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02U -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02U
KR20110005302U KR2020090015125U KR20090015125U KR20110005302U KR 20110005302 U KR20110005302 U KR 20110005302U KR 2020090015125 U KR2020090015125 U KR 2020090015125U KR 20090015125 U KR20090015125 U KR 20090015125U KR 20110005302 U KR20110005302 U KR 20110005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ing
main body
folded
gril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김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애 filed Critical 김정애
Priority to KR2020090015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302U/ko
Publication of KR20110005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은 부피를 지니도록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과 조립설치가 매우 용이한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본체케이싱의 좌우 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고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본체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좌,우측접철판과,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판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차단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연장차단판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측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부에 열원이 올려지는 열원거치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 고기류가 올려지는 석쇠가 구비되고 상기 석쇠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가 열원거치대와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석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기구이장치, 본체케이싱, 좌,우측접철판, 연장차단판, 석쇠부

Description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A portable roaster of hinge type}
본 고안은 작은 부피를 지니도록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과 조립설치가 매우 용이한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본체케이싱의 좌우 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고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본체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좌,우측접철판과,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판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차단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연장차단판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측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부에 열원이 올려지는 열원거치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 고기류가 올려지는 석쇠가 구비되고 상기 석쇠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가 열원거치대와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석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 닭고기, 전어 등의 육류 및 어류는 전기나 가스 로스터(roaster) 또는 통상의 그릴식으로 된 구이장치에 구워 익힌 후 섭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구이장치 중 전기나 가스 등을 열원으로 하는 로스터를 이용하여 육류 등을 굽는 경우에는 상기 로스터의 열원위에 불판을 설치하고 상기 불판 위에 육류를 올려 놓아 불판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면서 그 가열된 정도에 따라 육류가 구워지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불판 중 열원에 직접적으로 닿는 고기의 밑부분은 온도가 매우 높아 이 부분에 올려진 육류는 너무 빨리 구워지면서 타버리거나 눌어붙어 불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불판 중 열기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고기의 윗부분은 온도가 낮아 육류가 잘 구워지지 않으므로 취식자가 수시로 육류의 위치를 바꿔주거나 뒤집어야만 하고 육류가 구어지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불판위에서 구이요리가 이루어져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성분이 불판에 다량 잔류되어 육류에 그대로 묻어나 느끼한 맛이 있고 그 맛과 향이 통상의 그릴식으로 된 구이장치에서 직화식으로 구워진 구이요리보다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그릴식 구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직육면체형 케이스형상으로 내부에 열원으로 숯불이나 나무 등이 투입되어 연소되는 본체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는 통상의 그릴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접철식다리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접철식다리를 펼쳐 지면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본체케이싱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그릴 위에 육류를 올려 놓고 숯이나 나무 등의 열원으로부터의 열기에 의해 상부의 육류를 직화식으로 익혀 굽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이나 나무 등의 향이 육류에 스며들어 그 맛과 향이 상기 로스터를 이용한 구이요리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상기 본체케이싱 및 접철식다리 등은 그 부피가 매우 클 뿐 아니라 무거워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하여 차량에 싣고 운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다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된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는 좌,우측접철판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숯불 등의 열원이 거치되고 상부에는 석쇠부가 장착되어 각종 고기 등을 구이요리하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경우에는 작은 부피를 지니도록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되면서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본체케이싱의 좌우 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고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본체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좌,우측접철판과,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판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차단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연장차단판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측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부에 열원이 올려지는 열원거치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 고기류가 올려지는 석쇠가 구비되고 상기 석쇠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가 열원거치대와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의 내측에 수납되는 석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된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는 좌,우측접철판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숯불 등의 열원이 거치되고 상부에는 석쇠부가 장착되어 각종 고기 등을 구이요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접철판이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경우에는 작은 부피를 지니도록 전체 두께가 대략 2 ~ 8cm 정도의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되면서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1)는 전체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부피를 지니도록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어 휴대 및 보관과 조립설치가 매우 용이한 휴대용 구이장치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본체케이싱(2)과, 상기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본체케이싱(2)의 하부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본체케이싱(2)의 좌우 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고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좌,우측접철판(7a)(7b)과,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차단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되는 연장차단판(11a)(11b)과, 상기 본체케이싱(2)의 내측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부에 열원이 올려지는 열원거치대(16)와, 상기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 고기류가 올려지는 석 쇠(19)가 구비되고 상기 석쇠(19)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20a)(20b)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20a)(20b)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19)가 열원거치대(16)와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되는 석쇠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2)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 끝부분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는 좌,우측접철판(7a)(7b)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된 전면판(3)과 후면판(4)의 좌우양측 끝부분에는 각각 힌지축(5a)(5b)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5a)(5b)은 좌측접철판(7a)과 우측접철판(7b)의 전후양측에 각각 절곡형성된 측면브라켓(8a)(8b)의 가이드공(9a)(9b)에 삽입 개재(介在)어 있어 상기 가이드공(9a)(9b)을 따라 힌지축(5a)(5b)이 가이드이동되면서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2)은 그 두께가 대략 2 ~ 8cm 정도로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힌지축(5a)(5b)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이 개방된 상부를 좌,우측접철판(7a)(7b)이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는 연장차단판(11a)(11b)과 열원거치대(16)와 석쇠부(18)가 수납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싱(2)은 전면판(3)과 후면판(4)에 각각 다수개의 통기공(6a)(6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열원거치대(16) 위에 올려지는 숯불 등의 열원에 외부로부터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전후 양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브라켓(8a)(8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브라켓(8a)(8b)은 가운데부분에서 하부까지 일정형상을 지닌 가이드공(9a)(9b)이 상하 대각선방향, 즉 상기 본체케이싱(2)을 기준으로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쪽으로 길게 천공되어 있어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부착된 힌지축(5a)(5b)이 가이드공(9a)(9b)에 삽입 개재(介在)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9a)(9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좌,우측접철 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9a)(9b)은 상부 일측, 즉 측면브라켓(8a)(8b)의 가운데부분 일측에 수직걸림부(10a)(1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힌지축(5a)(5b)이 수직걸림부(10a)(10b)에 걸림 안착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에 좌,우측접철판(7a)(7b)이 각각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축(5a)(5b)이 수직걸림부(10a)(10b)로부터 이탈되면서 가이드공(9a)(9b)의 하부쪽으로 가이드이동되고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접철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경우 측면브라켓(8a)(8b)의 가운데부분에 위치된 가이드공(9a)(9b)의 수직걸림부(10a)(10b)에 본체케이싱(2)의 힌지축(5a)(5b)이 위치되어 상기 좌측접철판(7a)과 우측접철판(7b) 사이의 중간높이에 본체케이싱(2)이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케이싱(2)의 하부는 좌,우측접철판(7a)(7b)의 하부에 의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본체케이싱(2)의 좌우 양측면 상부는 각각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부에 의해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장차단판(11a)(11b)은 도 1 내지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연장차단판(11a)(11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내측면 하부에는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의 상단부에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하부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좌우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측면브라켓(8a)(8b)에 끼움결합되는 측면끼움홈(13a)(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수직으로 세워진 좌측접철판(7a)과 우측접철판(7b)에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쪽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 사이의 개방된 전후방에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면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연장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차단판(11a)(11b)은 상부에 "V"자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꼬치봉삽입홈(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봉형상으로 된 통상의 꼬치봉(15)을 전방 연장차단판(11a)과 후방 연장차단판(11b)의 꼬치봉삽입홈(14)에 전후방향으로 걸쳐 회전시키면서 통상의 꼬치요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원거치대(16)는 도 1 내지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된 통상의 석쇠형태로 본체케이싱(2)의 내측 상면부에 수납된 상태로 안착되면서 상부에 숯불이나 목탄 등의 열원이 거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부(18)위의 고기류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거치대다리(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구이요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기류로부터의 기름성분 등이 열원에 스며들어 과열되거나 불완전연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석쇠부(18)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는 고기류가 올려지는 장방형으로 된 통상의 석쇠(1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석쇠(19)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20a)(20b)가 설치되어 있어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19)가 열원거치대(16)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20a)(20b)는 "ㄷ"자형상으로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손잡이대(20a)(20b)의 전후 양측끝단에는 각각 고리(21a)(21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리(21a)(21b)가 석쇠(19)의 좌우양측 전후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21a)(21b)와 근접된 손잡이대(20a)(20b)의 양측끝단부분에는 1차절곡부(22a)(22b)와 2차절곡부(23a)(23b)가 차례로 90°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절곡부(22a)(22b)의 내측에는 1차삽입홈(24a)(24b)이 형성되며 2차절곡부(23a)(23b)에는 2차삽입홈(25a)(2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20a)(20b)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 우에는 상기 1차절곡부(22a)(22b)에 의해 형성되는 1차삽입홈(24a)(24b)은 고리(21a)(21b)와 인접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외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2차절곡부(23a)(23b)에 의해 형성되는 2차삽입홈(25a)(25b)은 1차절곡부(22a)(22b)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대(20a)(20b)가 수평으로 눕혀진 경우에는 상기 1차삽입홈(24a)(24b)은 하방으로 개구되고 2차삽입홈(25a)(25b)은 내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대(20a)(20b)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됨에 따라 1차삽입홈(24a)(24b) 또는 2차삽입홈(25a)(25b)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석쇠(19)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20a)(20b)가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2차삽입홈(25a)(25b)의 개구된 부분이 하방으로 위치되어 상기 2차삽입홈(25a)(25b)에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가 끼움결합되면 상기 석쇠(19)가 좌,우측접철판(7a)(7b)과 연장차단판(11a)(11b)에 의해 연장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열원거치대(16)와 근접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20a)(20b)가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1차삽입홈(24a)(24b)의 개구된 부분이 하방으로 위치되어 상기 1차삽입홈(24a)(24b)에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가 끼움결합되면서 석쇠(19)가 좌,우측접철판(7a)(7b)과 연장차단판(11a)(11b)에 의해 연장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어 열원거치 대(16)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석쇠부(18)는 손잡이대(20a)(20b)가 고리(21a)(21b)를 축으로 하여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열원거치대(16)와 연장차단판(11a)(11b)과 석쇠부(18)가 수납된 상태에서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접철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막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되어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1)를 펼침조립하여 구이요리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에 구비된 좌,우측접철판(7a)(7b)을 외측 수평방향으로 당겨 본체케이싱(2)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열원거치대(16)와 연장차단판(11a)(11b)과 석쇠부(18)를 모두 꺼낸 다음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을 수직으로 세워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면서 본체케이싱(2)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 좌우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힌지축(5a)(5b)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의 측면브라켓(8a)(8b)에 각각 천성된 가이드공(9a)(9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공(9a)(9b)의 상부 일측에 형 성된 수직걸림부(10a)(10b)에 힌지축(5a)(5b)이 걸림 안착되어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에 좌,우측접철판(7a)(7b)이 각각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좌측접철판(7a)과 우측접철판(7b)에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쪽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 사이의 개방된 전후방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된 연장차단판(11a)(11b)을 끼움결합하여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면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연장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케이싱(2)의 내측 상면부에는 열원거치대(16)를 올려놓고 상기 열원거치대(16)위에 숯불이나 목탄 등의 열원을 거치하여 연소되도록 하며,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는 석쇠부(18)의 손잡이대(20a)(20b)가 걸림체결되도록 하면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20a)(20b)에 형성된 1차삽입홈(24a)(24b)과 2차삽입홈(25a)(25b)을 통해 상기 석쇠부(18)의 석쇠(19)가 열원거치대(16)와 상하 높이조절한 다음 상기 석쇠(19)위에 고기류 등을 올려놓고 구이요리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고기구이장치(1)로 구이요리를 한 다음에는 석쇠부(18)와 열원거치대(16)와 연장차단판(11a)(11b)을 분리 세척하여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을 수평으로 눕히면서 내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힌지축(5a)(5b)이 수직걸림부(10a)(10b)로부터 이탈되면서 가이드공(9a)(9b)의 하부쪽으로 가이드이동되고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눕혀져 내측방향으로 접철되며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좌,우측접철판(7a)(7b)이 완전히 차단하여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의 좌,우측접철판을 수직으로 세우고 연장차단판을 끼움결합시킨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가 구이요리용으로 조립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가 구이요리용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석쇠부의 손잡이대를 수평으로 위치시켜 높이조절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의 본체케이싱 내측에 각 구성부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좌,우측접철판이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가 얇은 직육면체형 케이스형태로 접철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가 구이요리용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연장차단판에 통상의 꼬치봉이 거치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기구이장치 2. 본체케이싱
3. 전면판 4. 후면판
5a, 5b. 힌지축 6a, 6b. 통기공
7a. 좌측접철판 7b. 우측접철판
8a, 8b. 측면브라켓 9a, 9b. 가이드공
10a, 10b. 수직걸림부 11a, 11b. 연장차단판
12. 하부끼움홈 13a, 13b. 측면끼움홈
14. 꼬치봉삽입홈 15. 꼬치봉
16. 열원거치대 17. 거치대다리
18. 석쇠부 19. 석쇠
20a, 20b. 손잡이대 21a, 21b. 고리
22a, 22b. 1차절곡부 23a, 23b. 2차절곡부
24a, 24b. 1차삽입홈 25a, 25b. 2차삽입홈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본체케이싱(2)과, 상기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본체케이싱(2)의 하부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면 상부를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고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좌,우측접철판(7a)(7b)과,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차단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되는 연장차단판(11a)(11b)과, 상기 본체케이싱(2)의 내측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부에 열원이 올려지는 열원거치대(16)와, 상기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부합되는 크기로 상부에 고기류가 올려지는 석쇠(19)가 구비되고 상기 석쇠(19)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손잡이대(20a)(20b)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대(20a)(20b)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면서 상기 석쇠(19)가 열원거치대(16)와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고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체케이싱(2)의 내측에 수납되는 석쇠부(1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전후 양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브라켓(8a)(8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브라켓(8a)(8b)은 가운데부분에서 하부까지 일정형상을 지닌 가이드공(9a)(9b)이 상하 대각선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부착된 힌지축(5a)(5b)이 가이드공(9a)(9b)에 삽입 개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9a)(9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9a)(9b)은 상부 일측에 수직걸림부(10a)(1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힌지축(5a)(5b)이 수직걸림부(10a)(10b)에 걸림 안착되면서 본체케이싱(2)의 좌우양측에 각각 좌,우측접철판(7a)(7b)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눕혀져 접철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축(5a)(5b)이 수직걸림부(10a)(10b)로부터 이탈되면서 가이드공(9a)(9b)의 하부쪽으로 가이드이동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접철되어 본체케이싱(2)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차단판(11a)(11b)은 좌우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내측면 하부에는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판(3)(4)의 상단부에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하부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좌우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접철판(7a)(7b)의 측면브라켓(8a)(8b)에 끼움결합되는 측면끼움홈(13a)(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수직으로 세워진 좌측접철판(7a)과 우측접철판(7b)에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쪽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 사이의 개방된 전후방에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본체케이싱(2)의 전후면 상부를 각각 일정높이로 연장 차단하면서 본체케이싱(2)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연장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차단판(11a)(11b)은 상부에 "V"자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꼬치봉삽입홈(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꼬치봉(15)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20a)(20b)는 "ㄷ"자형상으로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손잡이대(20a)(20b)의 전후 양측끝단에는 각각 고리(21a)(21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리(21a)(21b)가 석쇠(19)의 좌우양측 전후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21a)(21b)와 근접된 손잡이대(20a)(20b)의 양측끝단부분에는 1차절곡부(22a)(22b)와 2차절곡부(23a)(23b)가 차례로 90°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절곡부(22a)(22b)의 내측에는 1차삽입홈(24a)(24b)이 형성되며 2차절곡부(23a)(23b)에는 2차삽입홈(25a)(2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대(20a)(20b)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상기 1차절곡부(22a)(22b)에 의해 형성되는 1차삽입홈(24a)(24b)은 고리(21a)(21b)와 인접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고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2차절곡부(23a)(23b)에 의해 형성되는 2차삽입홈(25a)(25b)은 1차절곡부(22a)(22b)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손잡이대(20a)(20b)가 수평으로 눕혀진 경우에는 상기 1차삽입홈(24a)(24b)은 하방으로 개구되고 2차삽입홈(25a)(25b)은 내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대(20a)(20b)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됨에 따라 1차삽입홈(24a)(24b) 또는 2차삽입홈(25a)(25b)이 상기 좌,우측접철판(7a)(7b)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석쇠(19)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KR2020090015125U 2009-11-23 2009-11-23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KR201100053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25U KR20110005302U (ko) 2009-11-23 2009-11-23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25U KR20110005302U (ko) 2009-11-23 2009-11-23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2U true KR20110005302U (ko) 2011-05-31

Family

ID=4929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25U KR20110005302U (ko) 2009-11-23 2009-11-23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3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32B1 (ko) * 2013-08-23 2014-11-07 박요한 휴대용 구이장치
KR102242029B1 (ko) * 2020-05-13 2021-04-19 주식회사 벨락 그릴/꼬치 구이 가능한 휴대용 화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32B1 (ko) * 2013-08-23 2014-11-07 박요한 휴대용 구이장치
KR102242029B1 (ko) * 2020-05-13 2021-04-19 주식회사 벨락 그릴/꼬치 구이 가능한 휴대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7448A1 (en) Modular Outdoor Cooking System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MXPA05006351A (es) Parilla asadora (o barbacoa) y estructura de soporte.
CN106859382B (zh) 一种可收纳开放式烧烤设备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US9131801B2 (en) Barbecue grill apparatus
KR101703292B1 (ko)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KR101212659B1 (ko) 접철식 휴대용 로스터
KR200480913Y1 (ko)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US20150020697A1 (en) Barbecue Support Assembly
KR20110017690A (ko) 레저용 꼬치 구이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10005302U (ko)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EP2949246B1 (en) Improved barbecue
KR20140045476A (ko) 구이기
GB2461403A (en) Barbecue with folding A frame arrangement
EP2803304B1 (en) Barbecue support assembly
KR101466142B1 (ko)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CN20982638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架
KR200448258Y1 (ko) 숯불용 육류구이장치
CN103501667A (zh) 用于基本上使油脂或油在操作和存储状态下最小的溢出的可折叠式烧烤装置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2462337B1 (ko) 편의성을 강화한 다기능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