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16B1 -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 Google Patents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16B1
KR101479616B1 KR1020130111285A KR20130111285A KR101479616B1 KR 101479616 B1 KR101479616 B1 KR 101479616B1 KR 1020130111285 A KR1020130111285 A KR 1020130111285A KR 20130111285 A KR20130111285 A KR 20130111285A KR 101479616 B1 KR101479616 B1 KR 1014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vertical
lower fram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우
Original Assignee
이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욱우 filed Critical 이욱우
Priority to KR102013011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는, 조리기구의 상측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이 훈제요리가 되도록 사용되는 프레임조립체에 있어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각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결합형태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연결구가 이루는 형태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1 힌지로 결합되고 세로프레임과 연결구는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 힌지에 의해 절첩됨으로써, 캠핑 등 야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FRAME ASSEMBLY FOR FOOD SMOKER}
본 발명은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일 등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상측에서 가열되는 훈제요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캠핑(camping)은 텐트 또는 임시로 지은 초막 등에서 일시적인 야외생활을 하는 여가활동으로서, 최근에 들어 도시거주자를 중심으로 캠핑 인구가 증가하는 등 폭 넓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야외에서 숯불 등을 이용하여 육류나 어류를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조리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훈제(smoking , 燻製)는 육제품, 어패류, 난 등을 활엽수의 훈연으로 그슬려 특유의 풍미와 보존성을 부여하는 조리법으로서, 통상적으로 냉훈법과 온훈법으로 대별된다.
냉훈법은 20℃ 이하의 저온에서 3~4주간 그슬려 수분이 약 4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함과 동시에, 훈연성분(포름알데히드, 아세트산, 포름산, 페놀류, 타르류 등)에 의한 방부, 향기를 부여한다.
온훈법은 50~90℃에서 10시간 내외의 속제법인데, 건조는 충분하지가 않고, 매연기성분의 효과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보존에는 냉장을 필요로 한다. 그 밖에 특수한 방법으로서는 목재를 건류한 목초액을 이용하는 액훈법, 매연기하에서 코로나방전으로 타르를 어체 등에 부착되기 쉽게 하는 전기훈제법이 있다.
이 중 온훈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56호에는 '바베큐 훈제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56호는 바닥부와 사방의 측벽부로 상면이 개구된 함체를 구성하고, 그 함체 내부의 숯불에 의해 조리물을 익히는 구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함체의 바닥부나 측벽부 하단에는 조절공이 구비된 조절판으로 개폐되는 공기조절구멍을 형성하고, 함체의 일 측벽부 중앙부위에는 조절공이 구비된 조절판으로 개폐되는 화력조절구멍을 형성하며, 함체의 사방 내주면에는 함체 상단과 화력조절구멍 사이에 위치되도록 바베큐꼬치나 석쇠의 구이판 거치를 위한 걸이봉을 설치하고, 함체 상부에는 그 함체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경첩에 의해 절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56호는 조리시 덮개를 덮어준 상태에서 조리하는 것이므로 열손실이 없어 빠른시간내에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숯불에 나무투입시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함체내에 가득차게 되므로 화력에 의한 조리뿐만 아니라 연기에 의한 훈제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조리물을 더욱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조리가 끝난후 불씨를 보관하였다가 몇시간후 다시 조리를 할 경우 그 불씨를 살려서 조리할 수 있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고, 아울러 외부에서 숯불을 옮길 필요없이 구이기내에서 직접 숯에 불을 붙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숯불을 옮기는 과정에서 종종 화상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56호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함체와 덮개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바베큐 훈제 구이기의 부피 및 중량이 상당하여 캠핑시에 휴대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으며, 집에 구비해 놓거나 훈제요리를 파는 영업점에 사용되는 등 주로 고정된 장소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9호에는 '훈제 구이기'가 제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9호는 연소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 위에 설치되어 연소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기를 통해 굽고자 하는 대상물이 놓이는 본체를 포함하는 훈제 구이기로서, 본체는 안착부를 둘러싸는 벽체와, 벽체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부에 걸리는 그릴을 포함하고, 본체는 복수개의 벽체와, 그릴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9호는 복수개의 벽체와 그릴로 본체를 분리가능함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수납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9호는 사용 후 휴대를 간편히 하기 위해 본체의 부피를 줄이려면 4개로 구성되는 벽체간 볼트체결부위를 일일이 분해해야 하고, 또한 재사용시에는 볼트체결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여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는 최소한의 물품을 가지고 이동해야 하는 캠핑의 특성상 휴대하거나 사용하기가 꺼려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또한, 훈제조리의 특성상 본체와 뚜껑의 내외부는 고기 등에서 발생하는 기름찌꺼기와 숯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해 심하게 오염될 수밖에 없으므로 조리 후에는 분해 전 본체 및 뚜껑의 내면과 외면에 대한 세척을 반드시 실행해야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관리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56호(등록일:2008.12.16) (000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9호(공개일:2013.02.05)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등 야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이나 배낭 내에서 캠핑 물품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기구의 상측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이 훈제요리가 되도록 사용되는 프레임조립체에 있어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각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결합형태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연결구가 이루는 형태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연결구 외측에는 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1 힌지에 의해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을 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되 감기는 방향이 전환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은, 하단부가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힌지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 및 하단부가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힌지에 결합되는 제2 세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세로바와 제2 세로바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세로프레임; 상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하단부를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상단에는 절곡 형성된 제1 가로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절곡 형성된 제2 가로바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1 가로바 및 제2 가로바를 함께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의 외경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후크부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부면; 상기 상부면 테두리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바깥쪽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측에 절개된 걸림홈이 형성된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측벽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꺾임부; 및 상기 꺾임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절곡되는 천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꺾임부와 천장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연결구의 중앙쪽을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결구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1 걸림홈; 및 상기 제1 걸림홈의 안쪽 단부에서 절곡된 방향으로 절개된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1 힌지로 결합되고 세로프레임과 연결구는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 힌지에 의해 절첩됨으로써, 캠핑 등 야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훈제조리시 기름때의 거의 대부분이 하부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연결구에 일회용으로 씌워지는 커버에 부착됨에 따라, 사용 후 커버를 폐기하고 하부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연결구에 묻은 소량의 기름때를 닦아냄으로써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열응력에 의한 집중응력에 강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하부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금속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이나 배낭 내에서 캠핑 물품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복원에 의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1 힌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1 힌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2 힌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연결구와 제2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휴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는, 캠핑 등 야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이나 배낭 내에서 캠핑 물품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1 힌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1 힌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제2 힌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연결구와 제2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1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휴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의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는 훈제조리시 호일 등 커버를 씌운 뒤 조리기구의 상측에서 가열되는 훈제요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과, 각 하단부가 하부프레임(10)과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3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조립체(1)는 하부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30)의 결합형태 및 세로프레임(30)과 연결구(50)의 결합형태가 변형되어, 하부프레임(10), 세로프레임(30) 및 연결구(50)가 이루는 형태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시와 휴대시 프레임조립체(1)의 부피에 큰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조립체(1)의 휴대성 및 사용성이 극대화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은 조리기구와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원형의 고리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10)은 조리기구의 상측에 놓임에 따라 조리기구의 열이 전도된다. 하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30)은 열응력에 의한 변형에 강한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금속선(metallic wire) 형태로 마련된다.
금속은 온도의 고저에 따라서 용적이 변화한다. 즉, 온도 상승에서 팽창, 온도 하강에서는 수축한다. 따라서, 금속의 어떤 부분에 온도차가 생기면 고온부의 팽창이 저온부에 의해 방해되며, 거꾸로 저온부는 고온부의 제한을 받는다. 그 결과로서 고온부에는 압축응력이, 저온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이 같은 기구(機構)에 의해서 생긴 내부응력을 열응력이라 하며, 열응력은 반복적으로 가열 및 냉각되는 조리기구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보통, 캠핑용 조리기구는 휴대성 증강의 목적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되는 조리기구보다 얇은 두께로 제작되며, 이는 조리에 의한 열응력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형태변형에 취약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조리시 판재의 면적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런 현상이 조리시마다 반복됨에 따라 열응력에 의해 판재가 변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1)는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10,3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금속선으로 마련함으로써 가열 및 냉각시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된다. 즉, 원형 단면 내부에서의 열전달 및 표면에서의 열방출이 신속이 일어남에 따라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30)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금속선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이나 배낭 내에서 캠핑 물품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다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에 의해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형상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30)은 프레임조립체(1)의 세로방향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하단부가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 세로프레임(31)과, 상단부가 연결구(50)에 결합되는 제2 세로프레임(32)과, 제1 세로프레임(31)의 상단부와 제2 세로프레임(32)의 하단부를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H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세로프레임(30)은 다수 개로 구비되어 하부프레임(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세로프레임(30)은 4개로 구비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에 따라 연결구(50)를 중심으로 한 각 세로프레임(30)이 이루는 각도는 90도가 되며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각 세로프레임(30)의 상단(걸림부(32b) 부분)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서 연결구(50)와 결합되므로, 세로프레임(30)의 상단부분에 어느 일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각 세로프레임(30)의 상단에는 외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이 작용하여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프레임(31)의 하단부와 하부프레임(10)은 제1 힌지(H1)에 의해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세로프레임(31)은 하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 힌지(H1)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31a)와, 하단부가 다른 하나의 제1 힌지(H1)에 결합되는 제2 세로바(31b)와, 제1 세로바(31a)와 제2 세로바(3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가로바(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H1)는 중간에서 강선의 방향이 전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3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H1a)와,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H1b)와, 제1 결합부(H1a)와 제2 결합부(H1b)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H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합부(H1a)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하부프레임(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부(H1a)는 하부프레임(10)을 형성하는 금속선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내측 지름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됨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직선의 중심축을 갖는 코일스프링이 곡률을 가지는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되면 하부프레임(10)의 곡률진 형태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의 곡률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코일스프링은 탄원복원력이 발생하여 하부프레임(1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3 지점(A1,A2,A3)을 형성하게 된다.
3 지점(A1,A2,A3)은 코일스프링의 양쪽 단부 및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코일스프링이 하부프레임(10)을 곡률의 중심방향과 그 반대방향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압력보다 작은 힘에 의해서는 하부스프링 상에서 이동되지 않는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제2 결합부(H1b)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제1 세로프레임(31)의 하단에 고정된다. 즉, 제2 결합부(H1b)는 제1 세로프레임(31)을 형성하는 금속선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내측 지름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측에 제1 세로프레임(31)의 제1 세로바(31a, 제2 세로바(31b)도 동일)가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H1b)와 제1 세로바(31a)가 용접이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연결부(H1c)는 제1 결합부(H1a)로부터 연장되고, 감기는 방향이 전환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결합부(H1a), 제2 결합부(H1b) 및 탄성연결부(H1c)는 하나의 코일스프링을 중간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한 형태로 형성되며, 중간에 구비되는 절곡된 형태의 강선이 탄성연결부(H1c)를 이루게 된다.
탄성연결부(H1c)는 탄성을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 결합부(H1b)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31a, 제2 세로바(31b)도 동일)는 일정각도 이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는 사용시와 휴대시 세로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즉, 세로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은, 사용시(도 1 참조)는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고, 휴대시(도 9 참조)는 예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사용이 끝나고 휴대를 위해 세로프레임(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세로프레임(30)이 하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회전될 때 세로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은 둔각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조립체(1)는 제1 힌지(H1)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예각, 직각 및 둔각을 이루는 회전구조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힌지(H1)가, 하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H1a)와, 세로프레임(30)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H1b) 및 강선으로 이루어져서 제1 결합부(H1a)와 제2 결합부(H1b)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H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세로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10)에 탄성적으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탄성연결부(H1c)가 예각, 직각 및 둔각으로 자유롭게 탄성변형됨에 따라, 가열되는 장치에서 파손되기 쉬운 힌지구조를 가열 및 냉각에 대한 파손위험성이 방지되면서도 비용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H1a)는 하부프레임(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세로바(31a)는 탄성연결부(H1c)에 의해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세로바(31a)와 제2 세로바(31b)의 하단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시 세로프레임(30)의 형태 및 개수를 변경하여도 동일한 하부프레임(10) 및 제1 힌지(H1)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1 힌지(H1) 및 세로프레임(30)을 지름이 서로 다른 하부프레임(10)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성변경을 최소화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용량의 부피를 갖는 프레임조립체(1)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로프레임(32)은, 하단부가 제1 세로프레임(31)의 상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연결구(50)에 고정되어 커버가 씌워지는 뼈대의 상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1 가로바(31c)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가로바(32a)와, 커버가 상측으로 씌워지는 천장부(32d)와, 연결구(50)에 결합되는 걸림부(32b) 및 꺾임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힌지(H2)는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를 함께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힌지(H2)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의 내경은 제1 가로바(31c)의 단면지름과 제2 가로바(32a)의 단면지름의 합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2 세로프레임(32)은 제2 힌지(H2)의 내측에서 360도 회전하여 제1 세로프레임(31)의 양쪽 방향에서 각각 제1 세로프레임(31)과 평행하게 접혀지게 된다.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는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제2 힌지(H2)의 길이는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됨에 따라 제2 힌지(H2)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은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의 양쪽에서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의 절곡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로프레임(32)이 제2 힌지(H2)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제1 세로프레임(31)의 양쪽 방향에서 각각 제1 세로프레임(31)과 평행하게 접혀지는 경우, 즉 프레임조립체(1)의 휴대시 제2 힌지(H2)는 절곡부까지 길이가 늘어나서 절곡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세로프레임(31)과 제2 세로프레임(32)이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조리시에도 일정한 사잇각을 형성하는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의 절곡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힌지(H2)의 내측에서 제1 가로바(31c) 및 제2 가로바(32a)가 유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2b) 및 꺾임부(32c)는 제2 세로프레임(32)이 연결구(5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제2 세로프레임(3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연결구(50)는 하부프레임(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세로프레임(3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구(50)는 걸림부(32b)가 걸림고정되는 후크부(51a)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부면(51)과, 상부면(51)의 테두리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측벽(52)과, 측벽(52)에서 바깥쪽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개된 걸림홈(53a)이 형성된 스커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홈(53a)은 각 세로프레임(30)마다 한 쌍씩 마련된다.
후크부(51a)는 연결구(50)의 중앙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제2 세로프레임(32)의 걸림부(32b)가 걸림고정된다.
후크부(51a)에 걸리는 걸림부(32b)는 금속선의 양단부가 측벽(52)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림홈(53a)은 연결구(50)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1 걸림홈(53a1)과, 제1 걸림홈(53a1)의 안쪽 단부에서 절곡된 방향으로 절개된 제2 걸림홈(53a2)으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홈(53a1)은 꺾임부(32c)와 천장부(32d)가 연결되는 부분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걸림홈(53a2)은 제1 걸림홈(53a1)의 안쪽 단부에서 꺾임부(32c)와 천장부(32d)가 연결되는 부분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넓은 간격,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세로프레임(32)의 꺾임부(32c)와 천장부(32d)는 제2 가로바(32a)와 걸림부(32b)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힘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세로프레임(32)은 걸림부(32b)가 후크부(51a)에 걸린 상태에서 꺾임부(32c)와 천장부(32d)의 연결부가 제1 걸림홈(53a1)의 간격만큼 서로 가까워지도록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면, 꺾임부(32c)와 천장부(32d)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 걸림홈(53a1)에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꺾임부(32c)와 천장부(32d)의 연결부를 제2 걸림홈(53a2)까지 밀어넣게 되면, 꺾임부(32c)와 천장부(32d)의 연결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걸림홈(53a2)에 삽입됨으로써 제2 세로프레임(32)은 연결구(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세로프레임(30)의 2 부분(걸림부(32b), 꺾임부(32c)와 천장부(32d)의 연결부)이 탄성복원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연결구(50)에 고정되면 세로프레임(30)과 연결구(50)는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힌지(H1)부 및 제2 힌지(H2)부는 특별히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흔들거리지 않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는 연결구(50)가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삼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구(50)의 형태는 세로프레임(30)의 개수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세로프레임(30)이 4개로 구비되면 연결구(50)는 각형 중 사각형태가 바람직하며, 만일 세로 프레임(30)이 5개로 구비되면 연결구(50)는 각형 중 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편리성이나 심미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조립체(1)는 사용시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된 세로프레임(30)을 상측으로 회전시킨 후 세로프레임(30)을 연결구(50)에 고정하고 나서 세로프레임(30)과 연결구(50)의 외측에 호일과 같은 커버(2)를 감싸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조리기구(3)의 상측에 놓이는 훈제요리용 덮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시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세로프레임(31)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부프레임(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밀착시킨 후 제2 세로프레임(32) 또한 제1 세로프레임(31)과 밀착되게 회전시키면 전체적인 부피가 대폭적으로 축소되어 휴대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는 건조망(70)과 걸이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식기나 채소, 과일 등을 건조시키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캠핑시와 같은 야외에서는, 물로 씻은 과일이나 식사 후에 설거지된 식기를 건조할만한 식기대 등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물기가 있는 식기를 쌓아둔 채로 건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야영장 등지에는 흙바닥과 텐트가 인접하여 텐트의 주변에 흙먼지가 날리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또한 텐트 내외로 쉽게 낙엽이나 벌레 등이 유입되기 쉽기 때문에 식기나 과일이 오염되기 쉽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는, 건조망(70)의 개구부가 하부프레임(10) 쪽에 위치하도록 건조망(70)을 씌우고, 하부프레임(10)에 걸이구(90)를 연결하여 하부프레임(10)이 위쪽을 향하게 텐트나 텐트 주변의 나뭇가지에 걸어놓게 되면, 하부프레임(10) 측을 통해 프레임조립체(1)의 내부에 식기나 과일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조립체(1)가 지면과 떨어진 상태에서 설치됨에 따라 흙이나 먼지 및 벌레 등의 유입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식기나 과일을 건조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걸이구(90)는 끈이나 합성수지, 금속선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이구(90)의 상단에는 텐트나 나뭇가지 등에 쉽게 매달 수 있도록 고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30)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1 힌지(H1)로 결합되고 세로프레임(30)과 연결구(50)는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30)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 힌지(H2)에 의해 절첩됨으로써, 캠핑 등 야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훈제조리시 기름때의 거의 대부분이 하부프레임(10), 세로프레임(30) 및 연결구(50)에 일회용으로 씌워지는 커버에 부착됨에 따라, 사용 후 커버를 폐기하고 하부프레임(10), 세로프레임(30) 및 연결구(50)에 묻은 소량의 기름때를 닦아냄으로써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30)이 열응력에 의한 집중응력에 강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하부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30)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금속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이나 배낭 내에서 캠핑 물품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복원에 의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1)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프레임조립체 10 : 하부프레임
30 : 세로프레임 50 : 연결구
70 : 건조망 90 : 걸이구
H1 : 제1 힌지 31 : 제1 세로프레임
H1a : 제1 결합부 31a : 제1 세로바
H1b : 제2 결합부 31b : 제2 세로바
H1c : 탄성연결부 31c : 제1 가로바
51 : 상부면 32 : 제2 세로프레임
51a : 후크부 32a : 제2 가로바
52 : 측벽 32b : 걸림부
53 : 스커트 32c : 꺾임부
53a : 걸림홈 32d : 천장부
H2 : 제2 힌지

Claims (11)

  1. 조리기구의 상측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이 훈제요리가 되도록 사용되는 프레임조립체에 있어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각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결합형태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연결구가 이루는 형태가 가변적이며,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1 힌지에 의해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로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세로프레임;
    상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하단부를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연결구 외측에는 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을 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되 감기는 방향이 전환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하단부가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힌지에 결합되는 제1 세로바; 및
    하단부가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힌지에 결합되는 제2 세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세로바와 제2 세로바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상단에는 절곡 형성된 제1 가로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절곡 형성된 제2 가로바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1 가로바 및 제2 가로바를 함께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후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경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후크부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부면;
    상기 상부면 테두리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바깥쪽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측에 절개된 걸림홈이 형성된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측벽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꺾임부; 및
    상기 꺾임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절곡되는 천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꺾임부와 천장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연결구의 중앙쪽을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결구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제1 걸림홈; 및
    상기 제1 걸림홈의 안쪽 단부에서 절곡된 방향으로 절개된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KR1020130111285A 2013-09-16 2013-09-16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KR10147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85A KR101479616B1 (ko) 2013-09-16 2013-09-16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85A KR101479616B1 (ko) 2013-09-16 2013-09-16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16B1 true KR101479616B1 (ko) 2015-01-06

Family

ID=5258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285A KR101479616B1 (ko) 2013-09-16 2013-09-16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907A (ko) 2015-03-19 2016-09-28 이성수 다용도 캠핑용 그릴장치
KR20190010246A (ko) * 2017-07-21 2019-01-30 마장훈 임시난로용 캡
KR102171519B1 (ko) * 2020-03-27 2020-10-29 노동희 초벌 구이기
KR102586626B1 (ko) 2023-05-19 2023-10-06 최석재 다용도 훈제 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91U (ko) * 1990-03-14 1991-12-04
KR200196631Y1 (ko) * 2000-02-14 2000-09-15 이영길 야외용 고기 구이기
KR20120019337A (ko) * 2010-08-25 2012-03-06 권영조 조립식 화로 테이블
KR20130000819U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봉적 훈제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91U (ko) * 1990-03-14 1991-12-04
KR200196631Y1 (ko) * 2000-02-14 2000-09-15 이영길 야외용 고기 구이기
KR20120019337A (ko) * 2010-08-25 2012-03-06 권영조 조립식 화로 테이블
KR20130000819U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봉적 훈제 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907A (ko) 2015-03-19 2016-09-28 이성수 다용도 캠핑용 그릴장치
KR20190010246A (ko) * 2017-07-21 2019-01-30 마장훈 임시난로용 캡
KR102074803B1 (ko) 2017-07-21 2020-02-07 마장훈 임시난로용 캡
KR102171519B1 (ko) * 2020-03-27 2020-10-29 노동희 초벌 구이기
KR102586626B1 (ko) 2023-05-19 2023-10-06 최석재 다용도 훈제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487B1 (ko) 조립식 화로대
KR101479616B1 (ko) 훈제요리용 프레임조립체
US7649289B2 (en) Water-repellent motor assembly for rotisserie and casing thereof
US20200345177A1 (en) Barbecue (bar-b-que) grill and smoker
US7044050B1 (en) Indoor barbecue system
US6230700B1 (en) Charcoal grill
KR200440870Y1 (ko) 다용도 숯불구이기
US20040025709A1 (en) Skewer holder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JP4590534B2 (ja) グリル調理器
KR200418470Y1 (ko) 야외용 바베큐 구이기
KR20130000819U (ko) 훈제 구이기
CN207613661U (zh) 一种多用烧烤炉
US20080283031A1 (en) Tripod griddle
US11559060B1 (en) Food smoker
JPH0951853A (ja) 簡易蒸し焼き鍋及びこれを収納する保冷ボックス
KR102644351B1 (ko) 구이 팬
US20140216270A1 (en) Food Skewer Device
KR102446457B1 (ko) 다용도 조립식 석쇠
RU217829U1 (ru) Узел вращения гриля
TWM466611U (zh) 一種烤蛤蜊維持平衡的器具
CN214180166U (zh) 一种具有防烫手烧烤架
CN214631730U (zh) 一种烤炉
CN210902661U (zh) 一种无烟多功能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