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821Y1 - 소시지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소시지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821Y1
KR200471821Y1 KR2020120002445U KR20120002445U KR200471821Y1 KR 200471821 Y1 KR200471821 Y1 KR 200471821Y1 KR 2020120002445 U KR2020120002445 U KR 2020120002445U KR 20120002445 U KR20120002445 U KR 20120002445U KR 200471821 Y1 KR200471821 Y1 KR 200471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rill
cover
support frame
sa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00U (ko
Inventor
임현준
Original Assignee
임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준 filed Critical 임현준
Priority to KR2020120002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2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소시지 구이용 석쇠가 개시된다. 개시된 석쇠는 이격된 한 쌍의 지지테(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석쇠살(113)을 서로 이격되게 용접 결합하고, 상기 석쇠살(113) 사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볼 부재(115)를 서로 접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며, 상기 지지테(112)의 후방부(112b) 일측에 돌출되도록 손잡이(119)를 설치한 본체부(110); 및, 한 쌍의 가로대(133a,133b)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의 양끝을 서로 용접하여 덮개틀(131)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틀(131)의 상면에 망부재(137)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덮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대가 상기 지지테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시지 구이용 석쇠 { GRILL FOR ROASTING SAUSAGE }
본 고안은 소시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이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에 의해 소시지를 구울 수 있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석쇠는 가는 철사나 구리선으로 엮어서 만든 것으로 구이를 할 때는 쓰는 조리용 기구를 말하며, 이러한 석쇠는 일반적으로 지지테에 다수개의 석쇠살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지지테의 일측이나 또는 양측에 손잡이를 결합한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석쇠를 이용해 소시지를 구울 경우, 불이 직접 소시지에 닿기 때문에 소시지가 쉽게 타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이 제거되면, 석쇠살이 곧바로 식어 버려 소시지가 구워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839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019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3533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불이 직접 소시지에 닿지 않고 간접적인 열에 의해 소시지를 구워줄 뿐 아니라, 열을 비축하여 불이 제거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은 소시지를 지속적으로 구워줄 수 있고,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소시지의 맛과 향을 좋게 할 수 있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는 이격된 한 쌍의 지지테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석쇠살을 서로 이격되게 용접 결합하고, 상기 석쇠살 사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볼 부재를 서로 접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며, 상기 지지테의 후방부 일측에 돌출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한 본체부; 및, 한 쌍의 가로대와 한 쌍의 세로대의 양끝을 서로 용접하여 덮개틀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틀의 상면에 망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대가 상기 지지테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석쇠는 이격된 한 쌍의 지지테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석쇠살을 서로 이격되게 용접 결합하고, 상기 석쇠살 사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볼 부재를 서로 접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며, 상기 지지테의 후방부 일측에 돌출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한 본체부; 및, 한 쌍의 가로대와 한 쌍의 세로대의 양끝을 서로 용접하여 덮개틀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틀의 상면에 망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중 전방의 가로대와 상기 지지테의 전방부는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볼 부재는 맥반석과 황토의 혼합물, 세라믹, 세라믹과 황토의 혼합물, 토르말린, 황토와 숯의 혼합물,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또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테는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선반걸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중간에 배치되도록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세로대에 결합되어 상기 망 부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테, 상기 석쇠살,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상기 한 쌍의 세로대는 스테인레스로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부재의 직경은 상기 다수의 석쇠살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석쇠살의 사이의 거리 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볼 부재가 상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석쇠살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로대 중 후방 가로대에는 볼트통과홀을 구비한 제 1 돌출편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테의 후방부에는 볼트결합홀을 구비한 제 2 돌출편을 형성하며, 볼트가 상기 볼트통과홀을 통과하여 볼트결합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불이 소시지에 직접 닿지 않고, 간접적으로 가열된 볼 부재의 열에 의해 소시지가 구워지기 때문에, 소시지가 타지 않고 노릇노릇하게 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부재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더욱더 구워진 소시지의 맛과 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볼 부재는 열을 비축하는 축열성이 좋기 때문에, 불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볼 부재가 가열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소시지를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가 본체부에 대해 접히거나 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볼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테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에 높이보강부재가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다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사각형의 지지테(112)와, 지지테(112)의 내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석쇠살(113)과, 석쇠살(113)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볼 부재(115)를 포함한다.
지지테(112)는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단면이 직경 4mm인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으로 구성되어,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배치된다.
석쇠살(113)은 양 끝단이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에 결합되고, 지지테(112)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석쇠살(113)은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석쇠살(113)은 지지테(112)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재질이고, 단면이 직경 4mm인 원형 형상이며,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석쇠살(113)이 설치된 지지테(112)의 가로 길이는 200mm이며, 전방 지지테(112a)와 후방 지지테(112b)의 사이에는 한 쌍의 지지대(114)가 서로 70mm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대(114)는 석쇠살(113)에 직각이 되도록 석쇠살(113)의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대(114)에 의해 석쇠살(113)이 가열되어 열팽창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석쇠살(113)이 가열되면 열팽창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석쇠살(113)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될 수 있으나, 석쇠살(113)들에 지지대(114)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석쇠살(113)이 열팽창 하더라도 석쇠살(113)이 변형되는 것을 지지대(114)가 고정하여 석쇠살(113)끼리의 간격이 변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대(114)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대(114)가 3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부(110)는 후방 지지테(112b) 일측에 손잡이(119)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 부재(115)는 석쇠살(113)의 상부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볼 부재(115)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석쇠살(113) 상부에 배치되되, 석쇠살(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 부재(115) 다수개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볼 부재(115)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은 10mm(도 3의 h1 참조)로 구성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석쇠살(113)의 거리는 6~8mm(도 3의 h5 참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볼 부재(115)는 두 개의 석쇠살(113) 사이로 빠지지 않고, 석쇠살(11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지지대(114)가 석쇠살(113)들 끼리를 서로 고정지지하므로, 석쇠살(113)이 가열되어 열팽창 되어도 석쇠살(113) 끼리의 간격이 변하지 않아, 볼 부재(115)가 석쇠살(113) 사이에 바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의 볼 부재(115)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 부재(115)는 맥반석과 황토의 혼합물, 세라믹 자체, 세라믹과 황토의 혼합물, 토르말린, 황토와 숯의 혼합물,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또는, 게르마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볼 부재(115)는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물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덮개부(130)는 볼 부재(115)를 커버하도록 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가로대(133a,113b), 한 쌍의 세로대(135a,135b), 및, 망 부재(137)를 포함한다.
가로대(133a,133b) 및, 세로대(135a,135b)는 각각의 양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덮개틀(131)을 형성한다. 가로대(133a,133b)와 세로대(135a,135b)는 스테인레스로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이 직경 4mm인 원형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전방 가로대(133a)의 양 끝단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 전단부 하측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고, 후방 가로대(133b)의 양 끝단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 후단부 하측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된다.
망 부재(135)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얇은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덮개 틀(131)의 상면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덮개부(130)는 전방 및 후방 가로대(133a,133b)를 전방 지지테(112a) 및 후방 지지테(112b)에 용접하여 결합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덮개부(130)는 가로대(133a,133b)의 중간에 배치되는 처짐방지대(136)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처짐방지대(136)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고, 직경이 4mm로 형성된다. 처짐방지대(136)는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양 끝단이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의 중간에 용접된다. 이로 인해, 처짐방지대(136)는 망 부재(137)가 가열되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처짐방지대(136)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의 중간에 용접되어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망 부재(137)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기만 하면, 한 쌍의 세로대(135a,135b)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양 끝단이 한 쌍의 가로대(133a,133b)의 중간에 용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처짐방지대(136)가 2개로 구성되어, 한 쌍의 세로대(135a,135b)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양 끝단이 한 쌍의 가로대(133a,133b)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테(112)와 석쇠살(133)의 외곽형상이 사각형상이며, 덮개틀(131)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석쇠(100)의 형상이 사각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따라, 석쇠살(113) 및 망부재(137)를 지지테(112) 및 덮개틀(131)에 대응시켜, 전체적인 석쇠(100)의 외곽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 과 같이, 세로대(135a,135b)의 직경(h2)을 4mm로, 석쇠살(113)의 직경(h3)을 4mm로, 인접하는 석쇠살(113)의 중심축과 중심축과의 거리(h4)를 10~12mm로, 인접하는 석쇠살(113)과 볼(115)의 평행한 접선 간의 간격(h6)을 1~2mm로, 석쇠살(113)과 세로대(135a)의 간격(h7)을 5~6mm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석쇠살(113) 사이에 다수의 볼 부재(115)가 빼곡하게 올려진 구조로서, 영업용, 가정용 또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 불이나 숯불 위에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불이 볼 부재(115)를 가열하여, 덮개부(110) 위에 올려진 소시지가 볼 부재(115)와 접촉되면서 가열된 볼 부재(115)의 열에 의해 구워지게 된다.
이처럼,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불이 소시지에 직접 닿지 않고, 간접적으로 볼 부재(115)를 가열하여, 볼 부재(115)의 열에 의해 소시지가 구워지기 때문에, 소시지가 타지 않게 된다. 또한 볼 부재(115)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구워진 소시지의 맛과 향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아울러, 가열된 볼 부재(115)는 열을 비축하는 축열성이 좋기 때문에, 불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가열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소시지를 구울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석쇠(100)는 도 4와 같이, 지지테(112)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게 선반걸이(118)를 구성할 수 있다. 선반걸이(118)는 화로에 받침이 없을 때, 선반에 걸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시지 구이용 석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제 1 실시 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에 비해 덮개부(130)가 본체부(110)에 대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삭제한다.
제 2 실시 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전방 지지테(112a)와 전방 가로대(133a)를 경첩(141)으로 연결하여 도 5의 실선과 같이, 덮개부(130)가 본체부(110)에 접히거나 도 6의 점선과 같이 펴질 수 있다.
또한, 후방 지지테(112b)에는 볼트통과홀(145a)을 구비한 제 1 돌출편(145)을 형성하고, 후방 가로대(133b)에는 볼트결합홀(143a)을 형성하며, 볼트(147)를 이용해 볼트통과홀(145a)을 통과시켜 볼트결합홀(143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130)가 본체부(110)에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볼트(147)는 도 5와 같이, 나비 볼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거나 다른 형태의 볼트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 2 실시 예의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볼 부재(115)가 더러워지거나 원적외선 방출수명이 다하여 교체가 필요할 경우, 볼트(147)를 풀어 덮개부(130)를 본체부(110)에 대해 펼친 다음, 본체부(110)의 볼 부재(115)를 새것으로 교체한 후, 덮개부(130)를 본체부(110)에 접어 다시 볼트(147)로 고정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소시지 구이용 석쇠(100')는 도 7과 같이, 석쇠살(113) 들의 하측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파이프 형상의 높이보강부재(150)를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높이보강부재(150)의 설치에 의해, 화력이 가정용에 비해 강한 영업용 가스렌지 위에 본 발명의 석쇠(100')를 올려놓아도 가스렌지 불로 더 멀어지게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부
112...지지테
113...석쇠살
115...볼 부재
118...선반 걸이
119...손잡이
130...덮개부
131...덮개틀
133a,133b...가로대
135a,135b...세로대
136...처짐방지대
137...망 부재

Claims (8)

  1. 이격된 한 쌍의 지지테(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석쇠살(113)을 서로 이격되게 용접 결합하고, 상기 석쇠살(113) 사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볼 부재(115)를 서로 접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며, 상기 지지테(112)의 후방부(112b) 일측에 돌출되도록 손잡이(119)를 설치한 본체부(110); 및,
    한 쌍의 가로대(133a,133b)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의 양끝을 서로 용접하여 덮개틀(131)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틀(131)의 상면에 망부재(137)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덮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대(133a,133b)가 상기 지지테(112)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2. 이격된 한 쌍의 지지테(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석쇠살(113)을 서로 이격되게 용접 결합하고, 상기 석쇠살(113) 사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볼 부재(115)를 서로 접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며, 상기 지지테(112)의 후방부(112b) 일측에 돌출되도록 손잡이(119)를 설치한 본체부(110); 및,
    한 쌍의 가로대(133a,133b)와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의 양끝을 서로 용접하여 덮개틀(131)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틀(131)의 상면에 망부재(137)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덮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중 전방의 가로대(133a)와 상기 지지테(112)의 전방부(112a)는 경첩(14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150)는 맥반석과 황토의 혼합물, 세라믹, 세라믹과 황토의 혼합물, 토르말린, 황토와 숯의 혼합물,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또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112)는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선반걸이(11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중간에 배치되도록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세로대(135a,135b)에 결합되어 상기 망 부재(137)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대(13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112), 상기 석쇠살(113), 상기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상기 한 쌍의 세로대(135a,135b)는 스테인레스로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구이용 석쇠.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115)의 직경은 상기 다수의 석쇠살(113)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석쇠살(113)의 사이의 거리 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볼 부재(115)가 상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석쇠살(113) 사이로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대(133a,133b) 중 후방 가로대(133b)에는 볼트통과홀(145a)을 구비한 제 1 돌출편(14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테(112)의 후방부(112b)에는 볼트결합홀(143a)을 구비한 제 2 돌출편(143)을 형성하며, 볼트(147)가 상기 볼트통과홀(145a)을 통과하여 볼트결합홀(143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구이용 석쇠.
KR2020120002445U 2012-03-27 2012-03-27 소시지 구이용 석쇠 KR200471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45U KR200471821Y1 (ko) 2012-03-27 2012-03-27 소시지 구이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45U KR200471821Y1 (ko) 2012-03-27 2012-03-27 소시지 구이용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00U KR20130005800U (ko) 2013-10-08
KR200471821Y1 true KR200471821Y1 (ko) 2014-03-17

Family

ID=5148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45U KR200471821Y1 (ko) 2012-03-27 2012-03-27 소시지 구이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22U (ko) * 1996-10-16 1998-07-15 윤용식 간접가열식 석쇠
KR200347909Y1 (ko) 2004-01-16 2004-04-28 한수용 자갈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22U (ko) * 1996-10-16 1998-07-15 윤용식 간접가열식 석쇠
KR200347909Y1 (ko) 2004-01-16 2004-04-28 한수용 자갈고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00U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963B2 (ja) 調理装置
US20080135038A1 (en) Safe Grill With Double Vertical Combustion Chambers
US2573211A (en) Charcoal stove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US11576527B2 (en) Thermally efficient cooking grate
KR101859875B1 (ko) 레저용 바비큐 구이장치
JP2018510756A (ja) 側面直火焼き装置
CA2436867A1 (en) Skewer holder
KR200470529Y1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101479616B1 (ko)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KR200471821Y1 (ko) 소시지 구이용 석쇠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EP2949246B1 (en) Improved barbecue
KR200461389Y1 (ko) 나무를 이용한 구이용 석쇠
US3543672A (en) Smokeless charcoal fired grill
KR20140001839U (ko) 석쇠
US10136761B2 (en) Grill attachment for portable heaters
KR200448258Y1 (ko) 숯불용 육류구이장치
US20140216270A1 (en) Food Skewer Device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377269Y1 (ko) 접이식 석쇠
KR20140120120A (ko) 숯불구이기용 그릴구조
KR20090079759A (ko) 고기구이용 불판
KR20110005302U (ko)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