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85Y1 -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85Y1
KR200470285Y1 KR2020130007184U KR20130007184U KR200470285Y1 KR 200470285 Y1 KR200470285 Y1 KR 200470285Y1 KR 2020130007184 U KR2020130007184 U KR 2020130007184U KR 20130007184 U KR20130007184 U KR 20130007184U KR 200470285 Y1 KR200470285 Y1 KR 200470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door
assembly
holding b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436U (ko
Inventor
고항철
최병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8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에 커튼출납홀이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도어트림; 및 상기 도어트림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커튼출납홀을 통해 상측으로 인출되는 커튼부재와, 상기 커튼부재가 권취되는 커튼홀딩바를 구비하는 도어커튼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트림은, 상기 커튼출납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가로방향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트림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하우징부;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일측 측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트림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립브라켓; 및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커튼모듈의 일단이 체결되는 핀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홀딩바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커튼홀딩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핀;을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DOOR CURTAIN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도어커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한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커튼(door curtain) 또는 리어도어커튼(rear door curtain)은 승객에게 외부 노출이나 직사광선 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불사용시에는 도어트림 등의 내측에 접혀져 있다가 필요시 상측으로 전개되어 도어글라스 등을 가리고 차양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상기와 같은 도어커튼이나 리어도어커튼은 다수의 부품이 조립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수의 부품설비가 내장되는 도어트림 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도어트림의 조립공정을 길어지게 하는 한편,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왔다. 따라서 종래 도어커튼이나 리어도어커튼은 고급 차량 등 일부 제한된 차종에만 옵션사양으로 적용되었으며, 이에 다양한 차종에 널리 보급될 수 있는 형태의 차량용 도어커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한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에 커튼출납홀이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도어트림; 및 상기 도어트림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커튼출납홀을 통해 상측으로 인출되는 커튼부재와, 상기 커튼부재가 권취되는 커튼홀딩바를 구비하는 도어커튼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트림은, 상기 커튼출납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가로방향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트림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하우징부;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일측 측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트림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립브라켓; 및 상기 도어커튼모듈이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커튼모듈의 일단이 체결되는 핀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홀딩바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커튼홀딩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핀;을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는, 차량용 도어커튼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는 저가로 제작 가능하며, 기존의 고급차량 사양에 한하여 적용되었던 도어커튼을 소형차 등에도 폭넓게 보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는, 간소화된 구조로 오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결합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어글라스(door glass)를 생략하고 도시하였으며, 도 1의 경우 차량의 실내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 2의 경우 차량 바깥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100)는 도어트림(110) 및 도어커튼모듈(1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트림(110)은 차량용 도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트림(110)에 커튼출납홀(114) 및 하우징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튼출납홀(114)은 후술할 도어커튼모듈(120)의 커튼부재(122)가 출납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트림(110)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부(111)는 커튼출납홀(114) 하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11)는 후술할 도어커튼모듈(120)의 커튼홀딩바(121)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트림(11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커튼홀딩바(12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부(111)는 도어트림(11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11)는 도어트림(110)의 사출성형단계에서 도어트림(110)과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트림(110)에 하우징부(111)를 따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공수가 단축되고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사출성형단계에서 대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도어트림(110)은 측면부에 조립브라켓(112)을 구비할 수 있다. 조립브라켓(112)은 커튼홀딩바(121)가 하우징부(111)로 삽입 체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립브라켓(112)은 도어트림(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립브라켓(112)은 도어트림(110)의 측면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커튼홀딩바(12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어트림(110)에는 핀고정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핀고정부(113)의 커튼홀딩바(121)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커튼홀딩바(121)의 일단부에 마련된 스프링핀(121a)과 체결된다. 이때, 스프링핀(121a)과 핀고정부(113)는 볼팅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프링핀(121a) 및 핀고정부(113)에는 볼트체결홀(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110)에는 보강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살(111a)은 하우징부(111)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우징부(111)를 지지하는 한편, 도어트림(110)의 구조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어커튼모듈(120)은 하우징부(111)에 수용되도록 도어트림(110)에 조립된다. 도어커튼모듈(120)은 필요에 따라 도어글라스(미도시)를 가려 일종의 차양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커튼모듈(120)은 커튼홀딩바(121), 커튼부재(122) 및 어퍼커튼커버(123)로 구성될 수 있다.
커튼홀딩바(12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의 형태를 띄며, 외면에 커튼부재(122)가 권취된다. 또한, 커튼홀딩바(121)는 도어트림(110)에 형성된 하우징부(111)로 삽입되어 도어트림(110)과 조립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어트림(110)의 상측부에 형성된 하우징부(111)는 소정정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커튼홀딩바(121)는 상기와 같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도어트림(110)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커튼홀딩바(121)에 권취된 커튼부재(122)를 도어트림(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커튼출납홀(114)을 통해 상측으로 출납되게 된다.
한편, 커튼홀딩바(121)의 내측에는 코일스프링(121b)이 구비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21b)은 탄성력을 통해 커튼부재(122)가 커튼홀딩바(121)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커튼부재(122)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커튼부재(122)는 코일스프링(121b)의 탄성력에 의해 커튼홀딩바(121)에 자동적으로 감기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커튼부재(122)는 커튼홀딩바(121)에 권취되어 있으며, 커튼출납홀(114)을 통해 상측으로 전개되어 도어글라스 등을 차양하게 된다.
또한, 커튼부재(122)의 상단부에는 어퍼커튼커버(12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어퍼커튼커버(123)에는 걸림부(123a) 및 손잡이부(123b)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23a)는 커튼부재(122)를 전개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어글라스 상측에 형성된 걸림후크(미도시) 등과 결합되어 커튼부재(122)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123b)는 사용자가 커튼부재(122)를 상측으로 전개하거나 다시 하측으로 내리는 경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 어퍼커튼커버(12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부(123b)는 사용자의 파지 기능에 더하여, 커튼부재(122)가 커튼출납홀(114) 하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부(123a)가 상기 걸림후크 등과 결합 해제되면, 커튼부재(122)는 코일스프링(121b)의 탄성력에 의해 커튼홀딩바(121)에 권취되면서 내려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3b)는 도어트림(110)의 일측에 걸려 커튼부재(122)가 완전히 커튼출납홀(114) 하단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커튼모듈(120)은 커튼홀딩바(121)의 양 단이 각각 도어트림(110)에 체결되어 지지되게 된다. 즉, 커튼홀딩바(121)의 일단부는 도어트림(110)의 측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립브라켓(112)에 체결되어 지지되며, 타단부는 조립브라켓(112) 반대편에 형성된 핀고정부(113)에 체결되어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타단부에는 핀고정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스프링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핀(121a)은 핀고정부(113)에 볼팅 결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121b)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프링핀(121a)은 코일스프링(121b)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코일스프링(121b)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커튼부재(122)가 상측으로 전개시 코일스프링(121b)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는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먼저 도어트림(110)에 커튼홀딩바(121)를 조립시킨다. 이때, 커튼홀딩바(121)에는 커튼부재(122)만이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어퍼커튼커버(123)는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어트림(1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조립브라켓(112)은 도어트림(11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트림(110)에 형성된 하우징부(111)로 커튼홀딩바(121)를 용이하게 삽입시켜 조립 가능하다.
커튼홀딩바(121)가 하우징부(111)에 삽입되면, 작업자는 커튼홀딩바(121)의 일단부에 마련된 스프링핀(121a)을 핀고정부(113)에 볼팅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커튼홀딩바(121)의 일단부가 고정 지지된다. 또한, 작업자는 조립브라켓(112)을 도어트림(110)의 측면부에 체결시킨다. 이때, 커튼홀딩바(121)의 타단부는 상기 조립브라켓(112)의 내측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커튼홀딩바(121)는 양 단이 각각 핀고정부(113) 및 조립브라켓(11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튼홀딩바(121)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어트림(110) 상단부에 형성된 커튼출납홀(114)을 통해 커튼부재(122)를 소정정도 인출한다. 또한, 작업자는 인출된 커튼부재(122)의 상단부에 어퍼커튼커버(123)를 조립시킨다. 어퍼커튼커버(123)가 조립되면, 손잡이부(123b)에 의해 커튼부재(122)가 다시 커튼출납홀(114) 하단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100)는 도어트림(110)에 하우징부(111)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가 간소할 뿐만 아니라, 커튼홀딩바(121)의 삽입 및 고정과 같은 간단한 조립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100)는 도어커튼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는 한편,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기존의 고급차량 사양에 한하여 적용되었던 도어커튼을 소형차 등에도 폭넓게 보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는 간소화된 구조로 오작동이나 결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결함 발생시에도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110: 도어트림
111: 하우징부 111a: 보강살
112: 조립브라켓 113: 핀고정부
114: 커튼출납홀 120: 도어커튼모듈
121: 커튼홀딩바 121a: 스프링핀
121b: 코일스프링 122: 커튼부재
123: 어퍼커튼커버 123a: 걸림부
123b: 손잡이부

Claims (2)

  1. 상단부에 커튼출납홀(114)이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도어트림(110); 및
    상기 도어트림(110)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커튼출납홀(114)을 통해 상측으로 인출되는 커튼부재(122)와, 상기 커튼부재(122)가 권취되는 커튼홀딩바(121)를 구비하는 도어커튼모듈(120);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트림(110)은,
    상기 커튼출납홀(114)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가로방향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12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트림(11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하우징부(111);
    상기 도어커튼모듈(120)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일측 측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트림(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조립브라켓(112); 및
    상기 도어커튼모듈(120)이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커튼모듈(120)의 일단이 체결되는 핀고정부(113);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홀딩바(121)는,
    코일스프링(121b); 및
    상기 커튼홀딩바(121)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21b)과 연결되며, 상기 핀고정부(113)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핀(121a);을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120)은, 상기 커튼부재(122)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어퍼커튼커버(123)를 구비하되,
    상기 어퍼커튼커버(123)에는, 상기 커튼부재(122)가 상기 커튼출납홀(114) 하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손잡이부(123b)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KR2020130007184U 2013-08-27 2013-08-27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KR200470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84U KR200470285Y1 (ko) 2013-08-27 2013-08-27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84U KR200470285Y1 (ko) 2013-08-27 2013-08-27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037 Division 2012-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36U KR20130006436U (ko) 2013-11-06
KR200470285Y1 true KR200470285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184U KR200470285Y1 (ko) 2013-08-27 2013-08-27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49A (ja) 2001-06-05 2002-12-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4314841A (ja) 2003-04-17 2004-11-11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4314829A (ja) 2003-04-17 2004-11-11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1131807A (ja) 2009-12-25 2011-07-07 Toyota Boshoku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49A (ja) 2001-06-05 2002-12-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4314841A (ja) 2003-04-17 2004-11-11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4314829A (ja) 2003-04-17 2004-11-11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1131807A (ja) 2009-12-25 2011-07-07 Toyota Boshoku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36U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452Y1 (ko) 차량용 어닝
CN203332233U (zh) 机动车门槛使用的门框板组件
US9067520B2 (en) Seat backrest for a motor vehicle
CN105822152A (zh) 门锁装置的连接结构
KR102463200B1 (ko) 차량용 도어
KR200470285Y1 (ko) 차량용 도어커튼 어셈블리
WO2004030963A1 (en) Sun visor with mirror assembly
KR100725915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구조
JP468512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0833215B1 (ko) 차량용 필러트림의 조립장치
KR100893048B1 (ko)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조립체
CN109203934A (zh) 物体附接系统
KR101098853B1 (ko) 일체형 에어백 도어모듈
US20170113518A1 (en) Electric door curtain for vehicle
US2254947A (en) Vehicle sunshade
JP2008195267A (ja) 車両のトリ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KR101315797B1 (ko) 차량용 도어커튼 하우징 조립 구조
US20080163987A1 (en) Folding end cap
CN105774670A (zh) 车用遮物帘
KR200464066Y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조립구조
CN105539088A (zh) 用于车辆的车门窗帘
KR102645132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시 구조물
CN205632223U (zh) 一种汽车门顶拉手把
KR102586925B1 (ko) 채널을 접을 수 있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