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689A -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689A
KR20130084689A KR1020137014447A KR20137014447A KR20130084689A KR 20130084689 A KR20130084689 A KR 20130084689A KR 1020137014447 A KR1020137014447 A KR 1020137014447A KR 20137014447 A KR20137014447 A KR 20137014447A KR 20130084689 A KR20130084689 A KR 2013008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lamp
rail clamp
torsiona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694B1 (ko
Inventor
니콜라이 크리크
Original Assignee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8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Railway Track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3), 상기 중심부(3)로부터 측방향으로 분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부(9, 10), 상기 비틀림부(9, 10)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7, 8) 및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암(13, 14)을 포함하는 레일(S)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를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와 시스템은 높은 내구 강도를 가지고 상당한 내리 누르는 힘을 인가할 수 있고, 동시에 레일 부착의 점진적인 마모 중에도 레일에 강하게 내리 누르는 힘을 적절하게 연속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것은 유지 암(13, 14)이 레일 클램프(1)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단부 부분(19, 20)이 중심부(3)와 각각의 유지 암(13, 14)과 연관된 비틀림부(9, 10)의 종축을 향해 지향되도록, 단부 부분(19, 20)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만곡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만곡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CLAMP FOR ATTACHING A RAIL AND SYSTEM PROVIDED WITH SUCH A CLAMP}
본 발명은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램프는 중심부, 중심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분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부, 비틀림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 및 전이부에 연결되며 단부 부분이 자유 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동안에 고정시킬 레일의 풋에 레일 클램프를 각각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암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들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강으로 일체로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레일 풋, 레일 풋에 위치된 스템 및 레일 헤드를 가지는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안내 판, 안내 판에 유지되는 레일 클램프 및 레일을 지지하는 기초부에 대해 레일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유형의 레일 시스템과 레일 클램프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공보 제3,690,551A호 및 미국특허공보 제3,439,874A호에 기재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 특허로부터 공지된 ω-형상의 유지 암은 단부 부분에 의해 경로가 만곡되어 있고, 단부 부분의 단부 면들이 서로를 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부 부분들 자신은 각각과 관련된 레일 클램프의 비틀림부에 대해 평행하게, 곡형이거나 직선형을 이룰 수 있다.
최종 조립 위치에서, 유지 암의 자유 단부가 고정시킬 레일의 풋 위에 놓인다. 레일 클램프의 중심부는 체결 나사의 축 주위를 둥글게 감고 있다. 레일이 위치 결정된 후에, 레일 클램프는 레일 풋을 향해 이동되고 나사의 조임에 의해서 최종 조립 위치로 눌려진다. 내리 누르는 작용은 유지력을 생성하는 레일 클램프의 고정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 유지력은 레일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고 유지 암에 의해 레일 풋 위로 탄성적으로 전파된다.
또한 최초에 언급된 유형의 레일 클램프 및 시스템은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0 2007 046 543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시스템에서, 레일 클램프는 레일을 누르기 위해 필요하고, 고정시킬 레일의 종방향으로 측정된 지지판의 길이를 염두에 두면서, 레일 클램프의 유지 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의 최대 휨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탄성 유지력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유지 암의 단부 부분이, 조립 위치에서 부착될 레일의 스템쪽으로 지향하도록 비틀림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각지게 벗어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 인해, 한편으로는 사용하는 동안에 유지 암이 그 단부 부분에 의해 레일의 풋에 필요한 내리 누르는 힘을 가하는 각각의 단부 부분의 자유 단부에 형성되는 협소하게 한정된 지지 영역이 부착될 레일 스템 방향으로 레일 풋으로부터 배치된다. 이것은, 철도 차량이 레일 위를 운행할 때 발생하는 횡단력의 결과로서, 지지 판에 있을 수 있는 부정확한 측면의 지지의 결과로서, 심지어 레일 풋이 그 종방향에 대해 과도한 정도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유지력이 각각의 유지 암으로부터 레일 풋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레일 스템의 방향의 지지 영역의 배치가 바람직하지 않은 비틀림 작용에 대해 강한 반발을 생성시켜서, 특히, 레일 클램프의 조립시 위치 교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언급된 시스템을 이용한 실제적인 경험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횡방향 변위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레일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레일 클램프의 유지 암들의 단부 부분들의 각진 형상이다.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공지된 시스템에 사용된 레일 클램프의 특정 형상이 스프링의 최대 탄성에 관해서는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그런데, 실질적인 내리 누르는 힘을 인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내구 한도를 가지는 레일 클램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예를 들면, 수많은 사이클의 극히 무거운 수송 수단 열차 수송의 경우에 존재한다.
상기 설명된 종래 기술의 배경에 대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내구 한도를 가지고 내리 누르는 힘을 크게 인가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레일 부착 수단의 점진적인 마모 중에도 레일 위에 작용하는 적절히 크게 내리 누르는 힘을 지속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레일을 부착하는 레일 클램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 클램프에 관련해서는 레일 클램프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부착하는 시스템에 관련해서는 레일을 부착하는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레일 클램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종속항들에 설명되어 있고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이 설명되듯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최초에 개시된 종래 발명에 따라, 레일을 부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측면으로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부, 상기 비틀림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 및 상기 전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암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암의 자유 단부에 단부 부분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레일 클램프가 각 경우에서 사용 중에 부착될 레일의 풋 위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 클램프의 유지 암이, 레일 클램프의 평면에서 보면 단부 부분이 각각의 유지 암과 연관된 비틀림부의 중심부와 종축을 향해서 지향되도록 그 단부 부분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만곡 부분에서 계속적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경우에, 각각의 유지 암에 존재하는 단부 부분이 설치 위치에서 만곡되고 레일 클램프의 각각의 유지 암과 연관된 비틀림부의 종축을 향해 부착되는 레일의 스템으로부터 떨어져서 지향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지 암의 단부 부분을 구비한 만곡 부분의 곡률이 바람직하게는 한 평면에서의 곡률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상기 곡률은 3 개의 공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단부 부분에 협소하게 한정된 대략 점 형상인 지지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단부 부분이 사용하는 동안에 고정시키는 레일의 풋에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라 만곡된 단부 부분의 영역에 있으며 사용 중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를 레일 풋의 표면에 지지시키며 협소하게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지지 표면이, 각각의 유지 암과 연관된 비틀림부로부터 레일의 종축 길이 범위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에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거리는 레일 클램프의 상부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레일의 종방향 길이 범위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측정된 최대 거리보다 짧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자유 단부까지 만곡된 유지 암은, 그 곡률로 인해 종래의 레일 클램프에 비해 증가된 총길이를 가지며, 사용 중에 비틀림부에서 그 단부 부분의 지지 표면까지 부착될 레일의 스템의 방향으로 지지 표면에 대해서 돌출된다. 이 증가된 길이와 만곡된 형상으로 인해, 상기 유지 암은 손상될 위험 없이 교대로 높은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에 의해, 레일 클램프의 최적화된 내구 강도가 인가되는 내리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마모의 결과로서, 레일이 레일 클램프가 지지되는 안내 판에 대해서 그리고 레일의 종방향 크기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레일 클램프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동등하게 확실한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단부 부분을 안내하는 유지 암과 단부 부분 자체의 만곡 부분의 만곡 형상은 레일 풋과 레일 클램프 사이의 안정적인 접촉이 있는 것과 마모로 인한 안내 판과 레일 풋 사이의 형성된 갭이 형성될 때에도 레일 풋에 적절하게 내리 누르는 힘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는데, 상기 갭은 너무 커서 레일 풋에 작용하는 단부 부분이 그 길이의 일부분을 넘어 이 갭 위에 돌출한다. 이 경우에, 레일 클램프가 레일 풋 위에 지지 표면에 의해 더 이상 누르지 않아도, 각각의 단부 부분의 새로운 조건이 가해지면, 레일 클램프의 비틀림부의 방향 또는 그 가상 연장 부분 또는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만곡된 단부 부분의 형상에 의해, 레일 클램프가 이 경우에서도 여전히 레일 위에서 안전하게 작용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레일 클램프는, 레일이 배치될 때 레일 풋 위에 레일 클램프의 만곡된 단부 부분과 함께 "구르고" 마모로 인한 레일의 배치에 따른 결과로서 레일에 작용하는 단부 부분에 의해 지지 표면이 또한 배치된다. 이 효과는, 특히, 단부 부분이 3 개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될 때, 즉 사용 중에 협소하게 한정된 대략 점 형태의 표면에 의해 레일 풋 위에 놓일 때 발생한다.
상기 형상으로 인해, 레일 클램프의 만곡된 부분의 비교적 넓은 만곡부로 안내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유지 암은 길이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 유지 암의 탄성이 더 강해지고 따라서 부하가 더 낮아지고 이에 의해 유지 암의 내구 강도가 증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단부 부분과 연관된 비틀림부 사이의 최단 거리가 유지 암의 최소 길이의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된 조립 시스템의 새로운 상태에서 이 거리는 비틀림부와 안내 판의 접촉 표면과 연관된 레일 풋의 에지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커야한다. 이 방식으로, 마모 또는 조립 오차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레일 풋과 안내 판의 부정확한 정렬이 있을 때에도, 단부 부분이 항상 필요한 내리 누르는 힘을 인가하도록 충분한 길이에 걸쳐서 레일 풋에 놓인다.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렬의 장점과 레일 클램프의 단부 부분의 형상의 장점은, 유지 암의 만곡된 단부 부분의 길이가 비틀림부의 길이의 적어도 20 %에 상당할 때 특별히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암의 변형례에 따르면, 유지 암이, 예를 들면, 큰 거리를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에 직선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각각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면의 만곡된 부분만이 연속적으로 만곡된다.
다른 변형례에 따르면, 전체 유지 암이 연속적인 만곡 부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지 암에서 작용하는 응력이 최대 내구 강도가 달성되도록 감소될 수 있다. 동시에, 이 형상으로, 레일 클램프를 제조하기 쉽다.
유지 암은 분기 과정 중에, 최소의 변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 암의 유지 부분에 대해 시작 부분부터 유지 암의 단부 부분을 정렬할 수 있고, 레일 클램프가 이완되었을 때 이미 레일 풋의 표면에 놓이게 된다. 이런 목적으로, 유지 암이 낮은 고유 탄성을 갖는 레버로서만 가능한 한 작용하도록 유지 암의 형상과 정렬이 선택되기 때문에, 체결된 상태에서 레일 클램프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 힘이 실질적으로 비틀림부의 비틀림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생성된다. 이는 유지 암이 비틀림부에 대해 정렬됨에 있어 비틀림부와 유지 암이 레일 클램프의 위로부터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80°내지 110°의 각도를 포함하고, 특히,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는 제조 가능성의 범위 내인 90°에 근접하는 각도를 포함하는 범위인 85° 내지 95°의 각도를 포함하도록 정렬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유지 암의 강성은, 비틀림부가 80° 내지 100°의 각도로 통과하는 평면에서 유지 암의 만곡 부분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실제로, 유지 암의 만곡 부분의 이 방위는, 유지 암과 비틀림부 사이의 전이부가 레일 클램프가 수평 표면에 있고, 80° 내지 110°의 각도 영역을 포함할 때 위로 지향하는 곡선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유지 암의 각각의 부분이 만곡되었을 때, 유지 암의 형상이 높은 탄성의 내리 누르는 힘 아래에서 또는 레일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는 유지 암이 측면도에서의 이 부분의 영역에서 만곡되거나 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그 단부 부분이 또한 항상 레일 풋 위에 최적의 위치가 된다.
비틀림부의 내리 누르는 힘의 생성의 집중화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부와 비틀림부가 이루는 각도가 80°내지 110°의 각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중심부는 또한 그 자체가 탄성적으로 휘어짐이 없이 비틀림부의 비틀림을 위한 레버로서만 실질적으로 작용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레일 클램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들은, 연속적으로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강선으로부터 하나의 온전한 개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보관과 취급은, 만곡 단부의 자유 단부와 중심부 사이의 간격이 중심부, 비틀림부, 전이부, 유지 암 및 단부 부분의 두께 중 가장 작은 두께보다 더 작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느슨하게 보관된 레일 클램프가 서로 얽히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는, 중심부가 그 중심부로부터 분기한 두 개의 마주보는 비틀림부에 의해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비틀림부에는 만곡된 단부 부분을 가진 각각의 유지 암이 각각의 전이부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에서, 공지된 레일 클램프와 마찬가지로 거울 대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는 W-형상 또는 ω-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추구되는, 비틀림부의 탄성적인 내리 누르는 힘의 생성을 집중시키는 것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클램프를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틀림 암의 길이는 안내 판 위에서 안내되는 적어도 각 유지 암의 부분들을 위해 각각 충분히 짧게 산정된다.
이하에, 본 발명이 전형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도 4에 표시된 단면 선 X-X를 따른, 도 4에 도시된 부착점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에 사용된 레일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레일 클램프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레일 부착을 위한 두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부착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부착점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1: 레일 클램프
2: 기초부(U)의 접촉 표면
3: 각 레일 클램프(1)의 중심부
4, 5: 각 레일 클램프(1)의 림(limb)
6: 중심부(3)의 연결 부분
7, 8: 각 레일 클램프(1)의 전이부
9, 10: 각 레일 클램프(1)의 비틀림부
11, 12: 각 레일 클램프(1)의 전이부
13, 14: 각 레일 클램프(1)의 유지 암
15, 16: 각 레일 클램프(1)의 유지 암의 부분
17, 18: 각 레일 클램프(1)의 전이부
19, 20: 각 레일 클램프(1)의 단부 부분
21, 22: 각 레일 클램프(1)의 지지 표면
23: 안내 판(23)
24: 인장 나사
a: 간격
B: 안내 판의 폭(23)
d: 각 레일 클램프(1)의 스프링 강의 두께
E: 탄력 층
F: 레일(S)의 풋
G: 레일(S)의 스템
L: 비틀림부(9, 10)의 종축
Le: 단부 부분(19, 20)의 길이
Lt: 비틀림부(9, 10)의 길이
Lh: 유지 암(13, 14)의 길이
M: 유지 암의 부분(15, 16)의 중심축
N1, N2: 평면
O: 레일 풋(F)의 상부 측
S: 레일
S1, S2: 레(S)일을 부착하는 시스템
U; 기초부
w: 레일 클램프(1)의 비틀림 암(9, 10)과 각 경우에 연관된 단부 부분(19, 20)의 단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
v: 레일 클램프의 비틀림 암(9, 10)과 각 경우에 연관된 레일 풋(F)의 에지 사이의 거리
α, β: 각도
X, Y, Z: 공간의 방향
여기서 예를 들면, 콘크리트 침목에 의해 형성된 기초부(U)에 지지된 레일(S)을 부착하기 위한 연속적인 곡선 형상의 스프링 강선으로부터 완성체로 형성된 레일 클램프(1)는 상기 기초부(U)의 접촉 표면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N1)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구성된다. 레일 클램프는, 2 개의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림(limb)(4, 5)들과, 림(4, 5)들과 함께 결합되고 부착될 레일(S)의 풋(F)과 연관되어 있는 반원 형상 연결 부분(6)을 구비하며 평면도(도 4)에서 U-형상인 고리 형태의 중심부(3)를 가진다.
측방향으로 분기된 각각의 비틀림부(9, 10)가, 90°만큼 만곡된 각각의 전이부(7)에 의해 중심부(3)의 각 림(4, 5)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비틀림부(9, 10)가 중심부(3)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향되고, 평면에서 보면, 각각 대략 90°의 각도로 상기 중심부의 비틀림부와 각각 연관된 림(4, 5)들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레일 클램프(1)가 그 하부 측면에 위치되었을 때 대략 90°의 각도를 구성하는 원형 아치의 위로 이어지는 전이부(11, 12)들이, 각각, 중심부(3)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틀림부(9, 10)의 단부에 추가로 연결된다.
전이부(11, 12)들 각각이 각각의 비틀림부(9, 10)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만곡된 유지 암(13, 14)에 합체된다. 3 공간 방향 X, Y, Z에서 연속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인해, 유지 암(13, 14)은 이를테면 각 경우에 개별적인 곡선 부분이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각의 전이부(11, 12)에 연결된 유지 암의 부분(15, 16)은, 비틀림부(9, 10)에 연관된 각각의 경우에, 대략 90°인 각도 β를 포함하므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은 중심부(3)의 림(4, 5)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유지 암(13, 14)의 각 부분(15, 16)이 대략 90° +/- 5°의 각도에서 각각의 경우에 비틀림부(9, 10)를 통과하는 공통 종축(L)을 통한 평면(N2)으로 이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유지 암(13, 14)의 각 부분(15, 16)이 돔의 지주형태로 만곡되고 대략 180°의 각의 영역을 둘러싼다.
각각의 비틀림부(9, 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들의 단부에서, 유지 암(13, 14)의 각 부분(15, 16)이, 중심부(3) 쪽으로 대략 90°만큼 아래 방향으로 각각의 단부 부분(19, 20) 안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전이부(17, 18)에 합체된다. 평면(도 3)에서 보면, 이들 단부들이 평면 표면상에 위치되어 있을 때 이들은 협소하게 한정된, 대략 점 형태의 지지 표면(21, 22)에 의해 각각의 표면 위에 양쪽 모두 지지되도록 이들 단부 부분(19, 20)들은 양쪽 모두 전이부(17, 18)의 연속인 3 개의 공간 방향(X, Y, Z), 또한 비틀림부(9, 10)들의 종축(L)의 방향 그리고 중심부(3)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중심부(3)의 림(4, 5)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유지 암(13, 14)의 부분(15, 16)의 길이를 염두에 두고, 단부 부분(19, 20)들이 스프링 강의 최소 두께(d)보다 작은 공간(a)인, 레일 클램프(1)가 만곡된 곳으로부터 중심부(3)의 연결 부분(6)까지의 공간(a) 내에서 종료되도록 단부 부분(19, 20)들의 길이와 곡률이 선택된다. 중심부(3)와 단부 부분(19, 20) 사이의 공간의 틈새는 결과적으로 너무 작아서 여타 레일 클램프(1)가 이 공간을 통과할 수 없다.
기초부(U)에 레일(S)을 부착하기 위해서, 레일(S)의 마주보는 양측에 조립되고 각각 레일 클램프(1), 안내 판(23) 및 레일 클램프(1)를 인장시키는 수단으로서 요구되는 인장 나사(24)를 포함하는 2 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시스템(S1, S2)이 사용된다.
여기에 설명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안내 판(23)은 종래의 각 안내 판의 형태로서 구성되고, 기초부(U)와 연관된 하부 측에 레일(S)의 종방향으로 측정된 그 폭(B)에 걸쳐서 연장되고 안내 판(23)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기초부(U)에 형성된 홈에 상당하는 형태로 놓이는 어깨부를 가진다.
또한, 조립 위치에서, 각각의 경우에 안내 판(23)이 기초부(U)에도 구성되는 어깨부 위에 레일(S)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후면에 의해 지지된다. 안내 판(23)은 후면에 대해 넓어지고 레일 풋(F)에 연관된 안내 판(23)의 정면에서 그 종방향 에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풋(F)에 대한 각각의 접촉 평면을 가진다. 철도 차량(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레일 위를 주행할 때 레일(S)로부터 발생하는 횡단력은 따라서 안내 판(23)에 의해 흡수되고 기초부(U) 안으로 전환된다. 안내 판(23)의 후면에 인접해서, 안내 판(23)은 그 상부 측에 안내 판(23)의 접촉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각의 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에 안내 판(23)에 장착된 레일 클램프(1)를 안내하는 여기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추가의 몰드 요소와 상부 측으로부터 기초부(U)까지 이어지고 인장 나사가 삽입되는, 역시 여기서도 보이지 않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인장 나사(24)가, 각각의 경우에 기초부(U) 안으로 도입되는 은못으로 조여진다.
각각의 안내 판(23)에 배치된 레일 클램프(1)는 안내 판(23) 내의 홈에 레일 클램프(1)의 비틀림부(9, 10)와 함께 놓인다. 비틀림부(9, 10)의 길이(Lt)는, 각각의 경우에, 유지 암(13, 14)이 안내 판(23) 주위와 레일 풋(F)과 연관된 안내 판(23)의 넓어진 적어도 정면 영역에 걸쳐서 각각 안내되도록 산정된다. 따라서, 레일 클램프(1)에 의해 각각 점유된 폭은 안내 판(23)의 폭(B)보다 단지 약간 크다.
동시에, 중심부(3)의 림(4, 5)들의 길이는, 인장 나사가 조여지지만 완전하게 조여지지는 않을 때, 레일 클램프(1)가 조립 전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 비틀림부(9, 10)가 안내 판(23) 내의 안내 판(23)과 연관된 홈의 외부에서 레일 클램프(1)의 만곡 단부 부분(19, 20)이 레일(S)이 형성된 구역 안으로 더 이상 돌출되지 않는 정도로 안내 판(23)의 후면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레일(s)이 시스템(S1, S2)의 안내 판(23)들 사이에 자신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 후에, 레일 클램프(1)들이 조립 전 위치로부터 레일(s)의 스템(G)으로부터 떨어져서 만곡된 이들의 단부 부분(19, 20)들과 함께 레일 풋(F)의 상부 부분(O)에 놓여진 최종 조립 위치 안으로 밀려들어 간다. 다음에, 각각의 인장 나사(24)가 조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일 클램프(1)의 중심부(3)가 각각의 경우에 기초부(U)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유지 암(13, 14)이 동시에 레일 풋(F) 위에 휘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레일 클램프(1)가 조여질 때, 비틀림부(9, 10) 만이 실질적으로 비틀어진다. 그 결과, 높은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내리 누르는 레일(S)이 형성된다. 이들 탄성력이 비교적 큰 접촉 표면에 걸쳐서 레일 풋(F)에 가해져서 내리 누르는 힘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레일 클램프(1)와 레일 풋(F)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연마 마모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또한 기초부(U)의 방향에서 레일(S)의 필요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레일 풋(F)과 기초부 사이의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탄성 층(E)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S)의 종방향 길이와 유지 암(13, 14)의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정된 길이(Lh)는 조립이 준비된 시스템(S1, S2)을 구비한 새로운 조건에서, 종축(L)에 대해 평행하게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비틀림부(9, 10)와 각각의 연관된 단부 부분(19, 20) 사이의 최단 거리(w)가 각각의 안내 판(23)과 연관된 레일 풋(F)의 에지와 각각의 비틀림부(9, 10) 사이의 거리(v)보다 크다. 유지 암(13, 14)의 이 구성은 단부 부분(19, 20)들이 레일 풋(F) 위에 항상 신뢰성 있게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마모로 인해, 만일 레일(S)이 안내 판(23)에 대해 배치되면, 본래 단부 부분(19, 20)의 지지 표면에 적재된 안내 판이 안내 판(23)과 레일 풋(F) 사이에 형성된 갭 안으로 돌출되는 결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부 부분(19, 20)들이 상기 단부 부분(19, 20)들의 자유 단부 면으로부터 상당 거리에 떨어져 있는 지지 부분에 의해 레일 풋(F) 위에 계속 놓인다.

Claims (11)

  1. 중심부(3), 상기 중심부(3)로부터 측방향으로 분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부(9, 10), 상기 비틀림부(9, 10)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전이부(7, 8), 및 상기 전이부(7, 8)에 연결되며 단부 부분(19, 20)이 자유 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동안에 고정시킬 레일(S)의 풋(F)에 레일 클램프를 각각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암(13, 14)을 포함하는 레일(S)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암(13, 14)은, 레일 클램프(1)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단부 부분(19, 20)이 중심부(3)와 각각의 유지 암(13, 14)과 연관된 비틀림부(9, 10)의 종축을 향해 지향되도록, 단부 부분(19, 20)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만곡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암(13, 14)과 그 단부 부분(19, 20)의 만곡부가 3 개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지 암(13, 14)과 비틀림부(9, 10)는, 평면에서 보면 80°내지 120°의 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유지 암(13, 14)과 비틀림부(9, 10)의 사이 각도가 8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13, 14)의 만곡 부분(15, 16)은 비틀림부(9, 10)가 80°내지 100°의 각도로 통과하는 평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부(3)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비틀림부(9, 10)와 80°내지 10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만곡된 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부분(19, 20)의 자유 단부와 중심부(3)의 사이의 간격(a)이 중심부(3), 비틀림부(9, 10), 유지 암(13, 14) 및 단부 부분(19, 20)의 두께 중 가장 작은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부(3)가 고리 형태로 되고, 2 개의 상호 마주보게 정렬된 비틀림부(9, 10)가 중심부로부터 분기되고, 각각의 단부 부분(19, 20)을 가진 유지 암(13, 14)이 각각의 전이부(7, 8)를 통해 상기 비틀림부(9, 10)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거울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클램프.
  10. 레일 풋(F), 레일 풋에 위치된 스템 및 레일 헤드를 가지는 레일 부착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안내 판, 상기 안내 판에 유지된 레일 클램프 및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기초부에 대해 레일 클램프를 고정하는 인장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레일 클램프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고, 비틀림부(9, 10)와 비틀림부와 연관된 단부 부분(19, 20) 사이의 최단 거리가, 비틀림부(9, 10)와 안내 판(23)의 접촉 표면(21, 22)과 연관된 레일 풋(F)의 에지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비틀림부(9, 10)의 길이(Lt)가 조립 위치에서 적어도 각 유지 암(13, 14)의 부분들이 안내 판(23) 위에서 안내되도록 각각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7014447A 2010-11-04 2011-10-17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KR101653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0200.6 2010-11-04
DE102010050200A DE102010050200A1 (de) 2010-11-04 2010-11-04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PCT/EP2011/068134 WO2012059318A1 (de) 2010-11-04 2011-10-17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689A true KR20130084689A (ko) 2013-07-25
KR101653694B1 KR101653694B1 (ko) 2016-09-02

Family

ID=4488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447A KR101653694B1 (ko) 2010-11-04 2011-10-17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2635743B1 (ko)
JP (1) JP5778292B2 (ko)
KR (1) KR101653694B1 (ko)
CN (1) CN103201430A (ko)
AP (1) AP3570A (ko)
AU (1) AU2011325351B2 (ko)
BR (1) BR112013011066A2 (ko)
CA (1) CA2815760C (ko)
DE (2) DE202010016149U1 (ko)
EA (1) EA021499B1 (ko)
ES (1) ES2753165T3 (ko)
IL (1) IL225942A0 (ko)
MX (1) MX338004B (ko)
PL (1) PL2635743T3 (ko)
SG (1) SG189555A1 (ko)
UA (1) UA109455C2 (ko)
WO (1) WO2012059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0896A1 (de) * 2011-02-23 2012-08-23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EA025681B1 (ru) * 2013-10-07 2017-01-30 Майластейн Менеджмент Инк.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PT3346054T (pt) 2017-01-10 2022-01-19 Schwihag Ag Braçadeira de tensão e sistema de fixação de carris para a fixação de carris ferroviários
KR101971886B1 (ko) 2018-12-14 2019-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고속철도용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스프링 특성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3452A1 (fr) * 1987-10-07 1989-04-20 Allevard Industries Attache de fixation de rail de chemin de fer et ressort d'attache
US5096119A (en) * 1989-06-02 1992-03-17 Vossloh-Werke Gmbh Rail fastening on concrete ties by means of resilient tension clamps
JPH0757924B2 (ja) * 1988-08-16 1995-06-21 フォスロー − ベルケ・ゲーエムベーハー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WO2006061234A1 (de) * 2004-12-09 2006-06-15 Schwihag Ag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befestigung für gleisang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1810B (de) * 1957-05-14 1959-07-23 Johan Frederik Deenik Dipl Ing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auf starren Unterlagen zwischen seitlichen Anschlaegen liegende Eisenbahn-schienen mittels einer federnden Klemme
DE1261151B (de) 1966-10-29 1968-02-15 Meier Hermann Dr Ing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lastischer Klemme
BE757946A (fr) 1969-10-27 1971-04-01 Munch Wilhelm Fixation de rails
DE3526653A1 (de) * 1985-07-25 1987-02-05 Vossloh Werke Gmbh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iner elastischen spannklemme
RU2034944C1 (ru) * 1993-04-02 1995-05-10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Жученко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2466209Y (zh) * 2000-12-18 2001-12-19 程平 铁轨用道扣
DE102004044869B4 (de) * 2004-09-14 2013-05-08 Voestalpine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Führen einer Schiene auf einer Betonschwell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WO2007082553A1 (de) * 2006-01-21 2007-07-26 Vossloh-Werke Gmbh System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DE102007044055A1 (de) * 2007-09-14 2009-04-02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ebenen festen Untergrund
DE102007046543A1 (de) 2007-09-27 2009-04-16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Spannklemme für ein solches System
CN111509794B (zh) 2020-03-19 2021-09-0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带负载电源充放电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3452A1 (fr) * 1987-10-07 1989-04-20 Allevard Industries Attache de fixation de rail de chemin de fer et ressort d'attache
JPH0757924B2 (ja) * 1988-08-16 1995-06-21 フォスロー − ベルケ・ゲーエムベーハー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US5096119A (en) * 1989-06-02 1992-03-17 Vossloh-Werke Gmbh Rail fastening on concrete ties by means of resilient tension clamps
WO2006061234A1 (de) * 2004-12-09 2006-06-15 Schwihag Ag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befestigung für gleisa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325351B2 (en) 2015-12-03
EP2635743B1 (de) 2019-08-14
MX338004B (es) 2016-03-30
IL225942A0 (en) 2013-07-31
CN103201430A (zh) 2013-07-10
EA201300427A1 (ru) 2013-09-30
AU2011325351A1 (en) 2013-05-23
SG189555A1 (en) 2013-06-28
ES2753165T3 (es) 2020-04-07
AP3570A (en) 2016-02-03
EA021499B1 (ru) 2015-06-30
CA2815760A1 (en) 2012-05-10
BR112013011066A2 (pt) 2016-08-23
MX2013005063A (es) 2013-06-28
PL2635743T3 (pl) 2020-05-18
AP2013006898A0 (en) 2013-06-30
JP5778292B2 (ja) 2015-09-16
DE102010050200A1 (de) 2012-05-10
CA2815760C (en) 2015-08-11
EP2635743A1 (de) 2013-09-11
DE202010016149U1 (de) 2011-02-17
KR101653694B1 (ko) 2016-09-02
WO2012059318A1 (de) 2012-05-10
UA109455C2 (uk) 2015-08-25
JP2013541655A (ja)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836B2 (en) Rail clamp for attaching a rail and system provided with a rail clamp of this type
US7854392B2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for a rail vehicle
US9290888B2 (en) Rail-fastening system
KR101627778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KR20130084689A (ko)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레일 클램프 및 이 유형의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 시스템
TWI428492B (zh) 彈性張力夾鉗及其軌道固定配置
US20110047786A1 (en) Guide plate for a system for securing a rail on a substrate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guide plate
JP6312153B2 (ja) 移行領域用のレール固定システム
CA2727108C (en) Angle guide plate and system for securing a rail
CN103201429B (zh) 用于轨道固定的张力夹以及配备有此类张力夹的系统
US9045866B2 (en) Tensioning clamp for fastening a rail and system equipped with a tensioning clamp of this type
CN109952400B (zh) 用于将轨道固定在基底上的张紧夹和固定点
RU204247U1 (ru) Прутковая рельсовая клемма
JP5492668B2 (ja) レール締結装置の線ばね抜け止め手段
US10519609B2 (en) Rail clip
AU2014336365B2 (en) Angled guide plate for a rail profile
OA16405A (en) Clamp for attaching a rail and system provided with such a clamp.
RU218403U1 (ru) Клемма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RU210442U1 (ru)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RU222173U1 (ru)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102206700B1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슈
EA025681B1 (ru)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101654892B1 (ko) 산악 철도용 침목 구조
EA037636B1 (ru) Эластичный зажим и крепежная точк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на нижнем строении пути
KR20180029149A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