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01B1 -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901B1
KR101922901B1 KR1020160116480A KR20160116480A KR101922901B1 KR 101922901 B1 KR101922901 B1 KR 101922901B1 KR 1020160116480 A KR1020160116480 A KR 1020160116480A KR 20160116480 A KR20160116480 A KR 20160116480A KR 101922901 B1 KR101922901 B1 KR 10192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n
rear end
pin
clip holder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149A (ko
Inventor
최성규
이수원
Original Assignee
경원스프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스프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원스프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 중앙 핀의 후단과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중앙 핀의 후단과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 핀이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은, 중앙 핀을 클립 홀더에 삽입 체결시킨 후, 슬리브를 통해 중앙 핀의 양측에 높이를 달리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제1측면 핀은 레일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가 구비될 경우 패드 상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측면 핀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는 걸림고정부를 돌출 형성하여, 중앙 핀이 클립 홀더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 레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Elastic clip for rail fixing}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을 베이스플레이트에 결속되게 하는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인 열차가 운행하는 레일은 침목(나무,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됨) 상측으로 클립 홀더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측으로 레일이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레일을 고정하는 결속수단으로 탄성 클립이 사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한 레일의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패드가 사용된다.
특히, 탄성 클립은 레일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결속수단으로 사용되는 바, 레일의 안전과 직결되어 높은 제품 신뢰도가 요구된다. 특히, 탄성 클립은 열차의 운해시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과 진동이 전달되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과 함께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기능이 요구된다.
여기서, 탄성 클립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 홀더에 삽입되는 제1토우, 레일과 접하는 제2토우 및, 홀더 받침과 접하는 제3토우가 각각 아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클립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금속 재질의 봉을 밴딩하여 토우와 아치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가공하고, 완성된 탄성 클립의 각 토우와 아치는 동일한 지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클립에 형성된 아치수와 동일한 밴딩 공정이 진행되므로, 탄성 클립에 많은 아치가 있거나 밴딩 부분이 있다면 그 만큼 많은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탄성 클립에 아치를 형성하는 이유는, 직선 형태의 3개의 토우를 형성하기 위함이나, 토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치가 클립의 탄성기능을 하고 있어 레일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속을 견고히 하고, 열차의 운행에서 발생하는 레일의 진동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의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탄성 클립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밴딩 공법은, 외형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각각의 벤딩 금형을 제작하고 하나의 탄성 클립을 완성하기까지 각각의 밴딩 금형을 결합한 여러 장비(밴딩기, 프레스)에서 순차적으로 밴딩을 하는 제조형태여서, 탄성 클립의 생산성은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이유로 탄성 클립의 높은 제조 가격이 형성되어, 레일을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과도한 밴딩으로 소재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탄성 클립의 토우 부분과 아치 부분의 내구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구성의 차이로 인해 반복되는 진동과 충격으로 아치 부분에 균열 및 복원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레일의 결속상태가 취약해져 제품으로서 가치가 상실되는 문제가 있으며, 탄성 클립이 체결상태에서 이탈되어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선출원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09039호(2014.09.1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강도의 개선과 체결의 유지 및 체결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 핀 및 상기 제2측면 핀은, 상기 중앙 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 핀의 길이 및 상기 제2측면 핀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중앙 핀 길이는, 상기 제1측면 핀 길이 또는 상기 제2측면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1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는,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2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 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아치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고정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고정부는,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은, 중앙 핀을 클립 홀더에 삽입 체결시킨 후, 슬리브를 통해 중앙 핀의 양측에 높이를 달리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제1측면 핀은 레일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가 구비될 경우 패드 상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측면 핀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는 걸림고정부를 돌출 형성하여, 중앙 핀이 클립 홀더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 레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100)은, 중앙 핀(110), 제1측면 핀(120), 제2측면 핀(130), 슬리브(140), 걸림고정부(150)를 구비한 상태로 철도의 선로에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목(1)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2)가 고정되고, 고정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 중앙에 레일(4)을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위치한 레일(4)의 위치를 잡아주는 패드(5)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결속하도록, 클립 홀더(3)를 이용하여 일 실시예의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1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체결한다. 이때, 일 실시예의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100)은 상기 패드(5)를 사용하지 않은 선로에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앙 핀(11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클립 홀더(3)에 삽입 결합되는 바 부재이다. 즉, 상기 중앙 핀(110)은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1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걸림상태로 체결 설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중앙 핀(110)은 작업자에 의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클립 홀더(3)에 삽입 체결 및, 베이스 플레이트(2)의 클립 홀더(3)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해체를 용이하게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곡선지게 휘어진 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은, 상기 중앙 핀(110)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 부재이다. 이때, 상기 제1측면 핀(120)은 상기 레일(4)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5)가 구비될 경우 패드(5) 상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 핀(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 핀(120)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측면 핀(120)의 길이 또는 상기 제2측면 핀(130)의 길이는 상기 중앙 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 핀(11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클립 홀더(3)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 핀(120)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은, 상기 중앙 핀(11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은 각각 상기 중앙 핀(110)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핀(110)과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을 체결 설치시, 상기 클립 홀더(3)와, 상기 레일(4)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5)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 높이 차이에 상관없이 상기 중앙 핀(110)과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을 안정적인 안착상태로 체결 가능하게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핀(110)과 상기 제1측면 핀(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 'a'는, 상기 중앙 핀(110)과 상기 제2측면 핀(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핀(11)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제1측면핀(120)은 상기 레일(4)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5)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걸림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측면 핀(1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 양단, 즉 선단 및 후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아치형상의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131)는 상기 클립 홀더(3)에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을 먼저 삽입 체결한 상태에서,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2측면 핀(130)의 후단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제2측면 핀(130)의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 상면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측면 핀(110)은 상기 중앙 핀(11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4)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5)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제1측면 핀(120)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을 각각 상기 중앙 핀(110)의 양측에 단일 구조로 연결되게 한다. 즉,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중앙 핀(110)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120)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110)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의 후단을 각각 단일 구조로 연결하도록 한 쌍을 구비하게 된다. 이같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중앙 핀(110)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12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140)의 양측은 각각 상기 중앙 핀(110)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120) 후단의 상호 마주보는 면부에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타측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중앙 핀(110)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13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140)의 양측은 각각 상기 중앙 핀(110)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120) 후단의 상호 마주보는 면부에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제1측면 핀(110) 및 상기 제2측면 핀(120)을 상기 중앙 핀(110)보다 상방에 배치하도록 상기 중앙 핀(110)에서 각각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 방향으로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중앙 핀(110)과 상기 제1측면 핀(110) 및 상기 제2측면 핀(120)을 상호 단일 구조로 연결 결합시,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140)의 선측, 즉 상기 중앙 핀(110)을 상기 클립 홀더(3)에 삽입시, 상기 클립 홀더(3)와 접촉하는 면부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접촉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141)는 상기 클립 홀더(3)와 상기 슬리브(140)의 접촉시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레일(4) 상에서 운송수단의 이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경우, 슬리브(140) 또는 상기 클립 홀더(3)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고정부(150)는 상기 중앙 핀(110)을 상기 클립 홀더(3) 내측에 삽입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클립 홀더(3)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고정부(150)는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핀(110)이 상기 클립 홀더(3)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상기 중앙 핀(110)의 이동으로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이 상기 클립 홀더(3)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정부(150)는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 상면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고정부(150)는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 상면에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돌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정부(150)가 형성된 상기 중앙 핀(110) 선단 높이 'h1'는,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을 상기 클립 홀더(3)의 내측으로 해머와 같은 수단으로 가압하면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관통한 후, 상기 클립 홀더(3)를 통해 상기 중앙 핀(1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클립 홀더(3)의 내측 높이 'h2'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중앙 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제1측면 핀(120) 및 상기 제2측면 핀(130)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슬리브(140)로 연결 형성한 구조인 바, 단조공법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체결의 편리성 및 강도의 변형이 적어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100)은, 상기 중앙 핀(110)을 상기 클립 홀더(3)에 삽입 체결시킨 후, 상기 슬리브(140)를 통해 상기 중앙 핀(110)의 양측에 높이를 달리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측면 핀(120)은 상기 레일(4) 하단의 저부 상면, 또는 패드(5)가 구비될 경우 패드(5) 상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 핀(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에 안착 상태로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핀(110)의 선단 상면에는 걸림고정부(150)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중앙 핀(110)이 상기 클립 홀더(3)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철도 레일(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탄성클립 110: 중앙핀
120: 제1측면 핀 130: 제2측면 핀
131: 돌출부 140: 슬리브
141: 접촉부 150: 걸림고정부

Claims (9)

  1.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 핀 및 상기 제2측면 핀은, 상기 중앙 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핀의 길이 및 상기 제2측면 핀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중앙 핀 길이는, 상기 제1측면 핀 길이 또는 상기 제2측면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1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는,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2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아치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5.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 핀의 길이 및 상기 제2측면 핀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중앙 핀 길이는, 상기 제1측면 핀 길이 또는 상기 제2측면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6.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1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는, 상기 중앙 핀과 상기 제2측면 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의 간격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7.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 핀의 저면에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아치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8.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고정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상의 돌기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9.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침목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클립홀더에 삽입 설치하는 중앙 핀과;
    직선형의 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핀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하는 제1측면 핀 및 제2측면 핀과;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1측면 핀의 후단 및, 상기 중앙 핀의 후단과 상기 제2측면 핀의 후단을 단일 구조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중앙 핀의 선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핀이 상기 클립홀더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홀더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고정부는,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돌기인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KR1020160116480A 2016-09-09 2016-09-09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KR10192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80A KR101922901B1 (ko) 2016-09-09 2016-09-09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80A KR101922901B1 (ko) 2016-09-09 2016-09-09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49A KR20180029149A (ko) 2018-03-20
KR101922901B1 true KR101922901B1 (ko) 2018-11-30

Family

ID=6191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80A KR101922901B1 (ko) 2016-09-09 2016-09-09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9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49A (ko)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0393A1 (en) Connection element for running rails and running-rail system
CN101321915A (zh) 悬架轨道紧固装置
US4379521A (en) Spring rail fastening system
KR101050490B1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의 설치방법
US20110121088A1 (en) Wheel Guard Device
JP4287883B2 (ja) 編機バー
CA2834013C (en) Rail support assembly with improved shoulder
WO2020101840A1 (en) Roadway barrier apparatus
KR101922901B1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KR200470249Y1 (ko) 레일체결장치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20130084689A (ko)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KR101305455B1 (ko) 레일체결장치
JP2007239208A (ja) タイプレート摩耗防止プロテクタ付きレール締結装置
EP2727792A1 (en) Device protecting rail cars against climbing in case of a railway collision
US10519609B2 (en) Rail clip
US6883886B2 (en) Drawer guide
US1728188A (en) Bail anchob
JP4845616B2 (ja) 受台抜け出し防止機構付きレール締結装置
KR102204349B1 (ko) 레일 고정장치
KR101094876B1 (ko) 레일용 절연패드의 이탈방지 장치
US2717740A (en) Rail anchor with positive applying stop
US2648500A (en) Rail fastening device
US3973807A (en) Wire cable chain with detachable traveling cushions
AU2018202357B2 (en) Clam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