fine wire heat exchangers in a closed pot plant greenhouse: design of an energy producing greenhouse
KR101548245B1 (ko) 온실형 건조장치
CN203550451U (zh) 一种海产品干燥室
KR101541963B1 (ko)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20120139218A (ko) 저온창고
KR101750305B1 (ko) 에어 하우스
US9915434B2 (en) Air temperature regulating assembly using thermal storage
KR101356977B1 (ko) 내 외기순환과 지온을 활용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 설치 장치.
CN207531469U (zh) 一种带有蓄热功能的温室大棚烘干建筑
KR200383726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22548B1 (ko) 온실 히트펌프시스템용으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팬코일 유니트장치
KR20110066986A (ko) 다목적 저온저장고 및 건조기
KR100785888B1 (ko) 건조기의 건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JP3167456U (ja) 植物工場
CN211580892U (zh) 温室系统
CN109154125A (zh) 干衣机以及干衣方法
KR101488803B1 (ko) 태양열과 내외기 순환을 이용한 자연건조실 설치 장치.
KR20170125193A (ko) 쌀 저장고가 구비된 저온저장고
KR20110034704A (ko) 태양광을 이용한 순환식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05695558U (zh) 一种食用菌的快速风干装置
JP2010252701A (ja) 魚介の干物製造装置
KR20150022140A (ko) 다용도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