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28Y1 - 꼬치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28Y1
KR200468128Y1 KR2020100009857U KR20100009857U KR200468128Y1 KR 200468128 Y1 KR200468128 Y1 KR 200468128Y1 KR 2020100009857 U KR2020100009857 U KR 2020100009857U KR 20100009857 U KR20100009857 U KR 20100009857U KR 200468128 Y1 KR200468128 Y1 KR 200468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rotating
hole
machine room
spr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73U (ko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이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구 filed Critical 이완구
Priority to KR2020100009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너가 설치되며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면판을 중심으로 조리실과 기계실로 구분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꼬치봉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꼬치 고정부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버너의 열기를 차단하는 마감판이 장착되도록 장착판이 전면에 직각으로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회전축을 장착판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되도록 제2회전축을 장착판의 일측면에 회전되도록 이격 설치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양측에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회전스프라켓과 대응되게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을 제2회전축에 베어링 결합하며, 꼬치봉이 끼워지도록 고정홀이 구비된 고정부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체인으로 회전스프라켓을 각각 연결 구성하여 공전부재를 이루어 상기 공전부재의 끼워진 꼬치봉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홀에 관통되게 원통형의 결합봉을 형성하고, 그 결합봉의 외주면에 꼬치회전스프라켓을 볼트로 고정 결합하며, 상기 꼬치회전스프라켓과 연결되어 꼬치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자전부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되도록 설치 구성된 공전부재와 그 꼬치봉이 자전되도록 자전부재를 케이스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에 의하여 꼬치봉에 끼워진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이 짧은 시간에 구워져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전 및 자전부재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열차단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열차단부재에 의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된 버너의 열기가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설치된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버너의 열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꼬치 구이 장치{Instant Skewered Food Making Device}
본 고안의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꼬치봉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 및 자전을 할 수 있도록 공전부재와 자전부재를 케이스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꼬치봉에 끼워진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이 짧은 시간에 구워져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봉에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을 꽂은 상태에서 버너가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꼬치봉을 꽂은 후에 버너의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꽂치봉에 끼워진 육류 내지 채소류 등을 구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의 문제점은 케이스의 내부에 꼬치봉을 고정 결합하기 때문에 꼬치봉에 끼워진 구이물(육류 또는 채소류 등)들이 골고루 익혀지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꼬치봉이 결합 되는 위치마다 각각 버너를 설치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꼬치 구이 장치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되도록 설치 구성된 공전부재와 그 꼬치봉이 자전되도록 자전부재를 케이스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에 의하여 꼬치봉에 끼워진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이 짧은 시간에 구워져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전 및 자전부재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열차단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열차단부재에 의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된 버너의 열기가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설치된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버너의 열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꼬치 구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버너가 설치되며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면판을 중심으로 조리실과 기계실로 구분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꼬치봉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꼬치 고정부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버너의 열기를 차단하는 마감판이 장착되도록 장착판이 전면에 직각으로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회전축을 장착판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되도록 제2회전축을 장착판의 일측면에 회전되도록 이격 설치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양측에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회전스프라켓과 대응되게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을 제2회전축에 베어링 결합하며, 꼬치봉이 끼워지도록 고정홀이 구비된 고정부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체인으로 회전스프라켓을 각각 연결 구성하여 공전부재를 이루어 상기 공전부재의 끼워진 꼬치봉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홀에 관통되게 원통형의 결합봉을 형성하고, 그 결합봉의 외주면에 꼬치회전스프라켓을 볼트로 고정 결합하며, 상기 꼬치회전스프라켓과 연결되어 꼬치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자전부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되도록 설치 구성된 공전부재와 그 꼬치봉이 자전되도록 자전부재를 케이스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에 의하여 꼬치봉에 끼워진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이 짧은 시간에 구워져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전 및 자전부재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열차단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열차단부재에 의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된 버너의 열기가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설치된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버너의 열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꼬치 구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공전부재와 자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꼬치 구이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봉에 결합되는 열차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자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케이스(1)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꼬치봉(7)이 공전부재(2)와 자전부재(3)에 의하여 공전 및 자전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꼬치봉(7)에 끼워진 육류 또는 채소류 들이 짧은 시간에 골고루 구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공전부재(2)와 자전부재(3)에 의해 공전 및 자전되는 꼬치봉(7)은 도 1과 같이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케이스(1)는 관통홀이 중앙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전면판(11)을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장착판(12)을 중심으로 케이스(1)의 전방에는 조리실(1a)이 후방에는 기계실(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케이스(1)의 기계실(1b) 내부에 제2구동스프라켓(23)이 구동축(22)이 장착된 모터(2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3)과 연결체인(28)으로 연결되어 모터(2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스프라켓(25)을 제1 및 제2회전축(24)(31)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고, 그 제1 및 제2회전축(24)(31)을 기계실(1b)의 내부에 볼트로 고정 결합 되는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면에 회전되게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면에 도 2와 같이 장착판(81)을 수직으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장착판(81)의 일측면에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축(24)(31)을 이격 되게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24)(31)에 도 3과 같이 공전부재(2)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모터(2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꼬치봉(7)이 공전되도록 한다.
상기 공전부재(2)는 도 3과 같이 제1회전축(24)의 양측에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26)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회전스프라켓(26)과 대응되게 제2회전축(31)의 양측에 각각 회전스프라켓(26a)을 베어링(29) 결합하며, 그 회전스프라켓(26,26a)을 회전체인(27)으로 연결시켜 상기 회전체인(27)으로 연결된 회전스프라켓(26,26a)이 모터(21)가 회전되는 방향인 도면상 위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인(27)에 각각 고정홀(41)이 구비된 고정부(4)를 등 간격으로 고정 결합하고, 그 고정부(4)에 꼬치봉(7)을 끼울 수 있는 후설하는 결합봉(72)을 관통 결합하여 상기 결합봉(72)에 끼워진 꼬치봉(7)이 회전체인(27)에 의하여 모터(2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공전된다.
상기 꼬치봉(7)을 자전시키는 자전부재(3)를 도 2와 같이 설치되는 데, 상기 자전부재(3)는 후설하는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외접되도록 외주면에 제1기어산(34)이 구비된 제1랙기어(32)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그 제1랙기어(32)를 회전스프라켓(26,26a)이 결합 된 제1 및 제2회전축(24)(31)에 베어링(35)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외주면에 제1기어산(34)이 구비된 제1랙기어(32)를 꼬치회전스프라켓(71)과 연결되게 제1 및 제2회전축(24)(31)에 각각 베어링(35) 결합하므로서, 결합봉(72)의 내측에 끼워진 꼬치봉(7)이 모터(21)의 회전력에 의하여 공전될 때 상기 제1랙기어(32)의 외주면에 맞물린 꼬치회전스프라켓(71)으로 인하여 꼬치봉(7)이 제1랙기어(32)를 따라 자전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봉(72)은 회전체인(27)에 각각 결합 된 고정부(4)에 관통되게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결합봉(72)의 내측에 끼움홈(73)이 구비된 끼움부(74)를 고정 결합하며, 상기 결합봉(72)의 외주면에 제1랙기어(32)와 맞물리게 꼬치회전스프라켓(71)을 볼트로 고정 결합한다.
이때, 끼움부(74)의 형태는 꼬치봉(7)의 형태에 따라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회전스프라켓(26,26a)을 연결하는 회전체인(27)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9)를 회전체인(27) 사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면에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27)는 도 7의 (a)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8)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9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91)의 전,후단에 각각 가이드홈(92)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므로서, 상기 지지부(27)의 가이드홈(92)이 도 7의 (b)와 같이 회전체인(27)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체인(27)이 느슨해져 회전스프라켓(26,26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8)의 전면에 설치된 공전부재(2)와 자전부재(3)는 케이스(1)의 기계실(1b) 내부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계실(1b)의 내부에 설치된 공전부재(2)와 자전부재(3)가 전면판(1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버너(13)의 열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차단부재(5)를 장착판(81)의 선단부에 설치 구성한다.
상기 열차단부재(5)는 도 3과 같이 장착판(81)의 전면에 마감판(51)을 볼트로 고정 결합하여 전면판(11)과 마감판(51) 사이로 유도홀(12)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홀(12)에 열차단부(6)를 설치 구성한다.
상기 열차단부(6)는 유도홀(12)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봉(72)의 선단에 각각 열차단편(61)의 중앙홀(64)을 끼워 클립으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열차단편(61)의 사이에 장홀(62)이 길게 형성된 열차단편(61a)을 힌지(63)로 결합 구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봉(72)에 끼워진 열차단편(61)의 상하단에 각각 열차단부(6)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장홀(62)이 구비된 열차단편(61a)을 힌지(63)로 고정 결합하므로서, 상기 장홀(62)에 의하여 관통홀에 형성된 곡면을 도 7의 (c)와 같이 원만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차단부(6)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52,52a)를 도 4와 같이 전면판(11)과 마감판(51)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결합하므로서, 열차단편(61a)이 유도홀(12)의 곡면을 통과 시 급격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에 결합 된 제어부를 작동시켜 구동스프라켓(23)이 구동축(22)에 축설 된 모터(21)를 도 3과 같이 작동시켜, 상기 구동스프라켓(23)과 연결체인(28)으로 연결되며, 연결스프라켓(25)이 일측에 결합 된 제1회전축(24)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회전축(24)이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체인(27)으로 연결된 회전스프라켓(26,26a)은 도 3과 같이 모터(2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꼬치봉(7)을 공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회전축(24)(31)에 베어링(35) 결합되며,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외접 되는 제1랙기어(32)와 맞물린 꼬치회전스프라켓(71)에 의하여 공전되는 꼬치봉(7)이 자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육류 또는 채소류 등을 끼워 구울 수 있는 꼬치봉(7)이 공전부재(2)와 자전부재(3)에 의하여 공전과 동시에 자전 되면서 구이물(육류 또는 채소류)을 구우므로서, 상기 구이물은 짧은 시간에 골고루 구워져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의 전면판(1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버너(13)의 열기를 차단하는 열차단부재(5)를 관통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열차단부재(5)에 의하여 버너(13)의 열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하여 화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자전부재의 다른 실시 예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 설명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내접되도록 제2기어산(34a)이 내주면에 구비된 제2랙기어(33)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그 제2랙기어(33)를 기계실(1b)에 장착된 고정프레임(36)에 볼트로 고정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2기어산(34a)이 내주면에 구비된 제2랙기어(33)를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내접되게 기계실(1b)의 내부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회전체인(27)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공전되는 꼬치봉(7)을 자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회전체인(27)에 결합 된 꼬치회전스프라켓(71)의 상단을 제2랙기어(33)가 지지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제2랙기어(33)에서 이탈되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케이스, 2: 공전부재,
3: 자전부재, 4: 고정부,
5: 열차단부재, 6: 열차단부,
7: 꼬치봉, 8: 베이스플레이트,
9: 지지부재, 11: 전면판,
12: 유도홀 13: 버너,
21: 모터, 22: 구동축,
23: 구동스프라켓, 24,31: 제1, 제2회전축,
25: 연결스프라켓, 26: 회전스프라켓,
27: 회전체인, 28: 연결체인,
29, 34: 베어링, 32, 33: 제1 및 제2랙기어,
35: 고정프레임, 41: 고정홀,
51: 마감판, 52,52a: 가이드부,
61,61a: 열차단편, 62: 장홀,
63: 힌지, 64: 중앙홀,
71: 꼬치회전스프라켓, 72: 결합봉,
73: 끼움홈, 74: 끼움부,
81: 장착판, 91: 몸체부,
92: 가이드홈,

Claims (4)

  1. 버너(13)가 설치되며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면판(11)을 중심으로 조리실(1a)과 기계실(1b)로 구분되는 케이스(1)의 내부에 꼬치봉(7)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꼬치 고정부(4)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b)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버너(13)의 열기를 차단하는 마감판(51)이 장착되도록 장착판(81)이 전면에 직각으로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8)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기계실(1b)의 내부에 모터(21)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회전축(24)을 장착판(81)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24)과 대응되도록 제2회전축(31)을 장착판(81)의 일측면에 회전되도록 이격 설치하며,
    상기 제1회전축(24)의 양측에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26)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회전스프라켓(26)과 대응되게 한 쌍의 회전스프라켓(26a)을 제2회전축(31)에 베어링(29) 결합하며, 꼬치봉(7)이 끼워지도록 고정홀(41)이 구비된 고정부(4)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체인(27)으로 회전스프라켓(26,26a)을 각각 연결 구성하여 공전부재(2)를 이루어 상기 공전부재(2)의 끼워진 꼬치봉(7)이 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전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홀(41)에 관통되게 원통형의 결합봉(72)을 형성하고, 그 결합봉(72)의 외주면에 꼬치회전스프라켓(71)을 볼트로 고정 결합하며, 상기 꼬치회전스프라켓(71)과 연결되어 꼬치봉(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자전부재(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부재(3)는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1기어산(34)에 외접되도록 상,하로 길게 제1랙기어(32)를 형성하고, 그 제1랙기어(32)를 제1 및 제2회전축(24)(31)에 각각 베어링(35) 결합하여 상기 제1랙기어(32)에 외접 된 꼬치회전스프라켓(71)에 의하여 공전되는 꼬치봉(7)이 자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 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부재(3)는 꼬치회전스프라켓(71)이 내주면에 구비된 제2기어산(34a)이 내접되도록 상,하로 길게 제2랙기어(33)를 형성하고, 그 제2랙기어(33)를 기계실(1b)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6)이 장착하여 상기 제2랙기어(33)에 내접 된 꼬치회전스프라켓(71)에 의하여 공전되는 꼬치봉(7)이 자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13)의 열기가 유도홀(12)을 통해 기계실(1b)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부재(5)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열차단부재(5)는 장착판(81)의 전면에 마감판(51)을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11)과 마감판(51) 사이로 유도홀(12)이 형성되고, 그 유도홀(12)의 사이로 관통된 다수의 결합봉(72)에 각각 열차단편(61)의 중앙홀(64)을 끼워 고정 결합하며, 상기 열차단편(61) 사이에 복수의 열차단편(61a)을 힌지(63)로 결합 구성하되,
    상기 열차단편(61a)에는 연차단편(61a)의 길이를 신축을 허용하는 장홀(62)를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 장치.
KR2020100009857U 2010-09-20 2010-09-20 꼬치 구이 장치 KR200468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57U KR200468128Y1 (ko) 2010-09-20 2010-09-20 꼬치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57U KR200468128Y1 (ko) 2010-09-20 2010-09-20 꼬치 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73U KR20120002273U (ko) 2012-03-28
KR200468128Y1 true KR200468128Y1 (ko) 2013-07-30

Family

ID=4617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57U KR200468128Y1 (ko) 2010-09-20 2010-09-20 꼬치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62A (ko) 2018-03-26 2019-10-07 진데린 침하식 해저 가두리 양식장
CN109222679B (zh) * 2018-11-30 2024-04-09 牟勇 一种烧烤炉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86B1 (ko) 2006-08-23 2007-10-04 김주년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100013768A (ko) * 2008-08-01 2010-02-10 김양훈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950534B1 (ko) 2007-07-03 2010-03-31 김기성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20100091387A (ko) * 2009-02-10 2010-08-19 김창의 회전식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86B1 (ko) 2006-08-23 2007-10-04 김주년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0950534B1 (ko) 2007-07-03 2010-03-31 김기성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20100013768A (ko) * 2008-08-01 2010-02-10 김양훈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100091387A (ko) * 2009-02-10 2010-08-19 김창의 회전식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73U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EP2967256B1 (en) Cooking assembly
CN105050463A (zh) 烧烤炉烤架
KR200468128Y1 (ko) 꼬치 구이 장치
CN205988223U (zh) 一种具有能公自转且能组合拼装的烤架的烧烤机
KR200394475Y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1342307B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400357Y1 (ko) 꼬치구이기
KR200400383Y1 (ko) 꼬치구이 장치
KR100762986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100006663U (ko) 소시지 롤러구이기
KR101045764B1 (ko) 꼬치 구이 장치
KR100817518B1 (ko) 회전식 꼬치구이장치용 꼬치고정구
CN204995243U (zh) 旋转式无烟全自动烧烤机
KR101011590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0395371Y1 (ko) 꼬치 구이기
KR20060128636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110020551A (ko) 음식물 구이장치
KR101147161B1 (ko) 고기구이기
KR20130001392U (ko) 구이기용 꼬치 회전 장치
KR200244865Y1 (ko) 자동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0422815Y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CN209770096U (zh) 一种肉串电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