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49Y1 - 레일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49Y1
KR200470249Y1 KR2020110008692U KR20110008692U KR200470249Y1 KR 200470249 Y1 KR200470249 Y1 KR 200470249Y1 KR 2020110008692 U KR2020110008692 U KR 2020110008692U KR 20110008692 U KR20110008692 U KR 20110008692U KR 200470249 Y1 KR200470249 Y1 KR 200470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delete delete
fastening devic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50U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이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제 filed Critical 이영제
Priority to KR2020110008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4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고, 레일을 중심으로 고정공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침목;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 제1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 지지턱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제2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 및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의 상부와 측면지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텐션클램프 등의 탄성부재를 고정할 수 있어 체결작업이 용이해 지고 소음과 진동을 감소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가 줄어들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레일체결장치{RAIL FAST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과 침목의 체결 공정이 간편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및 지지할 수 있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체결장치는 좌우 2개의 레일을 침목 및 기타 지지체에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궤간을 유지해 주며 차량 주행시에 차량에 의해 궤도에 가해지는 여러방향의 하중 및 진동, 주로 상하 방향력, 옆 방향력, 수평 레일 방향력에 저항하면서 이를 하부구조인 침목, 도상, 노반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주지된 레일체결장치는 크게 PR 클립 및 e 클립의 영국타입과, RN형 및 나브라형의 프랑스타입과, W형 및 보슬러형의 독일타입으로 구분된다.
영국타입과 프랑스타입은 본 고안과 관련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독일타입은 K형 레일 체결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이 레일 체결장치는 침목 상에 타이플레이트를 체결하고 누름 스프링을 장착시켜 레일을 체결하는 레일 체결장치로써 탄성체결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추후 독일 연방철도에서 W형의 누름 스프링이 채택되었으며, 누름 스프링으로는 선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0824호는 볼트와 선스프링을 이용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높고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형식은 중앙부가 레일 바닥부까지 늘려지며, 이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레일에서 떨어지므로 레일 교체가 가능하며, 체결 시에는 이를 조여서 2점을 닿게 하여 2단 탄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독일타입의 레일체결장치는 영국식 팬드롤 타입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틸팅이나 침목의 침하 등에 대비한 2중 안전장치를 갖고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차량이 레일을 주행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또 잦은 진동에 의해 타이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유발하므로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텐션클램프 등의 탄성부재를 고정할 수 있어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하고자 한다.
넷째, 부품 수를 줄여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고, 레일을 중심으로 고정공의 바깥쪽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침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1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지지턱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2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의 상부와 측면지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에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받침대는 중앙에 통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는 레일풋의 양측에서 레일의 좌우진동을 지지하는 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제2받침대는 제2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측면지지부는 측면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탄성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레일에서 멀어지는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W”형상이며,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 호형부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로 구성되며, 호형부와 꺽임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고, 절곡부는 측면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클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꺽임부에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와 레일풋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부가 안착되는 받침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U”형상이며, 양측에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연통되어 형성된 판상부, 상기 판상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만곡부로 구성되며, 판상부는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고, 만곡부는 측면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물결형상이며, 물결형상의 일측의 중앙부분은 직선형태로 끝부분이 위로 향하고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되고, 체결편의 양측에는 아래로 휘어지며 체결편과 분리되어 탄성편이 형성되며, 물결형상의 타측은 위로 휘어지게 형성된 끝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고, 레일을 중심으로 고정공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침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1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지지턱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2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의 상부 및 측면지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는 레일풋의 양측에서 레일의 좌우진동을 지지하는 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홈이 상부에 형성된 받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W”형상이며,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 호형부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로 구성되며, 호형부와 꺽임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받침턱에 의해 지지되고, 꺽임부는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며, 절곡부는 측면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클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상부에 제3통공이 형성되고 고정핀이 제3통공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가 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고, 레일을 중심으로 지지부재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침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1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지지턱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제2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의 상부와 측면지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받침대는 중앙에 통공된 홀이 형성되고, 지지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는 지지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측면지지부는 탄성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레일에서 멀어지는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절곡시킨 철근과 누름편으로 형성된 “W”형상이며,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 호형부의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되며, 호형부와 누름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고정핀이 누름편을 누르면 지지부는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고, 절곡부는 측면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클램프인 것인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부가 안착되고 하부는 레일풋에 안착되며, 수용홈에 수용되는 지지돌기가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침목, 제1받침대, 베이스플레이트, 제2받침대, 측면지지부, 레일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텐션클램프 등의 탄성부재를 고정할 수 있어 체결작업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소음과 진동을 감소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가 줄어들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4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변형실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평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정면도이다.
도 48은 도 4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9 내지 도 5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변형실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3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도 53의 정면도이다.
도 56은 도 53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고정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0)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공(12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40)이 형성된 침목(100); 상기 침목(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400); 상기 제1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500); 상기 지지턱(14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600); 상기 제2받침대(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200); 및 상기 고정공(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00)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0)의 상부와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침목(100)은 지반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에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고정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0)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공(12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지지부(600)가 상기 레일(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침목(100)에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요홈(160)이 상기 고정공(120)과 상기 지지턱(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하부와 상기 요홈(160)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레일(200)의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하부와 상기 요홈(160)은 서로 돌기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공(120)에는 매립전(840)을 매설하여 상기 고정볼트(800)를 상기 매립전(84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고정볼트(800)를 체결시에는 와셔(82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볼트(8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와셔(820)는 2개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와셔(820)는 서로 재질이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받침대(400)는 상기 침목(100)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받침대(400)는 중앙에 통공된 홀(44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8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홈(4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상기 레일(200)이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0)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단턱(320)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침목(100)에 고정되는 고정볼트(8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2홈(3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3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풋(320)이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받침대(5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와 상기 레일(200) 사이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레일(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받침대(5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상면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200)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받침대(500)의 하부로 절곡된 부분 사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600)는 상기 침목(100)의 지지턱(14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지지부(600)가 상기 레일(2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돌출부(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800)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탄성부재(700)가 상기 레일(200)이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지지부(600)는 상기 레일(200)에서 멀어지는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고정공(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00)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풋(220)의 상부와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볼트(800)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상기 탄성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일풋(220)의 상부와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일(200)이 상기 침목(10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침목(100) 위에는 상기 제1받침대(4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받침대(400) 위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위에는 상기 제2받침대(5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받침대(500) 위에는 상기 레일(20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와 상기 지지턱(140) 사이에는 측면지지부(6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와 상기 레일풋(220) 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800)를 상기 고정공(12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레일(200)이 상기 침목(10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받침대(400)와 상기 제2받침대(5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800)는 상기 제1홈(420) 및 상기 제2홈(340)을 지나 상기 고정공(120) 또는 상기 매립전(8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700)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80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7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00)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대략 “W”형상의 텐션클램프(7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714), 상기 호형부(714)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712),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716)로 구성되며, 상기 호형부(714)와 상기 꺽임부(716)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7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712)는 상기 레일풋(2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절곡부(718)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상기 고정볼트(800)에 의해 고정되어 탄력적인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일(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레일(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텐션클램프(710)를 구성하는 상기 호형부(714), 상기 지지부(712), 사이 꺽임부(716) 및 상기 절곡부(718)는 휘어진 정도, 길이, 폭 등을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클램프(710)의 꺽임부(716)에는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체결공(726)이 형성된 체결구(725)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725)와 상기 꺽임부(716)는 용접,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체결구(725)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텐션클램프(710)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체결구(725)를 중심으로 양측에 절곡된 철근을 결합하여 “W”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텐션클램프(710)의 지지부(712)와 상기 레일풋(220) 사이에는 받침(7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780)은 상부에 상기 지지부(712)가 안착되도록 받침홈(782)이 형성되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텐션클램프(710)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0)는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U”형상이며, 양측에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체결홈(740)이 연통되어 형성된 판상부(722), 상기 판상부(722)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만곡부(724)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부(724)는 상기 레일풋(2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만곡부(724)는 측면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상부(722) 중 아래쪽에 부분의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시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1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0)는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물결형상이며, 물결형상의 일측의 중앙부분은 직선형태로 끝부분이 위로 향하고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체결공(726)이 형성된 체결편(72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728)의 양측에는 아래로 휘어지며 상기 체결편(728)과 분리되어 탄성편(729)이 형성되며, 물결형상의 타측은 위로 휘어지게 형성된 끝단부(727)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상기 체결편(728)과 상기 탄성편(729)은 상기 고정볼트(80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탄성편(729)이 상기 레일풋(220)에 지지되고 상기 끝단부(727)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에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45 내지 도 4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구성 중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제외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레일(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고정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0)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공(12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40)이 형성된 침목(100); 상기 침목(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400); 상기 제1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500); 상기 지지턱(14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600); 상기 제2받침대(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200); 및 상기 고정공(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00)로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0)의 상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상기 레일(200)이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0)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단턱(320)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70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상부에 형성된 받침턱(360)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침목(100)에 고정되는 고정볼트(8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2홈(3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3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풋(320)이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00)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대략 “W”형상의 텐션클램프(7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714), 상기 호형부(714)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712), 상기 고정볼트(800)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716)로 구성되며, 상기 호형부(714)와 상기 꺽임부(716)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7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712)는 상기 받침턱(36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꺽임부(716)는 상기 레일풋(2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절곡부(718)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상기 고정볼트(800)에 의해 상기 레일풋(2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및 상기 측면지지부(600)를 고정시켜 탄력적인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일(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레일(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44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구성 중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제외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상부에 제3통공(980)이 형성되고 고정핀(960)이 상기 제3통공(980)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900)가 상기 레일(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90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40)이 형성된 침목(100); 상기 침목(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400); 상기 제1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500); 상기 지지턱(14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상기 레일(200)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600); 상기 제2받침대(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200); 및 상기 고정핀(960)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0)의 상부와 상기 측면지지부(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받침대(400)는 상기 침목(100)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받침대(400)는 중앙에 통공된 홀(44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9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통공(4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상기 레일(200)이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침목(10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9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2통공(38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00)는 절곡시킨 철근과 누름편(730)으로 형성된 대략 “W”형상의 텐션클램프(7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714); 상기 호형부(714)의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712);로 구성되며, 상기 호형부(714)와 누름편(730)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7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960)이 상기 누름편(730)을 누르면 상기 지지부(712)는 상기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절곡부(718)는 상기 측면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클램프(710)는 상기 지지부재(900)에 결합된 고정핀(960)에 의해 고정되어 탄력적인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일(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레일(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900)는 상기 제3통공(980) 아래에 수용홈(920)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지지부(712)가 안착되고 하부는 상기 레일풋(220)에 안착되며, 상기 수용홈(920)에 수용되는 지지돌기(764)가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7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760)는 상기 텐션클램프(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900)와 상기 레일풋(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200)이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침목 120 : 고정공
140 : 지지턱 160 : 요홈
200 : 레일 220 : 레일풋
300 : 베이스플레이트 320 : 단턱
340 : 제2홈 360 : 받침턱
380 : 제2통공 400 : 제1받침대
420 : 제1홈 440 : 홀
460 : 제통공 500 : 제2받침대
520 : 고정편 600 : 측면지지부
620 : 돌출부 700 : 탄성부재
710 : 텐션클램프 712 : 지지부
714 : 호형부 716 : 꺽임부
718 : 절곡부 722 : 판상부
724 : 만곡부 725 : 체결구
726 : 체결공 727 : 끝단부
728 : 체결편 729 : 탄성편
730 : 누름편 740 : 체결홈
760 : 지지대
764 : 지지돌기 780 : 받침
782 : 받침홈 800 : 고정볼트
820 : 와셔 840 : 매립전
900 : 지지부재 920 : 수용홈
960 : 고정핀 980 : 제3통공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상부에 제3통공이 형성되고 고정핀이 상기 제3통공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가 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침목;
    상기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
    상기 제1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
    상기 지지턱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상기 제2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의 상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에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는 중앙에 통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대는 상기 제2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에서 멀어지는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절곡시킨 철근과 누름편으로 형성된 “W”형상이며,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호형부;
    상기 호형부의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호형부와 누름편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누름편을 누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풋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고 하부는 상기 레일풋에 안착되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지지돌기가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KR2020110008692U 2011-09-28 2011-09-28 레일체결장치 KR200470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92U KR200470249Y1 (ko) 2011-09-28 2011-09-28 레일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92U KR200470249Y1 (ko) 2011-09-28 2011-09-28 레일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50U KR20130002150U (ko) 2013-04-05
KR200470249Y1 true KR200470249Y1 (ko) 2013-12-11

Family

ID=5075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692U KR200470249Y1 (ko) 2011-09-28 2011-09-28 레일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0755U1 (ru) * 2022-02-25 2022-04-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ЛОГИИ-69» Узел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RU2774477C1 (ru) * 2021-11-09 2022-06-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С-Комплект" Плит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102521737B1 (ko) 2022-05-16 2023-04-25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클램프 체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503B1 (ko) * 2018-04-17 2019-04-23 이국현 물유입 방지 커버를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KR101971501B1 (ko) * 2018-04-20 2019-04-23 이국현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502U (ja) * 1992-05-06 1993-12-07 興和化成株式会社 レール締結装置
KR20030061271A (ko) * 2002-04-16 2003-07-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레일의 체결구조
KR20070025013A (ko) * 2005-08-31 2007-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레일체결장치
JP2010529328A (ja) * 2007-06-01 2010-08-26 シュヴィハ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軌条施設用の摩擦締結する弾性レール固定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502U (ja) * 1992-05-06 1993-12-07 興和化成株式会社 レール締結装置
KR20030061271A (ko) * 2002-04-16 2003-07-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레일의 체결구조
KR20070025013A (ko) * 2005-08-31 2007-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레일체결장치
JP2010529328A (ja) * 2007-06-01 2010-08-26 シュヴィハ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軌条施設用の摩擦締結する弾性レール固定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74477C1 (ru) * 2021-11-09 2022-06-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С-Комплект" Плит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RU210755U1 (ru) * 2022-02-25 2022-04-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ЛОГИИ-69» Узел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102521737B1 (ko) 2022-05-16 2023-04-25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클램프 체결기
RU2786900C1 (ru) * 2022-09-01 2022-12-26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еверсталь" (ПАО "Северсталь") Узел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50U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49Y1 (ko) 레일체결장치
TWI547620B (zh) 鐵道軌固定裝置
KR101050490B1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의 설치방법
CN106062278B (zh) 一种用于引发剪切载荷的具有外箱的铁轨紧固装置
US9228297B2 (en) Rail support assembly with improved shoulder
KR101530965B1 (ko) 전단하중 유도용 외함을 구비한 레일 체결장치
KR101305455B1 (ko) 레일체결장치
JP4856449B2 (ja) タイプレート摩耗防止レール締結装置
KR20120008725U (ko) 레일체결장치
KR20140000963U (ko) 레일체결장치
KR200465375Y1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KR100329814B1 (ko) 철도 체결장치
KR101094876B1 (ko) 레일용 절연패드의 이탈방지 장치
JP4610378B2 (ja) レール締結装置
KR20140000429U (ko) 교량용 레일체결장치
CN216551363U (zh) 一种轨道扣件系统
KR101922901B1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CN203383110U (zh) 一种可防止弹条过安装的铁垫板
KR100661607B1 (ko)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KR200410831Y1 (ko) 스프링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200208334Y1 (ko) 지접법에의한 궤도 이음매부 절연체결장치
KR20120036119A (ko) 목재 침목용 레일 체결구
KR100661608B1 (ko)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KR20100011450A (ko) 레일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