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17Y1 -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17Y1
KR200472117Y1 KR2020130006765U KR20130006765U KR200472117Y1 KR 200472117 Y1 KR200472117 Y1 KR 200472117Y1 KR 2020130006765 U KR2020130006765 U KR 2020130006765U KR 20130006765 U KR20130006765 U KR 20130006765U KR 200472117 Y1 KR200472117 Y1 KR 200472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stacked
base portion
packaging cas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2020130006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2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minated or bonded to the inner wall of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포장 박스가 개시된다. 포장 박스는, 다각형을 이루며 편평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외벽부와, 외벽부의 내부에서 베이스부의 편평면을 물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한다. 포장 케이스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다단 적층되고, 적층된 최상측의 포장 케이스는 커버부재로 밀폐된다.

Description

포장 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중량 물품을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모터 등의 금속 재질의 중량 물품은 이송 과정 또는 보관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 및 보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금속의 중량 물품은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통상, 포장 박스는 내부에 완충재를 포함한 상태에서 포장 박스의 저장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러나, 자동차 모터 등의 충격에 민감한 부품 또는 돌출된 부분이 다수 형성된 부품은, 외부 충격에 의해 포장 박스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이 발생됨으로써, 부품 간의 간섭 또는 포장 박스의 내벽면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 박스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 금속 재질의 부품이 부식에 의한 2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25548 공개특허공보 10-2013-003009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물품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다각형을 이루며 편평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외벽부와, 외벽부의 내부에서 베이스부의 편평면을 물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한다. 포장 케이스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다단 적층되고, 적층된 최상측의 포장 케이스는 커버부재로 밀폐된다.
포장 케이스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다단으로 적층되며, 적층된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부재는 포장 케이스의 적층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는 적층된 포장 케이스의 최상단에 걸리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는, 포장 케이스의 내부를 물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는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며, 물품이 저장 공간을 가로 질러 위치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잇다. 저장 공간에는 물품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포장 케이스의 외표면은 방청 도료가 도포된 포장재로 밀폐될 수 있다.
포장 케이스는, 한 쌍의 판지의 내부에 굴곡된 종이부재가 삽입되는 펄프재질이며, 외벽부의 외표면은 보호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박스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저장 공간에 물품을 배치함으로써, 물품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박스의 구획된 저장 공간에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외부 충격의 발생시에도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박스의 외표면을 방청 도료가 도포된 포장재로 덮도록 하여 습기의 침투에 의한 물품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서리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장 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포장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포장 케이스의 격벽 부재의 일부와 패드 부재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포장 케이스의 베이스부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포장 케이스에 제1 방향으로 격벽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의 격벽부재 및 외벽부를 부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서리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포장 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100)는, 편평면(11)이 형성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외벽부(20)와, 외벽부(20)의 내부에서 베이스부(10)의 편평면(11)을 물품(13)이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30)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50)와, 포장 케이스(50)를 밀폐하는 커버부재(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포장 박스(100)는 자동차의 모터 등의 구성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박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포장 박스(100)는 자동차의 구성 물품을 포장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소정의 물품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 케이스(50)는 베이스부(10)와 외벽부(20) 및 격벽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장 케이스(5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되면서 복수의 저장 물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포장 케이스(50)의 최상단에 위치된 부분은 커버부재(60)가 끼움 결합된다. 참조 번호 51은 포장 케이스(50)가 안착되는 팔랫트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포장 케이스(5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포장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포장 케이스의 격벽 부재의 일부와 패드 부재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포장 케이스의 베이스부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포장 케이스에 제1 방향으로 격벽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의 격벽부재 및 외벽부를 부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케이스(5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0)는, 포장 박스(100)의 저면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충격으로부터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 즉, 한 쌍의 판지의 내부에 물결 형상의 굴곡된 종이부재가 삽입되는 골판지 등의 펄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0)는 골판지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 흡수를 위한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는 외벽부(20)가 설치된다.
외벽부(20)는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포장 박스(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벽부(20)는 베이스부(10)의 재질과 동일한 골판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벽부(20)는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외벽부(20)는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벽부(20)와 베이스부(1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곡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벽부(20)는 베이스부(10)의 마주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부분이 베이스부(10)와 일체로 절곡되고, 베이스부(10)의 나머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외벽부(20)는 베이스부(10)와 분리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외벽부(20)에 의해 형성되는 포장 박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격벽부(30)가 설치된다.
격벽부(30)는 외벽부(20)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장 박스(100)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한다. 격벽부(30)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 공간은 복수개의 열과 행을 이루면서 구획된다. 본 실시예의 격벽부(30)는 외벽부(20) 및 베이스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30)는 베이스부(10) 및 외벽부(20)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격벽부(30)는 베이스부(10) 및 외벽부(20)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격벽부(30)에 의해 복수의 열과 행으로 구획되는 저장 공간에는 자동차의 모터 부품과 같이, 돌출된 부분이 다수 형성되면서 굴곡된 물품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13)이 복수의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위치된다. 이를 위해, 격벽부(30)의 일부분에는 물품(13)이 가로질러 놓일 수 있도록 관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31)는 격벽부(30)와 베이스부(10)가 접하는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31)는 물품(13)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여, 격벽부(30)의 설치된 각각의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격벽부(30)의 설치된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통부(31)의 형상은 물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라운드 형상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고,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격벽부(30)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저장 공간의 저면에는 물품(13)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15)가 설치된다. 완충부재(15)는 복수개의 저장 공간의 모두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저장 공간의 일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부재(15)는 고무부재, 폴리우레탄 또는 스티로폼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 케이스(50)는 베이스부(10)와 외벽부(20) 및 격벽부(30)를 포함하여, 복수의 저장 공간에 자동차용 모터 등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포장 케이스(50)는 적어도 3개 이상이 다단으로 적층되면서, 최상단의 포장 케이스(50)에는 커버부재(60)가 끼움 결합된다.
커버부재(60)는 일부분이 포장 케이스(50)의 외벽부(20)를 덮으면서 포장 케이스(5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저장 공간을 밀폐하여 물품(13)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안정적으로 저장한다. 커버부재(60)는 포장 케이스(50)의 재질과 동일한 골판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 케이스(50)는 지지부재(70)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재(70)는 포장 케이스(50)들의 적층된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면서, 단부에는 절곡부(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70)는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케이스(50)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절곡부(71)가 최상단에 적층된 포장 케이스(50)에 걸림 상태로 설치되어 포장 박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70)는 포장 케이스(50)들의 적층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포장 케이스(5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포장 케이스(5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포장 케이스(50)의 양측면을 함께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70)는 포장 케이스(50)의 4개의 모서리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포장 케이스(5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층된 상태의 지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포장 케이스(50)의 외면은 보호 커버(80)로 재차 밀봉된다.
보호 커버(80)는 외벽부(2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70)가 포장 박스(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포장 박스(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보호 커버(80)는 포장 케이스(5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포장재(90)는 방청 도료가 도포된 것으로서, 포장 박스(100)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부착된다. 따라서, 습기 등의 이물질이 포장 케이스(50)의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포장 케이스(50)에 저장된 물품(13)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포장재(90)는 팔랫트부재(51)에 펼쳐진 상태에서 포장 케이스(50)들을 적층한 후 최종적으로 포장 박스(100)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포장 박스의 형성 과정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 공간의 저면에 팔랫트부재(5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팔랫트부재(51)의 상면에 방청 재질의 포장재(90)를 위치시킨다.
다음, 포장재(90)가 펼쳐진 팔랫트부재(51)의 상면에 하나의 포장 케이스(50)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포장 케이스(50)에는 복수개의 자동차 물품(13)이 저장된다. 이어서, 포장 케이스(50)의 상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장 케이스(50)를 다단으로 적층시킨다. 여기서,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케이스(50)들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부재(70)가 설치되어 포장 케이스(5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다음,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케이스(50)의 최상단은 커버부재(60)가 삽입되어, 포장 박스(100)를 밀폐한다. 이어서, 포장재(90)를 포장 박스(100)의 외표면의 둘레를 덮도록 부착함으로써, 습기가 포장 케이스(5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폐한다.
이와 같이, 포장 박스(100)는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케이스(50)에 의해 복수개의 자동차 부품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안정적인 물품 보호가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베이스부 11...편평면
13...물품 15...완충부재
20...외벽부 30...격벽부
31...관통부 50...포장 케이스
60...커버부재 70...지지부재
71...절곡부 80...보호 커버
90...포장재

Claims (5)

  1. 다단으로 수직 적층된 다수의 포장 케이스;
    상기 적층된 다수의 포장 케이스의 각 둘레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다수의 보호 커버;
    상기 적층된 다수의 포장 케이스 중 최상측 포장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부재;
    상기 적층된 다수의 포장케이스의 4 모서리 부분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ㄱ"자 중 일측면의 길이가 타측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더 길게 형성된 부분이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최상측 케이스의 최상단에 걸림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적층된 다수의 포장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보호 커버의 외표면을 덮도록 부착되되, 방청 도료가 도포된 포장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된 다수의 포장 케이스 각각은,
    다각형을 이루며 편평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4 모서리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되고,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 부분에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편평면을 물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는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물품이 상기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격벽부; 및
    상기 저장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6765U 2013-08-14 2013-08-14 포장 박스 KR200472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65U KR200472117Y1 (ko) 2013-08-14 2013-08-14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65U KR200472117Y1 (ko) 2013-08-14 2013-08-14 포장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17Y1 true KR200472117Y1 (ko) 2014-04-04

Family

ID=5148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765U KR200472117Y1 (ko) 2013-08-14 2013-08-14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1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140U (ko) * 2008-10-13 2010-04-22 (주)우일피앤엘 미끄럼방지 돌기가 구비된 코너보강대
KR20100054365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대유팩 중량물 운송용 포장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140U (ko) * 2008-10-13 2010-04-22 (주)우일피앤엘 미끄럼방지 돌기가 구비된 코너보강대
KR20100054365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대유팩 중량물 운송용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09020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102088108B1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JP5240251B2 (ja) 梱包材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EP1820741B1 (en) Package
KR200478361Y1 (ko)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KR200472117Y1 (ko) 포장 박스
KR100767572B1 (ko)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JP2017057016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5124300B2 (ja) 緩衝包装材
US11679922B2 (en) Sleeve packaging
JP6656504B2 (ja) 緩衝体
JP6478155B2 (ja) 梱包材
JP2006016008A (ja) 梱包用パレット
JP2010089795A (ja) 梱包装置
JP6119675B2 (ja) 梱包材
JP6048197B2 (ja) 貯湯式給湯機用梱包部材
KR200458760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JP4636065B2 (ja) 梱包箱
KR200371623Y1 (ko) 포장물용 모서리보호대
JP5124166B2 (ja) 緩衝包装材
KR102001872B1 (ko) 운송용 박스
KR100718870B1 (ko) 포장재 구조
JP4779910B2 (ja) 軒樋の梱包構造
JP2016210437A (ja) 仕切体及びこれを用いた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