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42B1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242B1 KR101719242B1 KR1020150159543A KR20150159543A KR101719242B1 KR 101719242 B1 KR101719242 B1 KR 101719242B1 KR 1020150159543 A KR1020150159543 A KR 1020150159543A KR 20150159543 A KR20150159543 A KR 20150159543A KR 101719242 B1 KR101719242 B1 KR 101719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coal
- main body
- space
- grill
- storage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도어로 개폐되는 구이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함체와, 구이공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구들과, 함체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구들과 각각 대응하는 동력전달부재와,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구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동력전달부재에 부여하는 구동모터와, 구이공간에 설치되어 가스를 연소시켜 구이공간에 화기(火氣)를 공급하는 화기수단과, 본체의 구이공간의 바닥면에 숯불을 담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숯불의 화기(火氣)와 숯불향을 구이공간에 공급하는 숯불수납수단과, 구이용 식재를 담아 회전구들에 적재되는 홀더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용 식재를 제자리 회전시키며 가스 연소불로 굽는 동안에 숯불의 화기와 향을 더 공급하여 구이가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낼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육류의 과다 섭치로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정보들로 인해 육류를 불판이나 후라이판 등에 굽지 않고 바베큐 형태로 지방을 제거하며 구워 섭치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30885호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체 내부의 일정궤도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면서 고기류를 익힐 수 있는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이다. 즉, 선행기술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체인과, 제1 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체인기어와, 체인기어의 이동경로의 외측에 고정되고 다수의 체인기어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레일과, 다수의 체인기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 고정구와, 제2체인에 장착된 다수의 제2 고정구와, 다수의 제1 고정구와 다수의 제2 고정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류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바비큐 구이장치의 내부에서 고기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므로 고기류를 보다 골고루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용 식재를 제자리 회전시키며 가스 연소불로 굽는 동안에 숯불의 화기와 향을 더 공급하여 구이가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낼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구이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구이공간(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 본체(10);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함체(30);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하판(41)(43)과, 상기 상하판(41)(43)을 가로 질러 설치된 다수개의 봉재들(45)과, 상기 봉재들(45)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된 적재판들(47)과, 상기 상판(41)의 상면 및 상기 하판(43)의 하면에 각각 돌출된 끼움돌기들(48)(49)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41)의 끼움돌기(48)가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천장면에 회전되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구들(40); 상기 함체(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들(40)과 각각 대응하며,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43)의 끼움돌기(49)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구(51)를 갖는 동력전달부재(50); 상기 함체(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들(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재(50)에 부여하는 구동모터(60); 상기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후면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되는 화공들을 갖는 열판들(71)을 구비하여, 상기 열판(71)의 화공으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상기 구이공간(11)에 화기(火氣)를 공급하는 화기수단(70);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숯불을 담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숯불의 화기(火氣)와 숯불향을 상기 구이공간(11)에 공급하는 숯불수납수단(80); 구이용 식재를 담아 상기 회전구들(40)의 적재판들(47)에 적재되는 홀더(9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공간(11)과 연통하는 배기구(11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투명창(2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구이공간(1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숯불수납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요입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숯불수납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81)과, 숯불을 담아 상기 구멍(81)에 끼워지는 수납함(8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90)는 윗면만이 개구된 용기부(91)와, 기둥 모양을 이루어 상기 용기부(91)의 바닥에 안치되는 망체(93)와, 상기 망체(93)의 내부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이용 식재를 올려놓는 구이판들(95)과, 상기 망체(93)에 형성되어 구이용 식재의 출입로를 형성하는 출입구(9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용 식재를 제자리 회전시키며 가스 연소불로 굽되, 굽는 동안에 숯불의 화기와 향이 더 공급됨으로써,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내는 구이가 제공된다.
또한, 소, 돼지, 오리, 닭과 같은 육류 뿐만 아니라 버섯이나 양파, 고구마 등과 같은 야채와 소세지와 같은 가공식품도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내며 구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구 일부를 본체로부터 빼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회전구 작동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숯불수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구 일부를 본체로부터 빼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회전구 작동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숯불수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장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구이공간(11)이 형성된다. 본체(10)는 개구된 전면에 도어(20)를 회전되게 설치하여 구이공간(11)을 개폐한다.
도어(20)에는 본체(10)의 구이공간(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투명창(21)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에는 구이공간(1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함체(30)가 일체로 설치된다. 함체(30)는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며, 본체(10)의 하부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함체(30)의 하부에는 캐스터와 같은 바퀴가 설치되어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체(10)의 구이공간(11)에는 다수개의 회전구들(4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회전구들(40)의 갯수는 구이공간(11)의 크기에 따라 도면으로부터 증감될 수 있다.
회전구들(40)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판(41) 및 하판(43)과, 상판(41) 및 하판(43)을 가로 질러 설치된 다수개의 봉재들(45)과, 봉재들(45)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된 적재판들(47)과, 상판(41)의 상면 및 하판(43)의 하면에 각각 돌출된 끼움돌기들(48)(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구들(40)은 상판(41)의 끼움돌기(48)가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천장면에 회전되게 고정되며, 끼움돌기(48)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는 구이공간(11)의 천장면에 원형홈을 형성하여 끼움돌기(48)를 회전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봉재들(45)은 하나의 사이 간격이 넓게 설치되어 하기 홀더(9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함체(30)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재(50)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구들(40)과 각각 대응한다. 예를 들면, 동력전달부재(50)는 하부에 원기둥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고, 함체(30)의 바닥에는 원형홈을 형성하여, 원기둥 모양의 돌기가 원형홈에 끼워짐으로써 함체(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회전구들(40)과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50)는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판(43)의 끼움돌기(49)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구(51)를 갖는다. 끼움구(51)는 선단에 홈(51a)을 형성하여 끼움돌기(49)를 끼우며, 끼움돌기(49)와 홈(51a)은 각각 각형을 이루어 헛돌지 않도록 끼워진다.
동력전달부재(50)의 중간에는 스프라켓 형태의 치차(55)가 형성되며, 동력전달부재(50)의 각 치차(55)를 가로질러 체인벨트(57)가 감긴다.
함체(3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구동모터(60)는 회전구들(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동력전달부재(50)에 부여한다. 구동모터(60)는 회전로드에 스프라켓 같은 치차를 고정하여 체인벨트(57)를 감아 동력전달부재(50)에 회전동력을 전달 수 있다.
구동모터(60)가 구동하면, 체인벨트(57)를 따라 각각의 동력전달부재(50)가 회전하고, 회전구들(40)이 각 동력전달부재(50)를 따라 제자리 회전한다.
본체(10)의 구이공간(11)에는 구이공간(11)에 화기(火氣)를 공급하는 화기수단(70)이 설치된다. 화기수단(7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후면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되는 화공들을 갖는 열판들(71)을 구비하여, 열판(71)의 화공으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구이공간(11)에 화기를 공급한다.
열판들(71)은 하판(43) 및 적재판들(47)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일측(도면에서 우측)에는 설치함(15)이 설치되며, 설치함(15)은 잘 알려진 기술의 화기수단(70)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각 열판들(71)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과 점화플러그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고, 설치함(15)의 전면에는 가스공급라인의 개폐 및 점화플러그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조작노브(73)가 설치된다.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는 숯불을 담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숯불수납수단(80)이 설치된다. 숯불수납수단(80)은 화기수단(70)이 구이공간(11)에 화기를 공급하는 동안 숯불의 화기(火氣)와 숯불향 등을 구이공간(11)에 더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숯불수납수단(80)은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요입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은 동력전달부재(50)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구이공간(11)의 바닥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숯불을 수납할 수 있다.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은 구이공간(11)의 바닥면 전측에 형성되어 숯불을 수납하고 재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의 내부에는 망체가 설치되어 숯불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받칠 수 있고, 재는 망체를 통해 빠져나가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의 바닥에 쌓인다. 따라서 숯불은 재로 인해 화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은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은 바닥 또는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게 열선을 배선하여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들 수 있다.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에 숯을 담고 열선에 전기를 인가하여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이 직접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선에 의해 지속적으로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숯불이 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드는 수고가 줄어들 수 있다. 열선이 홈 형태의 숯불수납수단(80)의 측면에 설치되면 숯불을 받치는 망체가 설치되어도 숯에 열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숯불수납수단(80)은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81)과, 숯불을 담아 구멍(81)에 끼워지는 수납함(8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멍(81)은 수납함(83)과 동력전달부재(50)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면에 형성되고, 수납함(83)에는 개구된 윗면의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구멍(81)에 빠지지 않게 걸린다.
이와 같은 숯불수납수단(80)은 수납함(83)이 본체(10)의 외부에서 숯불을 담고 재를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수납함(83)의 청소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숯불수납수단(80)은 수납함(83)의 바닥 위로 열선을 배선하여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들 수 있다. 수납함(83)은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를 설치하여 열선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숯을 담은 수납함(83)이 구멍(41)에 끼워지고, 수납함(83)의 단자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열선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수납함(83)이 직접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열선에 의해 지속적으로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숯불이 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드는 수고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이용 식재를 담아 회전구들(40)의 적재판들(47)에 적재되는 홀더(90)를 포함한다. 구이용 식재는 소, 돼지, 오리, 닭과 같은 육류 뿐만 아니라 버섯이나 양파, 고구마 등과 같은 야채와 소세지와 같은 가공식품 등 구워 먹을 수 있는 식재 모두를 포함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더(90)는 윗면만이 개구된 용기부(91)와, 기둥 모양을 이루어 용기부(91)의 바닥에 안치되는 망체(93)와, 망체(93)의 내부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이용 식재를 올려놓는 구이판들(95)과, 망체(93)에 형성되어 구이용 식재의 출입로를 형성하는 출입구(9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부(91)는 구이판들(95)에 올려진 구이용 식재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홀더(90)는 구이판들(95)에 각종 구이용 식재를 한번에 올려놓고 구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구이판(95)에는 삽겹살을 올려 놓고, 다른 하나의 구이판(95)에는 소세지를 올려놓고 한번에 구울 수 있으며, 이때 각 구이판(95)에는 야채를 더 올려 놓고 삽겹살과 소세지와 같이 구울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더(90)는 비어치킨을 만들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홀더(90)는 윗면만이 개구된 용기부(90a)와, 용기부(90a)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부(90b)와, 돌부(90b)의 선단에 요입 형성된 비어홈(90c)로 이루어져 비어치킨을 만들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용기부(90a)는 오리나 닭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 역할을 하고, 돌부(90b)는 오리나 닭 등을 세우는 역할을 하며, 비어홈(90c)에는 맥주가 담긴다. 이와 같은 홀더(90)로부터 겉은 바삭하고 속은 맥주의 증기로 인해 부드러운 비어치킨이 구워질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배기구(110)가 설치된다. 배기구(110)는 구이공간(11)과 연통하게 설치되어 구이공간(11)에서 발생되는 연기 등을 배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용 식재가 담긴 홀더(90)를 회전구들(40)의 적재판들(47)에 올려 놓고 구동모터(60)와 동력전달부재(50)의 구동으로 회전구들(40)을 제자리 회전시키며 화기수단(70)의 가스 연소불로 굽되, 굽는 동안에 숯불수납수단(80)에 담긴 숯불의 화기와 향을 구워지는 구이용 식재에 더 공급함으로써,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내는 구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 돼지, 오리, 닭과 같은 육류 뿐만 아니라 버섯이나 양파, 고구마 등과 같은 야채와 소세지와 같은 가공식품도 더 깊은 맛과 풍미를 자아내며 구울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구이공간
20: 도어 21: 투명창
30: 함체 40: 회전구
41: 상판 43: 하판
45: 봉재 47: 적재판
48,49: 끼움돌기 50: 동력전달부재
51: 끼움구 60: 구동모터
70: 화기수단 71: 열판
80: 숯불수납수단 81: 구멍
83: 수납함 90: 홀더
91: 용기부 93: 망체
95: 구이판 97: 출입구
110: 배기구
20: 도어 21: 투명창
30: 함체 40: 회전구
41: 상판 43: 하판
45: 봉재 47: 적재판
48,49: 끼움돌기 50: 동력전달부재
51: 끼움구 60: 구동모터
70: 화기수단 71: 열판
80: 숯불수납수단 81: 구멍
83: 수납함 90: 홀더
91: 용기부 93: 망체
95: 구이판 97: 출입구
110: 배기구
Claims (4)
- 전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구이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구이공간(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 본체(10);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함체(30);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하판(41)(43)과, 상기 상하판(41)(43)을 가로 질러 설치된 다수개의 봉재들(45)과, 상기 봉재들(45)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된 적재판들(47)과, 상기 상판(41)의 상면 및 상기 하판(43)의 하면에 각각 돌출된 끼움돌기들(48)(49)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41)의 끼움돌기(48)가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천장면에 회전되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구들(40);
상기 함체(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들(40)과 각각 대응하며,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43)의 끼움돌기(49)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구(51)를 갖는 동력전달부재(50);
상기 함체(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들(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재(50)에 부여하는 구동모터(60);
상기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후면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되는 화공들을 갖는 열판들(71)을 구비하여, 상기 열판(71)의 화공으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상기 구이공간(11)에 화기(火氣)를 공급하는 화기수단(70);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숯불을 담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숯불의 화기(火氣)와 숯불향을 상기 구이공간(11)에 공급하는 숯불수납수단(80);
구이용 식재를 담아 상기 회전구들(40)의 적재판들(47)에 적재되는 홀더(9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공간(11)과 연통하는 배기구(11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투명창(2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구이공간(1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숯불수납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구이공간(11)의 바닥면에 요입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숯불수납수단(80)의 내부에는 숯불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받치고 재는 통과시키는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숯불수납수단(80)의 바닥 또는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여 숯을 태워 숯불을 만들고 그 숯불을 유지시키는 열선이 설치되고,
상기 홀더(90)는 윗면만이 개구된 용기부(91)와, 기둥 모양을 이루어 상기 용기부(91)의 바닥에 안치되는 망체(93)와, 상기 망체(93)의 내부에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이용 식재를 올려놓는 구이판들(95)과, 상기 망체(93)에 형성되어 구이용 식재의 출입로를 형성하는 출입구(9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543A KR101719242B1 (ko) | 2015-11-13 | 2015-11-13 | 회전식 구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543A KR101719242B1 (ko) | 2015-11-13 | 2015-11-13 | 회전식 구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9242B1 true KR101719242B1 (ko) | 2017-03-23 |
Family
ID=5849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9543A KR101719242B1 (ko) | 2015-11-13 | 2015-11-13 | 회전식 구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92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1272A (zh) * | 2017-11-01 | 2018-03-06 | 魏来 | 一种高效地瓜烘烤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6045U (ko) * | 2007-06-04 | 2008-12-09 | 김인수 |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
KR20120016911A (ko) * | 2010-08-17 | 2012-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KR20130034477A (ko) * | 2011-09-28 | 2013-04-05 | 현석 | 음식물 조리 장치 |
KR101430885B1 (ko) | 2013-12-11 | 2014-08-18 | 김정수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KR101497606B1 (ko) * | 2014-07-17 | 2015-03-03 | 한삼연 | 비어 치킨 구이기 |
-
2015
- 2015-11-13 KR KR1020150159543A patent/KR101719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6045U (ko) * | 2007-06-04 | 2008-12-09 | 김인수 |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
KR20120016911A (ko) * | 2010-08-17 | 2012-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KR20130034477A (ko) * | 2011-09-28 | 2013-04-05 | 현석 | 음식물 조리 장치 |
KR101430885B1 (ko) | 2013-12-11 | 2014-08-18 | 김정수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KR101497606B1 (ko) * | 2014-07-17 | 2015-03-03 | 한삼연 | 비어 치킨 구이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1272A (zh) * | 2017-11-01 | 2018-03-06 | 魏来 | 一种高效地瓜烘烤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72586C (en) | Roasting oven | |
US5373778A (en) | Roasting oven | |
KR101541644B1 (ko)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
KR101937050B1 (ko) | 꼬치구이기 | |
KR101660647B1 (ko)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
KR101910103B1 (ko) | 회전형 구이장치 | |
EP1411771B1 (en) | Roasting oven | |
KR20140003929A (ko) | 회전식 구이기 | |
KR101719242B1 (ko) | 회전식 구이장치 | |
KR100903720B1 (ko) | 오리 통구이기 | |
KR101298093B1 (ko) | 바베큐장치 | |
KR101618604B1 (ko) | 바베큐 장치 | |
KR101689089B1 (ko) | 가마형 구이장치 | |
KR101368138B1 (ko)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
KR102335948B1 (ko) | 초벌구이장치 | |
KR200405147Y1 (ko) |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 |
KR101568760B1 (ko) |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 |
KR20070047540A (ko) |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 |
KR101430885B1 (ko)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
WO2012006214A2 (en) | Mobile smoker oven | |
KR100940547B1 (ko) | 음식물 조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10672B1 (ko) | 회전고기구이시스템 | |
KR100950183B1 (ko) |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 |
KR0112742Y1 (ko) | 적외선 훈제 구이기 | |
KR20080006045U (ko) |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