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572B1 -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572B1
KR100767572B1 KR1020060022952A KR20060022952A KR100767572B1 KR 100767572 B1 KR100767572 B1 KR 100767572B1 KR 1020060022952 A KR1020060022952 A KR 1020060022952A KR 20060022952 A KR20060022952 A KR 20060022952A KR 100767572 B1 KR100767572 B1 KR 10076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box
wall
opening
partition
buff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173A (ko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두리포장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포장산업(주) filed Critical 두리포장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2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5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2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전후, 좌우벽체가 포장박스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높이가 1m 이상으로 높은 경우 피포장물을 포장박스의 상단을 넘겨서 포장박스의 내부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고, 자칫 피포장물을 놓치게 되어 피포장물이 추락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포장박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피포장물을 다단 적재 포장하는 경우에는 최하단에 적재되는 피포장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더욱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발명은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와, 이 고정벽부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피포장물을 포장함으로써 피포장물의 적재 포장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피포장물의 추락에 의한 피포장물의 파손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Packing Box and Packing structure and Pack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피포장물을 다단 적재 포장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팰리트의 사시도,
도 2는 팰리트 위에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를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포장박스 내부 바닥에 받침패드를 넣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포장박스 좌우벽체 내측에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포장박스 내에 구획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포장박스 내부에 최하단 피포장물을 적재하고 그 위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포장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포장 완료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 9는 포장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포장상자 11 : 전후벽체
11a : 고정벽부 11b : 개폐벽부
11c : 상반 개방부 12 : 좌우벽체
20 : 팰리트 30 : 받침패드
40 : 칸막이 겸 완충패드 50 : 상단 완충패드
60 : 구획부재 70 :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
본 발명은 포장박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깊이가 깊은 포장박스를 가지면서도 피포장물을 손쉽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피포장물을 다단으로 포장함에 있어서는 피포장물 전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포장박스를 사용하게 되며, 피포장물을 포장박스의 상단을 넘겨서 포장박스 내부 바닥에 내려놓아 적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박스는 전후, 좌우벽체가 포장박스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높이가 1m 이상으로 높은 경우 피포장물을 포장박스의 상단을 넘겨서 포장박스의 내부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고, 자칫 피포장물을 놓치게 되어 피포장물이 추락하 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포장박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피포장물을 다단 적재 포장하는 경우에는 최하단에 적재되는 피포장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더욱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포장물의 적재 포장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피포장물의 추락에 의한 피포장물의 파손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와, 이 고정벽부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들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팰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과 상단 마감편이 연장되어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와, 이 고정벽부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박스와; 상기 포장박스가 안착되는 팰리트와; 골판지로 형성되며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하단에서 팰리트 상면에 안착되어 최하단의 피포장물을 받혀주는 받침패드와; 골판지로 형성된 판체와, 이 판체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피포장물의 상면에 접촉하는 완충재로 되며, 상기 피포장물들 사이에 삽입되어 피포장물들간의 접촉을 방 지하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칸막이 겸 완충패드와; 골판지로 형성된 판체와, 이 판체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최상단 피포장물의 상면에 접촉하는 완충재로 되며, 상기 최상단 피포장물상에 안착되어 최상단 피포장물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단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포장구조는 상기 포장박스의 전후벽체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포장박스의 내부를 전후 2열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이 구획벽의 좌우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어 양측벽체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 보호벽 및, 상기 전후벽체에 대응하는 개방부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전후 한 쌍의 구획부재와; 상기 좌우 보호벽과 포장박스의 좌우벽체 사이에 삽입되어 그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를 설치하고, 개폐벽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를 팰리트 위에 올려놓는 단계; 포장상자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의 상면에 받침패드를 깔아 놓는 단계; 받침패드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을 적재하는 단계; 최하단 피포장물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 위에 중단 피포장물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을 적재 하는 단계; 최상단 피포장물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단계; 포장박스의 개폐벽부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를 막는 단계; 포장박스의 상단 마감편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편이 상단 완충패드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를 설치하고, 개폐벽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를 팰리트 위에 올려놓는 단계; 포장상자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의 상면에 받침패드를 깔아 놓는 단계; 포장상자의 좌우벽체의 내측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를 삽입하는 단계; 포장상자의 내부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의 내측으로 구획부재를 삽입하여 전후 2열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전후 2열의 공간 내에서 받침패드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을 적재하는 단계; 최하단 피포장물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 위에 중단 피포장물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을 적재 하는 단계; 최상단 피포장물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단계; 포장박스의 개폐벽부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를 막는 단계; 포장박스의 상단 마감편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편이 상단 완충패드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피포장물을 다단 적재 포장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팰리트의 사시도, 도 2는 팰리트 위에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를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포장박스 내부 바닥에 받침패드를 넣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포장박스 좌우벽체 내측에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포장박스 내에 구획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포장박스 내부에 최하단 피포장물을 적재하고 그 위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를 올려놓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포장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포장 완료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 9는 포장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1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11)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12)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11a)와, 이 고정벽부(11a)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上半) 개방부(11c)를 개폐하는 개폐벽부(11b)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벽부(11b)는 피포장물을 포장박스 내부에 적재할 때는 바깥쪽으로 꺾어서 그 상반 개방부(11c)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로 하고, 피포장물의 적재가 완료된 후 펼쳐서 상방 개방부(11c)를 막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에 의하면 예컨대 포장박스의 높이가 1m 이상이고, 피포장물을 3단으로 적재 포장하는 경우 전후벽부(11)의 개폐벽부(11b)를 바깥쪽으로 꺾어서 상반 개방부(11c)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포장물을 포장박스(10)의 내에 적재하게 되므로 피포장물을 1m 이상인 포장박스 상단을 넘겨서 적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 절반 정도인 75c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고정벽부(11a)를 넘겨서 적재하는 것으로 되어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자유롭고 편안하게 되고, 피포장물의 추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들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펠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1d,12a)과 상단 마감편(11e,12b)이 각각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구조는 1열 다단 포장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11)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12)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벽부(11a)와, 이 고정벽부(11a)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11c)를 개폐하는 개폐벽부(11n)로 구성되는 포장박스(10)와;
상기 포장박스(10)가 안착되는 팰리트(20)와;
상기 포장박스(10)의 내부 하단에서 팰리트(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최하단의 피포장물(P1)을 받혀주는 받침패드(30)와;
다단 적재되는 피포장물(P1,P2) 사이에 삽입되어 피포장물(P1,P2)들간의 접촉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와;
상기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단 완충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팰리트(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제 또는 금속제 팰리트가 사용된다.
상기 받침패드(30)는 골판지로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는 골판지로 되는 판체(41)와, 이 판체(41)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피포장물(P1)의 상면에 접촉하는 완충재(42)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완충패드(50)는 골판지로 된 판체(51)와, 이 판체(51)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피포장물(P2)의 상면에 접촉되는 완충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재(42,52)는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며, 피포장물(P1,P2,P3)의 상면 형상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구조는 2열 다단 포장일 경우에는, 상술한 포장박스(10), 팰리트(20), 받침패드(30), 칸막이 겸 완충패드(40) 및 상단 완충패드(50)에 더하여 포장박스(10)의 내부를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재(60)는 상기 포장박스(10)의 전후벽체(11)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포장박스(10)의 내부를 전후 2열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61)과, 이 구획벽(61)의 좌우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어 양측벽체(12)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 보호벽(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벽(12)과 보호벽(62)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도록 형성하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그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방법을 설명한다.
1열 다단 적재 포장의 경우에는,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20)를 설치하고, 개 폐벽(11b)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10)를 팰리트(20) 위에 올려놓는 단계(도 1 및 도 2 참조); 포장상자(10)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20)의 상면에 받침패드(30)를 깔아 놓는 단계(도 3 참조); 받침패드(30)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P1)을 적재하는 단계(도 6 참조); 최하단 피포장물(P1)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는 단계(도 6 참조);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40) 위에 중단 피포장물(P2)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P3)을 적재 하는 단계(도 8 참조);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50)를 올려놓는 단계(도 8 참조); 포장박스(10)의 개폐벽부(11b)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11c)를 막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 포장박스(10)의 상단 마감편(11e,12b)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편(11e,12b)이 상단 완충패드(50)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팰리트(20) 위에 포장박스(10)를 올려놓는 단계에서는 포장박스(1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편(11d,12a)을 절곡하여 이 고정편(11d,12a)이 팰리트(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이 고정편(11d,12a)을 택(tack)으로 팰리트(20)에 고정한다.
상술한 최하단 피포장물(P1)을 적재하는 단계에서는 피포장물(P1)은 전후벽체(11)의 고정벽부(11a)의 상단을 넘어 상반 개방부(11C)를 통해 적재되므로 포장박스(10)의 높이가 1m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도 실제 피포장물(P1)은 그 절반인 75cm 이하인 고정벽부(11a)를 넘어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자 유롭고 편안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포장물(P1)이 추락되어 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하단 피포장물(P1)위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는 단계에서는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는 완충재(42)가 그 하부에 적재된 피포장물(P1)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며, 판체(41)는 수평을 이루게 된다. 또한 피포장물(P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위는 상기 완충재(42)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이 돌출부위들이 판체(41)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상술한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50)를 올려놓는 단계에서는 최상단 피포장물(P3)에 형성된 돌출부위가 완충재(52)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이 돌출부위들이 판체(51)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도 8 참조).
최종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은 통상적인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2열 다단 적재 포장의 경우에는,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20)를 설치하고, 개폐벽(11b)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10)를 팰리트(20) 위에 올려놓는 단계(도 1 및 도 2 참조); 포장상자(10)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20)의 상면에 받침패드(30)를 깔아 놓는 단계(도 3 참조);
포장상자(10)의 좌우벽체(12)의 내측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70)를 삽입하는 단계(도 4 참조);
포장상자(10)의 내부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70)의 내측으로 구획부재(60)를 삽입하여 전후 2열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도 5 참조);
구획부재(60)에 의해 구획된 전후 2열의 공간 내에서 받침패드(30)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P1)을 적재하는 단계(도 6 참조); 최하단 피포장물(P1)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는 단계(도 6 참조);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40) 위에 중단 피포장물(P2)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P3)을 적재 하는 단계(도 8 참조);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50)를 올려놓는 단계(도 8 참조); 포장박스(10)의 개폐벽부(11b)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11c)를 막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 포장박스(10)의 상단 마감편(11e,12b)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편(11e,12b)이 상단 완충패드(50)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도 7 및 도 8 참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부재(60)를 삽입하는 단계에서는 구획부재(60)의 개방부(63)가 포장박스(10)의 전후벽체(11)의 상반 개방부(11c)에 대응하도록 한다.
상기 피포장물(P1,P2,P3)을 적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반 개방부(11c)와 개방부(63)를 통하여 적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에 의하면 포장박스의 개폐벽부를 바깥쪽으로 꺾어서 상반 개방부를 통해 피포장물을 적재하는 것이므로 피포장물의 적재 포장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피포장물의 추락에 의한 피포장물의 파손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11)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12)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11a)와, 이 고정벽부(11a)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11c)를 개폐하는 개폐벽부(11b)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들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팰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1d,12a)과 상단 마감편(11e,12b)이 연장되어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삭제
  3. 골판지로 형성되며, 전후벽체(11)와 좌우벽체(12)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전후벽체(11)는 하단에서 중단에 걸쳐서 좌우벽체(12)에 연결 고정된 고정벽부(11a)와, 이 고정벽부(11a)의 상단에서 꺾이도록 연결 형성되어 전후면 상반 개방부(11c)를 개폐하는 개폐벽부(1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박스와;
    상기 포장박스(10)가 안착되는 팰리트(20)와;
    골판지로 형성되며 상기 포장박스(10)의 내부 하단에서 팰리트(20) 상면에 안착되어 최하단의 피포장물(P1)을 받혀주는 받침패드(30)와;
    골판지로 형성된 판체(41)와, 이 판체(41)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피포장물(P1,P2)의 상면에 접촉하는 완충재(42)로 되며, 상기 피포장물 (P1,P2)들 사이에 삽입되어 피포장물(P1,P2)들간의 접촉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와;
    골판지로 형성된 판체(51)와, 이 판체(51)의 하면에 부착되어 그 하부에 적재된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면에 접촉하는 완충재(52)로 되며, 상기 최상단 피포장물(P3)상에 안착되어 최상단 피포장물(P3)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단완충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10)의 전후벽체(11)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포장박스(10)의 내부를 전후 2열로 구획하는 구획벽(61)과, 이 구획벽(61)의 좌우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어 양측벽체(12)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 보호벽(62) 및, 상기 전후벽체(11)에 대응하는 개방부(73)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전후 한 쌍의 구획부재(60)와;
    상기 좌우 보호벽(62)과 포장박스(10)의 좌우벽체(12) 사이에 삽입되어 그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간격유지 겸 완충부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조.
  5.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20)를 설치하고, 개폐벽(11b)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10)를 팰리트(20) 위에 올려놓는 단계; 포장상자(10)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20)의 상면에 받침패드(30)를 깔아 놓는 단계; 받침패드(30)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P1)을 적재하는 단계; 최하단 피포장물(P1)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40) 위에 중단 피포장물(P2)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P3)을 적재 하는 단계;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50)를 올려놓는 단계; 포장박스(10)의 개폐벽부(11b)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11c)를 막는 단계; 포장박스(10)의 상단 마감편(11e,12b)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편(11e,12b)이 상단 완충패드(50)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포장방법.
  6. 작업장 바닥에 팰리트(20)를 설치하고, 개폐벽(11b)이 바깥쪽으로 꺾인 포장박스(10)를 팰리트(20) 위에 올려놓는 단계; 포장상자(10)의 내부를 통해 팰리트(20)의 상면에 받침패드(30)를 깔아 놓는 단계; 포장상자(10)의 좌우벽체(12)의 내측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70)를 삽입하는 단계; 포장상자(10)의 내부에 간격유지 겸 완충패드(70)의 내측으로 구획부재(60)를 삽입하여 전후 2열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구획부재(60)에 의해 구획된 전후 2열의 공간 내에서 받침패드(30) 상에 최하단 피포장물(P1)을 적재하는 단계; 최하단 피포장물(P1)의 상부에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칸막이 겸 완충패드(40) 위에 중단 피포장물(P2)을 적재하고, 다시 칸막이 겸 완충패드(4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최상단 피포장물(P3)을 적재 하는 단계; 최상단 피포장물(P3)의 상부에 상단 완충패드(50)를 올려놓는 단계; 포장박스(10)의 개폐벽부(11b)를 펼쳐 세워서 상반 개방부(11c)를 막는 단계; 포장박스(10)의 상단 마감편(11e,12b)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이들 마감 편(11e,12b)이 상단 완충패드(50)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 통상적인 테이핑 또는 밴딩 작업을 함으로써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포장방법.
KR1020060022952A 2006-03-13 2006-03-13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KR10076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952A KR100767572B1 (ko) 2006-03-13 2006-03-13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952A KR100767572B1 (ko) 2006-03-13 2006-03-13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173A KR20070093173A (ko) 2007-09-18
KR100767572B1 true KR100767572B1 (ko) 2007-10-17

Family

ID=3868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952A KR100767572B1 (ko) 2006-03-13 2006-03-13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62B1 (ko) * 2008-05-20 2009-02-06 유림목재(주) 골판지를 이용한 이송용 파레트 박스
KR20220000632A (ko) 2020-06-26 2022-01-04 서상준 묶음 포장 박스용 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69B1 (ko) * 2019-03-20 2019-07-12 박남옥 운송용 박스
KR102001872B1 (ko) * 2019-04-01 2019-07-19 박남옥 운송용 박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21U (ja) * 1992-07-06 1994-02-01 鐘紡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H0740432U (ja) * 1993-12-20 1995-07-18 共同印刷株式会社 キャリングケース
JPH1059364A (ja) 1996-08-14 1998-03-03 Nippon Ester Co Ltd 組立式箱体
JPH111272A (ja) 1997-06-09 1999-01-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管収納体
JP2002293329A (ja) * 2001-03-29 2002-10-09 Dainippon Toryo Co Ltd 粉粒体搬送用コ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粉粒体搬送システム
KR20030056974A (ko)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포장용 완충재
KR20040054176A (ko) 2002-12-18 2004-06-25 앤엘단프라주식회사 운반 받침대를 일체로 구비한 화물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21U (ja) * 1992-07-06 1994-02-01 鐘紡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H0740432U (ja) * 1993-12-20 1995-07-18 共同印刷株式会社 キャリングケース
JPH1059364A (ja) 1996-08-14 1998-03-03 Nippon Ester Co Ltd 組立式箱体
JPH111272A (ja) 1997-06-09 1999-01-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管収納体
JP2002293329A (ja) * 2001-03-29 2002-10-09 Dainippon Toryo Co Ltd 粉粒体搬送用コ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粉粒体搬送システム
KR20030056974A (ko)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포장용 완충재
KR20040054176A (ko) 2002-12-18 2004-06-25 앤엘단프라주식회사 운반 받침대를 일체로 구비한 화물용 포장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62B1 (ko) * 2008-05-20 2009-02-06 유림목재(주) 골판지를 이용한 이송용 파레트 박스
KR20220000632A (ko) 2020-06-26 2022-01-04 서상준 묶음 포장 박스용 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173A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381B2 (en) Packaging for fragile items
US10011415B1 (en) Packing tray for stack of hollow conical objects
KR100767572B1 (ko)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JP2014084135A (ja) いちご収納トレー
KR100838948B1 (ko)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EP1820741B1 (en) Package
KR20140056010A (ko) 물건을 패키징하기 위한 박스
JP2006096404A (ja) 梱包用緩衝材
JP2006016008A (ja) 梱包用パレット
JP7005839B2 (ja) 緩衝体及び梱包体
JP2003312648A (ja) 梱包用仕切構造体および梱包箱
KR101069279B1 (ko) 강도 보강된 골판지 포장박스
KR20120012045A (ko) 완충부를 가지는 간지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포장용 박스
KR200465697Y1 (ko) 완충 포장상자
JP4636065B2 (ja) 梱包箱
WO2023127332A1 (ja) 緩衝材、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JP2012025462A (ja) 底部緩衝箱
JP2008030841A (ja) 梱包箱
JP2009292495A (ja) 緩衝包装材
JP5124166B2 (ja) 緩衝包装材
KR200472117Y1 (ko) 포장 박스
JP4779910B2 (ja) 軒樋の梱包構造
KR20220000677U (ko) 계란판 포장 용기
JP6322236B2 (ja) 箱詰め瓶体用天部側緩衝部材及び瓶体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