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90B1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90B1
KR101011590B1 KR1020080075435A KR20080075435A KR101011590B1 KR 101011590 B1 KR101011590 B1 KR 101011590B1 KR 1020080075435 A KR1020080075435 A KR 1020080075435A KR 20080075435 A KR20080075435 A KR 20080075435A KR 101011590 B1 KR101011590 B1 KR 10101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driven sprocket
driving force
rac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768A (ko
Inventor
김양훈
Original Assignee
김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훈 filed Critical 김양훈
Priority to KR102008007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열원이 연소되는 화실(F)과 화실(F)의 상측부에 연소열을 통해 바비큐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이실(R)을 포함하는 구이장치 본체(H)에 있어서, 본체(H)의 구이실(R) 내부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넬(111,112)을 가지는 판넬부(110); 좌측판넬(1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발생부(120); 좌/우측판넬(111,112)에 구비되어 구동력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공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의해 공전되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자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 및 고기꽂이수단(10)들이 공전됨과 동시에 자전되도록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고기꽂이수단(10)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를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가 제공된다.
바비큐, 구이, 숯불, 직화, 간접열, 훈제, 고기, 육류, 원적외선, 자전, 공전, 스프라켓, 체인

Description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A rotating type barbecue device}
본 발명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실 내부에서 복수의 고기꽂이수단이 상하 공전됨과 동시에 자전되도록 하여 육류를 고르게 가열 조리하도록 할 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쇠고기 및 닭고기 등 다양한 종류의 육류는 그 조리방법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바, 이러한 조리방법 중 숯불 등을 이용하는 구이의 조리방법은 다양한 바비큐 구이장치를 이용하여 육류를 굽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바비큐 구이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3975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에 구이실을 형성하고 구동모터나 작업자의 힘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수직의 회전축상에 고기꽂이를 다단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면서 많은 양의 육류가 숯불에 의해 구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비큐 구이장치는 상기 수직의 회전축상에 고기꽂이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상부와 하부의 고기꽂이의 육류가 하부의 숯불에서 가열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조리를 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부 고기꽂이의 육류는 덜 익게 되고, 하부 고기꽂이의 육류는 쉽게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실 내부에 상기 수직의 회전축 대신에 고기꽂이가 설치되는 수평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 회전축을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육류가 가열되어 조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수평 회전축이 원주방향 등으로 회전하게 되면 숯불 등의 직화열 또는 간접열이 고기꽂이에 구비된 육류의 한 부위 또는 위치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 역시도 육류를 고르게 가열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비큐 구이장치들은, 구이실의 내부에 비교적 부피가 큰 원판 형상의 판넬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실 내부에서 복수의 고기꽂이수단이 공전부재의 타원의 궤도를 따라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부재의 타원의 궤도를 따라 자전되도록 하여 육류가 고르게 가열되어 조리되도록 할 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이실 내부에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타원형 또는 직각 사각형 형상의 판넬 상에 구비되어 구이실의 폭을 좁게 구성하면서도 다량의 육류를 조리하도록 할 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원이 연소되는 화실(F)과 화실(F)의 상측부에 연소열을 통해 바비큐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이실(R)을 포함하는 구이장치 본체(H)에 있어서, 본체(H)의 구이실(R) 내부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넬(111,112)을 가지는 판넬부(110); 좌측판넬(1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발생부(120); 좌/우측판넬(111,112)에 구비되어 구동력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공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의해 공전되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자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 및 고기꽂이수단(10)들이 공전됨과 동시에 자전되도록 고기꽂이수 단이동부(130)에 고기꽂이수단(10)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를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구이실(R)의 우측면과 인접한 우측판넬(112)에 제4 피동스프라켓(137)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피동축(136)과 제3 피동스프라켓(135)을 지지하는 지지판넬(161)과, 지지판넬(161)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판넬(161)의 설치 위치를 가변통공(162)의 범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가변수단(163)을 가지는 궤도길이가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실 내부에서 복수의 고기꽂이수단이 공전부재의 타원의 궤도를 따라 상하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부재의 타원의 궤도를 따라 자전되도록 함으로써, 육류를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실 내부에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타원형 또는 직각 사각형 형상의 판넬 상에 구비됨으로써, 구이실의 폭을 좁게 구성하면서도 다량의 육류를 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기꽂이수단의 하중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어 늘어나는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의 궤도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해당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일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는, 가열원이 연소되는 화실(F)과 화실(F)의 상측부에 연소열을 통해 바비큐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이실(R)을 포함하는 구이장치 본체(H)에 있어서, 본체(H)의 구이실(R) 내부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넬(111,112)을 가지는 판넬부(110), 좌측판넬(1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발생부(120), 좌/우측판넬(111,112)에 구비되어 구동력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공전부재의 궤도를 따라 공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의해 공전되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자전부재의 타원 궤도를 따라 자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 고기꽂이수단(10)들이 상기 공전부재의 타원 궤도를 따라 공전됨과 동시에 상기 자전부재의 타원 궤도를 따라 자전되도록 공전부재에 고기꽂이수단(10)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 및 우측판넬(112)에 구비되어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의 타원 궤도 길이를 가변시키는 궤도길이가변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H)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전면과 후면에 구이실(R)을 개폐시키는 투명한 도어(D)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화실(F)의 연소열이 외부로 배기되기 위한 배기관(P)을 포함하며, 화실(F)의 하측부에 육류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등을 수용하는 기름받이서랍(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판넬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H)의 내부 좌우측 벽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고정파이프(113)를 통해 상호간 지지되는 좌측판넬(111)과 우측판넬(112)이 구비되며, 좌측판넬(111)과 우측판넬(112)은 타원형 또는 직각 사각형의 형상을 가져 본체(H)의 폭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구동력발생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벽면과 인접한 좌측판넬(111)의 일면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라켓(121)과, 구동모터(M)의 구동력발생수단(미도시)과 구동스프라켓(121)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구동스프라켓(121)에 전달하여 구동스프라켓(121)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체인(122)을 포함한다.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넬(111)의 타면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스프라켓(121)의 구동에 의해 구동스프라켓(12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피동스프라켓(131), 좌측판넬(111)의 타면 상측에 제1 피동스프라켓(131)에 구동력전달체인(132)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피동스프라켓(133), 좌측판넬(111)의 타면에 대향되는 우측판넬(112)의 일면 하측에 구비되어 제1 피동스프라켓(131)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3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3 피동스프라켓(135), 우측판넬(112)의 일면 상측에 구비되어 제2 피동스프라켓(133)으로부터 연장되는 피동축(13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4 피동스프라켓(137) 및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에 연결되어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의 회전에 따라 고기꽂이수단(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전부재인 이동체인(1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동스프라켓(131,133,135,137)들의 기어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는, 도 2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의 하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스프라켓(141)과 제2 고정스프라켓(142) 및 제1 고정스프라켓(141)과 제2 고정스프라켓(142)에 연결되어 고기꽂이수단(10)을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부재인 가이드체인(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스프라켓(141,142)들의 기어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인(138)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구(151), 고정구(151)의 고정링(152)에 삽입되며 고기꽂이수단(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53)을 가지는 꽂이삽입축(154), 꽂이삽입축(154) 일단에 연결되어 가이드체인(143)에 치합되며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피동스프라켓(131,133,135,137)들의 회전시 꽂이삽입축(154)이 가이드체인(143)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되도록 하는 회전용스프라켓(155) 및 꽂이삽입축(154)에 대응되도록 구동력전달체인(132)에 구비되어 꽂이삽입축(154)의 삽입홈(153)에 일단이 삽입된 고기꽂이수단(10)의 타단이 걸림지지되는 걸림부재(156) 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기꽂이수단(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꽂이삽입축(154)의 삽입홈(153)에 일단이 삽입되고 걸림부재(156)에 타단이 걸림 지지되는 꽂이봉(11)과 꽂이봉(11)의 외주연에 삽입되며 육류가 꽂히게 되는 복수개의 꽂이핀(12)을 가지는 꽂이(13)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동작시 이동체인(138)에 고정된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가 이동체인(138)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회전용스프라켓(155)이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의 가이드체인(143)에 치합되어 고기꽂이수단(10)이 삽입되는 꽂이삽입축(154)이 가이드체인(143)의 궤도를 따라 자전하게 됨으로써, 고기꽂이수단(10)이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하게 된다.
궤도길이가변부(1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벽면과 인접한 우측판넬(112)의 타면에 제4 피동스프라켓(137)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피동축(136)과 제3 피동스프라켓(135)을 지지하는 지지판넬(161)과 지지판넬(161)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판넬(161)의 설치 위치를 가변통공(162)의 범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볼트 등과 같은 가변수단(163)을 포함한다.
따라서 궤도길이가변부(160)에 의하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와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의 동작에 따라 즉, 이동체인(138)과 가이드체인(143)을 따라 공전과 자전되며 고기꽂이수단(10)이 고정되는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하중에 따라 이동체인(138)과 가이드체인(14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이동체인(138)과 가이드체인(143)이 각각 제3/4 피동스프라켓(135,137)과 제1/2 고정스프라켓(141,14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에 있어서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회전스프로켓(155)이 치합되는 자전부재로써 가이드체인(143)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가이드체인(143) 대신에 래크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고기꽂이수단(10)이 자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실(F)에 참숯 등과 같은 가열원이 투입된 후 점화수단(미도시)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후, 고기꽂이수단(10) 꽂이(13)의 꽂이핀(12)에 복수의 육류가 꽂혀지게 된 상태에서 꽂이(12)가 꽂이봉(11)의 외주연에 삽입된 후, 꽂이봉(11)의 일단이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꽂이삽입축(154)에 삽입되고 타단이 걸림부재(156)에 걸림 지지된다. 여기서, 꽂이(12)가 꽂이봉(11)의 외주연에 삽입된 후, 꽂이봉(11)의 일단이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꽂이삽입축(154)에 삽입되고 타단이 걸림부재(156)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꽂이(13)의 꽂이핀(12)에 복수의 육류가 꽂혀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후, 구동력발생부(120)의 구동모터(M) 구동에 따라 구동스프라켓(121)이 구동 동작되게 됨과 동시에,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제1 피동스프라켓(131)이 회전하게 되고 제1 피동스프라켓(131)에 구동력전달체인(132)을 통해 연결된 제2 피동스프라켓(133)이 회전하게 된다.
이후, 제3 피동스프라켓(135)이 제1 피동스프라켓(131)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34)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제4 피동스프라켓(137)이 제2 피동스프라켓(133)으로부터 연장되는 피동축(136)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후,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 사이에 연결된 이동체인(138)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이동체인(138)에 고정된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의 꽂이삽입축(154)이 이동체인(138)의 이동에 따라 공전하게 된다. 이 때, 꽂이삽입축(154)에 대응되도록 구동력전달체인(132)에 구비되며 고기꽂이수단(10)의 타단이 걸림지지되는 걸림부재(156) 역시 공전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 꽂이삽입축(154)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용스프라켓(155)이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의 가이드체인(143)에 치합되어 가이드체인(143)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꽂이삽입축(154)이 자전하게 되어 꽂이삽입축(154)과 걸림부재(156)에 거치된 고기꽂이수단(10)의 육류가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하게 됨으로써, 화실(F)로부터의 가열원에 의해 골고루 익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화실의 가열원에 의해 익혀진 육류가 반복적으로 상부로 공전됨과 동시에 자전하게 됨으로써, 육류가 골고루 익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육류의 맛이 좋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구이실 내부 양측에 타원형상의 좌우측 판넬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판넬 상에 고기꽂이수단이동부와 고기꽂이수단회전부 등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이실의 폭을 좁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다량의 육류를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궤도길이가변부를 통하여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의 궤도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고기꽂이수단의 하중 또는 고기꽂이수단이동부와 고기꽂이수단회전부의 오랜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의 궤도 길이가 길어져 상기 구성부들로부터 공전부재와 자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일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 내부의 좌측판넬과 우측판넬의 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가열원이 연소되는 화실(F)과 화실(F)의 상측부에 연소열을 통해 바비큐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이실(R)을 포함하는 구이장치 본체(H)에 있어서,
    본체(H)의 구이실(R) 내부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넬(111,112)을 가지는 판넬부(110);
    좌측판넬(1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발생부(120);
    좌/우측판넬(111,112)에 구비되어 구동력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공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의해 공전되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10)들을 자전시키는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 및
    고기꽂이수단(10)들이 공전됨과 동시에 자전되도록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에 고기꽂이수단(10)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는,
    좌측판넬(111)에 구비되어 구동력발생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피동스프라켓(131);
    좌측판넬(111)에 제1 피동스프라켓(131)에 구동력전달체인(132)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피동스프라켓(133);
    우측판넬(112)에 구비되어 제1 피동스프라켓(131)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3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3 피동스프라켓(135);
    우측판넬(112)에 구비되어 제2 피동스프라켓(133)으로부터 연장되는 피동축(13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4 피동스프라켓(137); 및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에 연결되어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의 회전에 따라 고기꽂이수단(10)을 회전시키는 이동체인(138)을 포함하며,
    상기 고기꽂이수단회전부(140)는,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고정수단들에 연결되어 고기꽂이수단(10)을 자전시키는 가이드체인(14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들은 제3 피동스프라켓(135)과 제4 피동스프라켓(137)의 하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고정스프라켓(141)과 제2 고정스프라켓(142)을 포함하며,
    상기 고기꽂이수단고정부(150)는,
    이동체인(138)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구(151);
    고정구(151)의 고정링(152)에 삽입되며 고기꽂이수단(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53)을 가지는 꽂이삽입축(154);
    꽂이삽입축(154) 일단에 연결되어 가이드체인(143)에 치합되며 피동스프라켓(131,133,135,137)들의 회전시 꽂이삽입축(154)이 가이드체인(143)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되도록 하는 회전용스프라켓(155); 및
    구동력전달체인(132)에 구비되어 꽂이삽입축(154)의 삽입홈(153)에 일단이 삽입된 고기꽂이수단(10)의 타단이 걸림지지되는 걸림부재(156)를 포함하며,
    상기 고기꽂이수단(10)은, 꽂이삽입축(154)의 삽입홈(153)에 일단이 삽입되고 걸림부재(156)에 타단이 걸림지지되는 꽂이봉(11)과 꽂이봉(11)의 외주연에 삽입되며 육류가 꽂히게 되는 복수개의 꽂이핀(12)을 가지는 꽂이(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구이실(R)의 우측면과 인접한 우측판넬(112)에 제4 피동스프라켓(137)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고기꽂이수단이동부(130)의 피동축(136)과 제3 피동스프라켓(135)을 지지하는 지지판넬(161)과, 지지판넬(161)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판넬(161)의 설치 위치를 가변통공(162)의 범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가변수단(163)을 가지는 궤도길이가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체인(143) 대신에 래크기어(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9. 삭제
KR1020080075435A 2008-08-01 2008-08-01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01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35A KR101011590B1 (ko) 2008-08-01 2008-08-01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35A KR101011590B1 (ko) 2008-08-01 2008-08-01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68A KR20100013768A (ko) 2010-02-10
KR101011590B1 true KR101011590B1 (ko) 2011-01-27

Family

ID=4208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435A KR101011590B1 (ko) 2008-08-01 2008-08-01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28Y1 (ko) * 2010-09-20 2013-07-30 이완구 꼬치 구이 장치
ES2565012B1 (es) * 2015-10-29 2016-12-15 Roser LLENAS PINSACH Dispositivo asad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485A (ko) * 1997-09-06 1997-12-10 박경렬 조리용 구이기
KR20030033823A (ko) * 2001-10-25 2003-05-01 김정자 통닭 구이장치
KR100843323B1 (ko) * 2006-12-14 2008-07-03 민용기 회전식 바베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485A (ko) * 1997-09-06 1997-12-10 박경렬 조리용 구이기
KR20030033823A (ko) * 2001-10-25 2003-05-01 김정자 통닭 구이장치
KR100843323B1 (ko) * 2006-12-14 2008-07-03 민용기 회전식 바베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68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US4114523A (en) Oscillatory drive means for a rotisserie spit
CN102265705A (zh) 带有旋转烹饪设备的微波炉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011590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68138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0762986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1136198B1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164242Y1 (ko) 다목적 구이기(Multipurpose Roaster)
KR200388614Y1 (ko) 고기구이기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JP2016179030A (ja) 回転式網焼き装置
KR102410672B1 (ko) 회전고기구이시스템
KR101719242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0809668B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20030033823A (ko) 통닭 구이장치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200380751Y1 (ko) 구이장치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