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138B1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138B1
KR101368138B1 KR1020130093631A KR20130093631A KR101368138B1 KR 101368138 B1 KR101368138 B1 KR 101368138B1 KR 1020130093631 A KR1020130093631 A KR 1020130093631A KR 20130093631 A KR20130093631 A KR 20130093631A KR 101368138 B1 KR101368138 B1 KR 10136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ixed gear
gear
pair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3009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1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일정궤도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면서 고기류를 익힐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는, 한 쌍의 수직래크의 상단과 하단에 제1곡선래크와 제2곡선래크, 체인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래크와 곡선래크에 의해 제공되는 연속된 치열을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에 장착된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장치의 내부에서 고기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로가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므로 떨어진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여 고기류가 익는 모습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식감을 자극하여 적극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Rotation type barbecue roaster}
본 발명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기류를 장치 내부의 일정한 궤도를 따라 공전 및 자전시킴으로써 타지 않고 보다 고르게 익힐 수 있는 바비큐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비큐 구이는 소, 돼지, 오리, 닭 등의 고기류를 통째로 굽는 조리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숯불 등에 석쇠를 올려 놓고 굽는 방법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쇠 위에서 고기류를 굽는 경우에는 자주 뒤집거나 돌려주지 않으면 쉽게 타버리는 문제가 있고, 떨어진 기름이 타면서 발생한 연기로 인해 고기류의 풍미를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고기류를 돌리면서 구울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는 고기류가 꽂힌 꼬치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면 하부에 비치된 숯불에 가까운 것은 쉽게 타버리고 너무 먼 것은 잘 익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장치를 대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41167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기류가 담긴 함형 석쇠가 체인을 따라 승강하면서 동시에 자전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익힐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감긴 체인에 피니언기어를 장착하고,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석쇠고정블록을 결합하고, 체인의 일측에 피니언기어와 치합하는 고정래크를 설치한다. 따라서 체인이 회전하면 피니언기어가 승강운동을 함과 동시에 고정래크에 의해 자전운동을 하게 되고, 석쇠고정블록과 그에 결합된 함형 석쇠도 피니언기어를 따라 승강 및 자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는 체인의 일측에 막대형 고정래크만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체인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간에서는 함형 석쇠의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지만 스프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나는 구간에서는 함형석쇠가 자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바비큐 구이장치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에는 자전하지 않는 구간이 있더라도 별 영향이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전하지 않는 구간으로 인해 고기류가 균일하게 익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장치의 내측면에 가열버너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하부에 숯불을 설치하면 떨어진 기름으로 인해 연기가 발생하여 고기류의 풍미를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스, 전기 등의 가열버너를 사용할 경우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된 궤도의 전구간에서 공전 및 자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떨어진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제1축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 상기 제1축의 상부에 상기 제1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과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2스프라켓;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 중 하나와 상기 한 쌍의 제2스프라켓 중 하나에 감기는 제1체인;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 한 쌍의 제2스프라켓 중 나머지 하나에 감기는 제2체인; 상기 제1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피니언기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이동경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기어;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제1체인의 수직구간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와, 상기 수직 래크기어의 하단에서 상기 제1스프라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직 래크기어와 연속적인 치열을 제공하는 제1 곡선 래크기어와, 상기 수직 래크기어의 상단에서 상기 제2스프라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수직 래크기어와 연속적인 치열을 제공하는 제2 곡선 래크기어를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제1축과 동축상에 설치되고,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원형의 제1고정기어;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제2축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원형의 제2고정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와 상기 제2고정기어의 중심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와 함께 연속적인 치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 상기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와 맞물려서 이동하는 다수의 피니언기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가 상기 한 쌍의 수직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의 치열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바깥쪽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링 형태의 제1체인; 상기 제1체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체인;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의 하단은 상기 제1축에 고정된 한 쌍의 제1스프라켓에 각각 감기고, 상기 체인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 중에서 상기 제1체인이 감긴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제1체인은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체인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구동수단은, 상기 제1축에 고정된 회전판과, 상기 다수의 체인돌기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측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인의 하단은 상기 제1축에 고정된 스프라켓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일부가 삽입되는 U형의 각형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 사이의 공간에는 제2의 가이드레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반대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스켓의 중심축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장치의 내부에서 고기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로가 본체의 후측면에 위치하므로 떨어진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숯불 고유의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여 고기류가 익는 모습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식감을 자극하여 적극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제1체인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피니언기어에 고정구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제2체인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체인에 고정구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서 피니언기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제1체인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피니언 기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래크기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가이드레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다른 유형의 가이드레일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피니언기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100)는 도 1의 정면도 및 도 2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101), 본체의 내부(101)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고기류를 담는 바스켓(10)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 제1 및 제2 구동유닛(110a,110b)을 구동시키는 모터(170)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2개의 구동유닛(110a,110b)을 설치한 것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하나의 구동유닛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많은 구동유닛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후측면 하부에는 숯불 등을 태우는 화로(105)가 설치되고. 화로(105)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료주입구(103)와 재받이(10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체(101)의 천정 또는 측면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배기구(109)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공간은 가로방향의 격벽(102)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며, 상부공간에는 각 구동유닛(110a,110b)이 설치되고, 하부공간에는 모터(170)와 각 구동유닛(110a,110b)로 모터(1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다.
화로(105)는 상부공간과 연통되며, 화로(105)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팬(180)은 격벽(102)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격벽(102)의 상부에는 고기류에서 떨어진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기름받이를 서랍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70) 등은 격벽(102)에 의해 고온의 상부공간과 격리되므로 과열이 방지된다. 보다 효과적인 단열을 위하여 격벽(102)의 저면에 단열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1)에서 격벽(102)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을 강화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제작하면, 고기류가 회전하면서 익어가는 모습을 밖에서 볼 수 있으므로 보는 사람의 미감을 자극하여 보다 적극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스켓(10)은 금속망 또는 석쇠를 박스형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덮개 또는 도어를 설치하여 여닫이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바스켓(10)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바스켓(10)을 대신하여 꼬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후술하는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1구동유닛(110a)과 제2구동유닛(110b)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170)에 의해 동작하면서 바스켓(10)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구동유닛(110a,110b)의 구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구동유닛(110a)을 중심으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제1구동유닛(110a)은 본체(101)의 상부공간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과,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과,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과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의 중심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본체(101)의 측벽에 결합된 제1축(111)과 제2축(112)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스프라켓(111)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스프라켓(112)에는 제1체인(130a)이 감기고, 다른 제1스프라켓(111)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스프라켓(112)에는 제2체인(130b)이 감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모터(17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이고,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은 각각 제1, 제2체인(130a,130b)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 스프라켓이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스프라켓(111,112)을 각각 종동, 구동 스프라켓으로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은 제1축(121)에 고정되며, 따라서 제1축(121)이 회전하면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이 같은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제2스프라켓(112)은 제2축(122)에 자유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축(12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체인(130a)에는 다수의 피니언기어(140)가 장착되고, 피니언기어(140)의 이동경로의 외곽에는 피니언기어(140)와 치합하는 래크기어(160)가 설치된다. 또한 피니언기어(140)의 일측에는 바스켓(10)을 장착하는 고정구(150)가 결합되며, 고정구(150)는 피니언기어(140)에 고정되어 피니언기어(140)와 함께 회전한다.
제2체인(130b)에도 피니언기어(140)를 장착하고, 그 주변에 래크기어(160)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체인(130b)에는 고정구(150)만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였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래크기어(160)가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160a)와, 수직 래크기어(160a)의 하단에 설치되어 연속적인 치열을 제공하는 제1 곡선 래크기어(160b)와, 수직 래크기어(160a)의 상단에 설치되어 연속적인 치열을 제공하는 제2 곡선 래크기어(160c)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인(130a)과 함께 이동하는 피니언기어(140)는 수직 래크기어(160a)를 따라 자전하면서 하강한 후에, 계속하여 제1 곡선 래크기어(160b)를 따라 자전하면서 제1스프라켓(111)의 둘레를 이동하고, 계속하여 수직 래크기어(160a)를 따라 자전하면서 상승하고, 계속하여 제2 곡선 래크기어(160c)를 따라 자전하면서 제2스프라켓(112)의 둘레를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160a)의 상단에 제2 곡선 래크기어(160c)가 설치되고, 제1체인(130a)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40)가 제2스프라켓(112)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도 자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1 곡선 래크기어(160b)의 둘레를 지나는 피니언기어(140)도 마찬가지로 자전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니언기어(140)를 따라 이동하는 바스켓(10)이 본체(101)의 내부에서 끊임없이 자전하면서 승강운동을 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래크기어(160a), 제1 곡선 래크기어(160b), 수직 래크기어(160a)는 각각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피니언기어(140)는 이동하면서 래크기어(160)와 맞물려서 회전해야 하므로 제1체인(13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피니언기어(140)를 체인(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전술한 등록특허와 같이 체인에 별도의 고정편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에 피니언기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인(130a)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봉(135)을 통상의 것보다 긴 것을 사용하여 연결봉(135)의 돌출부분을 피니언기어(140)의 축홀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피니언기어(140)의 회전축을 제1체인(130a)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봉(135)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피니언기어(140)에서 제1체인(130a)과 접하는 측면의 반대쪽 면에 바스켓(10)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고정구(150)가 설치된다. 고정구(150)는 피니언기어(140)와 함께 회전해야 하므로 피니언기어(140)의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어야 한다.
고정구(150)는 피니언기어(140)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돌턱이 형성된 통 형상의 하우징(152), 하우징(152)의 상기 돌턱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관통홀(156)을 구비하는 이동판(154), 하우징(15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154)에 바깥쪽으로의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58)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하우징(152)의 일측에 바닥면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바닥면이 없는 파이프형 하우징(152)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158)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일 수 있고, 스프링(158)을 대신하여 우레탄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블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14)를 고정구(150)의 관통홀(156)에 삽입하면서 이동판(154)을 후퇴시키면 중심축(12)의 타단을 반대쪽 고정구(15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바스켓(10)의 중심축(12)이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삽입돌기(14)가 서로 다른 관통홀(156)에 삽입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체인(130b)은 제1체인(130a)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제1축(121)과 제2축(122)에 의해 지지되는 제1스프라켓(111)과 제2스프라켓(112)에 감긴다.
제2체인(130b)에도 제1체인(130a)과 마찬가지로 피니언기어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 래크기어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체인(130a)과 제2체인(130b)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의 회전속도가 다를 경우 그 사이에 설치된 바스켓 중심축(12)의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삽입돌기(14)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2체인(130b)에는 피니언기어, 래크기어 등을 설치하지 않고 고정구(150)만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2체인(130b)의 연결봉(135)을 축으로 하여 고정구(15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구(15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피니언기어(14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70)의 회전력을 제1스프라켓(11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02)의 하부공간에 위치하는 모터(170)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72)가 장착되고, 구동기어(172)는 종동기어(174)가 장착된다. 또한 격벽(102)의 하부공간에는 종동기어(174)에 축결합된 수평방향의 구동축(114)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축(114)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1구동부(110a)를 동작시키는 제1구동스프라켓(176)과 제2구동부(110b)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스프라켓(178)이 각각 결합된다.
제1구동부(110a)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축(121)에 제1종동스프라켓(179a)이 제1스프라켓(111)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되고, 제1종동스프라켓(179a)과 제1구동스프라켓(176)에는 제1구동체인(132a)이 감긴다.
제2구동부(110b)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축(121)에 제2종동스프라켓(179b)이 제2구동부(110b)의 제1스프라켓(111)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축결합되고, 제1종동스프라켓(179a)과 제2구동스프라켓(178)에는 제2구동체인(132b)이 감긴다.
제1 및 제2종동스프라켓(179a,179b)은 제1축(121)에 고정되거나, 제1스프라켓(111)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170)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72), 종동기어(174), 구동축(114), 제1 및 제2 구동스프라켓(176,178), 제1 및 제2 종동스프라켓(179a,179b)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제1 및 제2 종동스프라켓(179a,179b)에 대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각 구동부(110a,110b)의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스프라켓(111)이 회전하면 제1 및 제2스프라켓(111,112)에 감긴 제1 및 제2체인(130a,130b)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체인(130a)에 결합된 다수의 피니언기어(140)가 제1체인(130a)과 함께 이동하면서 동시에 래크기어(160)와 연동하여 자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각 피니언기어(140)에 장착된 고정구(150)가 회전하게 되고, 고정구(150)에 결합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이 회전하면서 결국 바스켓(10)에 담긴 고기류가 자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에서는 제1체인(130a)의 주변에서 수직 래크기어(160a)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제1 곡선 래크기어(160b)와 제2 곡선 래크기어(160c)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곡선 래크기어(160b,160c)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부품인데다 스프라켓(111,112)의 직경, 제1체인(130a)의 폭, 피니언기어(14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제작하고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성품을 구매하여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제1체인(130a)이 느슨해지면 피니언기어(140)와 수직 래크기어(160a)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피니언기어(140)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제1체인(130a) 주변의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제1구동부(110a)의 하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도 본체(101)의 내부에 제1구동부(110a)와 제2구동부(110b)를 포함하고, 제1구동부(110a)와 제2구동부(110b)가 동일한 모터(170)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101)의 내부공간이 격벽(10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본체(101)의 후측면 하부에 화로(105)가 배치되며, 화로(105)의 상부와 하부에 연로공급구(103)와 재받이(10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격벽(102)의 하부에 모터(170), 송풍팬(180), 동력전달수단 등이 설치된다.
또한 피니언기어(140)를 제1체인(130a)에 결합하는 방법, 피니언기어(140)와 고정구(150)의 결합방법 및 고정구(150)와 바스켓(10)의 결합방법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에서도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1체인(130a)에 피니언기어(140)가 장착되어 승강운동을 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는 피니언기어(140)의 안정적인 운행을 위하여 수직방향의 래크기어(160)와, 원형의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가이드레일(190)을 사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 가이드레일(190)은 모두 위치가 고정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의 중심은 각각 제1 및 제2축(121,122)이 관통하며,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00)에서는 제1체인(130a)이 상하 2개의 스프라켓에 감기는 것이 아니라 하단에 위치한 하나의 스프라켓(111)에만 감긴다. 이때의 스프라켓(111)은 제1체인(130a)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고, 제1체인(130a)의 위치는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이들을 둘러싸는 가이드레일(190)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피니언기어(140)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라켓(111)은 제1 고정기어(115)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제1축(121)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라켓(111)에는 구동체인(132)이 감기며 구동체인(132)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터(170)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모터(170)가 회전하면 구동체인(132)에 의해 스프라켓(111)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스프라켓(111)에 감긴 제1체인(130a)의 하단부가 회전하게 되며, 제1체인(130a)은 내측의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외측의 가이드레일(190) 사이에서 피니언기어(140)에 의해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1체인(130a)은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이들을 둘러싸는 가이드레일(190)의 사이에서 피니언기어(140)를 견인하는 견인줄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래크기어(160)는 제1체인(130)의 내측에서 각각 치열이 제1체인(130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 래크기어(160)의 하단은 제1고정기어(115)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단은 제2고정기어(116)의 부근에 위치한다. 한 쌍의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는 모두 피니언기어(140)와 치합하는 치열을 가지며, 따라서 제1체인(130a)의 내측에는 피니언기어(140)와 치합하는 치열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90)은 제1체인(130a)의 외측에 설치되며, 제1체인(130a)에 장착된 피니언기어(140)는 일측이 가이드레일(190)에 접한 상태에서 한 쌍의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의 치열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가 모두 고정되어 피니언기어(140)에 대해 고정된 치열을 제공하게 된다.
가이드레일(190)은 래크기어(160)와 제1, 제2고정기어(115,116)의 바깥쪽에 나란히 배치되며, 피니언기어(140)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피니언기어(140)가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치합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가이드레일(190)은 본체(101)의 내부에 고정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금속봉의 양단을 연결하여 링 형상으로 제조하였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140)에 가이드레일(19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42)을 형성하였다. 가이드홈(142)은 피니언기어(140)의 치열(142) 중앙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가이드홈(142)의 양측을 따라 치열(141)이 배치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기어(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치열(161) 중앙에 가이드홈(16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고정기어(115,116)의 치열 중앙에도 원주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가이드레일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140), 래크기어(160) 등에 모두 가이드홈(142,162)을 형성하면, 도 1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140)는 외측의 제1 가이드레일(190a)과 내측의 제2 가이드레일(190b)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면서, 체인(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체인(130a)과 나란히 배치된 제2체인(130b)에는 피니언기어, 래크기어 등을 설치하지 않고 고정구(150)만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도 5와 같이 제2체인(130b)을 설치하면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체인(130b)도 제1체인(130a)과 마찬가지로 래크기어(160), 제1 및 제2고정기어(115,116)와 가이드레일(190)의 사이에 제2체인(130b)을 배치하고 제2체인(130b)에 피니언기어(14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170)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구동부(110a,110b)를 모두 동작시켰으나, 각 구동부를 별도의 모터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부재는 전술한 바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금속봉 형태의 가이드레일(190)이 피니언기어(14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42)에 삽입되어 피니언기어(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U형의 단면을 갖는 각형 가이드레일(19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1체인(130a)의 외측에 각형 가이드레일(195)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피니언기어(140)의 일부를 삽입함으로써 피니언기어(140)가 각형 가이드레일(195)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할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피니언기어(140)와 래크기어(160)에 각각 가이드홈(142, 162)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금속봉 형태의 링형 가이드레일(190b)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피니언기어(140)는 각형 가이드레일(195)과 내측의 링형 가이드레일(190b) 사이에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래크기어(160)에 맞물려서 자전하게 된다.
또한 소정 폭을 갖는 금속 스트랩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피니언기어(140)의 가이드홈(142)에 삽입되는 돌출 레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스프라켓(111)을 이용하여 제1체인(130a)을 회전시켰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체인(13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18)의 측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돌기(119)를 형성하고, 제1체인(130a)에 다수의 체인돌기(13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회전판(118)의 회전에 따라 걸림돌기(119)가 함께 회전하다가 체인돌기(136)에 걸리면서 제1체인(130a)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고정구(150)에 탄성이 부여된 이동판(154)을 설치하고 이동판(154)의 관통홀(158)에 바스켓 중심축(12)의 삽입돌기(14)를 삽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바스켓(10)의 중심축(1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탄성을 갖는 이동판을 설치하고, 체인(130a,130b)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40) 또는 고정구(150)에 삽입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회전식 구이장치(100,200)가 숯불용 화로(105)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숯불 구이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종류의 열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1)의 내측면에 전기히터, 가스버너 등의 열원을 배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각 구동부(110a,110b)가 서로 평행한 2개의 체인(130a,13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양 체인의 고정구(150)의 사이에 바스켓(10)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구동부(110a,110b)에 제1체인(130a)만을 설치하고, 제1체인(130a)에 다수의 피니언기어(140)와 고정구(150)를 설치하면, 비교적 가벼운 꼬치류의 일단을 고정구(150)에 끼움으로써 꼬치류의 공전과 자전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스켓, 꼬치 등에 고기류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고기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바스켓 12: 중심축
14: 삽입돌기 100, 200: 바비큐 구이장치
101: 본체 102: 격벽
103: 연료공급구 105: 화로
107: 재받이 109: 배기구
110a, 110b: 제1, 제2구동부 111, 112: 제1, 제2스프라켓
114: 구동축 115, 116: 제1, 제2 고정기어
118: 회전판 119: 걸림돌기
121, 122: 제1, 제2축 130a, 130b: 제1, 제2체인
132a, 132b: 제1, 제2구동체인 136: 체인돌기
140: 피니언기어 141: 치열
142: 가이드홈 150: 고정구
152: 하우징 154: 이동판
156: 관통홀 158: 스프링
160: 래크기어 161: 치열
162: 가이드홈 170: 모터
172: 구동기어 174: 종동기어
176,178: 제1, 제2구동스프라켓 179a, 179b: 제1, 제2종동스프라켓
180: 송풍팬 190: 가이드레일
195: 각형 가이드레일

Claims (9)

  1. 삭제
  2.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원형의 제1고정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원형의 제2고정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와 함께 연속치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기어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제2고정기어의 일측 및 타측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의 바깥쪽을 모두 둘러싸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연속치열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속치열과 치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다수의 피니언기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링 형태의 제1체인;
    상기 제1체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체인;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고정구;
    상기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고정구;
    상기 다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다수의 제2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과 상기 제2체인은 동일한 축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프라켓에 각각 감기고,
    상기 체인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 중에서 상기 제1체인이 감겨있는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은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체인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구동수단은, 상기 제1고정기어를 관통하는 축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판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판의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체인돌기를 걸어서 이동시키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인은 상기 축에 고정된 스프라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의 일부가 삽입되는 U형의 각형 가이드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는 각각의 치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 사이의 공간에는 제2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반대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기류 유지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삽입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9.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에 열원을 설치하여 고기류를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로서,
    원형의 제1고정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원형의 제2고정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와 함께 연속치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기어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제2고정기어의 일측 및 타측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의 바깥쪽을 모두 둘러싸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래크기어, 상기 제1고정기어 및 상기 제2고정기어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연속치열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속치열과 치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다수의 피니언기어;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링 형태의 체인;
    상기 다수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고정구;
    상기 다수의 고정구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체인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20130093631A 2013-08-07 2013-08-07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Active KR10136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31A KR101368138B1 (ko) 2013-08-07 2013-08-07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31A KR101368138B1 (ko) 2013-08-07 2013-08-07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138B1 true KR101368138B1 (ko) 2014-02-28

Family

ID=5027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631A Active KR101368138B1 (ko) 2013-08-07 2013-08-07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1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030A (zh) * 2018-05-30 2018-09-04 黄书军 无烟食品烧烤炉
CN109222679A (zh) * 2018-11-30 2019-01-18 牟勇 一种烧烤炉及其使用方法
KR102365744B1 (ko) * 2021-06-02 2022-02-18 이영희 터널식 연속형 구이 장치
KR102512553B1 (ko) * 2022-08-25 2023-03-22 최용식 식품 조리용 그릴 세척장치
GB2592998B (en) * 2020-03-06 2023-09-13 Jamali Ghorb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CN118370391A (zh) * 2024-06-26 2024-07-23 南通集捷智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食品焙烤的环形运载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7B1 (ko)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KR100914173B1 (ko) 2009-01-15 2009-08-28 함종표 회전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67B1 (ko)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KR100914173B1 (ko) 2009-01-15 2009-08-28 함종표 회전 구이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030A (zh) * 2018-05-30 2018-09-04 黄书军 无烟食品烧烤炉
CN109222679A (zh) * 2018-11-30 2019-01-18 牟勇 一种烧烤炉及其使用方法
CN109222679B (zh) * 2018-11-30 2024-04-09 牟勇 一种烧烤炉及其使用方法
GB2592998B (en) * 2020-03-06 2023-09-13 Jamali Ghorba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2365744B1 (ko) * 2021-06-02 2022-02-18 이영희 터널식 연속형 구이 장치
US12207760B2 (en) 2021-06-02 2025-01-28 Innohas Co., Ltd. Tunnel-shaped continuous barbecue apparatus
KR102512553B1 (ko) * 2022-08-25 2023-03-22 최용식 식품 조리용 그릴 세척장치
CN118370391A (zh) * 2024-06-26 2024-07-23 南通集捷智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食品焙烤的环形运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68138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199682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KR200471216Y1 (ko) 바베큐 장치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KR100837069B1 (ko) 훈제 구이기
CN203483300U (zh) 烤全羊自动烤炉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101425896B1 (ko)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1377682B1 (ko) 통구이 훈제기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20060000187U (ko) 숯불 바비큐 장치
KR101011590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CN211558622U (zh) 一种白鹅后期加工烘烤装置
KR200408165Y1 (ko) 고기구이장치
KR101719242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CN2183145Y (zh) 自动旋转串扦的串烧烤炉
KR200157979Y1 (ko) 숯불바베큐기
KR101821928B1 (ko) 옥수수 회전 구이장치
CN210673093U (zh) 新型电动烤肉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